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90Y1 - 멀티 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멀티 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90Y1
KR200200490Y1 KR2020000013298U KR20000013298U KR200200490Y1 KR 200200490 Y1 KR200200490 Y1 KR 200200490Y1 KR 2020000013298 U KR2020000013298 U KR 2020000013298U KR 20000013298 U KR20000013298 U KR 20000013298U KR 200200490 Y1 KR200200490 Y1 KR 200200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ox
conductive piece
conductiv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후앙 츙-윙
Original Assignee
린후앙 츙-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후앙 츙-윙 filed Critical 린후앙 츙-윙
Priority to KR2020000013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도편, 스위치, 스위치 박스로 구성 되었으며, 그 중 스위치 박스는 2개 이상의 스위치통을 가지고 있고 각 스위치통에는 스위치가 오게 되고 제 1 전도편은 연결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전원이 들어오는 통로이다. 제 2 전도편은 독립된 형태를 취하며 전원이 나가는 통로이고, 이 두 통로에 플레이트를 설치해 전원을 조절 할 수가 있다. 제 3 전도편 역시 연결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지선의 통로이다. 제 1, 2 전도편과 제 3 전도편은 스위치박스의 스위치 단자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위치박스 중에 이동판을 스위치 사이에 설치해 각 스위치들이 같이 움직이도록 하며, 제 2 전도편과 제 3 전도편은 모두 협편과 바로 연결이 되었으며 콘센트의 전도단자가 된다.

Description

멀티 스위치 구조 {An integral multi-switch}
본 고안은 멀티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도편, 스위치, 스위치 박스로 구성 되었으며,그 중 스위치 박스는 2개 이상의 스위치통을 가지고 있고 각 스위치통에는 스위치가 오게 되고 제 1 전도편은 연결된 형태를 띠고 있고 전원이 들어오는 통로이다. 제 2 전도편은 독립된 형태를 취하고 전원이 나가는 통로이고 양 통로에 플레이트를 설치해 전원을 조절 할 수가 있다. 제 3 전도편 역시 연결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지선의 통로이다. 제 1, 2 전도편과 제 3 전도편은 스위치박스의 스위치 단자이다.
멀티식 플러그는 현재 많은 종류가 나와있으며, 그 범위도 연장식 프러그 등, 많은 전기 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은 도(14),(15)와 같은 구조를 띠고 있으며 콘센트(A)에 여러 개의 콘센트모듈(A1)이 있으며 이 콘센트모듈(A1)이 띠고 있는 형식도 여러 가지이다.(스위치를 A2누르면 불이 오는 식 혹은 자체가 부하보호 기능을 함께 가진 경우 등) 이는 콘센트에 전기를 통하게 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의해서 조절된다.이 스위치(A2)의 제일 전원점접(A11)들은 긴 동선(A6)에 연결 되었서 부하보호기(A3)의 단자(A31)에 연결 되었으며 다른 단자(A32)는 전기의 전원선에 연결되었고 스위치(A2)의 제 2 전원접점(A22)은 독립된 동선(A5)에 의해서 콘센트모듈(A1)의 전원점접(A11)과 연결되며, 2번째 스위치(A2)의 지선접점(A23)은 독립된 동선(A41)에 의해 콘센트모듈(A1)의 지선점접(A12)과 연결된다. 게다가 첫번째 스위치(A2)의 지선점접(A23)은 긴 동선(A4)에 의해 각 콘센트모둘(A1)의 지선점접(A12)과 연결되었고 외부로 오는 전 원 전선과 연결되었다. 만약 이러한 복잡한 디자인은 납땜의 실수를 일으켜 쇼트 현상이 일어 날수도 있다. 왜냐하면 현재까지도 사람의 손에 의해서 납땜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확실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멀티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본 고안은 일종의 멀티 스위치에 관한 구조로 제 2 전도편과 제 3 전도편이 협편과 연결되어서 납땜하는 곳을 줄였으며 콘센트의 전도점이 되고 스위치박스에 이동판을 만들고 그 사이에 스위치를 만들고 각 스위치는 푸쉬블록에 의해서 같이 움직이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도
도 2은 본 고안의 조합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위에서 보았을 때
도 4은 본 고안의 제1의 실행예의 분해도
도 5은 본 고안의 제1의 실행예의 조합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의 실행예의 분해도
도 7은 본 고안이 제2의 실행예의 조합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의 실행예의 분해도
도 9은 본 고안의 제4의 실행예의 분해도
도10은 본 고안의 제4의 실행예의 조합 측면도
도11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콘센트의 접점 표시도
도12은 본 고안의 접점 표시도
도13은 본 고안의 제4의 실행예의 도면 사용할 때의 도면
도14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콘센트 구조의 도면
도15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콘센트의 뒤의 도면
도16은 본 고안의 제6의 실행예의 외관도
도17은 본 고안의 제6의 실행예의 도면
도18은 본 고안의 제7의 실행예의 외관도
도19은 본 고안을 제8의 실행예의 분해도
도20은 본 고안의 제8의 실행예의 조합 측면도
도21은 본 고안의 제8의 실행예의 조작도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스위치 박스 (11)스위치통
(12)제 1 전도 홈 (13)(13')제2 전도 홈
(14)제 3전도 홈 (15)통
(151)긴 홈 (152)고정된 구멍
(16)아래 뚜껑 (161) 돌출된 측면
(162)돌출 점 (163)틈
(164)고정된 돌출부분 (2)제1 전도편
(21)측면 평판 (211)들어간 부분
(22)돌출된 측면 (3)(3')제2 전도편
(31)(31')결구 (32)홀
(4)제3 전도편 (41)고정편
(411)들어간 부분 (24)(43)(621)훅크
(5)(5')스위치 (51)스위치 기둥
(52)플레이트 (521)측면홈
(53)스프링 (54)이동판
(541)푸쉬 블록 (542)개방공간
(543)구멍 (55)(55')주건
(56)받침대 (561)결구
(6)콘센트 모듈
(61)(61')콘센트 홀 (62)(62')전원 전도편
(621)수직판 (63)부하 보호기
(631)접다리 (632)접다리
(7)동선 (71)납땜점
(8)본체 (81)스위치 구멍
(9)콘센트 (91)지선 전도편
(92)협편
(A)콘센트 (A1)콘센트 모듈
(A11)(A12)전도다리 (A2)스위치
(A21)(A22)전원접점 (A23)지선접점
(A3)부하 보호기 (A31)(A32)단자
(A4)(A41)(A5)(A6)동선
도면 1을 참조한다. 본 고안은 멀티 스위치 구조에 대한 것으로 스위치 박스 (1), 전도편(2), (3), (4)과 스위치(5) 등이 콘센트(6)와 본체(8)에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박스(1) 안에는 스위치통(11)이 있으며 측면에는 제 1, 2, 3 전도 (12),(13),(14) 홈이 있다. 제 1 전도편(2)은 연결된 형태로 되었으며 전원이 들어가는 통로이며 스위치통(11)의 측면의 제 1 전도홈(12)에 끼울 수 있는 수직의 측면평판(21)이 있으며 각 측면평판(21)에는 돌출된 측면(22)이 있고 제 2 전도편(3)은 전원이 나오는 통로이며 독립된 형태로 각각의 전도편(3)의 위 부분은 결구(31)의 모양을 하고 있다. 제 3 전도편(4)은 지선통로로 연결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수직으로 고정판(41)이 그 고정판의 위 부분은 들어간부분(411) 모양을 하고 있고 스위치통(11)에 결합 가능하다. 스위치(5)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표시등을 사용하고 아래 부분에는 스프링(53)을 설치해서 스위치기둥(51)을 조절할 수가 있으며 이 스위치 기둥(51)은 플레이트(52)에 의해서 전원이 통하거나 통하지 않게 하며 이 플레이트(52)는 측면홈(521)의 모양으로 생겼다. 콘센트모듈(6)은 일반적인 구조를 하고 있으며, 도면 3을 참조한다. 콘센트모듈(6)은 본체(8)안에 있으며 각 콘센트모듈(6)은 최소한 두개 이상의 콘센트홀(61) (61')이 있으며 안쪽부분에는 독립된 전도편(62)과 연결식의 지선전도편(62)이 있다.
도면 2, 3을 참조한다. 제 1 전도편(2)의 측면평판(21)과 제 3 전도편의 고정편(41)은 각각 제 1 전도홈(12), 제 3 전도홈(14)과 수직으로 끼울 수가 있으며, 돌출된 측면(22), 고정편(41)과 제 2 전도편 3 은 각 스위치통(11)의 스위치 접점이 되며 그 중 돌출된 측면(22)은 제 1 전원접점(전원이 들어오는 부분)이며, 제 2전도편 3 은 제 2 전원접점(전원이 나가는 부분)이고 고정편(41)이 오게된다. 플레이트(52)의 측면홈(521)은 제 2 전도판(3)의 결구(31)에 올 수가 있어서 제 2 전도편(3)과 계속적으로 접촉을 유지 할 수가 있고 스위치박스(1)의 스위치통(11)의 스위치(5)와 스위치기둥(51)을 조절해 플레이트(52)가 움직여서 전원을 ON 혹은 OFF로 하게 한다. 그래서 제 1 전도편(2)과 제 3 전도편(4)의 일체식 구조로 되었고 한번만에 설치를 할 수가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도면 3과 같이 콘센트(81)가 본체(8) 위로 나오게 하게 하며, 콘센트모둘(6) 내의 전원전도편 (62)(독립적 형태)의 끝 부분과 스위치박스(1)의 제 2 전도편 3 의 동선(7)과 연결되고 콘센트모둘(6) 내의 지선전도편(62')(연결된 형태)과 스위치박스(1)의 제 3 전도편(4)과 연결 되 외부의 전원선과 된다.
게다가 본 고안은 도면 4와 같이 다른 모양을 할 수도 있는데, 제 2 전도편(3')을 만들었다. 이 제 2 전도편(3')은 수직형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위 부분은 결구(31') 형태를 띠고 있고 스위치박스(1) 내의 제 2 전도홈(13')부분에 끼울 수가 있으며 플레이트(52)와도 접할 수도 있다.
도면 6과 같이 또 다른 형태를 취 할 수가 있는데, 형태는 스위치박스 (1),통(15)과 아래뚜껑(16)이 있으며 스위치박스(15) 안에는 최소한 두개 이상의 스위치통(11)을 만들며 아래뚜껑(16)은 양쪽면에 돌출된 측면(161)을 만들고 안쪽에는 돌출된 점(162)과 이 부분에 상대한 틈(163)을 만들고 돌출된 부분(164)은 통(15)에 있는 고정된 구멍(152)이 있으며 제 1 전도편(2)은 연결식으로 되었으며 수직으로 된 돌출된 측면(22)이고 제 2 전도편(3)은 독립된 형태로 홀(32)을 만들었고 제 3 전도편(4)은 연결된 형태이며 스위치통(11)을 수직으로 향한 수직판(42)이 있다.
결합된 형태인 도면 7을 참조한다. 제 1 전도편(2)과 제 3 전도편(4)은 아래뚜껑(16)의 양쪽면의 돌출된 측면(161)의 틈(163)에 오며 제 2 전도편(3)의 끝부분의 홀(32)은 아래뚜껑(16)의 돌출점(162)에 끼울 수가 있으며, 또한 아래뚜껑(16)의 돌출된 부분(164)을 통(15)에 있는 고정된 구멍(152)에 끼울 수가 있으며 아래뚜껑(16)에 있는 제 1 전도편(2)과 제 3 전도편(4)은 긴 홈(151)에 끼울 수가 있으며 플레이트(52)는 제 2 전도편(3)에 결합하고 모두 통(15)안에 있으며 스위치(5)는 스위치통(11)에 안에 있으며 아래부분은 스위치기둥(51)으로 플레이트(52)와 접촉 할 수가 있으며 스위치의 움직임에 의해서 제 1 전도편(2)의 돌출된 측면(22)과 닿을 수가 있다.
그 외에도 도면 8과 같이 제 2 전도편(3')을 때로는 수직으로 된 모양을 할 수가 있으며 윗부분은 결구(31') 모양을 하고 있어서 플레이트(52)가 움직이지 않게 한다. 그리고 아래뚜껑(16)부분에는 제 2 전도홈(13')이 있어서 여기에 고정시킬 수가 있고 제 1, 제 2 전도편(2)(4)은 아래뚜껑(16)의 양면에 오게 되며 제 1 전도편상의 돌출된측면(22)은 수직판(42)의 스프링에 의해서 플레이트(52)와의 접점이 된다.
또 다른 형식으로는 병렬식의 배치를 하고 있는데, 도면 9, 10을 참조한다. 스위치박스(1)는 통(15)과 아래뚜껑(16)으로 되었으며 통(15)에는 두 개 이상의 스위치통(11)을 만들고 제 1 전도편(2)은 연결된 형태로 각 스위치통(11)에 수직으로 향한 측면평판(21)이 있고 안쪽으로 향한 돌출된 측면(22)이 연결되어있다. 제 2 전도판(3)은 독립된 형태이고 위 부분에는 결구(31)형태를 띠고 있으며, 제 3 전도판(4) 역시 연결된 형태로 각 스위치통(11)에 수직으로 향한 고정편(41)이 있으며, 각 고정편(41)의 위 부분에는 스프링(53)을 끼울 수가 있는 들어간 부분(411)이 있다. 그리고 앞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각 전도판(2),(4)는 아래뚜껑(16)의 돌출된 측면(161)에 오게 되며 플레이트(52)는 제 3 전도판의 결구 31 부분에 고정되며 스위치(5)에 의해서 플레이트(52)가 돌출된 측면(22)에 접촉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도면 11, 12을 참조한다. 이 도면은 본 고안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접점 표시도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위치(A2)중의 전원접점(A21)(A22), 지선점접(A23)과 콘센트모듈(A1)의 전도다리(A11)(A12) 사이의 동선(A6)(A4)(A41)(A5)가 서로 얽혀 있으며 a부분에는 반드시 땜질을 하는 부분으로 최소한 20개나 되는 많은 접점이 있어서 접촉이 잘 되지 못한 부분도 생길 수가 있다.
도면 12을 참조한다. 하지만 본 고안은 콘센트모듈(6)의 지선전도편(62')과 스위치박스(1)의 제 1, 제 3 전도편(2),(4)가 모두 연결된 형태로 되어서 납땜점은 단지 콘센트모듈(6)의 전원전도편(62)과 스위치박스(1) 상의 제 2 전도편(3) 등의 부분만 있을 뿐이다. 그래서 8개의 납땜점이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훨씬 적은 접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그림 13과 같이 모듈화를 할 수가 있다. 제 1 전도편(2)과 제 3 전도편(4)의 끝 부분에 암수식 훅크(24),(43)가 오며 이 형태는 원형식, 막대식, 훅크식모양으로 될 수가 있으며 여러 방식으로 만들 수가 있으며 만약에 6개의 콘센트모듈(6)이 있을 때는 두 세트의 된 각각 3개의 콘센트모듈(6)이 오게 되며 세 번째의 스위치(5)의 스위치박스(1)의 제 1, 제 2 전도편(2),(4)의 끝 부분에 암수식 훅크(24),(43)로 연결 할 수가 있으며, 콘센트모듈(6)의 지선전도편(62')의 끝 부분에 암수식 훅크(621)가 있어서 다음 콘센트모듈(6)의 같은 부분에 연결 할 수가 있다.
스위치박스(1)는 제 1, 2, 3 전도편(2),(3),(3'),(4)로 되었으며 그 중에 제 3 전도편(4)은 스위치의 전구를 이용해 불을 오게 하거나 나가게 할 수가 있으며, 만약 이러한 표시 전구가 필요 없을 때에는 제 3 전도편(4) 역시 필요없게 된다. 이외에도 스위치에 다른 기능이 필요할 때에는 제 4 전도편을 만들 수가 있고 전도편의 형태 역시 연결식 혹은 독립식의 구조를 할 수가 있으며, 스위치박스(1) 간의 순서 혹은 병렬식 배열로 모양과 구조를 여러 가지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도면 16, 17같이 땜질을 하지 않은 멀티 스위치 박스 구조로도 할 수가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제 2 전도편(3)과 제 3 전도편(4)은 밖으로 향한 플러그의 다리의 접촉면인 제 2 협편(33)과 제 3 협편(43)과 각각 연장이 되고, 이 제 2 협편 (33)은 플러그의 전원전도편이 되고 제 3 협편(43)은 지선전도편이 된다. 제 2,제 3 협편(33),(34)의 모양은 U자 형을 하고 있으며 단편식으로 접촉하는 것 외에도 여러 가지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매 협편(33),(43)이 콘센트 중의 전원단자와 지선단자가 되므로 각 스위치(5)와 각 콘센트간의 부분에 납땜할 필요가 없다.
도면 18을 참조한다. 만약 스위치(5)에 표시등이 없을 때는 스위치박스(1)의 스위치통(11)의 내에는 단지 두개의 접점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제 1 전도편(2)의 돌출된 측면(22)에 의해서 구성되며(전원이 들어가는 곳), 다른 하나는 제2전도편3에 의해서 구성(전원이 나오는 곳)되며 이 두 점 사이에는 플레이트에 의해서 통하거나 끊어지기도 한다. 스위치박스(1)의 제 2 전도편(3)은 제 2 협편(33)과 바로 연결되었으며 콘센트(9)의 전원 단자가 되고 콘센트(9)의 모든 지선단자는 연결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콘센트(9)의 지선전도편(91)으로 되었고 이 지선전도편(91)은 각 콘센트(9)의 협편(92)에 대해서 연결되었으며 협편(92)과 앞에서 서술한 제 2 전도편(3)과 연결된 제 2 협편(33)은 공통적으로 각 콘센트(9) 홀의 단자가 된다.
도면 19를 참조한다. 본 도면은 앞에서 서술한 것을 이용해서 또 다른 구조로 만든 것으로 특별한 스위치(5')를 이용해 전체적인 전원을 통제하는 효과를 한다. 스위치박스(1)안에 이동판(54)을 만들고 그 사이에는 각 스위치(5),(5')가 올 수가 있으며 이동판(54) 사이에는 플쉬플록(541)이 있어고, 안쪽은 개방공간(542)으로 만들었으며 이동판(54)의 아래 부분에는 구멍(543)을 만들었다. 그림 20을 참조(모든 스위치(5),(5')는 닫혀진 상태이다)한다. 앞에서 상술한 것 처럼 특정한 스위치(5')의 아래부분의 스위치기둥(55')을 이동판(54)의 구멍(543)에 끼울 수가 있다. 도면 21을 참조한다. 이 도면을 스위치를 실행 했을 때의 도면으로 만약 하나의 스위치(5)를 누렸을 때 스위치(5)의 스위치기둥(55)은 이동판(54)의 플쉬플록 (541)을 움직이게 해서 이동판(54)의 특정한 스위치(5')가 열린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특정한 스위치(5')안에 표시등을 장착해 전원 상태를 등으로 쉽게 알 수가 있게 하며, 스위치(5)가 다른 스위치(5)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단지 특정한 스위치(5')를 전원을 닿을 시에는 스위치기둥(55')이 이동판(54)의 푸쉬플록(541)을 움직이게 해 열려있던 스위치(5)도 모두 닿여 지는 상태가 된다.
본 고안을 이용 시 많은 접점이 없어서 납땜하는 곳도 줄어 들며, 복잡한 구조를 띠지 않고 간단한 구조를 띠고 있으며 스위치부분을 멀티식의 구조로 만들어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11)

  1. 일종의 멀티 스위치 구조에 있어서, 전도편, 스위치, 스위치 박스로 구성 되었으며, 그 중 스위치 박스는 2개 이상의 스위치통을 가지고 있고 각 스위치통에는 스위치가 오게 되고 제 1 전도편은 연결된 형태를 띠고 있고 스위치통에 대해서 긴 평판형이고, 제 2 전도편은 독립된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제 1 전도편의 측면평판과 각각의 제 2 전도편은 스위치박스의 스위치통에 오게 되며 각각의 스위치통의 스위치의 접점이 되고, 스위치통의 스위치는 전원의 통하거나 끊을 수 있는 역할을 하도록 한 멀티 스위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스위치박스에 제 3 전도편을 만들며, 이 제 3 전도편은 연결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스위치박스 상의 매 스위치통에 대해서 고정판을 만들고 각 고정판은 각 스위치통 내에서 스위치통의 또 다른 스위치 접점장소가 되도록 한 멀티 스위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된 형태의 전도편상에 훅크를 사용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스위치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된 형태의 전도편상에는 훅크를 사용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멀티 스위치 구조.
  5. 일종의 멀티 스위치 구조에 있어서, 스위치박스와 이동판과 스위치로 구성되었고, 그 중 스위치박스상에 스위치통을 만들고 각 스위치통에는 스위치가 오게 되고 또한 이동판 사이에도 스위치가 오게 되고 이동판상에는 스위치에 대한 푸쉬플럭을 만들게 해서 스위치를 켜거나 끌 때 푸쉬블록의 스위치를 같이 움직이게 하도록 한 멀티 스위치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각 스위치 사이에 반대 방향의 이동판을 설치 할 수가 있도록 한 멀티 스위치 구조.
  7. 일종의 멀티 스위치 구조에 있어서, 스위치박스에는 최소한 두개 이상의 스위치통과 각 스위치통에는 두개 이상의 전도편이 오게 되며 각 스위치통의 스위치가 전도편을 조절하며, 각 스위치통의 전원전도편은 각 콘센트에 대해서 연결된 협편이고 이 협편은 플러그다리의 전원 단자가 되는 멀티 스위치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스위치박스 중의 각 스위치통내의 지선전도편 역시 각 콘센트에 대해서 연결된 다른 협편이고 이 협편은 플러그다리의 전원 단자가 되는 멀티 스위치 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협편은 촉편으로 되는 멀티 스위치 구조.
  10. 제 8 항에 있어서, 협편은 촉편으로 되는 멀티 스위치 구조.
  11. 제 7 항에 있어서, 각 스위치는 각 콘센트에 대해서 콘센트 플러그다리의 지선 단자로 되는 멀티 스위치 구조.
KR2020000013298U 2000-05-10 2000-05-10 멀티 스위치 구조 KR200200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298U KR200200490Y1 (ko) 2000-05-10 2000-05-10 멀티 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298U KR200200490Y1 (ko) 2000-05-10 2000-05-10 멀티 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0Y1 true KR200200490Y1 (ko) 2000-10-16

Family

ID=1965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298U KR200200490Y1 (ko) 2000-05-10 2000-05-10 멀티 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40B1 (ko) * 2007-04-11 2007-06-04 삼신설계(주) 이동 및 탈부착이 용이한 무배선 전원 스위치
KR101800731B1 (ko) * 2017-09-08 2017-11-2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10213B1 (ko) * 2017-08-21 2017-12-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00730B1 (ko) * 2017-08-21 2017-12-2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40B1 (ko) * 2007-04-11 2007-06-04 삼신설계(주) 이동 및 탈부착이 용이한 무배선 전원 스위치
KR101810213B1 (ko) * 2017-08-21 2017-12-1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00730B1 (ko) * 2017-08-21 2017-12-2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1800731B1 (ko) * 2017-09-08 2017-11-2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다중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3283B2 (en) Switchable connector device
US5847345A (en) Push button electrical switch
US20010032777A1 (en) Air-gap slide switch
CA2029196C (en) Slide switch
KR200200490Y1 (ko) 멀티 스위치 구조
CN101394049B (zh) 可伸缩调整的导电装置及插座装置
CN211502389U (zh) 灯模块
US8408947B2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CA2402050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940029B1 (en) Continuously illuminated rocker switch having separate circuit illuminating structure to indicate closed switch position
JP3205525U (ja) マルチタイプ接続装置
CN113013689B (zh) 开关插座
US4059773A (en) Switch controlled power receptacle system
KR102582534B1 (ko) 전기 커넥터
US8963028B2 (en) Multi-point tilt switch
CN211507996U (zh) 一种交叉控制保护插孔及插座
JP2001313126A (ja) マルチソケットスイッチ付きコンセントの構造
CN209843584U (zh) 一种新型双开双控开关
GB2153592A (en) Electrical switches
CN114421247A (zh) 一种短接装置及重载连接器
JP2867463B2 (ja) 多連スイッチ
CN111146636A (zh) 一种交叉控制保护插孔及插座
KR880000358Y1 (ko) 슬라이드 스위치
CN115441156A (zh) 一种天线连接装置及电子设备
KR200417540Y1 (ko) 전원 스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