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748B1 -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 Google Patents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748B1
KR101743748B1 KR1020160019595A KR20160019595A KR101743748B1 KR 101743748 B1 KR101743748 B1 KR 101743748B1 KR 1020160019595 A KR1020160019595 A KR 1020160019595A KR 20160019595 A KR20160019595 A KR 20160019595A KR 101743748 B1 KR101743748 B1 KR 101743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ontact
knob
conductor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상
Original Assignee
유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상 filed Critical 유철상
Priority to KR1020160019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25Light-emitting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4Stationary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와 슬라이드 작동을 복합적으로 이루는 콤팩트 스위치의 노브 위치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시인성을 높여주기 위해 조명등을 내장한 썬루프 스위치의 조명등 전원 라인을 개량하여 조립 생산성을 높이고, 스위치 작동 방해를 제거한 노브 표시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썬루프 스위치에 있어 다수의 고정 접점을 형성한 고정 접점 어셈블리(1)와, 고정 접점 어셈블리 상부에서 고정 접점의 접속을 이루는 컨텍트를 갖는 가동 하우징(2)과, 가동 하우징(11)에 결합하여 고정을 이루고 푸시 작동력에 의해 가동 하우징에서 승강하며, 슬라이드 작동력에 의해 가동하우징과 함께 슬라이드를 이루는 플런저(3)와, 플런저 상부면(31)에 표시등을 갖는 표시등 어셈블리(4)와, 표시등 어셈블리 표면을 덮어 마감하는 노브(5)로 이루며, 상기 플런저(3)는 상부 면(31)에는 표시등 어셈블리(4) 장착 요입홈을 형성하고, 상부 면 일측 하부로부터 고정 접점 어셈블리(1)와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고정 접점 어셈블리 표면에 근접하도록 안내 튜브(33)를 복수로 서로 이격하고 연장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안내 튜브(33) 내에 전원 연결구(35)를 끼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런저(3) 상부 면에 표시등 어셈블리(4)와 고정 접점 어셈블리(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An improvement over the knob, power line display lamps Sunroof switch}
본 발명은 차량용 썬루프에 사용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푸시와 슬라이드 작동을 복합적으로 이루는 콤팩트 스위치의 노브 위치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시인성을 높여주기 위해 조명등을 내장한 썬루프 스위치의 조명등 전원 라인을 개량하여 조립 생산성을 높이고, 스위치 작동 방해를 제거한 노브 표시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선루프는 루프패널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품으로서, 실내 환기를 위하여 실외 공기의 유출입 통로가 되는 편의장치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선루프의 개폐 조절을 위한 스위치는 선루프와 인접된 위치의 천정 면에 설치되며, 상기 선루프 스위치의 조작 단은 열림, 닫힘, 틸트 업, 틸트 다운 완전열림, 완전 닫힘의 다단 조작을 위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다단의 조작은 최소 4단 ~ 6단 범위 내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다단의 접점 기능을 부가하고자 근자에는 고정 접점을 패턴화하여 형성하고 노브에 연동하는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과 컨텍트 됨에 의해 다양한 접점 출력을 발생하도록 더 정교하고 더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위치 작동력을 전달받는 노브는 어두운 곳에서도 그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등을 내장하여 빛을 발하도록 이루어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여주고 있으며 그러한 노브 조명 구조는 다양하기도 하다.
이하에서 서술할 본 발명과 대비될 기술은 적어도 푸시와 슬라이드 작동을 복합적으로 이루는 콤팩트 스위치로 가정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푸시와 슬라이드 기능을 이루는 콤팩트 스위치의 전형적인 모습은 차량 썬루프 스위치가 있다.
차량 썬루프 스위치는 대별하여 다수의 고정 접점 갖으며 외부 커넥터로 연결하는 패턴을 형성한 고정 접점 어셈블리와, 노브 작동으로 그 방향성에 따라 시소 방식의 푸시 또는 선형 방식의 푸시를 이루며 연동하는 컨텍트에 의해 접점 신호를 유발하는 것과, 상기 노브의 작동으로 그 방향성에 따라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이루는 가동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에 노브 작동력을 전달하는 플런저를 개재하여 이루고, 상기 가동하우징에 컨텍트를 고정시켜 상기 고정 접점과 컨텍을 이루도록 구성하며 이들을 내장 조립하기 위한 케이스와 커버로 이루어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와 같은 썬루프 스위치는 미국특허 6,693,246; 5,508,485; 6,046,414; 6,037,259에는 푸시 타입 또는 시소타입의 선루프 스위치가 공개되어 있고, 또한, 유럽특허 1037229A1, 1239502A3 와, 독일특허 4221458A1에도 선루프 스위치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특히, 미국특허 5,920,042(1999.07.16)에는 선루프의 열림 또는 닫힘 작동이 노브를 직선방향으로 조작하여 이루어지고, 선루프의 틸트 업 또는 틸트 다운 작동이 노브를 시소와 같이 젖혀주는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시소 및 슬라이딩 복합 운동 형태의 선루프 스위치가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자 역시 다수의 썬루프 스위치에 대한 기술 개발을 이루어 왔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1095591, 1138931호 실용신안 등록 344349, 346433, 381658, 386703, 400160, 458045, 450668, 457366호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썬루프 스위치는 대부분 노브와 연결된 플런저 및 가동 하우징의 노브 연결 축 중심부분에 다양한 구조물이 분포할 수밖에 없음에 의해 노브 조명등을 설치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매우 불합리하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스위치에 있어 노브 표시등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썬루프 스위치에 있어서는 극히 제한적인 이유는 고정접점 어셈블리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노브에 광학적인 전달이 전술한 노브 연결 축 중심부분에 다양한 구조물이 분포하는 것에 의해 어렵고 이 문제를 일부 개선하는 구조로 노브에 밀접하게 LED로 이루어지는 조명등을 설치하고 이격 위치의 고정접점 어셈블리로부터 전선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시와 같이 전형적으로 본 발명과 대비될 수 있는 본 발명자의 선출원 공지 기술로써 종래 노브 조명등 설치 썬루프 스위치를 살펴본다.
이는 본 발명자가 창작하여 제품화한 것으로 본 발명과 대비될 주요 구성만을 구체적으로 적시하고 대비되지 아니하는 부분은 간략하게 살펴본다.
도 1은 전체 외형도를, 도 2는 A-A 선 종단면 상태도를, 도 3은 대비될 주요 구성부를 발췌 도시한 일부 생략 부분 사시도를, 도 4는 B-B 선 종단면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케이스(150) 내부에는 슬라이드 작동력으로 도면상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며 컨텍트(114)를 내장한 가동 하우징(112), 상기 가동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고정 접점 어셈블리(100)에 위치 고정한 푸시 케이스(116)와, 푸시 케이스 내부에서 슬라이드를 이루며 접점 신호를 발생하는 컨텍트(118)를 내장하고 복귀 스프링으로 탄성 결합한 푸시(110)와, 상기 푸시(110)와 가동하우징(112)에 작동 외력을 전달하도록 결합하고 상부면(122)에 표시등 어셈블리(130)를 장착한 플런저(120)와, 플런저 상부를 마감한 노브(140)와, 고정 접점 어셈블리(100)를 안착시켜 케이스(150) 하부를 마감하며 외부 커넥터를 형성한 커버(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등 어셈블리(130)의 표시등(132)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고정접점 어셈블리(100) 일단으로부터 노브 표시등 어셈블리에 이르는 전원 라인(L)을 납땜으로 4점 접합하여 이루는데 작동간에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가동하우징(112)에서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된 목부분 내측으로 틈새를 마련하여 이 틈새로 전원 라인(L)을 배선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런저(120)는 사용자 작동력이 Z축 방향으로 작용하면 플런저(120)와 푸시(110)가 사면으로 맞닿아 있어 Z축 방향 힘이 Y축 방향으로 푸시 작동을 이루어 접점 신호를 발생하도록 작용한다.
즉, 수직 방향의 작동력이 횡방향으로 변경되어 컨텍트 작동을 이루는 것이다.
작동력 작용 방향의 변경으로 푸시(110)와 푸시를 고정하는 푸시 케이스(116) 및 플런저(120)의 구조와 형상이 매우 복잡하다.
그리고 다른 종래 기술들이 노브 연결 축 중심부분에 다양한 구조물이 분포하는 것에 의해 표시등 설치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여 노브 직하부에 표시등을 설치한 이점이 있기는 하나 서로 이격된 위치를 전원라인(L)으로 연결하는 것에 있어 몇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컴팩트하게 이루어지는 스위치 구조 내부에 전원라인을 끼워 넣는 공간적인 구조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설계에 어려움이 있다.
둘째, 푸쉬와 슬라이드(X축 전, 후 방향) 작동에 의해 간섭을 배제하도록 전원라인은 충분한 유격을 가져야 하는데 이는 반대로 배치 공간적인 어려움을 유발한다.
셋째, 고정접점 어셈블리와 표시등 어셈블리를 타이트하게 전원라인으로 연결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타이트한 연결은 작업자의 조립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여유있게 길게하는 경우에는 푸시와 슬라이드 내부 작동에 방해되는 문제가 있다.
넷째, 4점 땜납 고정 작업을 이루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단순 조립 과정에서 이질적인 땜납 공정을 수반하는데 따른 생산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교체 등의 분해 수리 작업시에도 또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KR 0862411 B1 KR 0222776 Y1 KR 0296865 Y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고 노브 연결 축 중심부분에 다양한 구조물이 분포하며 푸시와 슬라이드 작용을 겸용하는 썬루프 스위치의 노브 표시등 전원라인 구조를 개선하고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고정접점 어셈블리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하는 표시등 어셈블리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는 구조에서 땜납에 의한 전원라인을 배제하고 단순 조립에 의하여 전원 공급을 이루며 푸시와 슬라이드 작동에 방해를 주지 않고 전원 공급의 단절이 없도록 이루어진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단순 조립에 의해 전원라인을 형성하므로 이질적인 연결 공정을 배제하므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푸시와 슬라이드 구동으로 다양한 접점 컨텍트를 이루는 스위치에 있어, 다수의 고정 접점을 형성한 고정 접점 어셈블리와, 고정 접점 어셈블리 상부에서 고정 접점의 컨텍트를 이루는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에 결합하여 고정을 이루고 푸시 작동력에 의해 가동 하우징에서 승강하며, 슬라이드 작동력에 의해 가동하우징과 함께 슬라이드를 이루는 플런저와, 플런저 상부면에 표시등을 갖는 표시등 어셈블리와, 표시등 어셈블리 표면을 덮어 마감하는 노브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런저 상부 면에는 대향 조립하는 고정 접점 어셈블리와의 대향 면 Z축 방향으로 고정 접점 어셈블리 표면에 근접하도록 안내 튜브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안내 튜브 내에 탄성 도전체와 봉체 상 도전체로 이루어진 전원 연결구를 끼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런저 상부 면에 표시등 어셈블리와 고정 접점 어셈블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썬루프 스위치는 고정접점 어셈블리와 이격 된 위치에 마련한 표시등 어셈블리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해 땜납에 의한 전원라인을 배제하므로 단순 조립에 의하여 전원 공급을 이루며 푸시와 슬라이드 작동에 방해를 주지 않고 전원 공급의 단절이 없도록 이룰 수 있는 동시에 구조적으로 단순 조립에 의해 전원 라인을 형성하므로 이질적인 연결 공정을 배제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유지하는 탄성 접점과 이 접점에 끼워 조립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접점을 겸하여 기능하는 봉체 상의 접점에 의해 푸시와 슬라이드 작동 과정에서 표시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룸으로 신뢰성이 높은 전원 공급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이루어지는 썬루프 스위치 외형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 생략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썬루프 스위치를 도시한 외형도.
도 6은 도 5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 발명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5 발명의 일부 생략 요부 발췌 사시도.
도 9는 도 8 발명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5 발명의 플런저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5 발명의 가동 하우징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5 발명의 요부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 단면 상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푸시와 슬라이드 구동으로 다양한 접점 컨텍트를 이루도록 케이스(8)와 커버(9) 내에 컨텍트를 내장하여 이루어지는 썬루프 스위치에 있어서, 다수의 고정 접점을 형성한 고정 접점 어셈블리(1)와, 고정 접점 어셈블리 상부에서 고정 접점의 접속을 이루는 컨텍트를 갖는 가동 하우징(2)과, 가동 하우징(2)에 결합하여 고정을 이루고 푸시 작동력에 의해 가동 하우징에서 승강하며, 슬라이드 작동력에 의해 가동하우징과 함께 슬라이드를 이루는 플런저(3)와, 플런저 상부면(31)에 표시등을 갖는 표시등 어셈블리(4)와, 표시등 어셈블리 표면을 덮어 마감하는 노브(5)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런저(3)는 상부 면(31)에는 표시등 어셈블리(4) 장착 요입홈을 형성하고, 상부 면 일측 하부로부터 고정 접점 어셈블리(1)와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고정 접점 어셈블리 표면에 근접하도록 안내 튜브(33)를 복수로 서로 이격하고 연장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안내 튜브(33) 내에 전원 연결구(35)를 끼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런저(3) 상부 면에 표시등 어셈블리(4)와 고정 접점 어셈블리(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연결구(35)는 탄성 도전체(351)와 봉체 상 도전체(353)으로 이루어지고, 탄성 도전체(351) 단부가 플런저(3) 상부 면(31)에 장착한 표시등 어셈블리(4)의 전원 단자에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하고, 탄성 도전체(351) 하부에는 봉체 상 도전체(353) 상부를 전기적 접촉 상태로 끼워 하부를 고정 접점 어셈블리(1)의 고정 접점에 전기적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접점 어셈블리(1)는 접촉하는 복수의 전원 연결구(35)와 슬라이드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긴 도체(12)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 하우징(2)은 상부로 돌출 형성한 네크(22)와 네크 일단에 관통 홀(24)을 천공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동 하우징(2)의 다른 상세 구조와 컨텍트 결합 구성은 공지 기술과 스위치 외형에 따라 알려져 있고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주요 기술과는 밀접하지 아니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작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은 스위치 노브(5)를 스윙과 슬라이드가 아닌 푸시와 슬라이드 작용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다.
스윙에 의한 푸시 작용은 구조적으로 복잡함을 피할 수 없으므로 선형으로 푸시하는 타입이 구조적으로 좀 더 간결하고 유용하며 슬라이드는 그대로 포함하여 이루어 적어도 4~6단의 접점 출력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썬루프 스위치의 노브(5) 조명을 위해 마련되는 플런저(3) 상부 면(31)의 표시등 어셈블리(4)의 표시등(41)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라인 땜납 접속이 아닌 단순 탈착 조립 구조를 갖는 전원 연결구(35)가 마련된다.
도 12 도시와 같이 전원 연결구(35)는 탄성 도전체(351)와 봉체 상 도전체(353)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배치 구성되고 서로 전기적인 접촉을 유지한다.
탄성 도전체(351) 상단은 플런저(3) 상부 면(31)에 안착시킨 표시등 어셈블리(4) 하 표면으로 노출되는 전극(44)에 접촉 상태를 이루고, 하단은 봉체 상 도전체(353)의 상단을 끼워 결합하며, 봉체 상 도전체(353) 하단은 고정 접점 어셈블리(1)의 긴 도체(12) 상 표면에 접촉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연결구(35)는 상부의 표시등 어셈블리(4)와 하부의 고정 접점 어셈블리(1) 사이에 탄성으로 개재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이 탄성으로 긴 도체(12) 측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표시등 어셈블리(4)에 전달하여 표시등(41)을 점등케 하므로 노브(5)에 식별 조명이 켜지도록 작용한다.
노브(5)를 푸시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경우 즉, 썬루프 틸팅 작동을 개시하는 경우 노브의 푸시 작동력은 플런저(3)에 Z축 방향(수직)으로 가해지고 플런저(3)가 하강함에 따라 탄성 도전체(351)는 압축되는데 이 경우에도 긴 도체(12)와 전원 연결구(35)를 경유하여 표시등 어셈블리(4)에 이르는 전원 공급은 지속적으로 발현된다.
결국, 노브의 푸시 동작과 무관하게 전원 연결구(35)를 통한 표시등 어셈블리(4)의 구동 전원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물론, 노브(5)를 X축 방향(수평 전, 후 방향)으로 동작시켜 썬루프를 열거나 닫을 경우에는 플런저(3) 안내 튜브(33) 내에 지지된 상태의 전원 연결구(35)가 플런저(3) 이동과 함께 동작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긴 도체(12)와 지속적인 접촉을 이루므로 표시등 어셈블리(4)에 전원 공급이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탄성 도전체(351)를 개재한 전원 연결구(35)는 썬루프 스위치의 푸시 구동과 슬라이드 구동의 모든 경우 수에서 표시등 어셈블리(4)에 전원 공급을 지속하는 작용을 이룬다.
이러한 전원 연결구(35)를 결합한 플런저(3)는 도 11 도시의 가동 하우징(2) 관통 홀(24)을 통해 고정 접점 어셈블리(1)까지 이르며, 네크(22)에 체결하여 가동 하우징에서 푸시와 슬라이드 동작을 안정적으로 이룬다.
본 발명의 전원 연결구(35)는 플런저(3)와 고정 접점 어셈블리(1) 사이에 조립 구성함에 있어 통상적인 후크 체결 방식으로 다수의 부품이 조립 구성될 때 단순히 삽입하여 조립되므로 땜납과 같은 전원 라인 연결을 위한 공정이동이 배제되므로 제조 공정이 줄어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분해 수리시에도 또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썬루프 스위치를 대표적인 실시 예로써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푸시와 슬라이드 또는 푸시와 턴 방식 등 여러 다양한 요소의 스위치에 긴 도체를 변형하고 적용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변형 적용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통상의 지식인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청구범위 기재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밝혀둔다.
1: 고정 접점 어셈블리 2: 가동 하우징
3: 플런저 4: 표시등 어셈블리
8: 케이스 9: 커버
12: 긴 도체 22: 네크
24: 관통홀 31: 상부면
33: 안내튜브 35: 전원 연결구
41: 표시등 351: 탄성 도전체
353: 봉체 상 도전체

Claims (3)

  1. 푸시와 슬라이드 구동으로 다양한 접점 컨텍트를 이루도록 케이스(8)와 커버(9) 내에 컨텍트를 내장하여 이루어지는 썬루프 스위치에 있어서,
    다수의 고정 접점을 형성한 고정 접점 어셈블리(1)와,
    고정 접점 어셈블리 상부에서 고정 접점의 접속을 이루는 컨텍트를 갖는 가동 하우징(2)과,
    가동 하우징(2)에 결합하여 고정을 이루고 푸시 작동력에 의해 가동 하우징에서 승강하며, 슬라이드 작동력에 의해 가동하우징과 함께 슬라이드를 이루는 플런저(3)와,
    플런저 상부면(31)에 표시등을 갖는 표시등 어셈블리(4)와, 표시등 어셈블리 표면을 덮어 마감하는 노브(5)로 이루며,
    플런저(3)는 상부 면(31)에는 표시등 어셈블리(4) 장착 요입홈을 형성하고, 상부 면 일측 하부로부터 고정 접점 어셈블리(1)와 대향하는 Z축 방향으로 고정 접점 어셈블리 표면에 근접하도록 안내 튜브(33)를 복수로 서로 이격하고 연장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안내 튜브(33) 내에 전원 연결구(35)를 끼워 형성하는 것에 의해 플런저(3) 상부 면에 표시등 어셈블리(4)와 고정 접점 어셈블리(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구(35)는 탄성 도전체(351)와 봉체 상 도전체(353)으로 이루어지고, 탄성 도전체(351) 단부가 플런저(3) 상부 면(31)에 장착한 표시등 어셈블리(4)의 전원 단자에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결합하고,
    탄성 도전체(351) 하부에는 봉체 상 도전체(353) 상부를 전기적 접촉 상태로 끼우고 상기 봉체 상 도전체(353) 하부를 고정 접점 어셈블리(1)의 고정 접점에 전기적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 어셈블리(1)는 접촉하는 복수의 전원 연결구(35)와 슬라이드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고정 접점을 긴 도체(12)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KR1020160019595A 2016-02-19 2016-02-19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KR101743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95A KR101743748B1 (ko) 2016-02-19 2016-02-19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95A KR101743748B1 (ko) 2016-02-19 2016-02-19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748B1 true KR101743748B1 (ko) 2017-06-15

Family

ID=5921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595A KR101743748B1 (ko) 2016-02-19 2016-02-19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7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776Y1 (ko) 2000-11-17 2001-05-15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작동표시등이 내장된 자동차용 스위치
KR100293750B1 (ko) 1996-06-28 2001-10-24 스즈키 다케토시 미끄럼동작 스위치의 접점구조
JP2011113931A (ja) 2009-11-30 2011-06-09 Yazaki Corp スライド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750B1 (ko) 1996-06-28 2001-10-24 스즈키 다케토시 미끄럼동작 스위치의 접점구조
KR200222776Y1 (ko) 2000-11-17 2001-05-15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작동표시등이 내장된 자동차용 스위치
JP2011113931A (ja) 2009-11-30 2011-06-09 Yazaki Corp スライドスイッ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752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8754344B2 (en) Seesaw switch
US7220929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20060131140A1 (en) Single button six-way sunroof switch
US7178956B2 (en) Interior illumination lamp
US4431879A (en) Illumination-type pushbutton switch construction
KR101489112B1 (ko) 차량용 실내 램프
JP4301932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の固定接点構造
KR101743748B1 (ko)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KR101791620B1 (ko) 노브 표시등용 전원 라인을 개선한 썬루프 스위치
KR102131945B1 (ko) 푸시 스위치 유닛
KR100693508B1 (ko) 1버튼 7웨이 방식의 선루프 스위치
JP2005197154A (ja) 照光スイッチ
KR100812475B1 (ko) 차량용 저부하 스위치
KR200465882Y1 (ko) 스티어링 휠 리모컨 스위치 장치
KR101754865B1 (ko) 점등이 가능한 3중 연동 미닫이문
CN216010591U (zh) 一种大按钮式后顶灯总成
JP2012174652A (ja) 車両用室内照明灯
KR200326687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접지단자구조
JP4137464B2 (ja) スイッチ操作部支持機構
KR101797111B1 (ko) 로터리형 푸시 록 스위치
JP2006236871A (ja) オーバーヘッドモジュール
JPH0521791Y2 (ko)
KR100288383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US5914469A (en) Steering colum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