KR101489112B1 - 차량용 실내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실내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112B1
KR101489112B1 KR1020137021216A KR20137021216A KR101489112B1 KR 101489112 B1 KR101489112 B1 KR 101489112B1 KR 1020137021216 A KR1020137021216 A KR 1020137021216A KR 20137021216 A KR20137021216 A KR 20137021216A KR 101489112 B1 KR101489112 B1 KR 101489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nector
circuit board
terminal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848A (ko
Inventor
야스오 스즈키
유타 마스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차량용 실내 램프는 디자인부와 기능부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은 기능부에 부착된다. 광원은 렌즈에 근접하도록 회로 기판에 장착된다. 단자는 회로 기판의 측부에 장착된다. 커넥터는 기능부의 측부에 배치된다. 커넥터 단자는 커넥터에 제공된다. 스위치는 스위치 손잡이 및 스위치 몸체를 갖는다. 스위치 손잡이는 디자인부의 측부에 부착된다. 스위치 몸체는 기능부의 측부에 부착된다. 스위치 손잡이 및 스위치 몸체는 광원의 온 또는 오프를 수행하도록 단자와 커넥터 단자 사이를 선택적으로 전기적 접속시키기 위해 연동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실내 램프{INTERIOR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 판(예를 들어, 천장 판 또는 문의 내장 판)에 부착되는 차량용 실내 램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술된 차량용 실내 램프>
차량용 실내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스위치의 온/오프는 스위치 패널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스위치 손잡이의 누름부를 누르는 것에 의해 수행되어, 배선 기판에 장착된 택트 스위치(tact switch)를 푸쉬다운(pushdown) 한다.
<특허문헌 1에 기술된 기술의 문제점>
특허문헌 1에 기술된 차량용 실내 램프는 스위치와 광원 등이 장착되는 회로 보드를 배열하는 것이 어렵고 스위치의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8-427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실내에 적절한 조명을 확보할 수 있고, 각 부품을 쉽게 조립할 수 있고,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면에서 우수한 차량용 실내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 램프는, 디자인부; 기능부; 상기 디자인부에 부착되는 렌즈; 상기 기능부에 부착되는 회로 기판; 상기 렌즈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광원; 상기 회로 기판의 측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도록 상기 회로 기판의 측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단자; 상기 기능부의 측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제공되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 및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자유롭게 구동하도록 상기 디자인부의 측부에 부착되는 스위치 손잡이와, 상기 스위치 손잡이의 조작에 의하여 자유롭게 구동하도록 상기 기능부의 측부에 부착되는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의 바닥부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몸체는 상기 스위치 손잡이의 하측에서 상기 스위치와 상호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상기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 사이에 놓여서, 상기 단자 및 커넥터 단자 사이에서 선택적인 전기 접속을 수행하여, 상기 광원의 온 또는 오프를 수행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스위치 몸체와 커넥터는 일체로 형성되고, 스위치 손잡이, 스위치 몸체 및 커넥터는 연동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위치 손잡이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디자인부에 부착되고, 스위치 몸체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기능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스위치 손잡이는 수평 방향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디자인부에 부착되고, 스위치 몸체는 수평 방향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기능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각 렌즈와 스위치 손잡이는 디자인부에 배치되고, 각 스위치 몸체, 광원이 장착된 회로 보드 및 커넥터는 기능부에 배치되어, 조립 과정이 상당히 빨라질 수 있다. 더욱이, 스위치 손잡이, 스위치 몸체, 단자 및 커넥터 단자는, 회로 보드의 결합 또는 고정 위치에서 분리되도록, 회로 보드의 측부에 배치되고, 회로 보드에 장착된 광원은 렌즈에 근접하도록 만들 수 있어, 우수한 실내 조명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스위치 몸체와 커넥터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의 수가 감소할 수 있고 비용도 낮아질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스위치는 회전 작동에 의해 부드럽게 스위칭될 수 있다.
삭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스위치는 수평 방향에서 작동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 부드럽게 스위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와 스위치 손잡이 각각은 디자인부에 배치되고, 광원이 장착된 회로 보드, 스위치 몸체 및 커넥터 각각은 기능부에 배치되어, 전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고, 작동성의 개선이 실현될 수 있다. 더욱이, 스위치 및 이에 부수되는 전기 결합 부품이 회로 보드의 결합 및 고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회로 보드의 측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광원 및 렌즈는 우수한 배열 관계로 배치될 수 있고 적절한 조명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회로 보드에 고정되는 단자는 스위칭 기능의 일부를 수행하는 소자로 사용되기 때문에, 감소된 수의 부품을 갖고 비용 성능이 우수한 차량용 실내 램프가, 시판되는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공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램프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1b는 스위치 및 회로 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c는 실내 램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d는 실내 램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실내 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스위치 및 회로 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a에 도시된 실내 램프의 스위치의 이동을 나타내는 스위치 손잡이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스위치 몸체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3c는 스위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실내 램프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스위치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b는 실내 램프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접속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실내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실내 램프의 스위치의 온-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d는 전기적 접속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e는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a에 도시된 실내 램프의 스위치의 오프-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c는 도 6a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d는 전기적 접속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e는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실내 램프의 스위치 및 회로 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b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실내 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c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실내 램프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7d는 제 2실시예에 따른 실내 램프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실내 램프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기능부를 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스위치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스위치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8c는 스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8d는 전기적 접속 부품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8e는 실내 램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스위치의 온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9a는 실내 램프의 종단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c는 전기적 접속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d는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9e 내지 도 9h는 스위치의 오프-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9e는 실내 램프의 종단면도이고, 도 9f는 도 9e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g는 전기적 접속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h는 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실내 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b 내지 도 10d는 스위치의 온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0b는 스위치의 단자 측 단면도이고, 도 10c는 스위치의 커넥터 단자 측 단면도이고, 도 10d는 전기 접속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e 내지 도 10g는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0e는 스위치의 단자 측 단면도이고, 도 10f는 스위치의 커넥터 단자 측 단면도이고, 도 10g는 전기 접속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제 4실시예에 따른 실내 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b 및 도 11c는 스위치의 온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1b는 스위치의 단자 측 단면도이고, 도 11c는 전기 접속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d 및 도 11e는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1d는 스위치의 단자 측 단면도이고, 도 11e는 전기 접속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실내 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램프(10)를 도 1a 내지 도 1d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차량용 실내 램프(10)는 차량의 실내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예를 들어, 천장 판 또는 문의 내장 판: 미도시)에 부착되고, 거의 사각 형상의 디자인부(20) 및 디자인부(20)에 결합 및 고정되는 거의 사각 형상의 기능부(30)로 대략 구성된다. 렌즈(21)는 디자인부(20)의 중심부에 부착되고, 스위치(40)의 스위치 손잡이(41)는 자유롭게 구동되도록 디자인부(20)의 측부에 부착된다(이하, 제1 및 제 2실시예에서는 자유롭게 회동가능이라고 함).
회로 기판(31)은 기능부(30)의 중심부에 조립된다. 기능부(30)와 일체적으로 또는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된 암형(female type)의 제1 커넥터(42)가 기능부(30)의 일단에 제공된다. 스위치 몸체(43)는 제1 커넥터(42)와 렌즈(21) 사이의 기능부(30)의 측부에서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된다. 또한, 제1 커넥터(42)는 제1 커넥터(42)의 말단으로부터 삽입되는 수형(male type)의 제2 커넥터(42S)와 감합된다.
제1 실시예에서, 스위치(40)는 스위치 손잡이(41) 및 스위치 몸체(43)로 구성된다. 한 쌍의 콘택트(44S, 44T)는 각각 양 단이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진 방식으로 U 자형으로 형성되고, 스위치 몸체(43)의 바닥부에 부착된다. 제1 콘택트(44S)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반면, 제2 콘택트(44T)는 제1 콘택트(44S)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광원(32)(LED, EL 등)은 회로 기판(31)의 중앙 부근에 부착된다. 한 쌍의 L 자형 단자(33S, 33T)는 각각 회로 기판(31)에 장착된 회로(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며(늘어짐), 회로 기판(31)의 단부에 고정된다. 제1 단자(33S) 및 제2 단자(33T)는 각각 제1 콘택트(44S) 및 제2 콘택트(44T)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도면부호(50S, 50T, 51S)는 제1 커넥터(42)에 결합 및 고정되고 말단이 아래로 구부러진 L 자형 커넥터 단자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50S는 제1 커넥터 단자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50T는 제2 커넥터 단자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51S는 제 3커넥터 단자를 나타낸다. 제1 커넥터 단자(50S) 및 제 3커넥터 단자(51S)는 선택적으로 제1 콘택트(44S)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제 2커넥터 단자(50T)는 제2 콘택트(44T)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40)는 시소 스위치(seesaw switch) 또는 로커 스위치(rocket switch)라 불리는 스위치 종류이다. 이 스위치는 스위치 손잡이(41) 표면의 일단 또는 타단을 밀어 광원(32)의 빛을 제어한다(도 1a의 곡선 화살표 참조). 예를 들어, 이 스위치는 각 광원(32)의 온/오프, 밝기, 발광색 등의 전환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오직 광원(32)의 온/오프에 대해서면 설명할 것이다.
<각 구성 부품의 조립>
다음으로, 각 구성 부품의 조립 상태를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분해사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렌즈(21)는 그 상부로부터 디자인부(20)에 형성된 개방부(21A) 내로 삽입되어 디자인부(20)에 결합 및 고정된다. 스위치 손잡이(41)는 그 상부로부터 디자인부(20)에 형성된 관통 홀(22) 내로 삽입된다. 이어서, 관통 홀(22)의 돌출부(22A)는 스위치 손잡이(41)의 측부에 제공된 지지부(41A)와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스위치 손잡이(41)가 관통 홀(22) 내로 조립된다.
한편, 광원(32)과 단자(33S, 33T)가 이미 고정된 회로 기판(31)은 기능부(30)에 결합 및 고정된다. 이 경우, 각 단자(33S, 33T)의 말단은 기능부(30)를 관통하여 기능부(30)의 후면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위치한다. 스위치 몸체(43)는 기능부(30)의 후면으로부터 기능부(30)의 측부에 형성된 거의 사각 형상의 삽입 홀(35) 내로 삽입되고, 삽입 홀(35)의 최상부에 제공된 돌출부(35A)가 스위치 몸체(43)의 헤드부 근방에 형성된 회전 홀(43A)과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식으로 삽입 홀(35) 내로 조립된다. 또한, 커넥터 단자(50S, 50T, 51S)는 각각 제1 커넥터(42)의 기능부(30) 측 근방에 형성된 복수의 그루브(36) 내로 결합 및 고정된다.
상술한 각 부품에 부착되도록 디자인부(20) 및 기능부(30)가 조립되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램프(10)가 구성된다.
<스위치 손잡이와 스위치 몸체의 연동>
스위치 손잡이(41)와 스위치 몸체(43)의 연동을 도 3a 내지 도 3c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스위치 손잡이(41)가 디자인부(20)에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된 경우, 스위치 손잡이(41)는 돌출부(22A) 주위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상태로 위치한다(도 3a 참조).
스위치 몸체(43)가 기능부(30)에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된 경우, 스위치 몸체(43)는 회전 홀(43A) 주위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상태로 위치한다(도 3b 참조).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가 조립된 경우, 그 바닥면을 향해 돌출한 스위치 손잡이(41)의 복수의 돌출부(41B)의 말단은, 그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스위치 몸체(43)의 편평부(43B)에 인접한다. 따라서, 돌출부(22A)와 회전 홀(43A)이 공통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스위치 손잡이(41)와 스위치 몸체(43)는 연동되어 좌우 방향에서 스위치(40)를 회전한다(도 3c 참조).
좌우 방향은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정의된 것이다. 즉, 회전 샤프트(돌출부(22A) 또는 회전 홀(43A)의 중심)를 따른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정의되고, 이 정의는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도 사용된다.
<스위치의 전기적 접속 및 회로 기판의 배열>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스위치(40)의 전기적 접속과 회로 기판의 배열에 대해 설명한다.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가 조립된 경우, 회로 기판(31)의 측면에 고정되고 그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제1 단자(33S)는 스위치 몸체(43)의 바닥부에 부착된 제1 콘택트(44S)의 일단과 접촉하게 되고, 제1 커넥터(42)에 결합 및 고정된 제1 커넥터 단자(50S)는 제1 콘택트(44S)의 타단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단자(33S), 제1 콘택트(44S) 및 제1 커넥터 단자(50S)는 전기적으로 접속 상태에 놓인다(도 4a 참조).
이 전기적 접속에 대해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단자 본체(33L)는, 회로 기판(31)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회로 기판(31)의 결합/고정 방향에 수직인 아래 방향(도면에서는 상승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회로 기판(31)에 고정되고 회로 기판(31) 상에 장착된 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1 단자(33S)에 제공된다. 또한, 수직 방향에서 위로 구부러진 상승부(43L, 43M)가 각각 제1 콘택트(44S)의 양단에 제공된다. 더욱이, 수직 방향에서 아래로 구브러진 제1 커넥터 단자 본체(50M)가 제1 커넥터 단자(50S)에 제공된다.
제1 단자 본체(33L) 및 상승부(43L)는 그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도록 인접해 있다. 더욱이, 제1 커넥터 단자 본체(50M) 및 상승부(43M)는 그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을 형성하도록 인접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형태에서, 회로 기판(31)과 제2 커넥터(42S)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위치는 회로 기판(31)이 결합 및 고정되는 위치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스위치(40)의 전환에 따라 회전하는 스위치 몸체(43)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콘택트(44S, 44T)가 이동되는 위치는, 회로 기판이 결합 및 고정되는 위치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회로 기판의 배열에 대해 도 4c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기적 접속 상태의 배열 관계는, 스위치(40)의 움직임이 회로 기판(31)의 배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로의 전기적 접속은, 기능부(30)에 결합 및 고정된 회로 기판(31)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제1 단자(33S)의 제1 단자 본체(33L)에 대해서만 수행되고 그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스위치(40)의 움직임은 회로 기판(31)의 결합/고정으로부터 독립적이다.
그 결과, 회로 기판(31)이 렌즈(21)에 대한 최적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광원(32)은 렌즈(21)에 대해 광학적으로 우수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원(32)이 장착된 회로 기판(31)이 렌즈(21)와의 적절한 배열에 관하여 기능부(30)의 거의 중앙부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의 배열이 기능부(30)의 측부에 배치된 스위치(40)의 움직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더욱이, 최근, 에너지 절약의 요구에 따라, 일반 광원으로서 공지된 백열등을 사용하기가 어려워지고, 광원으로서 LED 등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차량용 광원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본 발명에서는 실내 램프(10)에서 LED를 광원(32)으로서 또한 사용한다. LED는 편평한 형태를 갖는 광원이므로, LED를 사용하는 광학 설계에서 렌즈(예를 들어, 볼록 렌즈)의 표면을 광원에 근접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관점에서, 차량용 실내 램프(10)로부터 실내로의 조명은 본 실시예에서 렌즈(21)와 광원(32)을 근접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위치의 기술적 개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위치(40)는 스위치 손잡이(41)와 스위치 몸체(43)로 구성된 것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스위치는 전자 회로를 전기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장치이고(이와나미 쇼텐 출판사에서 발행된 일본어 사전 "코우지엔"), 회로를 전환하기 위한 레버와 전자 회로를 전기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전기 접속 부품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관점에서 고려할 경우, 도 4a에 도시된 구성은 일반론적인 스위치에 상당한다고 이해될 것이다.
즉, 회로 기판(31)과 전원 사이에 전기적 접속 부품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로 기판(31)의 측부로부터 각각 아래로 연장된 단자(33S, 33T)가 전기적 접속 부품으로 사용된다는 아이디어에서 우수하다. 또한, 제1 커넥터(42) 측에 각각 결합 및 고정되는 커넥터 단자(50S, 50T, 51S)가 또한 전기 접속 부품의 일부로서 사용된다는 다른 아이디어도 놓칠 수 없는 점이다. 본 발명에 이르는 상술한 아이디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품의 수를 줄이고 조립 절차의 효율을 향상시켜, 비용 성능이 우수한 실내 램프(10)를 제공한다.
비록 제1 단자(33S), 제1 콘택트(44S) 및 제1 커넥터 단자(50S)가 전기 접속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전기 접속 부품들도 유사한 전기 접속 상태에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도 5a 내지 도 5e, 도 6a 내지 도 6e에 기초하여 명확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스위치의 움직임 및 전기적 접속>
이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40)의 움직임에 대해, 단자(33S, 33T), 콘택트(44S, 44T) 및 커넥터 단자(50S, 50T, 51S)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도 5a 내지 도 5e, 도 6a 내지 도 6e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광원(32)의 점등 상태, 즉 스위치(40)의 온 상태를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 손잡이(41)의 좌측 표면이 눌린다(도 5b의 화살표 참조).
제1 단자(33S)는 제1 콘택트(44S)와 접촉하고, 제2 단자(33T)는 제2 콘택트(44T)와 접촉한다(도 5b 참조).
제1 콘택트(44S)는 제1 커넥터 단자(50S)와 접촉하고, 제2 콘택트(44T)는 제2 커넥터 단자(50T)와 접촉한다(도 5c 참조).
따라서, 스위치(40)의 온 상태에서, 제1 단자(33S), 제1 콘택트(44S) 및 제1 커넥터 단자(50S)는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2 단자(33T), 제2 콘택트(44T) 및 제2 커넥터 단자(50T)는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광원(32)의 소등 상태, 즉 스위치(40)의 오프 상태를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 손잡이(41)의 우측 표면이 눌린다(도 6b의 화살표 참조).
제1 단자(33S)는 제1 콘택트(44S)와 접촉하고, 제2 단자(33T)는 제2 콘택트(44T)와 접촉한다(도 6b 참조).
제1 콘택트(44S)는 제3 커넥터 단자(51S)와 접촉하고, 제2 콘택트(44T)는 제2 커넥터 단자(50T)와 접촉한다(도 6c 참조).
따라서, 스위치(40)의 오프 상태에서, 제1 단자(33S), 제1 콘택트(44S) 및 제3 커넥터 단자(51S)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2 단자(33T), 제2 콘택트(44T) 및 제2 커넥터 단자(50T)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각 콘택트(44S, 44T)는 스위치(40)의 회전과 동기하여 움직이므로, 이들 콘택트 각각은 약간 비스듬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1 콘택트(44S)는 각 제1 커넥터 단자(50S) 및 제3 커넥터 단자(51S)의 횡 방향에서의 폭과 거의 같은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제1 콘택트(44S)는 제1 콘택트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커넥터 단자(50S) 또는 제3 커넥터 단자(51S)에 선택적으로 전기적 접속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실내 램프(10)를 도 7a 내지 도 7d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42)는 스위치 손잡이(41)에 연동된 스위치 몸체(43)의 하부에서 일체형으로(일체로 형성되는 상태를 포함) 형성된다. 다시 말해, 스위치(40)는 스위치 손잡이(41), 스위치 몸체(43) 및 제1 커넥터(42)로 구성된다. 커넥터 단자(50S, 50T, 51S)는 제1 커넥터(42)의 후부측으로부터 제1 커넥터(42)에 결합 및 고정된다. 또한, 제1 단자(33S)는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반면, 제2 단자(33T)는 제1 단자(33S)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실시예는, 차량용 실내 램프(10)가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로 구성되고, 렌즈(21)가 디자인부(20)에 결합 및 고정되고, 스위치 손잡이(41)가 자유롭게 구동가능하도록 디자인부(20)에 조립되고, 회로 기판(31)이 기능부(30)에 결합 및 고정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 실시예의 조립 및 전기적 접속>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조립 및 전기적 접속을 도 8a 및 도 8e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커넥터(42)와 일체로 형성된 스위치 몸체(43)는 기능부(30)의 측부에 형성된 거의 사각 형상의 삽입 홀(35) 내로 삽입되고, 삽입 홀(35)의 최상부에 제공된 돌출부(35A)가 자유롭게 회동가능하도록 스위치 몸체(43)의 헤드부 근방에 형성된 회전 홀(43A)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삽입 홀(35) 내로 조립된다(도 8a 참조).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가 조립되는 경우, 바닥면을 향해 돌출하는 스위치 손잡이(41)의 돌출부(41B)의 말단은 스위치 몸체(43)의 상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편평부(43B)와 인접한다. 회전 홀(43A)(또는 돌출부(22A))이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스위치 손잡이(41), 스위치 몸체(43) 및 제1 커넥터(42)는 좌우 방향에서 스위치(40)가 회전하도록 연동된다(도 8b 참조).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가 조립되는 경우, 회로 기판(31)의 측면에 고정되고 그 아래로 연장되는 제1 단자(33S)는 제1 커넥터(42)에 결합 및 고정되는 제3 커넥터 단자(51S)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제1 단자(33S) 및 제3 커넥터 단자(51S)는 전기적으로 접속 상태에 놓인다(도 8c 참조).
제1 단자(33S)는 회로 기판(31)에 고정되고 회로 기판(31)에 장착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며, 회로 기판(31)의 단부 주위에서 회로 기판(31)의 결합/고정 방향에 수직인 아래 방향(도면에서는 상승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 단자 본체(33L)가 제공된다. 더욱이, 제3 커넥터 단자(51S)에는 위쪽 방향에서 수직으로 구부러진 제3 커넥터 단자 본체(51M)가 제공된다. 그 결과, 제1 단자 본체(33L) 및 제3 커넥터 단자 본체(51M)는 그들 사이에 전기적 접속 상태를 이루기 위해 인접하게 되어, 제2 커넥터(42S) 및 회로 기판(31)은 그들 사이가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인다(도 8d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체적인 모드에서, 회로 기판(31) 및 제2 커넥터(42S)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위치는 회로 기판(31)이 결합 및 고정되는 위치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스위치(40)의 전환에 따라 회전하는 스위치 몸체(43)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커넥터(42)에 고정되는 커넥터 단자(50S, 50T, 51S)가 이동되는 위치는 회로 기판이 결합 및 고정되는 위치 아래에 위치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전기적 접속 상태의 배열 관계는, 스위치(40)의 움직임이 회로 기판(31)의 배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록 제1 단자(33S) 및 제3 커넥터 단자(51S)가 전기적 접속 부품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다른 전기적 접속 부품도 유사한 결합 상태에 있고, 그 상세한 사항은 도 9a 내지 도 9h를 참조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 스위치의 움직임 및 전기적 접속>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스위치(40)의 움직임에 대한 단자(33S, 33T) 및 커넥터 단자(50S, 50T, 51S)의 전기적 접속 상태에 대해 도 9a 내지 도 9h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광원(32)의 점등 상태, 즉 스위치(40)의 온 상태에 대해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40)의 우측 표면은 밀어 내려지고(도 9b의 화살표 참조), 제1 단자(33S)는 제1 커넥터 단자(50S)와 접촉하고, 제2 단자(33T)는 제2커넥터 단자(50T)와 접촉한다(도 9b 및 도 9c 참조). 따라서, 스위치(40)의 온 상태에서, 제1 단자(33S) 및 제1 커넥터 단자(50S)는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2 단자(33T) 및 제2 커넥터 단자(50T)는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더욱이, 커넥터 단자(50S, 50T, 51S)는 스위치(40)의 회전에 동기하여 움직이므로, 각 커넥터 단자는 약간 경사진 상태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광원(32)의 소등 상태, 즉 스위치(40)가 오프된 상태를 도 9e 내지 도 9h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 손잡이(41)의 좌측 표면은 눌려진다(도 9f의 화살표 참조).
제1 단자(33S)는 제3 커넥터 단자(51S)와 접촉하고, 제2 단자(33T)는 제2 커넥터 단자(50T)와 접촉한다(도 9f 및 도 9g 참조). 따라서, 스위치(40)의 오프 상태에서, 제1 단자(33S) 및 제3 커넥터 단자(51S)는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2 단자(33T) 및 제2 커넥터 단자(50T)는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1 단자(33T)는, 각 제1 커넥터 단자(50S) 및 제3 커넥터 단자(51S)의 횡 방향에서의 폭과 거의 같은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 커넥터 단자(50S) 및 제3 커넥터 단자(51S) 각각은 제1 커넥터 단자 및 제3 커넥터 단자의 움직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단자(33S)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내 램프(10)를 도 10a 내지 도 10g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의 스위치(40)는 슬라이드 스위치이다. 스위치 손잡이(41)는 수평 방향(도 10a에 실선 화살표 참조)에서 자유롭게 구동(이하,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고 함)될 수 있도록 디자인부(20)에 부착되고, 스위치 몸체(43)는 수평 방향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기능부(30)에 부착된다.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가 조립되는 경우, 스위치 손잡이(41)와 스위치 몸체(43)는 연동되는 방식으로 수평 방향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커넥터(42)가 기능부(3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다른 부품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예의 전기적 접속 상태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0b 내지 도 10d는 스위치(40)가 온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즉, 제1 단자(33S), 제1 콘택트(44S) 및 제1 커넥터 단자(50S)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단자(33T), 제2 콘택트(44T) 및 제2 커넥터 단자(50T)는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면들 사이의 상응하는 관계를 살펴보면, 도 10b는 도 5b에 상응하고, 도 10c는 도 5c에 상응하며, 도 10d는 도 5d에 상응한다.
도 10e 내지 도 10g는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즉, 제1 단자(33S), 제1 콘택트(44S) 및 제3 커넥터 단자(51S)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2 단자(33T), 제2 콘택트(44T) 및 제2 커넥터 단자(50T)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면들 사이의 상응하는 관계를 살펴보면, 도 10e는 도 6b에 상응하고, 도 10f는 도 6c에 상응하고, 도 10g는 도 6d에 상응한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내 램프(10)를 도 11a 내지 도 11e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의 스위치(40)는 제3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드 스위치이다(도 11a의 실선 화살표 참조). 디자인부(20)와 기능부(30)가 조립된 경우, 스위치 손잡이(41), 스위치 몸체(43) 및 제1 커넥터(42)는 연동되는 방식으로 좌우 방향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제1 커넥터는 스위치 몸체(43)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의 다른 부품의 구성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b 및 도 11c는 스위치(40)가 온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즉, 제1 단자(33S) 및 제1 커넥터 단자(50S)는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2 단자(33T) 및 제2 커넥터 단자(50T)는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면들 사이의 상응하는 관계를 살펴보면, 도 11b는 도 9b에 상응하고, 도 11c는 도 9c에 상응한다.
도 11d 및 도 11e는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즉, 제1 단자(33S) 및 제3 커넥터 단자(51S)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2 단자(33T) 및 제 2커넥터 단자(50T)는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면들 사이의 상응하는 관계를 살펴보면, 도 11d는 도 9f에 상응하고, 도 11e는 도 9g에 상응한다.
상술한 실내 램프(10)에 따르면, 렌즈(21)는 디자인부(20)에 결합 및 고정되고, 또한 스위치 손잡이(41)는 이에 자유롭게 구동되도록 부착된다. 더욱이, 광원(32)이 장착된 회로 기판(31)은 기능부(30)에 결합 및 고정되고, 또한 스위치 몸체(43)는 자유롭게 구동되도록 이에 부착된다. 회로 기판(31)의 측부에 각각 고정되고 그 아래로 연장된 복수의 단자(33S, 33T) 및 기능부(30)의 측부에 위치하는 제1 커넥터(42)에 각각 고정된 복수의 커넥터 단자(50S, 50T)는 스위치(40)의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렌즈(21)와 스위치 손잡이(41)는 디자인부(20) 측에 위치하는 반면, 스위치 몸체(43), 회로 기판(31) 및 제1 커넥터(42)는 기능부(30) 측에 놓일 수 있어, 조립 과정이 상당이 용이해질 수 있고 부품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손잡이(41), 스위치 몸체(43), 단자(33S, 33T) 및 커넥터 단자(50S, 50T, 51S)는 회로 기판(31)의 결합/고정 위치로부터 분리되도록 회로 기판(31)의 측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회로 기판(31)에 장착된 광원(32)은 렌즈(21)에 근접하게 만들어질 수 있어, 우수한 실내 조명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단자(33S, 33T) 및 커넥터 단자(50S, 50T, 51S)가 스위치(40)에 부수적인 전기적 접속 부품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비용 성능에서 우수한 차량용 실내 램프(10)가, 시판되는 스위치를 새로 제공하는 것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몸체(43) 및 제1 커넥터(42)는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부품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비용도 낮아질 수 있다.
복수의 콘택트(44S, 44T)가 스위치 몸체(43)의 바닥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단자(33S, 33T) 및 커넥터 단자(50S, 50T, 51S)가 콘택트(44S, 44T)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스위치(40)의 전환이 콘택트(44S, 44T)에 의해 수행되므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단자(33S, 33T)의 수 및 커넥터 단자(50S, 50T, 51S)의 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손잡이(41)가 디자인부(20)에 부착되고 스위치 몸체(43)가 수평 방향에서 동시에 자유롭게 회전가능 또는 구동가능하도록 기능부(30)에 부착되므로, 스위치(40)의 전환 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가 제1 커넥터(42)와 제2 커넥터(42S)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나, 서수의 순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서수의 순서는 반대일 수 있다.
비록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단자(33S, 33T), 두 개의 콘택트(44S, 44T), 세 개의 커넥터 단자(50S, 50T, 51S)인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이 전기적 접속 소자의 개수 및 배열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한,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적절히 변형 및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의 각 구성 요소의 재료, 형상, 크기, 수치, 모드, 개수, 배치 위치 등은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임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011년 2월 16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1-031188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램프의 전체 구성은 단순해질 수 있고 실내 램프의 작동성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10: 실내 램프
20: 디자인부
21: 렌즈
21A: 개구부
22: 관통 홀
30: 기능부
31: 회로 기판
32: 광원
33S: 제1 단자
33T: 제2 단자
35: 삽입 홀
40: 스위치
41: 스위치 손잡이
42: 제1 커넥터
42S: 제2 커넥터
43: 스위치 몸체
44S: 제1 콘텍트
44T: 제2 콘택트
50S: 제1 커넥터 단자
50T: 제2 커넥터 단자
51S: 제3 커넥터 단자

Claims (5)

  1. 차량용 실내 램프로서,
    디자인부;
    기능부;
    상기 디자인부에 부착되는 렌즈;
    상기 기능부에 부착되는 회로 기판;
    상기 렌즈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광원;
    상기 회로 기판의 측부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도록 상기 회로 기판의 측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단자;
    상기 기능부의 측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제공되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 및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자유롭게 구동하도록 상기 디자인부의 측부에 부착되는 스위치 손잡이와,
    상기 스위치 손잡이의 조작에 의하여 자유롭게 구동하도록 상기 기능부의 측부에 부착되는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스위치 몸체의 바닥부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 및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복수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몸체는 상기 스위치 손잡이의 하측에서 상기 스위치와 상호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는 상기 복수의 단자와 상기 복수의 커넥터 단자 사이에 놓여서, 상기 단자 및 커넥터 단자 사이에서 선택적인 전기 접속을 수행하여, 상기 광원의 온 또는 오프를 수행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몸체 및 커넥터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손잡이, 상기 스위치 몸체 및 상기 커넥터는 연동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램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손잡이는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상기 디자인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 몸체는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상기 기능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손잡이는 수평 방향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상기 디자인부에 부착되고, 상기 스위치 몸체는 상기 수평 방향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기능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실내 램프.
KR1020137021216A 2011-02-16 2012-01-31 차량용 실내 램프 KR101489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1188A JP5806477B2 (ja) 2011-02-16 2011-02-16 車輌用室内照明灯
JPJP-P-2011-031188 2011-02-16
PCT/JP2012/052576 WO2012111461A1 (en) 2011-02-16 2012-01-31 Interior lamp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848A KR20130117848A (ko) 2013-10-28
KR101489112B1 true KR101489112B1 (ko) 2015-02-02

Family

ID=4568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216A KR101489112B1 (ko) 2011-02-16 2012-01-31 차량용 실내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5860B2 (ko)
JP (1) JP5806477B2 (ko)
KR (1) KR101489112B1 (ko)
CN (1) CN103370223B (ko)
DE (1) DE112012000842T5 (ko)
WO (1) WO2012111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2796B2 (ja) * 2012-11-09 2016-06-29 豊田合成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15037091A (ja) * 2013-08-12 2015-02-2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エッチング方法
JP2015044474A (ja) 2013-08-28 2015-03-1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JP6673795B2 (ja) * 2016-09-30 2020-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灯火器装置
US11801788B2 (en) * 2021-08-30 2023-10-31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lamp assembly having an on/off switch operating portion
US11904768B2 (en) * 2022-03-14 2024-02-20 Caterpillar Inc. Cabin light and cabin light assembly for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782A (ko) * 2000-12-18 2002-06-24 류정열 차량용 룸램프 구조
US20040109324A1 (en) 2002-11-07 2004-06-10 Tiesler John M. Assist handle with integrated light uni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838056U1 (de) * 1978-12-22 1979-03-22 Sidler Gmbh & Co, 7400 Tuebingen Innenleuchte fuer fahrzeuge
US5345372A (en) * 1992-02-10 1994-09-06 Kabushiki Kaisha T An T Switchable light fixture
JP2000353451A (ja) * 1999-06-09 2000-12-19 Teeantee:Kk 車両用室内灯
DE10148107B9 (de) * 2000-09-28 2013-08-14 Yazaki Corp. Verfahren zum Einbauen einer Leuchteinheit und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 Leuchteinheit
JP4000826B2 (ja) * 2001-10-31 2007-10-31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ムランプ
JP4184070B2 (ja) * 2002-12-26 2008-11-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ランプ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05183306A (ja) * 2003-12-22 2005-07-07 T An T:Kk プッシュスイッチの押しボタン構造
JP4301932B2 (ja) 2003-12-22 2009-07-22 株式会社テーアンテー スライドスイッチの固定接点構造
JP4390257B2 (ja) 2003-12-22 2009-12-24 株式会社テーアンテー 車両用室内灯
JP4588624B2 (ja) * 2005-12-20 2010-12-01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室内灯
JP2008004273A (ja) 2006-06-20 2008-01-10 Calsonic Kansei Corp シーソースイッチ構造
JP5169806B2 (ja) * 2008-12-25 2013-03-27 豊田合成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11031188A (ja) 2009-08-03 2011-02-17 Eivest:Kk ジョイント器具
JP5495431B2 (ja) * 2010-05-17 2014-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ルーム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782A (ko) * 2000-12-18 2002-06-24 류정열 차량용 룸램프 구조
US20040109324A1 (en) 2002-11-07 2004-06-10 Tiesler John M. Assist handle with integrated light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0223B (zh) 2016-10-19
US20140029286A1 (en) 2014-01-30
JP5806477B2 (ja) 2015-11-10
JP2012166759A (ja) 2012-09-06
US9115860B2 (en) 2015-08-25
KR20130117848A (ko) 2013-10-28
DE112012000842T5 (de) 2013-11-14
WO2012111461A1 (en) 2012-08-23
CN103370223A (zh)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112B1 (ko) 차량용 실내 램프
US7122752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7238905B2 (en) Single button six-way sunroof switch
KR101540872B1 (ko) 시소 스위치
US7122756B2 (en) Push switch
KR101714136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WO2012133719A1 (en) Seesaw type switch
GB2409580A (en) Fixed contact structure of slide switch
JP2005197154A (ja) 照光スイッチ
KR100500086B1 (ko) 스위치장치
JP2012174652A (ja) 車両用室内照明灯
WO2018014856A1 (zh) 开关用防倾芯部、开关及其安装方法
KR101743748B1 (ko)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KR200326687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접지단자구조
JP2006236871A (ja) オーバーヘッドモジュール
JP4530510B2 (ja) 発光表示付スイッチ
KR101791620B1 (ko)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KR100288383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JP2014127250A (ja) スイッチ構造および自動車用室内照明灯
JP2015220116A (ja) スイッチユニット
JP2011088578A (ja) 車両室内照明灯
JPH11167837A (ja) 照光機能付電子部品
KR20070051085A (ko) 차량의 무드 조명용 로터리 스위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