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518B1 - 플럭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럭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518B1
KR100522518B1 KR10-2002-0045769A KR20020045769A KR100522518B1 KR 100522518 B1 KR100522518 B1 KR 100522518B1 KR 20020045769 A KR20020045769 A KR 20020045769A KR 100522518 B1 KR100522518 B1 KR 100522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ype connector
elasticity
plug
lo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327A (ko
Inventor
시치다아키히토
나카이야스오
나가타타카유기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351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455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38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51355A/ja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럭 형 커넥터, 특히 상대방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에 상대방 커넥터에 연결되는 록 기능을 갖춘 플럭 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록 부재를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록 편(30)으로 형성했을 경우에, 그 록편 (30)을 휨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하중의 크기를 증감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발명 에 관한 플럭 형 커넥터 A는, 접점부(20)과 록 편(30)과 압압 조작 부재(50)과 백업부재(60)을 갖추어, 백업부재(60)은 록편(30)의 동작 하중을 조절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다른 본 발명에서는, 록 부재를 금속제로 했을 경우에서도, 상대방 커넥터에 대한 비집어 틀기 힘으로 상대방 커넥터의 케이스가 깎아지거나 하는 것이 없어져 록 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가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플럭 형 커넥터 A의 록 부재(80)이 단면 원형의 금속제의 선재를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Description

플럭형 커넥터{PLUG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럭형 커넥터, 특히 상대방 커넥터에 접속했을 때에 상대방 커넥터에 연결되는 록 기능을 갖춘 플럭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에 관한 플럭형 커넥터는, 록 부재를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록편으로 형성했을 경우에, 그 록 편을 휨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하중의 크기를 증감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록 부재를 금속제로 했을 경우에서도, 상대방 커넥터에 대한 비집어 틀기 힘으로 상대방 커넥터의 케이스가 깎아지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록 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소형화를 촉진하기 쉬운 연구가 강구되고 있다.
특개2001-176620호공보, 실 개평6-19284호공보, 미국 특허 제 6071141호 공보에 이런 종류의 플럭형 커넥터에 대한 기재가 있으며, 이들의 플럭형 커넥터에서는, 록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 이용하는 록 부재에 판금제의 스프링 판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록 부재에 판금제의 스프링 판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스프링 판자체가 절곡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프링 판의 선단이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케이스의 앞쪽에 뚫고 나와 노출 하고 있으면, 스프링 판의 선단의 노출 부분이 무엇인가의 부재와 불필요하게 간섭 해서 변형 해버린다는 사태가 많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판금제의 스프링 판을 이용한 것에서는, 상대방 커넥터에 대해서 당해 플럭형 커넥터를 접속하거나 이탈하거나 할 때에 비집어 틀기 힘이가해지면, 판금제의 스프링 판의 에지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의 케이스가 깎아진다고 하는 사태가 일어나기 쉽고, 그러한 사태가 접속이나 이탈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빈번하게 반복해 일어나면, 스프링 판제의 록 부재 와 상대방 커넥터 와의 걸어맞춤 개소의 위치가 변화 해버리고 록상태의 안정성이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록 부재에, 판금제의 스프링 판에 비해 절곡이 어려운 성질을 갖추는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록 편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 할 수 있다. 록 부재에 절곡이 어려운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록편을 이용하면, 록 부재의 선단이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케이스의 앞쪽에 뚫고 나와 노출 해 있어도, 그 노출 부분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록 부재를 수지 성형체로 형성한 사례에는 미국 특허 Des. 424519호 공보로 개시된 것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합성 수지제의 가늘고 긴 록 편으로 그 휨 변형에 필요한 하중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록 편의 길이를 바꾸어 그 록편자체에 의해 발휘되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다, 고 하는 일반적인 수단을 채용하면, 록편의 길이의 변화가 플럭형 커넥터 전체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므로, 예를 들어, 휨 변형에 필요한 하중(변형 하중)을 작게 하려고 하면, 록 편이 길어져 플럭형 커넥터의 전체의 크기가 커져 버린다. 또한, 록 부재를 수지 성형체로 형성한 것에서는, 록 부재에 요구될 필요 강도를 확보하려고 하면, 록 부재 자체가 커져, 그것이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외관 형상, 특히 폭치수를 길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플럭형 커넥터의 소형화가 저해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특허청구항 1로부터 특허청구항 6까지의 발명의 목적은, 록 부재를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록편으로 형성했을 경우에, 그 록편의 선단이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케이스의 앞쪽에 뚫고 나와 노출 해있어도 뜻하지 않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한 다음에, 록편자체에 갖춰지고 있는 상기 변형 하중을 바꾸는 일 없이, 그 록편을 휨변형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하중의 크기를 증감 조절할 수 있는 플럭형 커넥터를 제공 하는 것이다.
동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전체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록편을 휨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상기 동작 하중의 크기를 증감 조절할 수 있는 플럭형 커넥터를 제공 하는 것이다.
동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값싼 합성 수지 성형체만을 이용해,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가늘고 긴 록편과 상대방 커넥터의 걸어맞춤부분이 걸어맞추어진 상태인 록 상태를, 하프 록 상태로 규정하거나 플록상태로 규정하거나 할 수 있는 플럭형 커넥터를 싼값에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청구항 7로부터 특허청구항 13까지의 발명의 목적은, 록 부재에 금속제의 선재를 이용하는 것을 기본 로 하고, 금속제의 선재를 접어 구부려 록 부재를 제작 함으로써, 상대방 커넥터에 대해서 당해 플럭형 커넥터를 접속하거나 이탈하거나 할 때에 비집어 틀기 힘이 가해져도, 상대방 커넥터의 케이스가 깎아지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록 상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플럭형 커넥터를 제공 하는 것이다.
동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폭방향에서의 그 록 부재의 치수를 극히 작게 억제 하도록 함에 따라서, 소형화를 촉진하기 쉬운 플럭형 커넥터를 제공 것이다.
동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방 커넥터에 접속한 당해 플럭형 커넥터를 이탈시킬 때에 비집어 틀기 힘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방 커넥터가 파괴되기 전에 록 부재가 이탈해서 상대방 커넥터가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플럭형 커넥터를 제공 하는 것이다.
동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록 부재를 값싸게 제작할 수가 있어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기 쉽게 하는 것이다.
특허청구항 1로부터 특허청구항 6까지의 각 발명 에 관한 플럭형 커넥터는, 상대방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를 사이에 두는 양측의 각각에 배치되어서 상대방 커넥터의 걸어맞춤 부분에 걸림과 이탈되는 탄력성을 갖춘 록편과, 상기 걸어맞춤부분에 대한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 하고 있는 록 편을 상기 접점부에 가까워질 방향으로 압압 함으로써 그 록편을 탄력성에 대항해 상기 걸어맞춤부분에 대한 이탈 위치로 변위시키는 압압 조작 부재를 갖추고 있다.
이 플럭형 커넥터에서는, 압압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의 걸어맞춤부분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록 편을 그 걸어맞춤부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압압 조작 부재에 대한 조작력을 해방 함으로써, 록편을 그 탄력성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의 걸어맞춤부분에 대한 걸어맞춤 위치에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특허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서는, 힘 변형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가늘고 긴 암부 및 이 암부의 휨 변형을 통해서 상기 걸어맞춤부분에 걸기 및 이탈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상기 록 편과, 상기 암부의 뒤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암부를 지지해서 그 암부를 휨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하중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탄력성을 가지는 백업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하면, 록편에, 합성 수지 성형체가 이용되고 있어, 합성 수지 성형체는 금속에 비해 절곡이 어려운 성질을 갖추고 있으므로,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록 편의 선단이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케이스의 앞쪽에 뚫고 나와 노출하고 있어도 뜻하지 않은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백업부재의 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록 편의 암부를 휨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하중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대방 커넥터의 걸어맞춤부분에 록편의 걸림부를 걸어맞춤시킬 때에 암부에 가할 필요가 있는 하중의 크기나, 상대방 커넥터의 걸어맞춤부분으로부터 록 편의 걸림부를 이탈시킬 때에 암부에 가할 필요가 있는 하중의 크기를, 백업부재의 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변형 하중이나 동작 하중을 증감 조절하는데, 록 편의 암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필요성이 없어지는 것을 의미 하고 있으므로,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전체의 크기를 바꾸지 않고 상기 각 하중의 크기를 바꿀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대방 커넥터에 당해 플럭형 커넥터가 상기 록편을 개재하여 연결되고 있는 상태하에서, 당해 플럭형 커넥터를 무리하게 잡아당긴 경우, 양커넥터가 벗어나게 되는 하프 록 상태나, 양커넥터가 벗어나지 않게 되는 플록상태를, 백업부재의 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만들어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작용은, 특허청구항 2에 관한 발명과 같이, 상기 암부의 두께 치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그 암부를 휨 변형시킬수 있는 변형 하중을 상기 동작 하중보다도 작게 정하고, 상기 동작 하중에 대한 상기 변형 하중의 부족분을, 상기 백업부재의 탄력에 의해 보충 하고 있다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 에 의해서도 발휘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허청구항 3 또는 특허청구항 4에 관한 발명과 같이, 상기 백업부재에, 판조각모양의 합성 수지 성형체, 바람직하게는 판조각모양의 엘라스토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처럼, 백업부재는, 록 편의 암부를 지지해서 이 암부를 휨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하중의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므로, 그 한계에 있어서 판금제 판 스프링이나 금속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할 수가 있지만, 판금제 판스프링이나 금속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면, 비교적 넓은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러한 스프링 자체가 고가이므로,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대형화나 코스트 업을 초래하기 쉽다. 그 반면, 본 발명과 같이 백업부재에 판조각모양의 합성 수지 성형체를 이용하면, 설치 스페이스가 좁아서도 되고 가격 도 싸기 때문에,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소형화나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기 쉽게 된다. 특히, 백업부재에 판조각 모양의 엘라스토머를 이용하면, 합성 수지 성형체를 이용하는 경우 보다도 백업부재의 내구성이나 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쉽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허청구항 5에 관한 발명과 같이, 상기 백업부재의 탄력의 크기를 상기 암부에 대한 접촉면의 넓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정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백업부재를 판조각 모양의 합성 수지 성형체 또는 엘라스토머로 제작하는 경우 에 있어서, 큰 합성 수지 시트 또는 엘라스토머 시트를 성형하고, 그러한 시트를 적절한 크기로 절단 한 것을 이용하는 것만으로 해결되므로, 백업부재를 양산화하기 쉽고, 그것이 한층더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허청구항 6에 관한 발명과 같이, 상기 접점부와 상기 록 편이 공통의 케이스에 수용되고 있는 동시에, 그 케이스의 좌우 양측의 각각에 상기 압압 조작 부재가 장착되고, 그 케이스에, 상기 백업부재의 배면에 맞겹쳐지는 벽면과, 상기 백업부재가 끼워짐과 의탈 되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의 백업부재 유지부가 갖춰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백업부재를 상기 벽면에 맞포개어 배치할 수가 있으므로, 백업부재에 의한 상기 동작 하중의 조절 작용을 확실히 발휘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백업부재를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백업부재 유지부에 끼워거나 이탈이 가능하므로, 백업부재의 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경우에, 상기한 접촉면의 크기가 다른 백업부재를 백업부재 유지부에 끼워 맞춤하는 조작에 의해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이것이,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양산화를 촉진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록 편의 선단이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케이스의 앞쪽에 뚫고 나와 노출하고 있어도 뜻하지 않은 변형을 일어나기 어렵게 할 수가 있는 것은 물론, 록 편자체에 갖춰지고 있는 상기 변형 하중을 바꾸는 일 없이, 그 록편을 휨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하중의 크기를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전체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록 편을 휨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상기 동작 하중의 크기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그 결과, 동작 하중의 크기에 관계없이 플럭형 커넥터를 소형화하기 쉽게 된다.
또, 판금제의 스프링 판이나 금속제의 코일 스프링이라는 금속제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 값싼합성 수지 성형체만을 이용해, 록 편과 상대방 커넥터의 걸어맞춤부분에 의한 록 상태를 하프 록 상태로 규정하거나 플록상태로 규정하거나 할 수 있는 값싼플럭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청구항 7로부터 특허청구항 13까지의 발명 에 관한 플럭형 커넥터는, 상대방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를 사이에 두는 양측의 각각에 배치되어서 상기 접점부를 상대방 커넥터에 대해서 접속시키는데 따라 그 상대방 커넥터에 구비된 걸어맞춤부분에 걸어맞춤되는 탄성을 가지는 록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서는, 상기 록 부재가 단면 원형의 금속제의 선재를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록 부재를 형성 하고 있는 금속제의 선재가 단면 원형이므로 록 부재가 에지를 가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대방 커넥터에 대해서 당해 플럭형 커넥터를 접속하거나 이탈하거나 할 때에 비집어 틀기 힘이 가해져도, 록 부재의 에지에서 상대방 커넥터의 케이스가 깎아진다고 하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 금속제의 선재를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제작된 록 부재는, 판 스프링이나 수지 성형체로 제작된 록 부재에 비해 작게 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금속제의 선재로 제작된 록 부재를 구비하는 플럭형 커넥터의 소형화를 촉진하기 쉬워진다. 또한, 금속제의 선재를 접어 구부려서 록 부재를 제작 하면, 금속제의 선재자체가 값싸고 또한 고도의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록 부재의 가격이 판 스프링이나 수지 성형체로 제작된 록 부재에 비해 값싸게 되며, 그것이 플럭형 커넥터의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허청구항 8에 관한 발명과 같이, 상기 록 부재가, 케이스에 수용되어서 선단 부분이 그 케이스의 앞쪽에 돌출된 탄성변형 가능한 암부와 이 암부의 선단에 구비된 산모양의 피걸어맞춤부분을 구비하고, 이 산모양의 피걸어맞춤부분이, 상대방 커넥터의 상기 걸어맞춤부분에 바깥쪽으로부터 압압하므로서 그 걸어맞춤부분과 슬라이드 해서 상기 암부를 탄성변형 시키면서 당해피걸어맞춤부분을 상기 걸어맞춤부분의 안쪽까지 타고넘게 하는 앞쪽 경사부와, 당해피걸어맞춤부분이 상기 걸어맞춤부분을 타고넘어 그 안쪽에 이르는 것으로 상기케이스에 구비된 닿이는면과 함께 작용해서 상기 걸어맞춤부분을 끼워 압압하는 뒤쪽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앞쪽 경사부와 뒤쪽 경사부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발명에 있어서, 산모양의 피걸어맞춤부분은, 앞쪽 경사부와 뒤쪽 경사부가 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앞쪽 경사부와 뒤쪽 경사부가 서로 연속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어도 괜찮다. 이 발명에 있어서, 특허청구항 9에 관한 발명과 같이, 상기 뒤쪽 경사부는, 상기 닿이는 면과 함께 작용해서 상기 기워맞춤부분을 끼워 압압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케이스가 그 걸어맞춤부분으로부터 멀어질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에, 그 걸어맞춤부분과 슬라이드해서 상기 암부를 탄성변형 시키면서 당해피걸어맞춤부분을 상기 걸어맞춤부분의 바깥쪽까지 안내할 수 있는 구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상대방 커넥터에 대해서 당해 플럭형 커넥터를 접속 할 때에는, 산모양의 피걸어맞춤부분을 상대방 커넥터의 상기 걸어맞춤부분에 바깥쪽으로부터 꽉 눌러 밀어넣는다고 하는 조작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해결되고, 그렇게 하는 것에 의해, 상대방 커넥터의 걸어맞춤부분이, 피걸어맞춤부분의 뒤쪽 경사부와 케이스의 닿는면과의 함께 작용에 의해서 끼워 압압되므로, 상대방 커넥터와 당해 플럭형 커넥터가 헐거움이 없는 상태로 접속 된다.
이 작용은, 록 부재가 금속제의 선재에 의해 제작되고 있어, 피걸어맞춤부분의 뒤 쪽 경사부가 그 선재에 갖춰지고 있는 탄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한층 더 양호하게 발휘되게 된다. 당해 플럭형 커넥터를 상대방 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킬 때는,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케이스를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해결된다. 또한, 서로 접속되고 있는 당해 플럭형 커넥터나 상대방 커넥터에 비집어 틀기 힘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상기피걸어맞춤부분의 앞 쪽 경사부나 뒤 쪽 경사부, 암부등이 그것들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제의 선재 자체에 갖춰지고 있는 탄성에 의해 변형 해서 그 비집어 틀기 힘을 흡수하면서 피걸어맞춤부분이 걸어맞춤부분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작용하므로, 당해 플럭형 커넥터나 상대방 커넥터의 케이스가 파괴된다고 하는 사태가 미연에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허청구항 10에 관한 발명과 같이, 상기케이스가 납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상기 록 부재의 산모양의 피걸어맞춤부분이 암부로부터 상기케이스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있는 동시에, 상기케이스에, 암부의 탄성변형 방향을 그 케이스의 두께 방향으로 규제하는 가이드면이 갖춰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케이스의 전체 폭에 차지하는 피걸어맞춤부분의 폭이, 그 피걸어맞춤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제의 선재의 굵기만으로 되어, 또한, 암부의 탄성변형에 의한 피걸어맞춤부분의 흔들림 방향이 케이스의 두께 방향 만큼 규제되므로 케이스의 폭치수에 피걸어맞춤부분의 흔들림 폭치수를 포함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첫머리에서 설명한 수지 성형체로 록 부재를 형성한 것에 비해, 케이스의 폭치수를 축소 해서 그 소형화를 촉진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특허청구항 11에 관한 발명과 같이, 상기 암부가 1쌍의 평행한 직선부에 의해 형성 되고, 한쪽편의 직선부의 선단에 산모양의 상기 걸어맞춤부분의 뒤 쪽 경사부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 쪽의 직선부의 선단에, 상기 걸어맞춤부분의 앞 쪽 경사부가 연이어 형성 되고 있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금속제의 선재에, 유연한 탄성의 굽힘 가공이 용이하고 값싸고 가늘한 금속제의 선재를 이용했다고 해도, 암부를 형성 하고 있는 1 쌍의 평행한 직선부에 적당한 강도의 탄성을 갖추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허청구항 12에 관한 발명과 같이, 상기 록 부재가, 상기 암부와 산모양의 상기 피걸어맞춤부분을 각각가진 1쌍의 절곡선재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절곡선재는, 산모양의 상기 피걸어맞춤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폭방향으로 겹침 형상으로 배치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특허청구항 13에 관한 발명과 같이, 특히, 1쌍의 절곡선재의 상호간에 있어서, 다른쪽편의 직선부끼리가 상기케이스의 폭방향으로 겹침 형상으로 배치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1쌍의 절곡선재의 각각의 피걸어맞춤부분을, 상대방 커넥터에 구비되고 있는 2개의 걸어맞춤부분에 걸어맞춤 시켜서 당해 플럭형 커넥터와 상대방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그 만큼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일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특허청구항 7로부터 특허청구항 13까지 기재한 다른 본 발명에 의하면, 록 부재에 단면 원형의 금속제의 선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대방 커넥터에 대해서 당해 플럭형 커넥터를 접속하거나 이탈하거나 할 때에 비집어 틀기 힘이 가해져도, 상대방 커넥터의 케이스가 깎아지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록 상태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한, 록 부재에 금속제의 선재를 이용한 것에 의해,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소형화를 촉진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대방 커넥터에 접속한 당해 플럭형 커넥터를 이탈시킬 때에 비집어 틀기 힘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에서도, 상대방 커넥터가 파괴되기 전에 록 부재가 벗어나서 상대방 커넥터가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록 부재를 값싸게 제작할 수가 있어 플럭형 커넥터의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기 쉽게 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도 1∼도 5까지는 특허청구항 1∼특허청구항 6까지의 각 발명 에 관한 플럭형 커넥터에 대응 하고 있다.
도 1과 같이, 이 플럭형 커넥터(A)는, 베이스부(11)과 그 베이스부(11)에 짜 맞추어진 커버부(12)에 의해 형성된 납짝한 가로 길이의 케이스(10)을 가지고, 그 케이스(10)의 내부에, 콘택트를 형성하는 판금제의 다수의 접점부(20)과, 이들의 접점부(20)의 열을 사이에 두는 양측의 각각에 배치된 록편(30), (30)과, 케이스(10)의 좌우 양측의 각각에 장착된 압압조작 부재(50),(50)과, 백업부재(60)을 갖추고 있고, 상기 접점부(20)이나 록편 (30), (30)은, 케이스 (l0)의 앞끝면(13)의 앞 쪽에 돌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록 편(30)은, 페이스부(11)의 직4각형 오목한 부분(14)에 끼워 넣어져 움직이지 않게 유지 된 장착부(31)과, 상기 오목한 부분 (14)에 연속해 형성되고 있는 세로길이 오목한 부분(15)내에서 장착부 (31)로부터 전방으로 뻗어나온 암부(32)와, 암부(32)의 앞끝에 현성되어 좌우 방향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돌기형상의 걸림부(33)을 구비하고 있고, 걸림부(33)은 앞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 록편(30)은 합성 수지의 일체 성형체로 이루어지고, 암(32)에 합성 수지에 특유의 휨 변형 가능한 탄성이 갖춰지고 있는데 대해, 걸림부(33)에는, 다른것과의 간섭이나 충격등에 의해 용이하게 결손이나 파손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두께가 주어지고 있다.
백업부재(60)은 판조각형상의 엘라스토머로 제작되고 있어, 탄력성을 가지고 있다. 이 백업부재(60)은, 그 이면이 베이스부(11)에 갖춰지고 있는 벽면(16)에 맞포개지고 있는 동시에, 백업부재(60)의 하단에 구비되고 있는 돌출편(61)이, 베이스부(11)의, 하벽(17)에 갖춰지고 있는 오목형상의 백업부재 유지부(18)에 끼워 맞춤 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백업부재(60)은, 돌출편(61)과 백업부재 유지부(18)이 끼워 맞춤 되므로서 벽면(16)에 맞포개지는 위치에 위치 결정 되고 있고, 이렇게 해서 위치 결정 된 백업부재(60)의 표면이, 상기 록편(30)의 무부하 상태에서의 암부(32)의 배면에 맞포개지고 있다.
압압 조작 부재(50)은, 베이스부(11)의 좌우 방향 끝부분에 갖춰지고 있는 오목한 부분(19)에 일정 범위내에서만 좌우 방향출퇴 자재로 헐겁게 끼워 맞춤 되어 있고, 그 바깥쪽 끝면이 압압 조작면(51)로서 형성되고 있는 동시에, 그 안쪽 끝부분에, 상기 록편(30)의 암부(32)에 대치 된 압압 작용부(52)가 갖춰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록편(30), 백업부재(60) 및 압압 조작 부재(50)은, 케이스 (10)의 좌우 방향 양끝부분의 각각 대칭인 관계로서 배치되고 있다.
도 3∼도 5에 상대방 커넥터인 재크 형 커넥터 B를 나타내 있다.
도면에 예시된 재크 형 커넥터(B)는, 가로길이로 속이 빈 케이스(100)의 좌우 방향 양끝부분에, 상기 록 편(30)의 걸림(33)이 끼워 들어가는 오목한 부분(110)을 가지고, 이 오목부(110)의 개구(120)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걸림부(33)이 걸림과 이탈하는 걸어맞춤부분(130)을 갖추고 있다. 또한, 좌우의 오목부(110)의 사이에, 상기 접점부(20)의 열이 삽입되는 개구와 그러한 접점부(20)의 열에 접촉하는 전극(도시 생략)을 갖추고 있다.
다음에 도 3 ∼도 5를 참조 해서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작용에 대한 설명에서는, 한쪽 편의 록편(30)이나 백업부재(60), 압압 조작 부재(50)만을 설명하지만, 다른쪽의 록편이나 백업부재, 압압 조작 부재(50)도 한쪽 편의 그들과 병행 해서 작용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 한다.
플럭형 커넥터(A)를 재크 형 커넥터(B)에 대향 시켜서 도 3의 화살표a와 같이 접점부(20)의 열을 재크 형 커넥터(B)의 개구에 찔러넣어 간다고 하는 조작을 실시하면, 록 편(30)의 앞이 좁은 모양의 걸림부(33)이 개구(120)의 가장자리 부분 (121)에 닿인 상태에서 화살표 a와 같이 밀어넣어지므로, 걸림부 (33)이 가장자기 부분(121)에 의해 좌우 방향 안쪽으로 압압됨에 따라, 암부(32)가, 백업부재(60)을 그 탄력에 대항해 압축시키면서 좌우 방향 안쪽으로 휨 변형 하고, 그에 따라 걸림부(33)이 개구(120)의 가장자리 부분(121)을 타고 넘는다. 이렇게 해서, 걸림부(33)이 개구(120)의 가장자리 부분(121)을 타고 넘으면, 암부(32)자체의 탄성과 백업부재(60)의 탄력에 의해 암부(32)가 초기 위치에 복귀 하고, 도 4와 같이 걸림부(33)이 걸어맞춤부분 (130)에 걸어맞춤된다. 또한, 접점부 (20)의 열이 재크 형 커넥터 (B)에 삽입되어 그 전극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걸림부 (33)과 걸어맞춤부분 (130)의 걸어맞춤에 의해 플럭 형 커넥터 (A)가 재크형 커넥터 (B)에 연결된다. 이것이 록 상태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록편 (30)에 합성 수지 성형체가 이용되고 있으므로, 록 편 (30)의 걸림부(33)이 케이스(l0)의 앞 쪽으로 돌출해서 노출하고있어도, 그 걸림부 (33)이 의외에 무엇인가 간섭 해서 충격을 받거나 해도, 그 걸림부 (33)이 꺽여지거나 결손하거나 파괴하거나 한다는 사태는 용이하게 일어날 수 없다.
다음에, 도 5의 화살표 P와 같이 손가락으로 압압 조작 부재 (50)을 밀어넣으면, 그 압압 작용부 (52)가 록편 (30)의 암부 (32)를 좌우 방향 안쪽으로 압압 하므로, 그 암부 (32)가, 그 자체의 탄성과 백업부재 (60)의 탄력성에 대항해 좌우 방향 안쪽으로 휨 변형 하고, 그에 따라 걸림부 (33)이 걸어맞춤부분(130)과의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 안쪽으로 변위한다. 이렇게 해서 걸림부 (33)이 걸어맞춤부분 (130)으로부터 이탈 하면, 플럭 형 커넥터 (A) 와 재크 형 커넥터 (B) 와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므로, 플럭 형 커넥터 A를 재크 형 커넥터 (B)로부터 뽑아 낼 수가 있다. 그리고, 플럭 형 커넥터 (A)를 재크 형 커넥터 (B)로부터 뽑아 내면, 암부 (32) 자체의 탄성과 백업부재 (60)의 탄력에 의해 암부 (32)가 초기 위치에 복귀한다.
또한, 상기걸림부 (33)은 앞 이 좁은 모양으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도 3과 같이 걸림부 (33)을 개구 (120)의 가장자리 부분 (121)에 꽉 눌러 밀어넣으면, 걸림부 (33)의 표면의 안내 작용에 의해 걸림부 (33)이 암부 (32)의 휨 변형을 수반하면서 가장자리 부분 (121)을 타고넘어 도 4와 같이 오목부 (ll0)에 께워넣어진다. 또한, 도 5와 같이 압압조작 부재 (50)을 밀어넣어 걸림부 (33)을 조금 좌우 방향 안쪽에 변위시킨 후, 플럭 형 커넥터 (A)를 잡아당기면 걸림부(33)의 표면의 안내 작용에 의해 걸림부 (33)이 암부 (32)의 휨 변형을 수반하면서 가장자리 부분 (121)을 타고넘어 걸어맞춤부분 (130)으로부터 이탈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록 편 (30)의 걸림부 (33)을 오목부 (110)에 밀어넣어 걸어맞춤부분 (130)에 걸어맞춤시킬 때 필요하게 되는 밀어넣기힘(걸림부 압입력이라함)의 크기는, 암부 (32)의 탄성의 크기와 백업부재 (60)의 탄력의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압압 조작 부재 (50)을 밀어넣어 암부 (32)를 휨 변형시킬 때의 압압 조작 부재 (50)의 조작력(조작 부재 조작력 이라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실 시형태에 있어서, 암부 (32)를 그 자체의 탄성에 대항해 휨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하중을 변형 하중이라 정의 하고, 암부 (32)를 그 자체의 탄성과 백업부재 (60)의 탄력성에 대항해 휨 변형시키는데 필요한 하중을 동작 하중 이라 정의 하면, 동작 하중을 크게 하면 할수록, 상기 걸림부 압입력이 커져, 상기 조작 부재 조작력이 커진다. 그 반대로, 동작 하중을 작게 하면 할수록, 상기걸림부 압입력이 작아져, 상기 조작 부재 조작력이 작아 진다. 그리고, 동작 하중은, 암부 (32)의 탄성을 그대로 해서, 백업부재 (60)의 탄력성만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할 수가 있고, 백업부재 (60)의 탄력의 크기는, 암부 (32)에 대한 백업부재 (60)의 접촉면의 넓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조절할 수가 있고, 상기 접촉면의 넓이는, 도 4에 표시한 백업부재 (60)의 폭치수 W를 바꾸는 것만으로 변한다.
따라서, 이 실 시형태에서는, 록 편 (30)의 암부 (32)의 길이를 바꾸지 않고 , 판조각모양의 백업부재 (60)을 교체해서 그 크기를 바꾸는 것만으로, 상기 동작 하중을 적절히 조절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암부 (32)를 얇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변형 하중을 작게 하는 한편으로, 동작 하중의 부족분을 백업부재 (60)의 탄력에 의해 보충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도 4와 같이, 재크 형 커넥터 (B)에 플럭 형 커넥터 (A)가 연결되고 있는 상태하에서, 플럭 형 커넥터 (A)를 무리하게 잡아당기게되는 경우, 양커넥터 (A, B)가 벗어나게 되는 하프 록 상태나, 양커넥터 (A, B)가 벗어나지 않게되는 풀록상태를, 백업부재 (60)의 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만들어 낼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백업부재 (60)에 판조각모양의 엘라스토머를 이용하고 있지만, 엘라스터머 보다도 값싼 통상의 합성고무에 볼수있는 합성 수지 성형체 로서 도 된다. 그러나, 내구성을 높이고, 바람직한 탄력성을 얻으려면 , 엘라스터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 시형태에서는, 록 편 (30)이 합성 수지의 일체 성형체이며, 백업부재 (60)이 판조각모양의 엘라스터머이며, 록편 (30)을 바꾸지 않고 백업부재 (60)만을 바꾸어 상기한 동작 하중을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다른 동작 하중의 플럭 형 커넥터의 양산화가 용이하게 된다.
도 6에서부터 도 16까지는 특허청구항 7∼ 특허청구항 13까지의 각 발명 에 관한 플럭 형 커넥터에 대응 하고 있다. 또한, 도 6∼ 도 16까지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도 6까지 표시한 것과 동일 또는 상응하는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6과 같이, 이 플럭 형 커넥터 (A)는, 베이스부 (11)과 그 베이스 와 짜 맞춤된 커부부 (12)에 의해 형성된 납짝한 가로길이의 케이스 (10)의 내부에, 콘택트를 형성하는 판금제의 다수의 접점부 (20)과, 이들의 접점부 (20)의 열을 사이에 두는 양측의 각각에 배치된 록 유닛 (70, 70)을 갖추고 있어, 상기 접점부 (20)···이나 록 유닛 (70, 70)에 구비되고 있는 록 부재 (80,80)은, 케이스 (10)의 앞끝면(l3)의 앞 쪽에 돌출하고있다. 또, 각각의 록 유닛 (70)의 케이스 (71)의 앞끝면은 케이스 (10)의 앞끝면 (13)과 한면으로 되어 있어, 그 앞끝면이 케이스에 구비된 닿는면 (72)로서 형성되고 있다.
도 7 및 도 12에서 알듯이, 록 부재 (80)은, 단면 원형의 금속제의 가는 선재를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제작된 1 쌍의 절곡선재 (81, 81)을 갖추고 있다. 각각의 절곡선재 (81)은, 암부 (82)를 형성 하고 있는 1 쌍의 평행한 긴 직선부 (82a, 82b)와, 그러한 직선부 (82a),(82b)의 선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산모양의 피걸어맞춤부분 (84)와, 각각의 직선부 (82a, 82b)의 베이스에 절곡형성되고 있는 걸림부 (85, 85)를 일체로 갖추고 있다. 산모양의 상기피걸어맞춤부분(84)에는, 앞이 내려가는 경사진 직선 모양의 앞 쪽 경사부(86)과, 그 앞 쪽 경사부(86)에 만곡부 (87)을 개재시켜 매끄럽게 연속해 앞이 올라가는 경사진 뒤쪽경사부(88)이 갖춰지고 있어, 한쪽편의 직선부(82a)의 선단에 만곡부(89)를 개재하여 뒤쪽경사부 (88)이 매끄럽게 연이어 형성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직선부(82b)의 선단에 앞쪽 경사부(86)이 매끄럽게 연이어형성 되고 있다.
이에 대해, 록 유닛 (70)의 케이스 (71)은, 도 9~도 12에서 알듯이 좌우 방향으로 베이스 (74)와 커버 (75)를 맞추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2분할 구조가 되어 있다. 도 (7)또는 도 10~도l2에 표시한것 같이, 케이스 (7l)의 내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긴걸림홈 (76)과, 이 걸림홈 (76)으로부터 전방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3개의 유지홈 (77,78,79)와, 이들의 유지홈 (77,78,79)의 앞 쪽에 구비된 오목한면 의해 형성되고 있는 평탄한 가이드면 (73)이 갖춰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록 부재 (80)을 형성 하고 있는 한 쪽 편의 절곡선재 (81)의 1 쌍의 직선부 (82a, 82b)가, 인접하고 있는 아래 쪽 2개의 유지홈 (77, 78)에 덜컹거림 없이 끼워넣어져 유지 되고, 그 절곡 선재 (81)의 2개의 걸림부 (85, 85)가 상기 걸림홈 (76)에 끼워넣어져 전후에 덜컹거리지 않게 유지 되고, 또한, 걸림부 (85, 85)로부터 연장된 1쌍의 직선부 (82a, 82 b)가, 상기 가이드면 (73)에 상하 방향 슬라이드 자유롭게 접촉 하고, 또한, 산모양의 피걸어맞춤 부분(84)와 함께 그러한 직선부 (82a, 82b)의 선단 부분이 케이스 (71)의 앞끝면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닿는면 (72)의 앞 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록 부재 (80)을 형성 하고 있는 다른 쪽의 절곡선재 (81)의 1 쌍의 직선부 (82a, 82 b)가, 인접하고 있는 위 쪽 2개의 유지홈 (78, 79)에 덜컹거림 없게 끼워넣어져 유지 되고, 그 절곡선재 (81)의 2개의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 (76)에 끼워넣어져 전후에 덜컹거리지 않게 유지 되고, 또한, 걸림부로부터 연장된 1 쌍의 직선부 (82a, 82 b)가, 상기 가이드면 (73)에 상하 방향 슬라이드 자유롭게 접촉 하고, 또한, 산모양의 피걸어맞춤부분 (84)와 함께 그러한 직선부 (82a, 82b)의 선단 부분이 케이스 (71)의 앞끝면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닿는면 (72)의 앞 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여기서, 3개의 유지홈 (77,78,79) 가운데, 중앙의 유지홈 (78)에서는, 도 5와 같이 1 쌍의 절곡선재 (81, 8l)의 다른 쪽의 직선부 (82b, 82b)끼리가 케이스 (10) (도 6 참조)의 폭방향으로 겹침 형상으로 배치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직선부 (82b, 82 b)끼리는, 도 11과 같이 좌우의 가이드면 (73)의 사이에 겹침 형상으로 배치되고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아래 쪽의 절곡선재 (81)에 갖춰지고 있는 산모양의 피걸어맞춤부분 (84)가 도 6에 표시한 케이스 (l0)의 두께 방향 아래 쪽 을 향해서 돌출하고, 위 쪽의 절곡선재 (81)에 갖춰지고 있는 산모양의 피걸어맞춤 부분 (84)가 도 6에 표시한 케이스 (l0)의 두께 방향 위 쪽 을 향해서 뚫고 나오고 있다. 또한, 케이스 (71)의 내부에는, 상기한 암부 (82)의 상하 방향(케이스 (10)의 두께 방향)에서의 변위를 무리없이 허용 하는 공간이 확보되고 있다.
도 (13)에 상대방 커넥터인 재크 형 커넥터 (B)가 표시되어 있다. 도면예의 재크 형 커넥터 (B)는, 가로길이 속이 빈 케이스 (200)에, 상기 플럭 형 커넥터 (A)의 접점부 (20)의 열을 삽입하는 삽입 공간(도시 생략)이 갖춰지고 있는 동시에, 그 접점부 (20)의 열에 접촉하는 전극(도시 생략)이 갖춰지고 있다. 또한, 그 삽입 공간을 사이에 두는 좌우 방향 양측에는, 플럭 형 커넥터 (A)의 양측으로 구비되고 있는 1쌍의 록 유닛 (70, 70) (도 6 참조)의 피걸어맞춤부분 (84, 84)가 삽입 발취 되는 록 부재 (210)이 갖춰지고 있다. 도 14∼도 16에 표시한것 같이, 록 부재 (210)은, 도 (13)에 표시한, 케이스 (200)의 끝면과 한면의 받는면(212)를 갖추고 있는 동시에, 세로길이 개구 (213)의 개구 가장자리의 상하부에 의해 형성된 상하 1 쌍의 걸어맞춤부분 (214), (214)를 갖추어 있고, 그러한 걸어맞춤부분 (214), (214)의 뒤쪽은 빈구멍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4∼도 16을 참조 해서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작용에 대한 설명에서는, 한쪽 편의 록 유닛 (70)만을 설명하지만, 다른 쪽의 록 부재 도 한쪽 편의 그것과 병행 해서 작용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 한다.
플럭 형 커넥터 (A)를 재크 형 커넥터 (B)에 대향 시켜서 접점부 (20)의 열(도 1참조)을 재크 형 커넥터 (B)의 세로길이 개구 (213)에 정면에서 똑바로 찔러넣어 가는 조작을 실시하면, 도 (15)의 화살표 (b)와 같이, 록 부재 (80)의 상하의 피걸어맞춤부분 (84), (84)의 앞 쪽 경사부 (86, 86)이, 상하의 걸어맞춤부분 (214), (214)에 외측으로부터 꽉 눌린 후, 그러한 걸어맞춤부분 (214, 214)와 슬라이드 해서 암부 (82,82)를 탄성변형 시키면서 피걸어맞춤부분 (84, 84)를 걸어맞춤부분 (214, 214)의 안쪽까지 타고 넘게 한다. 그리고, 피걸어맞춤부분 (84, 84)가 걸어맞춤 부분(214, 214)를 타고넘어 그 안쪽에 이르면, 도 (14)와 같이, 닿는면 (72)가 받는면 (212)에 맞닿는 동시에, 피걸어맞춤부분 (84, 84)의 뒤 쪽 경사부 (88, 88)이 걸어맞춤부분 (214, 214)에 탄성접촉하고, 그러한 피걸어맞춤 부분(84,84)와 상기한 닿는면 (72)와의 사이에서 걸어맞춤부분 (214,214)가 끼워 압압 된다. 이렇게 해 플럭 형 커넥터 (A)가 재크 형 커넥터 (B)에 덜컹거림이 없는 상태에서 접속된다. 록 상태이다.
도 14의 록 상태를 해제 해서 플럭 형 커넥터 (A)를 재크 형 커넥터 (B)로부터 이탈시킬 때는, 플럭 형 커넥터 (A) 또는 재크 형 커넥터 (B)의 각 케이스 (10, 200)을 갈라 놓을 방향으로 그들을 잡아당기면 된다. 이 이탈 조작을 실시하면, 플럭 형 커넥터 (A)의 케이스 (10)이 걸어맞춤부분 (214), (214)로부터 멀어질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므로, 피걸어맞춤부분 (84, ·84)의 뒤쪽 경사부 (88, 88)이 걸어맞춤부분 (214, 214)와 슬라이드 해서 암부 (82, 82)를 탄성변형 시키면서 피걸어맞춤부분 (84, 84)를 걸어맞춤부분 (2l4, 214)의 외측까지 안내한다. 이에 의해, 록 상태가 해제되어 플럭 형 커넥터 (P)가 재크 형 커넥터 (B)로부터 이탈한다.
한편, 도 14의 록 상태를 해제할 때에, 예를 들어 플럭 형 커넥터 (P)가 도 16의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비집어 틀 수 있었을 때에는, 1개의 피걸어맞춤부분 (84)의 뒤쪽 경사부 (88)이 걸어맞춤부분 (214)와 슬라이드 해서 암부 (82)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피걸어맞춤부분 (84)를 걸어맞춤부분 (214)의 외측까지 안내한다. 이에 의해, 록 상태가 해제되어 플럭 형 커넥터 (P)가 재크 형 커넥터 (B)로부터 이탈한다. 따라서, 그 때의 비집어 틀기 힘을 받아 재크 형 커넥터 (B)의 케이스 (200)이나 록부 (210)의 걸어맞춤부분 (214)등이 손괴 한다고하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는다.
재크 형 커넥터 (B)에 대해서 플럭 형 커넥터 (A)를 접속하거나 이탈시키거나 하는데 따라 탄성변형 하는 암부 (82)의 변위 방향은, 도 (7)이나 도 (11)에서 설명한 가이드면 (73)에 의해 케이스 (10)의 두께 방향으로 규제되므로, 걸어맞춤부분 (214)와 피걸어맞춤부분 (84)와의 걸림˚이탈동작이 안정되어 행해진다. 또한, 피걸어맞춤부분 (84)는 단면 원형의 금속제의 선재를 산모양으로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제작되고 있으므로, 그 피걸어맞춤부분 (84) 자체에 에지부가 존재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걸어맞춤부분 (214)와 피걸어맞춤부분 (84)를 거림˚이탈 시킬 때, 피걸어맞춤부분 (84)가 걸어맞춤부분 (214)나 록 부재 (210)을 깎는다고 하는 자체가 일어나지 않고, 그 결과, 걸어맞춤부분(21)과 피걸어맞춤부분 (84)와의 걸림ㆍ이탈을 빈번하게 반복해도, 그들에 의한 록 상태의 안정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록 유닛 (70)을 플럭 형 커넥터 (A)의 케이스(10)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그 케이스 (10)에 록 부재 (80)을 장비 해서 있지만, 이 점은, 록 부재 (80)을 직접 케이스 (10)에 결합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일도 가능하다. 그 경우, 록 부재 (80)을, 케이스 (10)에 구획 형성한 결합 부분에 압입 해서 케이스 (10)에 결합한다고 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록 부재에 단면 원형의 금속제의 선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대방 커넥터에 대해서 당해 플럭형 커넥커를 접속하거나 이탈하거나 할 때에 비집어 틀기 힘이 가해져도, 상대방 커넥터의 케이스가 깎아지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록 상태의 안정성이 높아진다. 또 록 부재에 금속제의 선재를 이용한 것에 의해, 당해 플럭형 커넥터의 소형화를 촉진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대방 커넥터에 접속한 당해 플럭형 커넥터를 이탈시킨 때에 비집어 틀기 힘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에도, 상대방 커넥터가 파괴되기 전에 록 부재가 벗어나서 상대방 커넥터가 파괴되는 일을 미연에 막을수있게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록 부재를 염가로 제작할 소가 있어 플럭형 커넥터의 코스트 다운을 도모하기 쉽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에 관한 플럭형 커넥터를 일부 생략 해서 표시한 부분 파단 평면도.
도 2는 주요부를 파단 해서 표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플럭형 커넥터를 재크 형 커넥터에 연결하는 초기 단계를 표시한 일부 파단 부분 평면도.
도 4는 플럭형 커넥터를 재크 형 커넥터에 연결한 단계를 표시한 일부 파단 부분 평면도.
도 5는 플럭형 커넥터를 재크 형 커넥터로부터 뽑아 낼 단계를 표시한 일부 파단 부분 평면도.
도 6은 다른 본 발명의 실 시형태 에 관한 플럭형 커넥터를 일부 생략 해서 표시한 부분 파단 평면도.
도 7은 록 유닛의 확대 수직 단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을 따르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7의 IX-IX선을 따르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X-X선을 따르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XI-XI선을 따르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6의 XII-XII선을 따르는 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상대방 커넥터에 접합한 플럭형 커넥터의 부분 평면도.
도 14는 록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파단 측면도.
도 15는 피걸어맞춤부분을 걸어맞춤부분에 걸어맞추게 하는 조작의 초기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파단 측면도.
도 16은 비집어 틀었을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파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플럭형 커넥터 B: 재크 형 커넥터
10: 케이스 16: 벽면
18: 백업부재유지부분 20: 접점부분
30: 록편 32: 암부분
33: 걸기부분 50: 압압조작부재
60: 백업부재 130: 걸어맞춤부분

Claims (13)

  1. 상대방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를 사이에 두는 양측의 각각에 배치되어 상대방 커넥터의 걸어맞춤부분에 걸림ㆍ이탈 되는 탄력성을 갖춘 록편과,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상기 걸어맞춤부분에 대한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 하고 있는 탄성적 록 편을 상기 접점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압 함으로써 상기 탄성적 록편을 탄력성에 대항해서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상기 걸어맞춤부분에 대한 이탈 위치에 변위시키는 압압조작 부재를 갖춘 플럭 형 커넥터에 있어서,
    휨 변형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가늘고 긴 암부 및 이 암부의 휨 변형을 통해서 상기 상대방 커넥터의 상기 걸어맞춤부분에 걸림ㆍ이탈 되는 걸림부를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상기 탄성적 록편과,
    상기 암부의 배면부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암부를 지지해서 그 암부를 휨변형시키는데 필요한 동작 하중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탄력성을 가지는 백업부재를 가지고, 상기 접점부와 상기 탄성적 록편이 공통의 케이스에 수용되고 있는 동시에, 그 케이스의 좌우 양측의 각각에 상기 압압 조작 부재가 장착되고 , 그 케이스에, 상기 백업부재의 배면에 맞포개지는 벽면과, 상기 백업부재가 끼워지고 ㆍ이탈 되는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의 백업부재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 형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의 두께 치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그 암부를 휨변형시킬수 있는 변형 하중을 상기 동작 하중 보다도 작게 정하고, 상기 동작 하중에 대한 상기 변형 하중의 부족분을, 상기 백업부재의 탄력에 의해 보충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형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부재가 판조각모양의 합성 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형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부재가 판조각모양의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 형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부재의 탄력의 크기를, 상기 암부에 대한 접촉면의 넓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 형 커넥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2-0045769A 2001-08-02 2002-08-02 플럭형 커넥터 KR100522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5127A JP2003045568A (ja) 2001-08-02 2001-08-02 プラグ型コネクタ
JPJP-P-2001-00235127 2001-08-02
JPJP-P-2001-00238692 2001-08-07
JP2001238692A JP2003051355A (ja) 2001-08-07 2001-08-07 プラグ型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327A KR20030013327A (ko) 2003-02-14
KR100522518B1 true KR100522518B1 (ko) 2005-10-18

Family

ID=2661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769A KR100522518B1 (ko) 2001-08-02 2002-08-02 플럭형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40910B2 (ko)
EP (1) EP1284525B1 (ko)
KR (1) KR100522518B1 (ko)
CN (1) CN1274063C (ko)
CA (1) CA2395521C (ko)
DE (1) DE60218944T2 (ko)
HK (1) HK1052585B (ko)
TW (1) TWI2544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6900B2 (ja) * 2003-06-30 2008-03-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装置
NL1023937C2 (nl) * 2003-07-17 2005-01-18 Framatome Connectors Int Vergrendelelement.
CN100429832C (zh) * 2004-12-14 2008-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CN201142451Y (zh) * 2007-12-12 2008-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及其电连接器与壳体
JP4482041B2 (ja) * 2008-01-16 2010-06-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対
US8092246B1 (en) * 2008-04-18 2012-01-1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Self-locking micro-D connector
US7824206B1 (en) * 2009-11-20 2010-11-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gital multimedia connectors that secure to corresponding digital multimedia receptacles
DE102010042354A1 (de) * 2010-10-12 2012-04-12 Intercontec Pfeiffer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einer Abreißerhöhung sowie Verfahren zum reversiblen Verbinden und Trennen von Steckerteilen eines Steckverbinders
DE112013003215T5 (de) * 2012-06-27 2015-04-02 Yazaki Corporation Flexibler Mehrdraht-Steckverbinder
US9692158B1 (en) * 2015-05-15 2017-06-27 Ardent Concepts, Inc. Connector assembly for attaching cables to a planar electrical device
WO2017147373A1 (en) 2016-02-26 2017-08-31 OLEDWorks LLC Detachable electrical connection for flat lighting modules
CN109616830A (zh) * 2018-12-29 2019-04-12 杭州优朴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双层密封卡扣式电源连接器
JP6887458B2 (ja) * 2019-03-12 2021-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075A (ja) * 1988-07-19 1990-01-31 Jiyupitaa Dentsu:Kk 抜け外れを防止したケーブルコネクタ
JPH11185878A (ja) * 1997-12-25 1999-07-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プラグのロック構造
JP2000036360A (ja) * 1998-07-17 2000-02-02 Omron Corp コネクタ
KR20010021200A (ko) * 1999-08-03 2001-03-15 요시무라 마사오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4853Y2 (ja) * 1988-05-30 1996-10-23 第一電子工業 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スプリングロック装置
US5340329A (en) * 1992-02-28 1994-08-23 Honda Tsushin Kogyo Kabushiki Kaisha Connector combination
JPH0619284A (ja) 1992-06-30 1994-01-28 Sharp Corp 現像方法及び現像装置並びに電子写真装置
US5356304A (en) * 1993-09-27 1994-10-18 Molex Incorporated Sealed connector
US5486117A (en) * 1994-08-09 1996-01-23 Molex Incorporated Locking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857869A (en) * 1997-06-23 1999-01-12 Matsushita Avionics Systems Corporation Spring latch for use with cable connectors
US6071141A (en) 1998-05-14 2000-06-06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latches
US5924886A (en) * 1997-08-22 1999-07-20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bail latch
JPH11162566A (ja) * 1997-11-27 1999-06-18 Smk Corp コネクタプラグのロック手段
USD424519S (en) 1998-10-08 2000-05-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ntact to travel charger
CN1204659C (zh) * 1999-01-26 2005-06-01 莫列斯公司 带有锁合机构和金属弹簧的电连接器
JP2001035613A (ja) * 1999-07-26 2001-02-09 Fci Japan Kk プリント基板用ソケット
TW438115U (en) * 1999-11-09 2001-05-28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425690B2 (ja) 1999-12-21 2003-07-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764331B2 (en) * 2002-05-13 2004-07-20 Textron Micro Electronics Incorporated Small-sized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0075A (ja) * 1988-07-19 1990-01-31 Jiyupitaa Dentsu:Kk 抜け外れを防止したケーブルコネクタ
JPH11185878A (ja) * 1997-12-25 1999-07-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プラグのロック構造
JP2000036360A (ja) * 1998-07-17 2000-02-02 Omron Corp コネクタ
KR20010021200A (ko) * 1999-08-03 2001-03-15 요시무라 마사오 플랫케이블용 전기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95521C (en) 2007-10-16
US20030027450A1 (en) 2003-02-06
EP1284525A2 (en) 2003-02-19
DE60218944D1 (de) 2007-05-03
CA2395521A1 (en) 2003-02-02
HK1052585A1 (en) 2003-09-19
US7040910B2 (en) 2006-05-09
DE60218944T2 (de) 2007-11-29
TWI254498B (en) 2006-05-01
EP1284525B1 (en) 2007-03-21
EP1284525A3 (en) 2005-03-23
CN1405932A (zh) 2003-03-26
HK1052585B (zh) 2007-01-12
CN1274063C (zh) 2006-09-06
KR20030013327A (ko) 200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7952B2 (ja) コネクタ
KR100522518B1 (ko) 플럭형 커넥터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241077B2 (en) Terminal fitting
US7666015B2 (en) Board-connecting connector
US7153173B2 (en) Electric connector
EP1890363B1 (en) A female terminal fitting
KR101406883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101486179B1 (ko) 콘택트 및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US20060252294A1 (en) Electrical connector element
EP1429418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wire release member
US20100330821A1 (en) Board-to-board connector
KR20070064286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20050181653A1 (en)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US20190319398A1 (en) Connector
US7494375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20070207643A1 (en) Connector
US708102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KR100653666B1 (ko) 단자 연결구 및 그 제조 방법
WO2007131537A1 (en) Connector of flat conductors
US714426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mechanism
CN110729603A (zh) 一种杠杆式双弹力臂卡扣连接器
EP1617520B1 (en) A connector
JP4242378B2 (ja) 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CN210897836U (zh) 一种杠杆式双弹力臂卡扣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