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67Y1 -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 - Google Patents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3667Y1 KR200493667Y1 KR2020190003633U KR20190003633U KR200493667Y1 KR 200493667 Y1 KR200493667 Y1 KR 200493667Y1 KR 2020190003633 U KR2020190003633 U KR 2020190003633U KR 20190003633 U KR20190003633 U KR 20190003633U KR 200493667 Y1 KR200493667 Y1 KR 20049366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ion switch
- mounting groove
- rear surfaces
- connection plate
- elastic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8—Rotating knob or lever or tumbler that can be turned or pushed by hand in only one direction, e.g. by making inaccessible one side of a tumbler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동 스위치 하부에 형성된 위치결정부가 작동스위치의 위치변화에 의하여 이탈 방지부 하부에 거치된 연결 플레이트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와 면접 또는 이탈되어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의 탄성 부재(스프링)가 필요하지 않아 생산공정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는 효과와 최소한의 부품을 이용하여 제작되었기에 분해 및 결합이 손쉬운 효과를 내기 위하여,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기스위치에 관한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탄성 부재(스프링)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스위치는 전기 또는 전자 기기에서 전기 흐름을 연결해 주거나 차단해 주는 개폐용 배선기 사용자의 동작에 의하여 이동되는 구동단자가 내부에 형성 단자(금속편)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구조로 전기의 흐름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9-0001979 "양호한 밸런스를 구비하는 버튼 스위치"에서는 분리형인 제1 평형 로드와 제2 평형 로드를 내장하여, 두 개의 교차된 곳의 포지셔닝 슬라이딩 블록의 리밋작용하에서, 제1 평형 로드와 제2 평형 로드가 상하로 움직여 압력 평형에 달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고안인 경우, 압력 평형성과 압력 안정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목적이 있으나 스프링이 구비되고 필요 이상으로 다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생산비 증가가 증가되어 고가의 전기 및 전자 장비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전기 스위치에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면과 배면에 사다리꼴 형상의 거치부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는 위치결정부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작동 스위치;상기 작동 스위치의 거치부가 거치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삼각형상의 돌출부의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 하부에 좌우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회동제한바가 형성된 상부 커버;가 구비된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에 있어서,
삭제
상기 작동 스위치의 위치결정부의 말단이 면접될 수 있도록 중앙에 거치홈이 형성되고, 거치홈 좌우측에 각각 돌출편이 형성되고, 거치홈 좌측 하부에 제 1 단자 돌기가 구비되고, 제 1 단자 돌기 타측에는 하향으로 간격유지바가 형성된 연결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거치홈에 거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 중앙에 이탈방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지지부는 제 1 경사부의 제 1 말단 전후면에 각각 형성 되며, 제 1 첫단은 전후면에 하향으로 돌출된 제 1 고정바와 연결되는 제 1 접속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제 1 단자 돌기가 거치홈을 축으로 하향 이동시 면접될 수 있도록 상부에 제 2 단자 돌기가 제 2 경사부의 제 2 말단에 형성되고, 제 2 경사부의 제 2 첫단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 제 2 고정바와 연결되는 제 2 접속부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은 작동 스위치 하부에 형성된 위치결정부가 작동스위치의 위치변화에 의하여 이탈 방지부 하부에 거치된 연결 플레이트가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제 1 접속부와 제 2 접속부와 면접 또는 이탈되어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별도의 탄성 부재(스프링)가 필요하지 않아 생산공정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는 효과와 최소한의 부품을 이용하여 제작되었기에 분해 및 결합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커버와 작동스위치 및 본체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부와 본체 일부절취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스위치를 이용하여 단자(금속편)에 접촉될 경우의 상태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스위치를 이용하여 단자(금속편)가 이격될 경우의 상태도.
도 9는 도 8의 "B"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커버와 작동스위치 및 본체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부와 본체 일부절취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스위치를 이용하여 단자(금속편)에 접촉될 경우의 상태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스위치를 이용하여 단자(금속편)가 이격될 경우의 상태도.
도 9는 도 8의 "B" 부분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작동 스위치(10)를 거치할 수 있는 상부 커버(20)와 작동부(30)가 형성된 본체(40)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에 있어서,
전면과 배면에 사다리꼴 형상의 거치부(11)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는 위치결정부(12)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작동 스위치(10);와
상기 작동 스위치(10)의 거치부(11)가 거치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삼각형상의 돌출부(21)의 내측에 공간부(22)가 형성되고, 공간부(22) 하부에 좌우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회동제한바(23)가 형성된 상부 커버(20);와
상기 작동 스위치(10)의 위치결정부(12)의 말단이 면접될 수 있도록 중앙에 거치홈(31-1)이 형성되고, 거치홈(31-1) 좌우측에 각각 돌출편(31-2)이 형성되고, 거치홈(31-1) 좌측 하부에 제 1 단자 돌기(31-3)가 구비되고, 제 1 단자 돌기 (31-3) 타측에는 하향으로 간격유지바(31-4)가 형성된 연결플레이트(31);
상기 연결 플레이트(31)의 거치홈(31-2)에 거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32-1) 중앙에 이탈방지부(32-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지지부(32-2)는 제 1 경사부(32-3) 제 1 말단(E) 전후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 1 첫단(S)은 전후면에 하향으로 돌출된 제 1 고정바(32-4)와 연결되는 제 1 접속부(32);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31)의 제 1 단자 돌기(31-3)가 거치홈(31-2)을 축으로 하향 이동시 면접될 수 있도록 상부에 제 2 단자 돌기(33-1)가 제 2 경사부(33-2)의 제 2 말단(E')에 형성되고, 제 2 경사부(33-2)의 제 2 첫단(S')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 제 2 고정바(33-3)와 연결되는 제 2 접속부(3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접속부(32)의 제 1 고정바(32-4)는 본체(40)의 제 1 거치부 (41) 외측에 거치되며, 제 1 접속부(32)의 제 1 경사부(32-3)는 제 1 거치부(41) 내측에 형성된 탄성 이격부(42)와 면접하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작동 스위치(10), 상부 커버(20), 작동부(30), 본체(40)로 이루어진다.
작동 스위치(10)는 전면과 후면에 사다리꼴 형상의 거치부(11)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위치결정부(12)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것으로, 거치부(11) 상부는 본 고안을 작동시 축역할을 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12)는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연결플레이트(31) 상면을 면접할 수 있다.
상부 커버(20)는 상부에 삼각형상의 돌출부(21)가 구비되고, 내측에 사다리꼴 형상의 내입부와 하부 좌우측에 각각 회전제한바(22)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작동 스위치(10)의 거치부(11) 상부가 거치되어 축으로 좌우로 회동할 수 있으며, 회동시 일정한 간격 이상 회동시 연결 플레이트(31) 상면을 벗어나기 때문에 별도로 공간부(22) 하부에 각각 회동 제한바(22)를 구비하여 최적의 회동반경을 제한 것이다. 상기 회동반경은 작동 스위치(10)의 위치 결정부(12)가 연결 플레이트(31) 상면 이내에 회동해야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작동부(30)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제 1 접속부(32)와 제 2 접속부(33) 및 연결 플레이트(31)로 이루어진다.
제 1 접속부(32)는 제 1 경사부(32-3)의 제 1 말단(E) 전후면에 각각 중앙에 이탈방지부(32-1)가 형성된 지지부(32-2)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플레이트(31) 중앙에 형성된 거치홈(31-1)이 하향으로 ?지끼움된 후 상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일탈 방지부(32-1)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1 경사부(32-3) 제 1 첫단(S)은 전 후면으로 하향돌출된 제 1 고정바(32-4)가 고정된다.
제 2 접속부(33)는 제 2 경사부(33-2)의 제 2 말단(E') 상면에 제 2 단자 (33-3)가 돌출 형성되어 연결 플레이트(31)의 제 1 단자돌기(31-3)와 보다 손쉽게 면접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2 경사부(33-2)의 제 2 첫단(S')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 제 2 고정바(33-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정바(32-4)와 제 2 고정바(33-3)는 본체(40)의 제 1 거치부(41)와 제 2 거치부(41-1)에 외측에 거치되며, 제 1 고정바(32-4)와 함께 형성된 제 1 경사부(32-3)는 제 1 거치부(41) 중앙에 구비된 탄성 이격부(42)에 거치되게 된다.
이를 실시시에는 첨부된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작동 스위치(10) 우측상면을 누르게 되면, 작동 스위치(10)의 거치부(11) 상면이 축으로 위치결정부(12)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면접된 연결 플레이트(31)의 거치홈(31-1)을 축으로 제 1 단자 돌기(31-3)가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 2 경사부(33-2)의 제 2 말단(E')에 형성된 제 2 단자 돌기(33-3)와 면접하게 되어 전기는 흐를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작동 스위치(10) 좌측상면을 누르게 되면, 작동 스위치(10)의 거치부(11) 상면이 축으로 위치결정부(12)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면접된 연결 플레이트(31)의 거치홈(31-1)을 축으로 제 1 단자 돌기 (31-3)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 2 경사부(33-2)의 제 2 말단(E')에 형성된 제 2 단자 돌기(33-3)에 이탈되어 전기는 흐를 수 없게 된다.
또한, 상술한바와 같이 작동 스위치(10)의 조절로 인하여 연결 플레이트(31)의 좌측과 우측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기울어지기 위하여 제 1 경사부(32-3)는 제 1 거치부(41)의 탄성 이격부(42)에 의하여 위치 결정부(12)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 탄성력을 복원시켜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 작동 스위치.
11 거치부. 12 위치결정부.
20 상부 커버.
21 돌출부. 22 공간부. 23 회동제한바.
30 작동부.
31 연결 플레이트. 31-1 거치홈. 31-2 돌출편.
31-3 제 1 단자 돌기. 31-4 간격유지바.
32 제 1 접속부.
32-1 이탈방지부. 32-2 지지부. 33-3 제 1 경사부. 32-4 제 1 고정바.
E 제 1 말단. S 제 1 첫단.
33 제 2 접속부.
33-1 제 2 고정바. 33-2 제 2 경사부. 33-3 제 2 단자 돌기.
E' 제 1 말단. S' 제 1 첫단.
11 거치부. 12 위치결정부.
20 상부 커버.
21 돌출부. 22 공간부. 23 회동제한바.
30 작동부.
31 연결 플레이트. 31-1 거치홈. 31-2 돌출편.
31-3 제 1 단자 돌기. 31-4 간격유지바.
32 제 1 접속부.
32-1 이탈방지부. 32-2 지지부. 33-3 제 1 경사부. 32-4 제 1 고정바.
E 제 1 말단. S 제 1 첫단.
33 제 2 접속부.
33-1 제 2 고정바. 33-2 제 2 경사부. 33-3 제 2 단자 돌기.
E' 제 1 말단. S' 제 1 첫단.
Claims (2)
- 작동 스위치를 거치할 수 있는 상부 커버와 작동부가 형성된 본체;전면과 배면에 사다리꼴 형상의 거치부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는 위치결정부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작동 스위치;상기 작동 스위치의 거치부가 거치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상부에 삼각형상의 돌출부의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 하부에 좌우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회동제한바가 형성된 상부 커버;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위치의 위치결정부의 말단이 면접될 수 있도록 중앙에 거치홈이 형성되고, 거치홈 좌우측에 각각 돌출편이 형성되고, 거치홈 좌측 하부에 제 1 단자 돌기가 구비되고, 제 1 단자 돌기 타측에는 하향으로 간격유지바가 형성된 연결플레이트;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거치홈에 거치할 수 있도록 지지부 중앙에 이탈방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지지부는 제 1 경사부의 제 1 말단 전후면에 각각 형성 되며, 제 1 첫단은 전후면에 하향으로 돌출된 제 1 고정바와 연결되는 제 1 접속부;
상기 연결 플레이트의 제 1 단자 돌기가 거치홈을 축으로 하향 이동시 면접될 수 있도록 상부에 제 2 단자 돌기가 제 2 경사부의 제 2 말단에 형성되고, 제 2 경사부의 제 2 첫단 전후면에 각각 형성된 제 2 고정바와 연결되는 제 2 접속부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633U KR200493667Y1 (ko) | 2019-09-02 | 2019-09-02 |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633U KR200493667Y1 (ko) | 2019-09-02 | 2019-09-02 |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575U KR20210000575U (ko) | 2021-03-10 |
KR200493667Y1 true KR200493667Y1 (ko) | 2021-05-14 |
Family
ID=7487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3633U KR200493667Y1 (ko) | 2019-09-02 | 2019-09-02 |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3667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7386B1 (ko) * | 2013-12-02 | 2015-05-04 | 이숙희 | 스위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35865B2 (ja) * | 1994-12-26 | 2003-08-1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スイッチ |
-
2019
- 2019-09-02 KR KR2020190003633U patent/KR20049366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7386B1 (ko) * | 2013-12-02 | 2015-05-04 | 이숙희 | 스위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575U (ko) | 2021-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0378B1 (en) | Webbed keyboard assembly | |
CN100578708C (zh) | 可动触点以及具备它的可动触点体和开关 | |
KR200493667Y1 (ko) | 탄성 부재를 제거한 누름형 전기스위치. | |
CN110853957A (zh) | 一种智能按键开关 | |
KR102097461B1 (ko) | 보수용 데크 플레이트 체결 장치 | |
CN107591267A (zh) | 高寿命鼠标开关 | |
CN211376441U (zh) | 一种墙壁开关 | |
CN214203487U (zh) | 一种触片的摆动结构及其面板开关 | |
KR20230001609U (ko) | 누름형 전기 스위치의 어셈블리. | |
CN104658793A (zh) | 数据输入设备、其按键钮、按键开关、按键框、电路板和减少其按键开关的开关行程的方法 | |
CN211088130U (zh) | 一种智能按键开关 | |
CN2190320Y (zh) | 架桥式计算机按键开关 | |
US7247807B2 (en) | Button having stiffer vertical motion and reduced lateral motion | |
CN112927973A (zh) | 一种触片的摆动结构及其面板开关 | |
US20030205449A1 (en) | Dust and moisture free switch | |
TWI588855B (zh) | 多方向開關裝置 | |
CN211294939U (zh) | 一种拆装方便的开关 | |
CN104538227A (zh) | 一种触点上下接触的键盘开关 | |
CN210778344U (zh) | 一种带有复位键的窗帘开关 | |
JP3072809U (ja) | 両極電流遮断型緊密固定式スイッチ付コンセントの構造 | |
CN211548760U (zh) | 一种可调转向顶托 | |
CN2413314Y (zh) | 具防尘与防水泼溅的按键 | |
US6549113B1 (en) | Sealed electric switch | |
JP3080966U (ja) | キーボード | |
CN102543600A (zh) | 断路器用外部操作手柄的断开按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