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666B1 - 단자 연결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단자 연결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666B1
KR100653666B1 KR1020060009287A KR20060009287A KR100653666B1 KR 100653666 B1 KR100653666 B1 KR 100653666B1 KR 1020060009287 A KR1020060009287 A KR 1020060009287A KR 20060009287 A KR20060009287 A KR 20060009287A KR 100653666 B1 KR100653666 B1 KR 100653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ontact member
locking hole
elastic contact
termin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829A (ko
Inventor
유타카 고바야시
하지메 가와세
유타카 노로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8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70Regulating power factor; Regulating reactive current or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로킹부와 로킹 구멍의 체결에 의해 실현되는 유지 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유지부(22)에서, 저부 플레이트(12)에 형성된 로킹 구멍(19)의 개방 에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단부면(12S)이 로킹부(52)와 접촉하여 단자 연결구(T)를 유지한다. 단부면(12S)의 일부가 직사각형 튜브부(tube portion)(10)의 내측 방향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단지 저부 플레이트의 두께만이 체결 마진(engaging margin)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큰 체결 마진을 얻을 수 있다. 유지부(22)는 저부 플레이트(12)에 있는 단부면(12S)의 일부가 로킹부(52)와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직사각형 튜브부(10)의 내측 방향으로 변위되며, 저부 플레이트(12)와 단부면(12S) 사이의 경계는 곡선면 형태가 아닌 엣지형 모서리부(edge-shaped angled portion)의 형태이다. 따라서, 단자 연결구(T)에 인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로킹부(52)가 미끄러져서 유지부(22)로부터 해제될 가능성이 없다.

Description

단자 연결구 및 그 제조 방법{A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FORM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자 연결구의 우측 측면도.
도2는 단자 연결구의 평면도.
도 3은 단자 연결구의 좌측 측면도.
도 4는 단자 연결구의 저면도.
도 5는 도 2의 A-A를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를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C-C를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5의 D-D를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5의 E-E를 따른 단면도.
도 10은 단자 연결구의 전개도.
도 11은 단자 연결구의 정면도.
도 12는 탭이 단자 연결구에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 단자 연결구
10 : 직사각형 튜브부
12 : 저부 플레이트(플레이트 부분 또는 표면)
12S : 단부면
14 : 천장 플레이트(플레이트 부분)
19 : 로킹 구멍
22 : 유지부
25 : 탄성 컨택트 부재
50 : 커넥터 하우징
51 : 공동
52 : 로킹부
54 : 탭
본 발명은 단자 연결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H04-115475에 단자 연결구가 공지되어 있다. 이 단자 연결구는 직사각형 튜브부(tube portion) -이 직사각형 튜브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부분들 중 하나에 형성되는 로킹(locking) 구멍을 구비함- 로 구성되고,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에 삽입 가능하다. 단자 연결구는 로킹 구멍과, 공동의 내벽에 마련된 탄성 변형 가능한 로킹부가 체결됨으로써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유형의 단자 연결구에서, 로킹 구멍의 엣지부를 직사각형 튜브부의 내측 방향을 향해 거의 직각으로 굴곡시켜 로킹벽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로킹부와의 체결 마진(engaging margin)을 증가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 따르면, 플레이트 부분의 두께가 체결 마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 비해, 로킹 기능의 신뢰도, 즉 유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굴곡 가공에 의해 로킹벽이 형성된 단자 연결구에서, 로킹벽의 굴곡부, 즉 로킹벽과 로킹부의 접촉면과 플레이트 부분의 외측면 사이의 경계는 곡선면의 형태이다. 따라서, 외력이 인출 방향으로 단자 연결구에 작용하는 경우, 로킹벽과 로킹부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그 결과 로킹부가 로킹벽으로부터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의 관점에서 안출되었으며, 그 목적은 로킹부와 로킹 구멍의 체결에 의한 유지 기능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부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커넥팅 하우징의 로킹부와의 체결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유지되는 단자 연결구가 제공되며, 이 단자 연결구는,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인 튜브부와, 이 튜브부의 내부 또는 표면에 형성되는 로킹 구멍을 포함하며, 이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 또는 엣지부는 로킹부와 체결되는 유지부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유지부의 일부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유지부는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표면의 단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튜브부의 내측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상기 표면에 형성되는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를 변형(바람직하게는 굴곡 가공 또는 엠보싱 가공)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유지부에서,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 부분의 단부면이 로킹부와 실질적으로 접속하여 단자 연결구를 유지할 수 있다. 단부면의 일부가 튜브부의 내측을 향해 변위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플레이트의 부분의 두께만이 로킹부에 대한 체결 마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큰 체결 마진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표면에 있는 단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실질적으로 로킹부와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유지부는, 플레이트 부분의 단부면 일부가 실질적으로 로킹부와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변위되고, 플레이트 부분의 외측면과 단부면 사이의 경계는 엣지형 모서리부(edge-shaped angled portion)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외력이 인출 방향으로 단자 연결구에 작용하는 경우에도, 플레이트 부분의 외측면과 단부면 사이의 경계가 곡선면 형태인 경우와 같이 로킹부가 미끄러져서 유지부로부터 해제될 가능성이 전혀 없거나 또는 거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 튜브부와, 이 직사각형 튜브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부분에 형성된 로킹 구멍을 포함하는 단자 연결구로서, 상기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가 유지부로서의 역할을 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에 삽입되어 상기 유지부와, 공동의 내벽에 마련된 탄성 변형 가능한 로킹부의 체결에 의해서 유지되며, 상기 유지부는 로킹 구멍의 개구 엣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 부분에 있는 단부면의 일부가 로킹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직사각형 튜브부의 내측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플레이트 부분에 형성된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를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단자 연결구가 제공된다.
상기 유지부에서,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 부분의 단부면이 로킹부와 접촉하여 단자 연결구를 유지한다. 단부면의 일부가 직사각형 튜브부의 내측 방향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단지 플레이트 부분의 두께만이 로킹부와의 체결 마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큰 체결 마진을 보장한다. 유지부는, 플레이트 부분에 있는 단부면의 일부가 로킹부에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변위되고, 플레이트 부분의 외측면과 단부면 사이의 경계는 엣지형 모서리부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외력이 인출 방향으로 단자 연결구에 작용하는 경우, 플레이트 부분의 외측면과 단부면 사이의 경계가 곡선면 형태인 경우와 같이 로킹부가 미끄러져서 유지부로부터 해제될 가능성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컨택트 부재가 튜브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탄성 컨택트 부재는 실질적으로 유지부와 접촉하여, 바람직 하게는 탄성 컨택트 부재의 탄성 변형도가 탄성 컨택트 부재가 탭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의 탄성 변형도보다 큰 경우에 탄성 한계에 근접하거나 또는 탄성 한계를 초과하는 탄성 컨택트 부재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탭이 로킹 구멍이 형성되는 표면과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튜브부의 표면과 탄성 컨택트 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성 컨택트 부재는 직사각형 튜브부 내에 수용된다.
탭은 로킹 구멍이 형성된 표면과 대향하는 직사각형 튜브부의 플레이트 부분과 탄성 컨택트 부재 사이에 탄성적으로 유지되고, 탄성 컨택트 부재는 유지부와 접촉하여, 탄성 컨택트 부재의 탄성 변형도가 탄성 컨택트 부재가 탭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의 탄성 변형도보다 더 큰 경우에 그 탄성 한계를 초과하는 탄성 컨택트 부재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한다.
유지부는 또한 탄성 컨택트 부재의 탄성 변형도가, 탄성 컨택트 부재가 탭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때의 탄성 변형도보다 큰 경우에, 탄성 컨택트 부재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탄성 한계를 초과하는 탄성 컨택트 부재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과도한 변형 방지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한정된 용도를 위한 과도한 변형 방지부가 유지부에 추가로 마련된 경우에 비해, 단자 연결구의 형상이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컨택트 부재의 폭 방향 중심이 유지부의 폭 방향 중심과 거의 일치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로킹 플레이트가 튜브부의 표면에 제공되어, 탄성 컨택트 부재가 탭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 변형 방향에 대해 0도 또는 180도가 아닌 각도의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각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방지하는 변위 방지부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컨택트 부재의 폭 방향 중심은 튜브부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로킹 구멍에 인접하고 이 로킹 구멍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튜브부의 영역은 엠보싱 가공 또는 굴곡 가공되어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킹 구멍의 개방 영역 내에 위치하는 침입 제한부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침입 제한부는 폭 방향에 대하여 탄성 컨택트 부재를 위한 변형 공간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으로 삽입되어 로킹부와의 체결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공동 내에서 유지되는 단자 연결구를 제조하거나 또는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플레이트 재료를, 튜브부의 표면에 로킹 구멍이 형성되고 이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가 로킹부와 체결하는 유지부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특정 형상으로 스탬핑하거나 절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상기 표면에 있는 단부면의 적어도 일부가 튜브부의 내측을 향해 변위되도록, 상기 표면에 형성된 로킹 구멍의 개방 엣지를 변형(바림직하게는 굴곡 가공 또는 엠보싱 가공)시킴 으로써 유지부를 형성하는 것인 단자 연결구 제조 또는 형성 방법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읽어보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예의 하나의 특징이 추가적인 실시예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단자 연결구(T)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50)을 설명한다. 커넥터 하우징(5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이 커넥터 하우징(50)을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공동(51)이 마련되며, 각각의 공동(51)에는 이들 공동(51) 각각의 저벽을 따라 또는 저벽에서 실질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하고, 내측면(상부면)[실질적으로 공동(51)을 향하는 면]에 유지부(52a)가 마련된 (바람직하게는 외팔보형) 로킹부(52)가 마련된다. 전방 플레이트(53)가 커넥터 하우징(50)의 전면에 장착되고, 도시되지 않은 결합 커넥터에 장착되는 수형 단자 연결구의 하나 이상의 탭(54)이 전방 플레이트(53)에 형성된 탭 삽입 개구(53)를 통해 전방으로부터 공동(51)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다음에, 단자 연결구(T)를 설명한다.
각각의 단자 연결구(T)는 굴곡 가공, 절첩 가공, 프레싱 가공, 엠보싱 가공 등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소정 또는 미리 결정 가능한) 형상으로 스탬핑 또는 절결된 전도성(바람직하게는 금속) 플레이트 재료(Ta)로 제조되고, 전 체가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좁고 길며, 전방부(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전방 절반부)가 튜브부(10)(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사각형 또는 다각형)로서의 역할을 하고, 후방부(바람직하게는 대체로 후방으로부터 절반부)(11)가 와이어(W)와 접속되는 와이어 접속부(11)(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배럴 형상이거나 하나 이상의 배럴을 포함함)로서의 역할을 한다. 와이어 접속부(11)는 와이어(W) 단부(전방 단부)와 함께 전기 접속부로서 연결, 바람직하게는 크림핑 또는 굴곡 또는 절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튜브부(10)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전후 방향으로 좁고 긴 저부 또는 기부 플레이트(12)와, 저부 플레이트(12)의 대향하는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엣지들의 전방 영역(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전방 절반 영역)으로부터 대체로 상방으로 직립하거나 또는 돌출하는 한 쌍의 측부 플레이트(13L, 13R),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한쪽 측부(좌측) 플레이트(13L)(바람직하게는 이 플레이트의 상부 엣지 전체)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저부 플레이트(12)와 거의 평행한 다른 쪽(우측) 플레이트(13R)를 향해 연장되는 천장 또는 상부 플레이트(14)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천장 플레이트(14)에 있는 연장 단부(우측 엣지)의 전방 부분, 후방 부분 및 중앙 부분은 상방으로부터 우측 플레이트(13R)의 상부 엣지와 접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우측 플레이트(13R)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또는 대체로 탄성 컨택트 부재(25)를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전방 및/또는 후방) 로킹 플레이트(15F, 15R)가 바람직하게는 우측 플레이트(13R)와 실질적으로 접하지 않는 천장 플레이트(14)의 연장 단부의 2개의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에 형성된다. 전방 로킹 플레이 트(15F)는 전체가 거의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전방 로킹 플레이트의 저부 엣지는 높이 방향에 대하여 (직사각형) 튜브부(10)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후방 노치(16)는 이 저부 엣지의 후방 단부에 형성된다. 후방 로킹 플레이트(15R)는 전체가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이고, 이 후방 로킹 플레이트의 저부 엣지는 직사각형 튜브부(10)에서 하부 위치[저부 플레이트(12) 근처의 위치]에 위치하며, 저부 노치(17)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저부 엣지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거의 중간)에 형성된다. 다른 한편, 전방 로킹 플레이트(15F)의 저부 엣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거의 직사각형의 전방 로킹 구멍(18F)과, 후방 로킹 플레이트(15R)의 저부 노치(17)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인) 후방 로킹 구멍(18R)이 좌측 플레이트(13L)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인) 로킹 구멍(19)이 플레이트들(12, 13 및/또는 14)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저부 또는 기부 플레이트(12)[탭 삽입 공간(32)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측면에 있는 바람직한 플레이트 부분]에 형성된다. 측부(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3L, 13R)의 저부 엣지(저부 단부면)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로킹 구멍(19)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저부 플레이트(12)의 상부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 절결되고, 따라서 횡방향으로 대칭을 이루는 측부 노치(20)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측부 노치(20)를 형성함으로써, 측부(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3L, 13R)의 저부 엣지(저부 단부면)가 로킹 구멍(19)의 개방 영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개방 영역에 대응한다. 로킹 구멍(19)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측부(우측) 플레이트(13R) 저부 부분의 영역은 엠보싱 또는 굴곡 가공되어 내측 방향(폭 방향 중심을 향해서)으로 돌출하고, 따라서 침입 제한부(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입 제한부(2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거의 직사각형이고(예컨대, 도 3 참조) 및/또는 저부에서 보았을 때에 사다리꼴(예컨대, 도 4 참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로킹 플레이트(15F)의 후방 노치(16)는 침입 제한부(21)에 있는 상부 엣지의 전방 단부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로킹부(52)의 유지 돌출부(52a)와 체결 가능한 유지부(22)가 로킹 구멍(19)의 전방 엣지 또는 전방 엣지 근처에 형성된다. 유지부(22)는 저부 또는 기부 플레이트(12)에 있는 로킹 구멍(19)의 개방 엣지를, 단부면(12S)의 일부가 유지 돌출부(52a)(후방을 향함)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로킹 구멍(19)의 개방 엣지를 구성하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튜브부(10)(상방)의 내측으로 변위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스탬핑 또는 엠보싱 가공함으로써 소성 변형에 의해 형성된다. 유지부(22)는 (직사각형) 튜브부(10)에 대하여 폭 방향(횡방향)을 따라 측방으로(예컨대, 좌측)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며, 유지부(22)의 폭 방향 중심은 이후에 설명할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폭 방향 중심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유지부(22)의 상부면 또는 내측면은 측부 노치(20) 및/또는 침입 방지부(21)의 저부 엣지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거의 평탄한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컨택트 부재(2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직사각형 튜브부(10)에 수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컨택트 부재(25)는 저부 또는 기부 플레이트 (12)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굴곡 또는 절첩되고, 바람직하게는 후방 외팔보형이며,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좁고 길다. 탄성 컨택트 부재(25)는 저부 플레이트(12)의 전방 단부에 연결된 거의 반원형 굴곡부(26)와, 이 굴곡부(26)로부터 대체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7)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27)는 굴곡부(26)의 상부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상방 또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전방 경사부(28F)와, 이 전방 경사부(28F)의 후방 단부(연장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방 또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후방 경사부(28R)를 구비한다.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탄성 변형하지 않는 자유 상태에서, 탄성 컨택트 부재(25)는 그 전방 단부에서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자유 단부(25R)[후방 경사부(28R)의 후방 단부]가 저부 또는 기부 플레이트(12)로부터 상방 또는 내측 방향으로 떨어진 비접촉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탄성 컨택트 부재(25)는 실질적으로 측방(상방 또는 하방) 또는 적어도 지지 포인트인 굴곡부(26)에 의해 전후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고, 주로 굴곡부(26)를 탄성 변형시킨다.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외측 방향 또는 하방으로 탄성 변형될 때,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자유 단부(25R)는 저부 플레이트(12)의 상부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양자에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부(26)와 전방 경사부(28F)는 로킹 구멍(19) 전방에 있는 영역에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거의 돔 형상인) 상방 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 포인 트(29)는 전방 경사부(28F)의 후방 단부(즉, 가장 높은 부분)에 형성된다. 이 접촉 포인트(29)도 또한 로킹 구멍(19) 앞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경사부(28R)는 로킹 구멍(19)의 전방 엣지에서부터 후방 로킹 플레이트(15R)의 저부 노치(17)에 이르는 영역에서 연장되고, 후방 경사부의 전방 단부는 침입 제한부(21)에 거의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한다. 더욱이,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폭과 관련하여, 굴곡부(26)와 전방 경사부(28F)의 폭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방 경사부(28R)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의 폭은 전방 경사부(28F)의 그것과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후방 경사부(28R)의 영역은 그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를 제외하고는 전방 경사부(28F)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전방 돌출부(30F) 및 후방 돌출부(30R)는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측부(좌측 및/또는 우측) 엣지에 형성되어, 탄성 컨택트 부재(25)와 거의 동일한 평면에 있고, 폭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다. 측부(좌측 및 우측) 전방 돌출부(30F)들은 서로 거의 대칭이고, 접촉 포인트(29) 근처, 즉 접촉 포인트(29) 약간 앞에 배치된다. 전방 돌출부(30F)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전방 로킹 구멍(18F)과 전방 로킹 플레이트(15F)의 저부 엣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탄성 변형되지 않는 자유 상태에서, 우측 전방 돌출부(30F)의 상부면은 전방 로킹 플레이트(15F)의 저부 엣지 약간 아래에 위치하고 이 저부 엣지와 실질적으로 접하지 않으며, 좌측 전방 돌출부(30F)의 상부면은 전방 로킹 구멍(18F)의 상부 엣지 약간 아래에 위치하고 이 상부 엣지와 실질적으로 접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 후방 돌출 부(30R)는 횡방향으로 거의 대칭이고,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자유 단부(25R)(후방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된다. 후방 돌출부(30R)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후방 로킹 구멍(18R)과 후방 로킹 플레이트(15R)에 있는 저부 노치(17)의 상부 엣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자유 상태에서, 우측 후방 돌출부(30R)는 저부 노치(17)의 상부 엣지 약간 아래에 위치하고 이 상부 엣지와 실질적으로 접하지 않으며, 좌측 후방 돌출부(30R)의 상부면 후방 로킹 구멍(18R)의 상부 엣지의 약간 아래에 위치하고 이 상부 엣지와 실질적으로 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탄성 컨택트 부재(25)는 횡방향으로 거의 대칭이고, (직사각형) 튜브부(10)와 로킹 구멍(19)에 대하여 폭 방향을 따라 측방으로(좌측) 변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폭 방향 중심은 유지부(22)의 폭 방향 중심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 구멍(19)을 아래에서 보았을 때, 탄성 컨택트 부재(25)에 있는 후방 경사부(28R)의 전방 단부 영역이 거의 그 전체 폭에 걸쳐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장 플레이트(14)는 엠보싱 가공되어 하방으로 돌출하고, 따라서 탭 수용부(31)를 형성한다. 이 탭 수용부(31)의 폭 방향 중심은 (또한)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폭 방향 중심과 거의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상부면과 탭 수용부(31)의 하부면은 전방으로부터 직사각형 튜브부(10)로 삽입되는 탭이 진입하는 탭 진입 공간(32)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한다.
단자 연결구(T)를 삽입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뒤에서부터 커넥터 하우징(50)의 공동(5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튜브부(10)의 저부 플레이트(12)가 유지 돌출부(52a)와 실질적으로 접하게 되어 로킹부(52)가 외측 방향 또는 하방으로 탄성 변형된다. 단자 연결구(T)가 대체로 적절한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로킹부(5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상방 또는 내측으로 복귀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 돌출부(52a)를 로킹 구멍(19)에 끼워넣고, 유지 돌출부(52a)의 전방면은 실질적으로 인출 방향,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뒤에서부터 로킹 구멍(19)의 유지부(22)와 체결하며, 그 결과 단자 연결구(T)가 보유 상태로 유지된다. 전방 플레이트(53)에 형성된 탭 삽입 개구(55)를 통해 전방으로부터 탭 진입 공간(3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는 탭(54)은, 탄성 컨택트 부재(25)를 탄성 변형시키는 동안에 탭 수용부(31)와 접촉 포인트(29)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유지되며, 탭(54)과 (직사각형) 튜브부(10)는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기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다음의 기능과 효과를 갖는다.
(1) 유지부(22)에서, 저부 또는 기부 플레이트(12)에 형성된 로킹 구멍(19)의 개방 엣지의 일부를 구성 또는 형성하는 단부면(12S)은 실질적으로 로킹부(52)와 접촉 또는 접촉 가능하여 단자 연결구(T)를 유지한다. 단부면(12S)의 일부가 (직사각형) 튜브부(10)의 내측 방향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분의 두께만이 체결 마진으로서 역할을 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큰 체결 마진을 보장할 수 있다.
(2) 저부 플레이트(12)의 단부면(12S)의 일부가 실질적으로 로킹부(52)에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유지부(22)는 (직사각형 ) 튜브부(10)의 내측 방향을 향해 변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부 플레이트(12)의 외측면(하부면)과 단부면(12S) 사이의 경계가 실질적으로 엣지형 모서리부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자 연결구(T)에 인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저부 플레이트의 외측면(하부면)과 단부면 사이의 경계가 곡선면 형태인 경우와 같이 로킹부가 미끄러져서 유지부로부터 해제될 가능성이 없다.
(3) 탭(54)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하방 또는 외측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도가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탭(54)과 접촉하는 통상적인 상태의 탄성 변형도에 비해 커지는 경우, 접촉 포인트(29)에 대응하는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일부는 실질적으로 상부에서부터 유지부(22)와 접촉하고, 따라서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그 탄성 한계를 넘어서 과도하게 탄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단자 연결구(T)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인 유지부(22)도 또한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그 탄성 한계를 넘어서 과도하게 탄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는 과도한 변형 방지 기능을 갖기 때문에, 단자 연결구(T)의 형상은 예외적인 용도를 위한 과도한 변형 방지부가 유지부에 더하여 마련된 경우에 비해 단순화될 수 있다.
(4) 로킹 구멍(19)을 통해 침입하는 외부 요소가 외측 또는 아래로부터 탄성 컨택트 부재(25)를 상방 또는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전방 돌출부(30F)는 아래로부터 전방 로킹 플레이트(15F)의 저부 엣지 및 전방 로킹 구멍(18F)의 엣지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및/또는 후방 돌출부(30R)는 아래로부터 후방 로킹 플레이트(15R)의 저부 엣지 및 후방 로킹 구멍(18R)의 엣지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할 수 있으며, 따라서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탭 진입 공간(32)(상방)을 향해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로킹 플레이트(15F, 15R) 및/또는 하나 이상의 로킹 구멍(18F, 18R)은 로킹 구멍(19)의 전방 및/또는 후방의 2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외부 요소로부터 가압력을 받을 때에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경사질 가능성이 없다. 이로 인해,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탄성 변형의 지지 포인트인 굴곡부(26)가 소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로킹 구멍(19)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로킹 플레이트(15F) 및/또는 전방 로킹 구멍(18F)이 탄성 컨택트 부재(25)와 탭(54)의 접촉 포인트(29)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탄성 변형 지지 포인트[굴곡부(26)]를 제외한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영역이 변형되는 경우에도, 접촉 포인트(29)의 위치가 변경될 가능성이 없다. 따라서, 탄성 컨택트 부재(25)는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촉압에 의해 탭(54)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6) 로킹 구멍(19) 후방에(또는 실질적으로 결합 단자와의 결합측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후방 변위 방지부[후방 로킹 플레이트(15R) 및/또는 후방 로킹 구멍(18R)]가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자유 단부(25R)의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전후 방향을 따른 전방 변위 방지부[전방 로킹 플레이트(15F) 및/또는 전방 로킹 구멍(18F)]와 후방 변위 방지부[후방 로킹 플레이트(15R) 및/또는 후방 로킹 구멍(18R)] 사이의 간격은, 후방 변위 방지부가 자유 단부보다 탄성 변형 의 지지 포인트(전방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더 길다. 따라서,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외부 요소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전방 변위 방지부와 후방 변위 방지부 사이에서 변형될 때에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탄성 변형도가 억제될 수 있고, 탄성 컨택트 부재(25)는 전방 변위 방지부와 후방 변위 방지부 사이에서 소성 변형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7) 저부 또는 기부 플레이트(12)에는 탄성 컨택트 부재(25)를 (직사각형) 튜브부(10)의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로킹 구멍(19)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측부(우측) 플레이트(13R)에는 탄성 컨택트 부재(25)에 근접 또는 인접하고, 및/또는 로킹 구멍(19)의 개방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침입 제한부(21)가 마련된다. 따라서, 로킹 구멍(19)을 통한 외부 요소의 침입이 침입 제한부(21)에 의해 제한될 수 이으며, 따라서 이로 인해 외부 요소와 탄성 컨택트 부재(25)간의 간섭이 방지된다.
(8) 침입 제한부(21)는 폭 방향에 대하여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변형 공간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탄성 컨택트 부재(25)와 침입 제한부(21)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탄성 변형을 저지하는 일 없이, 탭(54)과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접촉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9)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폭 방향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인 튜브부(10)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탄성 컨택트 부재(25)와, 탄성 컨택트 부재(25)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진 측부 플레이트인 측부(우측) 플레이트(13R) 사이에 사공간(dead space)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점에 유의하여, 침입 제한부(21)를 이 사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직사각형 튜브부(10)에 있는 사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노력한다.
(10)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인 튜브부(10)의 바람직하게는 거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는 로킹 구멍(19)과, 이 로킹 구멍(19)의 개방 영역에 있는 직사각형 튜브부(10)의 측부(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3L, 13R)의 저부 단부면의 노출을 유의하여, 실질적으로 로킹 구멍(19)을 향하는 측부(우측) 플레이트(13R)의 저부 단부 부분이 엠보싱 가공되어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고, 이에 의해 침입 제한부(21)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또는 스탬핑 가공에 의한 이러한 제조 방법은 절삭과 굴곡 가공에 비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가공비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로킹부와 로킹 구멍의 체결에 의해서 실현되는 유지 기능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지부(22)에서 저부 또는 기부 플레이트(12)에 형성된 로킹 구멍(19)의 개방 엣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단부면(12S)이 로킹부(52)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 가능하여 단자 연결구(T)를 유지한다. 단부면(12S)의 적어도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거의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인) 튜브부(10)의 내측 방향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단지 저부 플레이트의 두께만이 체결 마진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큰 체결 마진을 부여할 수 있다. 유지부(22)는 저부 플레이트(12)의 단부면(12S)의 일부가 로킹부(52)와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 (직사각형/다각형) 튜브부(10)의 내측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저부 플레이트(12)의 외측면과 단부면(12S) 사이의 경계가 곡선면의 형태가 아닌 거의 엣지형 또는 예리하게 굴곡된 모서리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자 연결구(T)에 인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로킹부(52)가 미끄러져서 유지부(22)로부터 해제될 가능성이 없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전술하고 예로 든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청구 범위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외에도, 청구 범위에 의해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저부 플레이트의 폭 방향 중앙부를 엠보싱 가공함으로써 유지부를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라 저부 플레이트의 좌측 엣지 부분과 우측 엣지 부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양자를 엠보싱 가공함으로써 유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엠보싱 가공으로 유지부를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라 저부 플레이트를 절단하고 이 절단부를 굴곡시킴으로써 유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탄성 컨택트 부재의 폭 방향(횡방향) 중심이 직사각형 튜브부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벗어났지만, 본 발명은 또한 탄성 컨택트 부재의 폭 방향(횡방향) 중심이 직사각형 튜브부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서로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일치하는 단자 연결구에도 적용 가능하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지부가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도 또 한 갖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부에 그러한 기능이 없을 수도 있다.
(5) 암형 단자 연결구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또한 수형 단자 연결구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부와 로킹 구멍의 체결에 의한 단자 연결구의 유지 기능의 신뢰도가 향상되어 단자 연결구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Claims (10)

  1. 커넥터 하우징(50)의 공동(5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이 커넥터 하우징의 로킹부(52)와 체결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유지되는 단자 연결구(T)로서,
    튜브부(tube portion)(10)와, 이 튜브부(10)의 표면(12)에 형성되고 그 개방 엣지(12S)가 로킹부(52)와 체결되는 유지부(22)로서의 역할을 하는 로킹(locking) 구멍(19)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부(22)는, 로킹 구멍(19)의 개방 엣지(12S)로서의 역할을 하는 표면(12)의 단부면(12S)의 적어도 일부가 튜브부(10)의 내측 방향을 향해 변위되도록, 표면(12)에 형성된 로킹 구멍(19)의 개방 엣지(12S)를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단자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로킹 구멍(19)의 개방 엣지(12S)로서의 역할을 하는 표면(12)의 단부면(12S)의 적어도 일부는 로킹부(52)와 대향하는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단자 연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10)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탄성 컨택트 부재(25)는 유지부(22)와 접촉하여,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탄성 변형도가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탭(54)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될 때의 탄성 변형도보다 크게 되는 경우에, 탄성 컨택트 부재가 그 탄성 한계에 근접하거나 또는 초과하여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인 단자 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탭(54)은 탄성 컨택트 부재(25)와, 로킹 구멍(19)이 형성된 표면(12)에 대향하는 튜브부(10)의 표면(14)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것인 단자 연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폭 방향 중심은 유지부(22)의 폭 방향 중심과 일치하는 것인 단자 연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10)의 표면(14)에 하나 이상의 로킹 플레이트(15F; 15R)가 제공되어, 상기 탄성 컨택트 부재(25)가 탭(54)과 접촉할 때에 변형 방향에 대하여 0°또는 180°가 아닌 각도의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변위 방지부로서의 작용을 하는 것인 단자 연결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컨택트 부재(25)의 폭 방향 중심은 튜브부(10)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것인 단자 연결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구멍(19)에 인접하고 대응하는 튜브부(10)의 영역(13R)이 엠보싱 가공 또는 굴곡 가공되어 내측 방향으로 돌출함으로써, 로킹 구멍(19)의 개방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침입 제한부(21)를 형성하는 것인 단자 연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제한부(2)는 폭 방향에 대하여 탄성 컨택트 부재(25)를 위한 변형 공간 외측에 위치하는 것인 단자 연결구.
  10. 커넥터 하우징(50)의 공동(5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이 커넥터 하우징의 로킹부(52)와 체결됨으로써 커넥터 하우징 내부에 유지되는 단자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튜브부(10)의 표면(12)에 로킹 구멍(19)이 형성되도록, 플레이트 재료(Ta)를 특정 형상으로 스탬핑 또는 절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구멍(19)의 개방 엣지(12S)는 로킹부(52)와 체결되는 유지부(22)로서의 역할을 하며, 상기 로킹 구멍(19)의 개방 엣지(12S)로서의 역할을 하는 표면(12)에 있는 단부면(12S)의 적어도 일부가 튜브부(10)의 내측 방향을 향해 변위되도록 상기 표면(12)에 형성된 로킹 구멍(19)의 개방 엣지(12S)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유지부(22)를 형성하는 것인 단자 연결구 제조 방법.
KR1020060009287A 2005-02-02 2006-01-31 단자 연결구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3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26660A JP2006216313A (ja) 2005-02-02 2005-02-02 端子金具
JPJP-P-2005-00026660 2005-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829A KR20060088829A (ko) 2006-08-07
KR100653666B1 true KR100653666B1 (ko) 2006-12-05

Family

ID=3588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287A KR100653666B1 (ko) 2005-02-02 2006-01-31 단자 연결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89124B2 (ko)
EP (1) EP1689035B1 (ko)
JP (1) JP2006216313A (ko)
KR (1) KR100653666B1 (ko)
CN (1) CN1819356B (ko)
DE (1) DE602006001472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020B1 (ko) 2006-12-18 2010-07-30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단자 피팅, 커넥터 및 단자 피팅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3135B2 (en) * 2005-02-02 2007-05-2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JP5700811B2 (ja) 2011-03-30 2015-04-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R2983386B1 (fr) * 2011-11-26 2015-06-12 Johnson Contr Automotive Elect Procede pour la mise en contact d'une carte imprimee electronique avec une pluralite d'elements de contacts dans un boitier recevant ou entourant la carte imprimee electronique et boitier
US9118130B1 (en) * 2014-02-06 2015-08-25 Delphi Technologies, Inc. Low insertion force terminal
JP6276113B2 (ja) * 2014-06-02 2018-02-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9917389B2 (en) * 2015-09-14 2018-03-13 Erich Jaeger Gmbh & Co. Kg Flat terminal and socket for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JP2022068979A (ja) * 2020-10-23 2022-05-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863A (ko) * 1997-08-29 1999-03-25 세이취크 제이 엘. 단락회로 터미널 및 컨넥터
KR100198410B1 (ko) 1994-10-17 1999-06-15 루이스 에이. 헥트 단자 로킹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US6010377A (en) 1996-03-11 2000-01-04 Molex Incorporated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743A (en) 1990-07-11 1993-08-17 Yazaki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pair of terminals having a low friction material on a mating surface to facilitate connection of the terminals
US5593328A (en) * 1993-11-04 1997-01-1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emale terminal fitting for connector
FR2749443B1 (fr) * 1996-06-03 1998-08-21 Framatome Connectors Int Born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a zone de transition renforcee
DE19826828C2 (de) * 1998-06-16 2000-06-08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Einstückige Kontaktfeder
JP4103333B2 (ja) * 2000-12-28 200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における導通検査方法
JP3801889B2 (ja) 2001-09-07 2006-07-26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3157924A (ja) 2001-11-22 2003-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側端子金具
JP3415138B1 (ja) * 2002-06-06 2003-06-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410B1 (ko) 1994-10-17 1999-06-15 루이스 에이. 헥트 단자 로킹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US6010377A (en) 1996-03-11 2000-01-04 Molex Incorporated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terminal
KR19990023863A (ko) * 1997-08-29 1999-03-25 세이취크 제이 엘. 단락회로 터미널 및 컨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020B1 (ko) 2006-12-18 2010-07-30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단자 피팅, 커넥터 및 단자 피팅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2619A1 (en) 2006-08-03
EP1689035B1 (en) 2008-06-18
KR20060088829A (ko) 2006-08-07
CN1819356A (zh) 2006-08-16
EP1689035A1 (en) 2006-08-09
JP2006216313A (ja) 2006-08-17
DE602006001472D1 (de) 2008-07-31
CN1819356B (zh) 2010-10-06
US7189124B2 (en)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666B1 (ko) 단자 연결구 및 그 제조 방법
EP1689037B1 (en) A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forming it
US7347747B2 (en) Terminal fitting with a resilient reinforcing piece
EP2107645B1 (en) A terminal fitting
US6733346B2 (en)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a method for forming a terminal fitting
JP3539673B2 (ja) コネクタのガタ防止構造
US6179643B1 (en) Connector lock mechanism
EP1890363B1 (en) A female terminal fitting
EP1689034B1 (en) A terminal fitting,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of forming a terminal fitting
US7204728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JP2907373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結合検知構造
US6679739B2 (en)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use thereof
US7101233B2 (en) Female terminal fitting
US7001214B2 (en) Connector
EP1689036B1 (en) A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and a method of forming a terminal fitting
JP4244939B2 (ja) 端子金具
US7094101B1 (en) Terminal fitting
US6629864B2 (en) Electrical contact for plug-in connector
JP6782574B2 (ja) コネクタ
US6196884B1 (en) Female metal terminal that stably connects with male metal terminal
US6283803B1 (en) Electrical contact
KR20010062541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6692303B2 (en) Terminal fitting, a connector and a method for forming a terminal fitting that facilitate insertion of the terminal fitting into the connector
JPH0672176U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US7165993B2 (en) Connector and method of molding a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