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253A -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253A
KR20050005253A KR1020030044270A KR20030044270A KR20050005253A KR 20050005253 A KR20050005253 A KR 20050005253A KR 1020030044270 A KR1020030044270 A KR 1020030044270A KR 20030044270 A KR20030044270 A KR 20030044270A KR 20050005253 A KR20050005253 A KR 20050005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m
plunger
ground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희
임광빈
Original Assignee
박명희
임광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희, 임광빈 filed Critical 박명희
Priority to KR102003004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5253A/ko
Publication of KR2005000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2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등에 연결설치하여 온,오프 작동하도록 사용되는 푸쉬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동접지부(4)가 설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과 함께 내장되는 하우징(5) 및 상기 하우징 상부로 결합되고 전원 연결을 이루는 고정접지부(6)를 갖는 덮개(7)로 구성하되,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을 압축하며 전,후진하면서 온,오프 상태로 접지작동함과 동시에 하부의 판스프링(10)으로 탄발지지되는 캠스틱(11)이 플런저(3) 저면의 캠작동부(3a)에서 캠이동하면서 온,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있어, 상기 캠스틱(11)을 탄발지지하는 판스프링(10) 전방의 절곡된 탄발편의 끝단이 수평이 아닌 경사를 이루는 구조를 제공하여 캠스틱(11)를 설정된 캠이동방향으로 탄발 지지하여 캠스틱의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온,오프 작동을 원활히 제공하도록 하고, 또한 고정접지부(6)의 각 접지수단(60)인, 코먼단자(61), 오프단자(62), 온단자(63)가 폭방향으로 적은 넓이로 집약 설치되는 구조를 제공하여 재료절감에 의한 생산비를 절감하고 플런저의 작동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접지수단을 다수로 구비하여 가동접지부와 다수의 위치에서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어느 일측의 접지불량에도 불구하고 온,오프작동이 원활히 제공되어 사용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그 사용수명도 장구히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PUSH LOCK SWITCH FOR CAR ROOM LAMP}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등에 연결설치하여 온,오프 작동하도록 사용되는 푸쉬록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등에는 점, 소등(온,오프)의 작동을 위한 푸쉬록 스위치가 결합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푸쉬록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노브(2)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부(4)가 설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과 함께 내장되는 하우징(5) 및 상기 하우징 상부로 결합되되 전원 연결을 이루는고정접지부(6)를 갖는 덮개(7)로 대별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5)의 내부 저면에는 판 스프링(10)이 캠스틱(11)을 탄발지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캠스틱(11)은 플런저(3) 저면의 캠작동부를 따라 캠작동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이와 같은 푸쉬록 스위치는 자동차의 실내등(미도시)에 조립되어 상기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밀어줌에 따라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을 압축하며 전,후진하면서 가동접지부(4)와 고정접지부(6)에 의해 온,오프 상태로 접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캠스틱(11)이 플런저(3) 저면의 캠작동부를 따라 캠작동하며 온, 오프 접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스틱(11)이 플런저(3) 저면의 캠작동부를 따라 캠작동으로 안내되는 것은 상기 캠스틱(11)을 판 스프링(10)이 탄발지지하여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푸쉬록 스위치에서는 판스프링(11)과 캠스틱(10)이 하우징(5)내부 저면에 기 조립된 상태에서 플런저(3)를 결합하기 때문에 그 조립 작업이 매우 불편함은 물론 조립상태에서 그 교체가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로 상기 판스프링과 캠스틱을 하우징의 외부에서 간편하게 조립하고자한 구조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5)의 저면 중앙으로 캠스틱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5)을 형성하여 몸체가 "U"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캠스틱(11)를 하우징(5)의 외부에서 삽입하여 조립하도록 하되, 상기 캠스틱(11)의 일측단은 별도의 바조립공(12)에 회전가능케 삽입되고, 타측단은 플런저(3)의 캠작동부(3a)에서 캠작동하게 설치구성하므로 캠스틱(11)을 하우징(5)의 외부에서 삽입하여 조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의 측방에는 상기 캠스틱(11)의 하부로 판스프링(1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6)을 형성하여 판스프링(10)을 하우징(5)의 외부에서 삽입하여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0a는 판스프링(10)이 하우징(5)에서 이탈방지되면 일정하게 조립되도록 형성한 조립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한 푸쉬록 스위치에서 상기 플런저(3)의 캠작동부(3a)는 도 3에서와 같이 캠스틱(11)이 캠이동하도록 "U"자형의 안내로(13)를 형성하는바, 상기 캠스틱(11)은 상기 안내로(13)의 a에서 b로, 다시 b에서 a로 안내되며, 이를 위해 안내로(13)를 단차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캠스틱(11)은 플런저(3)의 전후 작동에 따라 그 일측단이 캠작동부(3a)의 a에서 b로 이동하여 걸려지면서 온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플런저(3)의 전후 작동에 따라 그 일측단이 캠작동부(3a)의 b에서 걸려진 상태가 해지되어 a로 이동하면서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캠스틱(11)의 일측단은 캠작동부(3a)의 a에서 b로, 다시 b에서 a로 설정된 일정 방향으로 캠이동하면서 온,오프작동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판스프링(10)은 도 4a,b에서와 같이 전방의 수평 절곡된 탄발편(10b)의 끝단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캠스틱(11)을 단순히 수직상부로만 탄발지지하기 때문에 캠스틱(11)이 상기한 캠작동부(3a)에서 a-b, b-a로는 물론 그 반대방향으로 캠이동하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상기 캠스틱(11)이 a에서 b로 다시 b에서 a로 원활히 캠이동하지 못하므로 인해 플런저(3)에 의한 온, 오프 작동의 불량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푸쉬록 스위치에서 접지단자 구조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덮개(7)에 구비된 고정접지부(6)는 각각의 접속구(6d)와 연결된 코먼(Comon)단자(6a), 오프단자(6b), 온단자(6c)가 중앙위치에서 일렬로 나열된 상태로 구성하고, 상기 플런저(3)상부로 조립된 가동접지부(4)는 "V"자형의 전후방향으로 절곡된 접지편(4a)(4b)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접지단자 구조는 오프상태에서 상기 가동접지부(4)의 접지편(4a)(4b)이 고정접지부(6)의 코먼단자(6a)와 오프단자(6b)에 접지되면서 전원이 오프되고,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3)의 전후작동에 의해 상기 가동접지부(4)가 이동하여 그 접지편(4a)(4b)이 고정접지부(6)의 코먼단자(6a)와 온단자(6c)에 접지되면서 전원이 온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접지단자는 고정접지부(6)의 코먼단자(6a), 오프단자(6b), 온단자(6c)가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게 배열된 구조로 그 설치범위가 넓기 때문에 플런저(3)의 작동범위가 넓게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해 상기 고정접지부와 이에 접지작동하는 가동접지부(4)의 사이즈가 커야되므로 재료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더우기, 상기 고정접지부(6)는 덮개(7)상에 복수로 구비할 수 없기 때문에 가동접지부(4)의 접지편(4a)(4b)과 어느 일부분이 접지 불량인 경우에 전체적인 접지상태가 불량이 되기 때문에 스위치의 온,오프작동이 곤란하고, 이로인해 스위치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을 원활히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판스프링의 구조 개선으로 캠스틱이 설정된 캠이동방향으로 원활히 이동 안내되고, 접지단자의 구조 개선으로 재료절감, 온,오프 접지작동의 불량방지에 따른 사용효율성 및 사용수명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푸쉬록 스위치의 가동접지부와 코먼단자, 오프단자, 온단자로된 고정접지부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고정접지부는 장방형의 코먼단자 측방의 전,후방으로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오프단자와 온단자를 집약 구성한 접지수단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일렬로 나열 설치하여 각 접지수단에 가동접지부의 접지편을 각각 폭방향으로 접지 작동케 절곡 형성하고,
캠스틱을 탄발지지하는 판 스프링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판스프링의 전방의 절곡된 탄발편이 수평이 아닌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를 형성하므로서 캠스틱를 설정된 캠이동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는 푸쉬록 스위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치를 보여주는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스위치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저면도.
도 4a,b는 도 2의 판스프링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와 정단면도.
도 5는 도 2의 고정접지부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판스프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작동례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0은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작동례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고정접지부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가동접지부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a,b,c는 도 12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15a,b,c는 본 발명의 접속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플런저 5: 하우징
4: 가동접지부 6: 고정접지부
10: 판스프링 11: 캠스틱
41: 접지편 60: 접지수단
61: 코먼단자 62: 오프단자
63: 온단자 65,65',65": 접속구
100: 몸체 110: 탄발편
120: 경사부 115: 끝단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는 도 6 내지 도 9,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전방에 노브(2)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부(4)가 설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과 함께 내장되는 하우징(5) 및 상기 하우징 상부로 결합되고 전원 연결을 이루도록 코먼단자, 오프단자, 온단자를 형성하는 고정접지부(6)를 갖는 덮개(7)로 구성하되,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을 압축하며 전,후진하면서 온,오프 상태로 접지작동함과 동시에 하부의 판스프링(10)으로 탄발지지되는 캠스틱(11)이 플런저(3) 저면의 캠작동부(3a)의 안내로(13)를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캠이동하면서 온,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지부(6)는 장방형의 코먼단자(61) 측방의 전,후방으로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오프단자(62)와 온단자(63)를 구성한 접지수단(60)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일렬로 나열 설치하고,
상기 가동접지부(4)은 상기 코먼단자(61)와 오프단자(62), 상기 코먼단자(61)와 온단자(63)를 폭방향으로 접지할 수 있는 폭사이즈를 갖는 접지편(41)을 각 접지수단(60)에 접지 가능케 절곡 형성하여 이루며,
상기 판스프링(10)은 몸체(100) 전방으로 절곡된 탄발편(110)의 끝단이 경사를 이루도록 경사부(120)를 구비하여서 캠스틱(11)을 설정된 캠이동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사부(120)는 몸체(100) 전방의 탄발편(110)을 경사방향으로 절곡형성하여 이루거나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몸체(100) 전방의 탄발편(110)의 끝단(115)을 경사로 절단 형성하여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접지부(6)는 도 12에서와 같이 접지수단(60)을 전,후방에 복수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도 14a에서와 같이 전방이나 후방의 한 곳에 접지수단(60)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때에는 고정접지부(6)가 하나의 접지편(41)만을 절곡 형성하여도 작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지수단(60)은 도 14a에서와 같이 코먼단자(61)를 중앙에 설치하여 그 좌우 전후방으로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오프단자(62)와 온단자(63)를 구성하거나 도 14b,c에서와 같이 코먼단자(61)를 일측방에 설치하여 타측방의 전후방에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오프단자(62)와 온단자(63)를 구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65,65',65"는 접속구이고, 130은 판스프링(10)을 하우징(5)에 이탈방지되게 조립하기 위한 조립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을 위해 노브(2)에 의해 플런저(3)를 밀어줌에 따라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을 압축하며 전,후진하면서 온,오프 상태로 접지작동함과 동시에 하부의 판스프링(10)이 탄발지지하는 캠스틱(11)이 플런저(3) 저면의 캠작동부(3a)의 안내로(13)를 따라 a에서 b, b에서 a로 설정된 방향으로 캠이동하며 안내되면서 온,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우선 상기 캠스틱(11)의 캠작동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런저(3)의 전후 작동에 따라 그 일측단이 캠작동부(3a)의 a에서 b로 이동하여 걸려지면서 온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플런저(3)의 전후 작동에 따라 그 일측단이 캠작동부(3a)의 b에서 걸려진 상태가 해지되어 a로 이동하면서 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판스프링(10)의 끝단이 경사를 이루도록 경사부(120)를 형성하고있기 때문에 상기 캠스틱(11)을 설정된 캠이동방향으로 탄발가압하도록 지지하므로 상기 캠스틱(11)이 a에서 b, 다시 b에서 a로 그 설정된 방향으로 원활히 캠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상기 캠스틱(11)이 a에서 b가 아닌 그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경사부(120)에 걸려 방지되므로 그 캠이동방향을 일정하고 원활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판스프링(10)의 경사부(120)는 상기 탄발편(110)을 경사로 트위스트로 절곡하거나 상기 탄발편(110)의 끝단(115)을 경사로 절단하여 끝단이 경사를 이루도록 하므로서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판스프링(10)외의 구조로 변경을 갖는다 하여도 상기 캠스틱(11)을 캠이동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경사부(120)를 형성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다음은 상기한 접속단자의 접지작동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플런저(3)의 가동접지부(4)의 각 접지편(41)이 고정접지부(6)의 각 접지수단(60)에서 코먼단자(61)와 오프단자(62)만을 접지하고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3)에 의해 가동접지부(4)의 접지편(41)이 이동하여 각 접지수단(60)의 코먼단자(61)와 온단자(62)가 접지되면서 온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접지수단(60)을 구성하는 코먼단자(61), 오프단자(62), 온단자(61)를 덮개의 폭방향으로 나열하되, 상기 코먼단자(61)의 측방으로 상호 엇갈리는 위치에 오프단자(62)와 온단자(62)를 배열하므로서 그 설치범위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상기 각 단자를 제조함에 따른 재료 절감은 물론 플런저(3)의 작동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한 접지수단(60)을 이루는 코먼단자, 오프단자 및 온단자를 덮개의 폭방향으로 나열하여 구성하므로 상기 접지수단(60)을 덮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다수(2개)를 구비할 수 있어 다수의 위치에서 접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한 곳의 접지 불량인 경우에도 온,오프 작동을 원활히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접지부(4)의 접지편(41)은 도 13에서와 같이 다수의 분할접지편(42)으로 분할 형성하여서 각 접지수단(60)에서의 접지력을 더욱 우수하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지수단(60)의 각 코먼단자(61), 오프단자(62), 온단자(61)는 일측으로 접속구(65)를 각각 일체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접속구(65)는 도 15a,b,c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접속구(65')(65")(예를 들면 전선 납땜형이나, 암수조립형, 또는 상기 납땜과 암수조립을 함께 할 수 있는 복합형)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위치도 후방, 수직상부, 상부 등 다양한 위치로 연장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단순한 형상 구조의 변경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록 스위치는 판 스프링 전방의 절곡된 탄발편의 끝단이 수평이 아닌 경사를 이루는 구조를 제공하여 캠스틱를 설정된 캠이동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므로 캠스틱의 오작동을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해 온,오프 작동을 원활히 제공하게 되고,
또한, 고정접지부의 각 접지수단인, 코먼단자, 오프단자, 온단자가 폭방향으로 적은 넓이로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재료절감에 의한 생산비를 절감하고 플런저의 작동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접지수단을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구비하여 가동접지부와 다수의 위치에서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어느 일측의 접지불량에도 불구하고 온,오프작동이 원활히 제공되어 사용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그 사용수명도 장구히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전방에 노브(2)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부(4)가 설치된 플런저(3)와;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과 함께 내장되는 하우징(5) 및 상기 하우징 상부로 결합되고 전원 연결을 이루도록 코먼단자, 오프단자, 온단자를 형성하는 고정접지부(6)를 갖는 덮개(7)로 구성하되, 상기 플런저(3)가 탄발스프링(8)을 압축하며 전,후진하면서 온,오프 상태로 접지작동함과 동시에 하부의 판스프링(10)으로 탄발지지되는 캠스틱(11)이 플런저(3) 저면의 캠작동부(3a)의 안내로(13)를 따라 설정된 방향으로 캠이동하면서 온,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지부(6)는 장방형의 코먼단자(61) 측방의 전,후방으로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오프단자(62)와 온단자(63)를 구성한 접지수단(60)을 적어도 하나 이상 일렬로 나열 설치하고,
    상기 가동접지부(4)은 상기 코먼단자(61)와 오프단자(62), 상기 코먼단자(61)와 온단자(63)를 폭방향으로 접지할 수 있는 폭사이즈를 갖는 접지편(41)을 각 접지수단(60)에 접지 가능케 절곡 형성하여 이루며,
    상기 판스프링(10)은 몸체(100) 전방으로 절곡된 탄발편(110)의 끝단이 경사를 이루도록 경사부(120)를 구비하여서 캠스틱(11)을 설정된 캠이동방향으로 탄발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120)는 몸체(100) 전방의 탄발편(110)을 경사방향으로 절곡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120)는 몸체(100) 전방의 탄발편(110)의 끝단(115)을 경사로 절단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1020030044270A 2003-07-01 2003-07-01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20050005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70A KR20050005253A (ko) 2003-07-01 2003-07-01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70A KR20050005253A (ko) 2003-07-01 2003-07-01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253A true KR20050005253A (ko) 2005-01-13

Family

ID=3721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270A KR20050005253A (ko) 2003-07-01 2003-07-01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52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74B1 (ko) * 2005-10-13 2007-02-15 (주) 에스비 비젼 비틀림 스프링이 개재된 푸시락 스위치
CN105023785A (zh) * 2014-04-21 2015-11-04 星电株式会社 按压开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74B1 (ko) * 2005-10-13 2007-02-15 (주) 에스비 비젼 비틀림 스프링이 개재된 푸시락 스위치
CN105023785A (zh) * 2014-04-21 2015-11-04 星电株式会社 按压开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4087B (zh) 接触元件以及这种接触元件在插接连接中的应用
KR101540872B1 (ko) 시소 스위치
CN101162082A (zh) 荧光灯
CN109681821B (zh) 吸顶灯及其灯体、安装座
EP0768734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89112B1 (ko) 차량용 실내 램프
US6642823B2 (en) Contact block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tact block assembly
KR100522518B1 (ko) 플럭형 커넥터
KR20050005253A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CN202712015U (zh) 直管型led灯用开关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直管型led灯
EP1130690B1 (en) Connector apparatus
KR200326687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접지단자구조
KR200309298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CN100490039C (zh) 对内装拨动开关用于控制低压电气装置的电气机构
CN201956500U (zh) 一种矩形电连接器
US6191373B1 (en) Dial programming switch
KR200311693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온,오프 록킹수단조립구조
KR200326686Y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판스프링 구조
CN109672040B (zh) 吸顶灯
JPH0722133A (ja) ランプソケット
US10957993B2 (en) Connector structure
CN209822924U (zh) 一种插拔式公端子接头、母端子接头及插拔式连接端子
EP1602876A1 (en)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CN209822932U (zh) 一种插拔式公端子接头、母端子接头及插拔式连接端子
CN219102869U (zh) 一种外形多样化设置的拼接灯组及拼接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