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731B1 - 일체형 다중 스위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다중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731B1
KR101800731B1 KR1020170114910A KR20170114910A KR101800731B1 KR 101800731 B1 KR101800731 B1 KR 101800731B1 KR 1020170114910 A KR1020170114910 A KR 1020170114910A KR 20170114910 A KR20170114910 A KR 20170114910A KR 101800731 B1 KR101800731 B1 KR 101800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groove
terminal
base terminal
terminals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구성이 단순화되어 컴팩트하면서도 경제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형성된 연통장착홈부와, 상기 연통장착홈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부하측 연결라인이 각각 삽입되는 부하삽입홀이 형성된 양측장착홈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양측장착홈부에 개별 구비되어 상기 각 부하측 연결라인과 접속되는 부하접촉면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전환단자;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조작노브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전환단자와 개별 통전되는 복수개의 가동탄성단자; 및 중앙부가 상기 연통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접속되고 양단부가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각 내측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되, 상기 양단부의 상면부에 상기 복수개의 가동탄성단자가 동시에 시소지지되는 일체형 베이스단자를 포함하는 일체형 다중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체형 다중 스위치{one body type multi-switch}
본 발명은 일체형 다중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단순화되어 컴팩트하면서도 경제성이 개선되는 일체형 다중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선기회로를 개폐/전환하는 기구로서, 푸시버튼(push-button)식과 로커(rocker)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푸시버튼 스위치는 버튼을 누른 후 떼는 것과 같은 간단한 선형 동작에 의해 구동되며 단순한 조작성에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로커 스위치는 두개의 고정된 동작 위치 사이로 토글되도록 시소형으로 동작되는 버튼을 가지며, 전기장치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버튼의 동작 위치에 따라 온/오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벽면 등에 단일로 설치되어 하나의 전기장치를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나 두개 또는 세개의 스위치가 하나의 전원에 병렬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전기장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2구형 스위치를 나타낸 회로도 및 예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2구형 스위치는 벽면에 구비되는 하우징(1)에 설치되되, 케이스 내부에 전환단자(c), 가동탄성단자(b), 베이스단자(a), 탄성편(g) 및 풀러(h) 등과 같은 구성부품이 개별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은 나라별로 설정된 규격이 존재하며, 국내의 경우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 각 스위치(2)가 설치되는 공간의 폭이 7cm 내외로 구비된다. 따라서, 국내 규격에 따라 구비되는 상기 하우징(1)에는 최대 3개의 스위치(2)가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2구형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1)의 내측에 각 스위치(2)가 2개소를 배치되어 2구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각 스위치(2)는 상기 하우징(1)의 설치공간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며 중앙부에 상기 스위치(2)의 단폭에 대응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전원(s)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가 병렬로 연결되기 위해 상기 이격공간에 대응하여 배치된 각 스위치(2)의 전원측 연결라인(L1)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를 더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재료비용 및 조립공수가 증가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부재(3)는 양단부가 상기 각 스위치(2)의 전원측 연결라인(L1)에 각각 접속되도록 구비되는데 양단부를 연결하는 연장부(3a)가 실질적으로 케이스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스위치(2)가 상기 여유공간을 두고 이격되므로 대향 내면측의 지지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외부충격 또는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스위치의 유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3)가 분리/단선되는 경우 스위칭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2990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화되어 컴팩트하면서도 경제성이 개선되는 일체형 다중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형성된 연통장착홈부와, 상기 연통장착홈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부하측 연결라인이 각각 삽입되는 부하삽입홀이 형성된 양측장착홈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양측장착홈부에 개별 구비되어 상기 각 부하측 연결라인과 접속되는 부하접촉면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전환단자;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조작노브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전환단자와 개별 통전되는 복수개의 가동탄성단자; 및 중앙부가 상기 연통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접속되고 양단부가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각 내측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되, 상기 양단부의 상면부에 상기 복수개의 가동탄성단자가 동시에 시소지지되는 일체형 베이스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연통장착홈부는 전후측 폭이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전후측 폭보다 좁게 형성되되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연결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전환단자와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의 접촉상태를 조절하는 보조부품이 상기 양측장착홈부에 구분되어 조립지지되도록 상기 연통장착홈부와 상기 양측장착홈부가 연결되는 단차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와 상기 가동탄성단자의 배치 상태를 동시에 구속하도록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의 전후면이 끼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체결돌기가 돌설된 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의 양단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동탄성단자의 각 대향외면이 밀착지지되도록 절곡되는 구속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구속절곡부와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동탄성단자의 각 대향내면이 밀착지지되도록 구속돌기가 돌설되며, 상기 체결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구속절곡부의 외면이 밀착 구속되는 스토퍼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장착홈부에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의 중앙부 일면이 상기 전원삽입홀에 대응되도록 지지하는 정렬돌기가 돌설되며,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의 위치를 구속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하면부로부터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의 상면부와 대면 배치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고정리브가 복수개로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중 스위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단자들이 하나의 일체형 베이스단자를 통하여 전원과 병렬 연결되어 복수개의 전기장치를 개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단자수에 비례하여 필요한 탄성편, 풀러 및 종래에 각 전원측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 등의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감축되어 생산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조작노브에 의해 개별 조작되는 부하측 단자부가 양측장착홈부에 각각 장착되되 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통장착홈부에 의해 이격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각 단자부가 단일의 케이스 내측에 돌설된 복수개의 돌기에 의해 고정되어 스위칭 조작시 유동이 방지되므로 각 단자의 접촉이 명확해짐에 따른 구동안정성 및 조작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는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상기 시소연장부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단순한 구조로 제조되어 상기 단자부를 통한 병렬 통전기능 및 상기 가동탄성단자의 시소지지 기능의 다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부품의 형상이 단순화되어 생산경제성 및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2구형 스위치를 나타낸 회로도 및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스위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의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에서 케이스부에 일체형 베이스단자 및 가동탄성단자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에서 케이스부, 커버부 및 가동탄성단자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스위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의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싱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에서 케이스부에 일체형 베이스단자 및 가동탄성단자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에서 케이스부, 커버부 및 가동탄성단자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300)는 케이스부(310)와 단자부(t)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일체형 다중 스위치(300)는 상기 케이스부(3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커버부(320)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개의 조작노브(60)의 조작에 따라 전원측 및 복수개의 부하측 연결라인(L1,L2)이 선택적으로 통전 또는 단전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L1)은 전원(s)에 연결되는 전선을 의미하고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L2)은 복수개의 전기장치(e)에 개별 연결되는 전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300)는 상기 케이스부(310)가 단일로 구비되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단자부(t)가 상기 복수개의 전기장치(e)를 선택적으로 개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다중 스위치(300)가 컴팩트하게 소형화되면서도 구성부품 및 케이스부(310)의 제조공수와 조립공수가 감축되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부(31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박스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310)의 개구된 상측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결합돌기(311)가 형성되며, 이는 상기 커버부(320)에 형성된 결합홀(321)에 후크 결합되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310)는 절연 및 내연 재질로 구비되어 상호 체결되는 구성부품 간의 합선 및 내부의 전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부품이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케이스부(31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기존에 스위치의 케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공지된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구성부품이라 함은 상기 단자부(t)와 함께 상기 전원측 및 부하측 연결라인(L1,L2)과 상기 단자부(t)의 접촉상태를 조절하는 탄성편(80), 풀러(90) 등의 보조부품을 포함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310)는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L1)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312)이 형성된 연통장착홈부(310a)와,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L2)이 각각 삽입되는 부하삽입홀(313)이 형성된 양측장착홈부(310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부하삽입홀(313)은 상기 일체형 다중 스위치(300)에 의해 제어되도록 연결되는 전기장치(e)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부(310)의 전체적인 외측 프로파일이 국내 규격의 하우징의 설치공간에 대응되되 2개의 전기장치(e)와 연결될 수 있는 2구형 스위치 구조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한편, 후술되는 상기 케이스부(310)의 전측 및 후측은 각 조작노브(60)가 시소운동되는 방향과 대응되고 상기 케이스부(310)의 양단부는 상기 조작노브(60)가 한쌍으로 배치되는 방향과 대응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2구형으로 구비되는 스위치의 경우,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가 상기 하우징의 양측방향 단부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는 한쌍의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60)는 상기 한쌍의 양측장착홈부(310b)의 상측에 배치되어 시소조작됨에 따라 그의 하측에 구비되는 가동탄성단자(50) 및 전환단자(30)가 선택적으로 통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노브(60)의 상면에는 제품의 외관 및 조작감이 개선되도록 버튼커버(미도시)가 결합된다. 여기서, 각 버튼커버(미도시)는 각 양측장착홈부(310b)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되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의 중앙부까지 연장되는 면적으로 구비되어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규격의 3구형의 하우징에 2구형의 스위치 구조가 배치되더라도 시소조작시 안정적인 스위칭 구동 및 인테리어적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가 실질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더라도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에 의해 일체로 구비됨에 따라 각 조작노브(60)의 개별적인 반복조작에도 스위치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단자부(t) 및 보조부품이 실질적으로 상기 케이스부(310)의 내측에 수용됨에 따라 외부 충격 또는 간섭에 의한 파손 및 손상이 방지되므로 전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종래에 개별적인 스위치를 연결하기 위해 각 스위치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설치되던 연결부재가 실질적으로 생략됨에 따라 부품수가 절감되며 각 스위치의 유동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의 단선 또는 접촉불량과 같은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단자부(t)가 수용되되, 상기 단자부(t)는 상기 전환단자(30), 상기 가동탄성단자(50) 및 일체형 베이스단자(3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전환단자(30)는 상기 케이스부(310)의 후측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부하측 연결라인(L2)과 개별 대응되어 접촉되는 부하접촉면부(31)와, 상기 부하접촉면부(31)로부터 상기 케이스부(310)의 전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자연결부(3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환단자(30)는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L2)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2개소로 복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조작노브(60)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전환단자(30)와 개별 통전되도록 상기 전환단자(30)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상면에 시소지지되는 시소홈부(52)와, 상기 시소홈부(5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환단자(30)의 단자연결부(32)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단자접촉부(5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시소홈부(52)의 타측으로 연장되되 내면이 상기 단자접촉부(51)의 내면과 대면되도록 절곡된 탄성부(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53)의 단부 외면에는 후술되는 가동돌기(63)의 단부가 접촉된다.
상세히, 상기 조작노브(60)는 상기 케이스부(310)의 전후측방향과 대응되도록 확장된 라커부(62)와, 상기 라커부(62)의 하면 중앙부로부터 하향 돌설된 상기 가동돌기(63)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T'자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 조작노브(60)에 돌설되는 각 가동돌기(63)는 각 가동탄성단자(50)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각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각 가동돌기(63)의 단부에 가압되며 상기 각 조작노브(60)가 시소운동되는 방향과 대칭으로 시소운동되면서 각 전환단자(30)와 선택적으로 통전된다. 더불어, 상기 라커부(62)의 양측면에는 상기 커버부(320)에 힌지 결합되도록 힌지부(6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는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양단부측 상면부에 상기 각 가동탄성단자(50)가 동시에 시소지지되며 중앙부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L1)과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전환단자(30), 상기 가동탄성단자(50) 및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는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전기 저항이 감소되도록 높은 전도성을 갖는 황동 또는 구리 등의 금속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높은 전도성과 함께 탄성력이 우수한 황동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단자(30,50,340)는 단일의 금속판이 일체로 재단 및 절곡되어 기설정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동탄성단자(50) 및 상기 전환단자(30)가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상호 간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접속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연결라인(L1,L2)이 상기 전환단자(30) 및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에 접촉된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조립되는 상기 탄성편(80) 및 상기 풀러(90)는 상기 각 연결라인(L1,L2)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에 형성된 상기 전원삽입홀(312)을 통하여 인입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L1)의 단부가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전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전체적인 몸체부를 따라 전기가 통전된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양단부측 상면에 시소지지되어 배치되는 상기 각 가동탄성단자(50)가 상기 각 조작노브(60)의 조작에 의해 개별적으로 시소운동됨에 따라 상기 각 전환단자(30)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전환단자(30)는 각 부하측 연결라인(L2)과 개별 접촉되므로 상기 각 조작노브(60)에 의해 상기 각 가동탄성단자(50)가 상기 각 전환단자(30)에 접촉되어 통전된다. 따라서,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L2)을 통하여 전기가 전달되어 상기 전기장치(e)가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는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연장된 시소연장부(341)와, 상기 시소연장부(341)의 양단부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케이스부(310)의 전측 또는 후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속절곡부(3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시소연장부(341)의 양단부측 상면에 시소지지되되, 각 대향외면이 상기 구속절곡부(342)의 내면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탄성단자(50)의 각 대향내면은 상기 각 양측장착홈부(310b)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설된 구속돌기(314)의 내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구속돌기(314)는 상기 구속절곡부(342)가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부(310)의 양측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간격은 상기 가동탄성단자(50)의 단폭간격과 대응됨에 따라 상기 가동탄성단자(50)가 상기 시소연장부(341)의 상면에 배치되면 상기 구속절곡부(342)와 상기 구속돌기(314) 사이에 위치가 구속되면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각 조작노브(60)의 반복적인 조작에도 상기 가동탄성단자(50) 및 상기 전환단자(30)가 정확하게 접촉되므로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에는 상기 구속절곡부(342)의 각 외면이 밀착 지지되는 스토퍼단턱(316)이 더 돌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탄성단자(50)가 시소지지되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유동도 동시에 구속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 조작의 신뢰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는 양단부가 상기 스토퍼단턱(316)에 밀착 지지되는 일자형 바(bar)형상의 금속판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탄성단자(50)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양단부에 시소지지되되 상기 스토퍼단턱(316) 및 상기 구속돌기(314) 사이에 배치되어 위치가 구속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시소연장부(341)의 상면에는 상기 가동탄성단자(50)의 시소홈부(52)가 개별 구속되도록 상기 가동탄성단자(50)의 단폭간격에 대응하여 함몰된 단턱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의 바닥면에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전후면이 끼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체결돌기가 돌설된 체결부(31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단턱(316)은 상기 체결부(315)의 양단부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구속절곡부(342)의 각 대향외면이 상기 스토퍼단턱(316)에 밀착 지지되면서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체결부(315)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가 배치되는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 및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의 바닥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부(315)의 전후측으로 복수개로 돌설되되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전후면에 각각 교번 밀착되도록 돌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설치 위치가 안정적으로 구속되면서도 상기 케이스부(310)를 사출금형시 소요되는 재료량이 최소화되므로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돌출 구조만으로 상기 시소연장부(341)의 전후방향 및 양측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단자부(t)의 설치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는 전술된 상기 구속돌기(314), 상기 스토퍼단턱(316) 및 후술되는 정렬돌기(317)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와 함께 상기 가동탄성단자(50)의 배치 상태를 동시에 구속하므로 상기 각 조작노브(60)의 반복적인 조작에도 각 단자간의 정확한 접촉이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에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중앙부 일면이 상기 전원삽입홀(312)에 대응되도록 지지하는 상기 정렬돌기(317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렬돌기(317)는 상기 시소연장부(341)의 전후면에 교번 밀착되도록 돌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돌기(317)는 제1돌기(317a)와 제2돌기(317b)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돌기(317a)는 상기 전원삽입홀(312)을 통하여 인입되는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L1)의 단부가 접촉되는 상기 시소연장부(341)의 타면측을 지지하도록 돌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L1)이 상기 시소연장부(341)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탄성편(80)의 가압력에 의한 상기 시소연장부(341)의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돌기(317a)는 상기 전원삽입홀(312)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돌기(317b)는 한쌍의 상기 제1돌기(317a)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시소연장부(341)를 기준으로 전면측을 지지하도록 돌설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돌기(317b)는 상기 시소연장부(341)의 위치를 구속하면서도 상기 탄성편(80) 및 풀러(90)의 조립위치를 가이드 및 구속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돌기(317b)의 양면측에는 상기 탄성편(80)의 단폭두께에 대응하여 이격된 구획돌기(318a)가 더 돌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기장치(e)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케이스부(310) 내측에 수용되는 각 구성부품이 상술한 각 체결돌기(314, 316,317)에 의해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구동신뢰성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부(310)에는 상기 전환단자(30) 및 상기 전환단자(30)와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L2)의 접촉상태를 조절하는 탄성편(80)과 풀러(90)의 위치를 가이드 및 구속하는 구획돌기(318b,318c)가 더 돌설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3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기 커버부(320)의 하면부에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위치를 구속하도록 상기 커버부(320)의 하면부로부터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의 상면부와 대면 배치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고정리브(322)가 복수개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는 상기 체결부(315)의 전후측에 교번 돌설된 상기 복수개의 체결돌기 사이에 전후면이 끼움 결합되어 전후 및 좌우측으로 유동이 방지되면서도 상면부가 상기 고정리브(322)의 단부에 밀착 지지됨에 따라 상기 각 조작노브(60)의 반복적인 조작에도 조립위치가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케이스부(310) 내측에 복수개의 전기장치(e)를 작동시킬 수 있는 구성부품이 조립되더라도 개별적인 전기적 조작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므로 구동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는 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의 전후측 폭은 각 양측장착홈부(310b)의 전후측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와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가 연결되는 단차면부(310c)에 상기 전환단자(30) 및 상기 전환단자(30)와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L2)의 접촉상태를 조절하는 보조부품이 조립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면부(310c)에 의해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의 양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L2) 및 각 단자부(t)가 실질적을 구분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에 각각 배치되는 단자가 상호 통전시 전기의 누설 및 이로 인한 오작동이 방지되므로 구동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의 전후측 폭(w1)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L1) 및 상기 시소연장부(341)의 접촉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상기 보조부품의 외면이 안정적으로 접촉지지될 수 있다. 더불어, 개별 스위치를 연속적으로 배치하면서 각 스위치의 측벽두께만큼 상기 하우징의 설치공간이 협소해지던 종래에 비해 상기 케이스부(310)가 일체로 구비되면서 양측간격이 컴팩트화되어 재료비가 절감되면서도 소형화된 일체형 다중 스위치(300)를 제공하여 인테리어적인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다중 스위치(300)는 상기 케이스부(3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단자(30,50)들이 하나의 일체형 베이스단자(340)를 통하여 전원(s)과 병렬 연결되어 복수개의 전기장치(e)를 개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자수에 비례하여 필요한 상기 탄성편(80), 상기 풀러(90) 및 종래에 각 전원측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 등의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감축되어 생산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일체형 다중 스위치(300)는 상기 보조부품의 소요량이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에 삽입되는 하나의 전원측 연결라인(L1) 및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에 삽입되는 두개의 부하측 연결라인(L2)에 대응하는 개수로 절감될 수 있다. 또한,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가 복수개의 단자부(t)를 병렬로 통전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의 역할도 하므로 구성부품의 필요량이 종래의 2구형 스위치와 비교하여 40~50% 절감되므로 경제성 및 조립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60)에 의해 접촉되는 부하측의 단자부가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에 개별 장착되되 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기 연통장착홈부(310a)에 의해 이격된 간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장착홈부(310b)간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각 단자부가 단일의 케이스부(310) 내측에 돌설된 복수개의 체결돌기(314,316,318)에 의해 고정되어 스위칭 조작시 유동이 방지되므로 단자간의 접촉이 명확해짐에 따라 구동안정성 및 조작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340)는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L1)이 상기 시소연장부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단순한 구조로 제조되어 상기 단자부(t)를 통한 병렬 통전기능 및 상기 가동탄성단자(50)의 시소지지 기능의 다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부품의 형상이 단순화되어 생산경제성 및 조립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30 : 전환단자 50 : 가동탄성단자
60 : 조작노브 80 : 탄성편
90 : 풀러 310 : 케이스부
314 : 구속돌기 315 : 체결부
316 : 스토퍼단턱 317 : 정렬돌기
320 : 커버부 322 : 고정리브
340 : 일체형 베이스단자 341 : 시소연장부
342 : 구속절곡부 300 : 일체형 다중 스위치

Claims (5)

  1.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형성된 연통장착홈부와, 상기 연통장착홈부의 양측에 구비되며 부하측 연결라인이 각각 삽입되는 부하삽입홀이 형성된 양측장착홈부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양측장착홈부에 개별 구비되어 상기 각 부하측 연결라인과 접속되는 부하접촉면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전환단자;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조작노브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전환단자와 개별 통전되는 복수개의 가동탄성단자; 및
    중앙부가 상기 연통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접속되고 양단부가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각 내측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되, 상기 양단부의 상면부에 상기 복수개의 가동탄성단자가 동시에 시소지지되는 일체형 베이스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연통장착홈부는 전후측 폭이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전후측 폭보다 좁게 형성되되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일체로 연결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전환단자와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의 접촉상태를 조절하는 보조부품이 상기 양측장착홈부에 구분되어 조립지지되도록 상기 연통장착홈부와 상기 양측장착홈부가 연결되는 단차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와 상기 가동탄성단자의 배치 상태를 동시에 구속하도록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의 전후면이 끼움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체결돌기가 돌설된 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의 양단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동탄성단자의 각 대향외면이 밀착지지되도록 절곡되는 구속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장착홈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구속절곡부와 이격되어 상기 복수개의 가동탄성단자의 각 대향내면이 밀착지지되도록 구속돌기가 돌설되며,
    상기 체결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구속절곡부의 외면이 밀착 구속되는 스토퍼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장착홈부에는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의 중앙부 일면이 상기 전원삽입홀에 대응되도록 지지하는 정렬돌기가 돌설되며,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의 위치를 구속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하면부로부터 상기 일체형 베이스단자의 상면부와 대면 배치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고정리브가 복수개로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다중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4910A 2017-09-08 2017-09-08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00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10A KR101800731B1 (ko) 2017-09-08 2017-09-08 일체형 다중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910A KR101800731B1 (ko) 2017-09-08 2017-09-08 일체형 다중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731B1 true KR101800731B1 (ko) 2017-11-24

Family

ID=6081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910A KR101800731B1 (ko) 2017-09-08 2017-09-08 일체형 다중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73B1 (ko) * 2018-05-14 2019-05-30 진흥전기 주식회사 실외기용 전자기기 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0Y1 (ko) * 2000-05-10 2000-10-16 린후앙 츙-윙 멀티 스위치 구조
JP2002117739A (ja) * 2000-10-05 2002-04-19 Sagami Denshi Kogyo:Kk スイッチ
KR101517386B1 (ko) * 2013-12-02 2015-05-04 이숙희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90Y1 (ko) * 2000-05-10 2000-10-16 린후앙 츙-윙 멀티 스위치 구조
JP2002117739A (ja) * 2000-10-05 2002-04-19 Sagami Denshi Kogyo:Kk スイッチ
KR101517386B1 (ko) * 2013-12-02 2015-05-04 이숙희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73B1 (ko) * 2018-05-14 2019-05-30 진흥전기 주식회사 실외기용 전자기기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49725A (en) Electric switch with pressure lock terminals
US5012215A (en) Protected switch contactor apparatus
KR101641598B1 (ko) 스위치
US3415962A (en) Miniature precision snap action switch with one-piece stressed blade construction
US4220835A (en) Electrical switch construction
EP0110404B1 (en) Miniature switch
KR101800731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10213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CN101026050B (zh) 漏电流减小的继电器
US6689967B2 (en) Slide switch
US2582034A (en) Snap action switch
US4675486A (en) Push button switch with sliding contact member
US4497983A (en) Electrical hook switch
US4144419A (en) Push-button actuated slide switch
KR101800730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JP200913495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US3482064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pressure contacts
JP4720737B2 (ja) リーフスイッチ
JP2002133974A (ja) スイッチ装置
US10600598B2 (en) Relay
US3204071A (en) Center-biased double-throw momentary contact switch
WO2018123224A1 (ja) スイッチ
JP4715694B2 (ja) スイッチ
JP2002358850A (ja) スイッチ装置
TW420812B (en) Pushbutton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