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2541A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2541A
KR20010062541A KR1020000079008A KR20000079008A KR20010062541A KR 20010062541 A KR20010062541 A KR 20010062541A KR 1020000079008 A KR1020000079008 A KR 1020000079008A KR 20000079008 A KR20000079008 A KR 20000079008A KR 20010062541 A KR20010062541 A KR 20010062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nnector
latch arm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히로 카와마에
슈지 카지누마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62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5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Abstract

본 발명은 각 각이 셸을 가지며, 서로 래치 결합하는 한 쌍의 전기 커넥터로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소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끼리 감합했을 때, 커넥터(2)의 셸(6)에, 그 내측에서 타측 커넥터의 셸(104)이 슬라이딩 상태로 접해 있다. 셸(104)의 단부(段部)(152)는 셸(6)의 단부(段部)(14) 하측에 위치하며, 각 각의 단부(152),(14)에 형성된 개구(118),(34)는 완전 감합시에 서로 얼라인된다. 감합 도중에는 래치 아암(10)의 클릭(32)은 단부(152)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개구(118)에 이르면, 판 스프링(47)의 작용으로 개구(118)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걸어맞춰진다. 이어, 이 결합(걸어맞춤)을 해제할 때에는 래치 아암(10)의 누름부를 손가락으로 잡으면, 지레 작용에 의해 계지부(3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클릭(32)이 개구(118)로부터 이탈되어 결합(걸어맞춤) 상태가 해제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래치 아암을 갖는 일측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설치되어 래치 결합하는 기판장착형 타측 커넥터로 이루어진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판장착형의 전기 커넥터는 다른 전자/전기부품이 실장되는 프린트 배선판(이하, 프린트판이라 한다)위에 장착되기때문에, 다수의 부품이 효율적으로실장되도록 사이즈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판 실장형의 커넥터와 감합(嵌合)하는 커넥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종래의 커넥터로서는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1-140780호에 개시된 기판장착형 전기커넥터가 잘 알려져 있다. 이 커넥터는 셸 감합부의 외측에 배치된 한 쌍의 록킹 레버를 눌러 조작함으로써, 록킹 레버의 선단부 즉 상대 커넥터와의 계지부를 좌우로 벌리도록 한 것이다.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걸어맞춤) 해제는 이 록킹 레버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소형화 및 조작의 용이성을 목적으로 고안된, 특허 공개공보 평10-154550호, 특허 공개공보 평11-162566호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중, 특허 공개공보 평10-154550호의 커넥터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이 커넥터(200)에는 하우징 본체(202)의 측면에 평행판면을 가지며, 선단에 결합(걸어맞춤)을 위한 갈고리부(214)를 갖는 탄성변형가능한 록킹 부재(20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록킹 부재(204)의 탄성아암부(206)에는 경사진 피압부(被壓部)(20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록킹 부재의 외측에는 피압부(208)와 대응하는 위치에 경사면(209)을 갖는 누름부(212)가 돌출 형성된 해제버튼(210)이 배치되어 있다. 해제버튼(210)을 누름으로써 누름부(212)가 피압부(208)를 눌러, 록킹 부재(204)의 선단 갈고리부(214)를 밑으로 눌러내리고, 그로 인해 상대측 커넥터와의 결합(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갈고리부(214)는 하우징 본체(202)의 감합부(끼워맞춤부)(216)에 의해 록킹 부재(204)의 판면내에서 오르내린다.
상기 특허 공개공보 평11-162566호의 커넥터도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1-140780호에 개시된 종래예의 전기 커넥터는 셸 감합부의 양단 외측에 록킹 레버 및 록킹 레버의 계지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의 폭, 즉 감합부의 길이방향 칫수를 작게 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도 12에 설명한 특허 공개공보 평 10-154550호에서는 해제버튼(210)의 수평방향 조작을 갈고리부(214)의 수직방향 이동으로 변환하여 결합 해제할 필요가 있으므로, 록킹 부재(204)의 좌우 방향 즉 감합부의 길이방향 이동량은 적지만, 해제버튼(210)의 조작력 즉 누름력을 작게 하고자 하면, 경사면(209)의 길이를 크게 하고, 그에 따라 해제버튼(210)의 이동량을 크게 해야만 하므로, 커넥터의 폭방향 칫수를 작게 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또, 록킹 부재(204)의 갈고리부(214)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량에 따라서는 커넥터의 상하방향 칫수를 작게 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또한, 커넥터(200)의 감합부(216)가 직사각형 형상이어서, 상대 커넥터에 역으로 설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폭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사이즈가 작은 소형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들의 역 삽입을 방지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를 부분적으로 파단하여 나타낸 도 1과 동일한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의 셸(shell)을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A)에 나타낸 셸을 화살표(C)로부터 본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전기 커넥터의 래치 아암을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확대 정면도.
도 6은 상측 셸을 떼어낸 상태의 도 3과 동일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타측 리셉터클형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8은 상측 콘택트 부분에서 단면한 도 7의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7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셸을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10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11은 전기 커넥터 끼리 감합했을 때의 셸의 결합 관계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 플러그형 전기 커넥터 4 : 커버 부재
6, 104 : 셸 10 : 래치 아암
20 : 암형(female) 콘택트 30 : 계지부(係止部)
32 : 클릭(click)(걸림돌기) 38 : 누름부(조작부)
46 : 래치 아암의 본체 60, 102 : 하우징
100 : 리셉터클형 전기 커넥터 108 : 수형(male) 콘택트
118 : 개구(피계지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감합하는 한 세트의 커넥터를 가지며,일측 커넥터에는 콘택트를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포위하는 셸, 상기 셸을 덮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벌어지는 한쌍의 래치 아암이 형성되고, 타측 커넥터에는 상기 셸과 결합하는 타측 셸 및 상기 래치 아암의 계지부와 결합하는 피계지부(被係止部)가 형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아암의 상기 계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감합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된 평면내에서 이동하는, 선단에 상기 피계지부와 결합하는 걸림 돌기를 갖는 평판 형상이며, 상기 피계지부가 상기 타측 커넥터의, 상기 길이 방향에 따라 형성된 상기 타측 셸의 일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래치 아암의 본체는 감합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로 뻗는 판형상이며, 계지부를 래치 아암의 본체 선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양 셸은 감합부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각 각의 셸의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이 으로 할 수 있다.
길이 방향과 직교한다는 것은 반드시 90°의 각도를 갖을 필요는 없으며, 다소 어긋난 각도이어도 좋다.
판 형상이란 완전한 평면일 필요는 없으며, 다소의 요철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클릭은 양 셸내에 진입하도록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래치 아암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이하, 단순히 조립체라 한다)(1)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립체(1)에 사용되는 한쪽 플러그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한다)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커넥터(2)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커넥터(2)를 부분적으로 파단하여 나타낸 도 1과 동일한 평면도를 각 각 나타낸다.
이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넥터(2)는 케이블(8)의 단부(端部)에 장착되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부(後部)가 좁은 폭으로 된 한 세트의 수지제 커버 부재 절반체(4a),(4b)로 이루어진 커버 부재(4)와, 이 커버 부재(4)에 수용되는 금속제 실드(차단)용 셸(6), 및 래치 아암(10)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4)에 의해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요홈부(12)내에는 상술한 셸(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셸(6)의 상부 양측에는 단부(段部)(14)가 형성되며, 또한 이들 단부(14)에는 각 각 후술하는 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요홈부(12)의 거의 중앙에는 수지제의 리브 또는 플랫 폼(18)이, 요홈부(12)내를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리브(18)의 상하 양면에는 복수의 수형 콘택트(이하, 단순히 콘택트라 한다)(20)가 리브(18)의 면을 따라 배설되어 있다. 상측 콘택트(20)와 하측 콘택트(20)는 서로 틀리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측 열의 일단측, 즉 도 2에서 좌측에는 전원 콘택트(21)가 배치되며, 하측 열의 타단측, 즉 이 전원 콘택트(21)에서 가장 먼 단부(端部)에는 다른 전원 콘택트(21)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 콘택트(21)와 마주보는 위치에는 다른 신호 콘택트(20)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전원 콘택트(21)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접근해 있지 않으므로 발생하는 열은 효과적으로 발산된다.
이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셸(6)의 후부는 커버 부재(4)의 형상을 모방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속제 페룰(ferrule)(22)은 케이블(8)에 씌워 끼워지며, 그 후 셸(6)과 함께 케이블(8)위에 압착된다. 셸(6)의 측벽, 즉 후술하는 상측 셸(6c)의 측벽(24)과 커버 부재(4)의 측벽(26) 사이에는 공간(28)이 형성되며, 이 공간(28)내에 래치 아암(10)이 배치되어 있다(도 2). 래치 아암(10)은 한쪽측을 나타내는데, 커버 부재(4)의 반대측에도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 래치 아암(10)은 좌우 대칭 관계에 있다. 래치 아암(10)은 그 전체 길의의 거의 중앙부에 축받이부(6)를 가지며, 누름부(조작부)(38)를 누르면 이 축받이부(26)을 중심으로 래치 아암(10)은 요동하며, 선단부의 계지부(30)는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받이부(36)는 커버 부재(4)와 일체로 성형된 핀(축받이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래치 아암(10)의 계지부(30)는 클릭(32)을 가지며, 이 클릭(32)은 셸(6)의 개구(34)내에 진입하거나, 혹은 빠져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래치 아암(10)의 상세에 대해 후술한다.
도 4는 셸(6)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셸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A)에 나타낸 셸(6)을 화살표(C)로부터 본 측면도를 각 각 나타낸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셸(6)은 금속판으로 절곡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평판형상의 베이스부(40)를 갖는 하측 셸(6b)과, 이 하측 셸(6b)위에 씌워지는 가상선으로 나타낸 상측 셸(6c)과, 베이스부(40)의 전방에 베이스부(40)와 일체로 형성된프레임형상의 전부(前部) 셸(6a)로 구성된다. 전부 셸(6a) 부분을 제외한 베이스부(40)의 양측 가장자리(40a)로부터는, 벽(42)이 설치되어 후부의 하측 셸(6a)이 형성된다. 상측 셸(6c)은 하측 셸(6c)와 거의 동일한 형상이며, 하측 셸(6b)에 의해 씌워져 후부 셸(6d)이 구성된다. 상측 셸(6c)의 하부 가장자리(11)에는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클릭(9)이 뻗어나가며, 이 클릭(9)이 하측 셸(6b)의 베이스부(40) 외측으로 절곡되어 고정된다. 상측 셸(6c)로부터는 전방에 직사각형의 연장편(7)이 전부 셸(6a)을 향해 절곡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셸(6)이 조립되었을 때에 연장편(7)이 전부 셸(6a)을 누르도록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함이다. 전부 셸(6a)은 베이스부(40)의 양측 가장자리(40a)로부터 일체의 금속편이 좌우로 뻗어나오며, 더 위쪽으로 절곡되어 측벽(13)을 형성하고, 이어 단부(14)를 거쳐 베이스부(40)와 평형하게 절곡되며, 상부 거의 중앙에서 맞대어지도록 하여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 양측에 형성된 단부(14),(14)에는 전부 셸(6a)의 전단 부근에 전술한 직사각형의 개구(34)가 각 각 형성된다. 전부 셸(6a)과 후부 셸(6b) 사이에는 틈새(44)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래치 아암(1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래치 아암(10)의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확대한 정면도를 각 각 나타낸다. 이하, 도 5(A) 내지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래치 아암(10)은 한 개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블랭킹, 절곡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판형상의 본체(46) 후단부에 절곡부(48)를 거쳐, 판형상의 누름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46)의 전단부에는 슬롯(52)이 형성되며, 이 슬롯(52)으로부터 더 전방으로 뻗어나가는, 본체(46)보다 폭이 좁은 판형상 부분이상술한 계지부(30)가 된다. 계지부(30)는 본체(46)의 폭 거의 중간 위치에서 본체(46)와 거의 직각으로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에는 상기 클릭(걸림 돌기)(32)가 계지부(3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릭의 선단에는 테이퍼(32a)가 형성되며, 커넥터끼리의 감합시에 후술하는 상대측 커넥터의 셸에 올라타서, 원활한 슬라이딩 및 결합(걸어맞춤)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체(46)의 거의 중앙에는 상기 축받이부(3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축받이부(36)는 본체(46)의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다. 즉 (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46)에 원호 형상 부분(36a),(36b),(36c)을 본체(46)의 길이 방향으로 전단(剪斷)하고 엠보싱하여, 원호 형상 부분(36a),(36b),(36c)을 본체(46)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설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5(B)에서 원호 형상 부분(36a),(36b),
(36c)은 지면(紙面)의 앞쪽으로 불룩하게 나오고, 원호 형상 부분(36b)은 지면의 건너편쪽으로 불룩하게 나오도록 원호 형상 부분(36a),(36b),(36c)이 번갈아 형성된다(도 5(c)). 이로 인해, 원호 형상 부분(36c),(36b),(36c)의 내측에는 그들이 서로 협동하여 관통 홀(50)이 형성된다. 이 관통 홀(50)에 상기 핀이 삽입 관통되어 래치 아암(10)이 핀의 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축받이부(36)와 절곡부(48) 사이에는 래치 아암(10)의 길이 방향으로 뻗는 판 스프링(47)을, 계지부(30)와 같은 쪽으로 엠보싱되어 형성된다. 판 스프링(47)의 고정단(47a)은 축받이부(36) 부근에 위치하며, 자유단(47b)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셸(6)의 벽(24)에 닿도록 뻗어 나와 있다. 이로 인해 래치아암(10)이 장착되었을 때는, 판 스프링(47)에 의해 누름부(38)가 항상 바깥쪽으로 힘을 받고, 동시에 계지부(30)는 내측으로 힘으로 받는다.
도 6은 상측 셸(6c)을 떼어낸 상태의 도 3과 동일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면 중 60은 콘택트(20)(도 2)를 전선(62)에 접속시킨 부분을 덮는 하우징이다. 커버 부재(4)의 후단에는 커버 부재(4)와 일체가 된 그로밋트(grommet)(64)가 형성되며, 케이블(8)을 굴곡했을 때에 이 그로밋트(64)로 케이블(8)에 과도한 절곡력(折曲力)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4)의 측벽(26)의 전부(前部) 부근에는 래치 아암(10)의 계지부(30)가 바깥쪽으로 요동했을 때에 측벽(26)과 간섭하지 않도록 개구(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68은 셸(6)에 형성된 직사각형 요홈부이며, 커버 부재(4)의 상보적인 볼록부(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하여 셸(6)과 커버 부재(4)와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이 부분은 실드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절개하지 않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7에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1)에 사용되는 타측 전기 커넥터(이하, 단순히 커넥터라 한다)가 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낸다. (A)는 커넥터(100)의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를 각 각 나타낸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0)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우징(102)에는 하우징(102)의 전단측으로부터 금속제 셸(104)이 씌워져 있다. 셸(104)은 하우징(102)의 상면 및 하면에 각 각 2군데씩 형성된 4군데의 걸림턱(106)에 의해 계지되어 있다. 셸(104)의 상면(117) 전단 부근의 양측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피계지부)(1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18)에는 커넥터끼리 감합했을 때, 상기 래치 아암(10)의 클릭(32)이 진입하여 걸어맞춰져, 커넥터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우징(102)의 후부로부터는 하우징(102)에 장착된 암형 또는 탄성 콘택트(이하, 단순히 콘택트라 한다)(108)의 타인(110)이 돌출되어 있다.
도 7(B)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2)의 전면으로 개구하는 직사각형의 오목부(112)내에는 복수의 콘택트(108)가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108)는 신호용이며, 상측 콘택트 열과 하측 콘택트 열은 서로 틀리게 배열되어 있다. 도 7(B)에 있어서 상측 콘택트 열의 우측에는 폭이 넓은 전원 콘택트(이하, 단순히 콘택트라 한다)(114)가 배치되며, 하측 콘택트 열의 좌측에는 동일한 다른 콘택트(114)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114)는 하우징(102)의 감합부(116)가 되는 오목부(112)내에서 서로 가장 멀어지는 대각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콘택트(114)가 마주보는 위치에는 다른 어떠한 콘택트도 없이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콘택트(108)보다 많은 열이 발생하는 콘택트(114)들은 서로거리가 떨어져 있으므로, 발생된 열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주위의 공간으로 효과적으로 발산된다. 셸(104)은 하우징(102)에 설치되었을 때 하우징(102)의 측면을 거의 덮으며, 셸(104)의 전면(120),(121)은 하우징(102)의 감합면(122)과 거의 면일치가 된다.
도 8은 상측 콘택트(108) 부분에서 단면한 종단면도를 나타내는데, 콘택트(108)는 단면하지 않고 나타낸다. 콘택트(108)는 한 개의 금속판으로 블랭킹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직선 형상의 본체(124), 본체(124)로부터 전방 동시에오목부(112)의 내측을 향해 뻗는 접촉편(126), 본체(124)로부터 후방으로 프린트판(130)을 향해 뻗으며, 또한 프린트판(130)의 표면(130a)을 따라 형성되도록 절곡된 타인(tine)(110)을 갖는다. 상열(上列)의 콘택트(108)의 타인(110)은 하열(下列)의 콘택트(108)의 타인(110)보다, 프린트판(130)까지의 거리 차이분만큼 높아져 있다. 본체(12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버브(barb)(가시)가 적절한 개수로 형성되며, 하우징(102)의 콘택트 삽입용 캐비티(132)로 압입했을 때, 캐비티(132)의 내벽과 간섭 결합하여 계지된다. 접촉편(126)의 선단부(126a)는 상대열의 콘택트(108)쪽으로 돌출하는 만곡부(彎曲部)(134)가 형성된다. 커넥터 끼리 감합하면 플러그쪽 커넥터(1)의 콘택트(20)가 이들 접촉편(126) 사이에 배치되며, 각 각 대응하는 콘택트 끼리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커넥터(100)가 프린트판(130)에 고정되면, 타인(110)은 프린트판(130)위의 도시하지 않은 도전 패드에 납땜되어 고정된다. 또한, 셸(104) 후부의 레그(다리부)(136)는 프린트판(130)의 대응하는 관통 홀(138)에 삽입되어 접지 접속된다.
도 9는 셸(104)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이다. 셸(104)은 한 개의 금속판으로 블랭킹,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셸(104)의 본체(140)는 하측에서 금속판의 끝 가장자리(142)가 맞대어지도록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도 9(B))). 본체(140)의 상면(117)로부터 2개의 설편(舌片;tongue piece)(144)이 이격되어 후방으로 뻗어나와 있다. 이 설편(144)의 선단에는 직사각형의 개구(146)가 형성되며, 하우징(102)의 상기 걸림턱(106)과 결합된다. (도 7(A),도 8) 본체(140)의 측면(148)로부터는 후방을 향해연장부(150)가 각 각 뻗어나와 있다. 이 연장부(150)는 선단에 이르는 도중에 과도부(150a)를 거쳐 약간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다. 연장부(150)의 선단(150b)으로부터는 또한 직사각형의 돌기(172)가 뻗어나오며, 선단 하부로부터 레그(136)가 아래쪽으로 늘어져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상면(117)이 양측 단부(152)를 거쳐 2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118)가 상면(117)으로부터 단부(152) 부근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이로 인해 플러그측 커넥터(1)의 클릭(32) 수용이 가능해진다. 더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도 10은 하우징(102)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이다. 하우징의 후부 양측에는 장착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160)에는 앞쪽에서 뒷쪽을 향해 뻗는 슬롯(162)이 형성되며, 이 슬롯(162)의 깊숙한 내부에는 더 안 깊숙히 뻗는 정지홈(164)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2)의 상면(166) 앞부분에는 앞면(168)로부터 뻗는 단부(166a)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양면(166),(170)에는 상술한 걸림턱(106)이 4군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두께가 두꺼운 상면(166)에, 물러남 방지를 위한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셸(104)이 하우징(102)에 씌워지면, 셸(104)의 연장부(150) 선단부는 하우징(102)의 장착부(160) 슬롯(162)으로 진입하며, 셸(104)의 돌기(172)가 정지홈(164)에 취부된다. 또한, 셸(104)의 단부(段部)(152)는 하우징(102)의 단부(166a)위에 위치하며, 셸(104)의 개구(146)는 걸림턱(106)에 걸어맞춰진다.
도 11은 커넥터 끼리 감합했을 때의 셸(6),(104)의 결합(걸어맞춤) 관계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A)는 커넥터(2)의 래치 아암(10)이 커넥터(100)의셸(104)과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는 래치 아암(10)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각 각 나타낸다. 커넥터(2)의 셸(6)에, 그 내측에서 타측 커넥터(100)의 셸(104)이 슬라이딩 상태로 접해 있는데,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커넥터(100)에 대해서는 셸(104)만 나타낸다. 셸(104)의 단부(152)는 셸(6)의 단부(14) 하측에 위치하며, 각 각의 단부(152),(14)에 형성된 개구(118),(34)는 커넥터 끼리의 완전 감합시에 서로 얼라인(align)된다. 감합 도중에는 래치 아암(10)의 클릭(32)은 셸(104)의 상면(117) 양측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개구(118)에 이르면 개구(118)내에, 판 스프링(47)의 작용으로 개구(118)의 내측에 진입하여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춰진다.
이어, 이 결합(걸어맞춤)을 해제할 때에는 래치 아암(10)의 누름부(38)를 손가락으로 잡으면, 지레 작용에 의해 계지부(30)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클릭(32)이 개구(118)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양 커넥터(2),(100)의 결합이 해제되게 되어, 커넥터들을 앞지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으로,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커넥터의 형상에 따라 셸의 형상, 및 래치 아암의 형상을 바꿀 수 있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핀은 별개의 부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래치 아암의 계지부가 하우징의 감합부의길이방향에 따라 형성된 평면내에서 이동하는, 선단에 타측 커넥터의 피계지부와 결합하는 클릭을 갖는 평판형상이며, 피계지부가 타측 커넥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벽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클릭이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고, 커넥터의 길이 방향 칫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래치 아암의 본체가 감합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로 뻗는 판형상이며, 계지부가 상기 본체의 선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래치 아암의 본체는 폭방향으로도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으므로 폭방향 및 높이 방향의 양쪽 칫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양 셸이 감합부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각 각의 셸의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인 경우는, 커넥터들을 역으로 장착하려고 하여도, 셸의 형상이 대칭이 아니라 역삽입이 불가능하므로, 커넥터의 역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서로 갑합하는 한 세트의 커넥터를 가지며, 일측 커넥터에는 콘택트를 갖는 절연성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포위하는 셸, 상기 셸을 덮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벌어지는 한 쌍의 래치 아암이 형성되고, 타측 커넥터에는 상기 셸과 결합하는 타측 셸 및 상기 래치 아암의 계지부와 결합하는 피계지부가 형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아암의 상기 계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감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평면내에서 이동하는, 선단에 상기 피계지부와 결합하는 걸림 돌기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상기 피계지부가 상기 타측 커넥터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타측 셸의 일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아암의 본체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로 뻗는 판형상이며, 상기 계지부가 상기 본체의 선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셸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뻗는 상기 각 각의 셸의 중심선에 대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000079008A 1999-12-21 2000-12-20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010062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308099A JP2001176608A (ja) 1999-12-21 1999-12-21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11-363080 1999-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541A true KR20010062541A (ko) 2001-07-07

Family

ID=1847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008A KR20010062541A (ko) 1999-12-21 2000-12-20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22387B2 (ko)
JP (1) JP2001176608A (ko)
KR (1) KR20010062541A (ko)
CN (1) CN118893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4573B2 (ja) * 2001-08-31 2011-09-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4014384A (ja) * 2002-06-10 2004-01-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ロック付きコネクタ
US6585537B1 (en) * 2002-10-24 2003-07-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end connector with locking member
JP4137677B2 (ja) * 2003-03-19 2008-08-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アダプタ装置
JP4321710B2 (ja) 2004-04-07 2009-08-2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シールド型コネクタ
TWM261868U (en) * 2004-06-18 2005-04-11 Advanced Connectek Inc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device
JP2010177132A (ja) * 2009-01-30 2010-08-12 Hitachi Cable Ltd ラッチ構造及び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CN201397956Y (zh) * 2009-03-23 2010-0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TWI544694B (zh) * 2014-05-15 2016-08-01 Advanced Connectek Inc Plug electrical connector and socket electrical connector
TWM514669U (zh) * 2015-04-30 2015-12-21 Kinnexa Inc 電連接器之結構改良(一)
US9391396B1 (en) * 2015-06-15 2016-07-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atch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7413B2 (ja) 1987-11-27 1997-10-27 光技術研究開発株式会社 半導体受光装置
US5213533A (en) * 1992-04-23 1993-05-25 Intercon Systems, Inc. Electrical connector block assembly
US5380223A (en) * 1993-11-24 1995-01-10 The Whitaker Corporatio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5788528A (en) * 1996-07-29 1998-08-04 Woven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with a releasable clip
JP3250787B2 (ja) 1996-11-25 2002-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ロック装置
US5741150A (en) * 1996-12-19 1998-04-21 The Whitaker Corporation Unitary spring latch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11162566A (ja) 1997-11-27 1999-06-18 Smk Corp コネクタプラグのロック手段
US6056578A (en) * 1998-01-13 2000-05-02 Advanced-Connectek, Inc.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US6149451A (en) * 1998-06-12 2000-11-21 Atl Technology, Inc. Cable connector latching device
TW435851U (en) * 1998-12-24 2001-05-16 Hon Hai Prec Ind Co Ltd Locking device of electrical connector
TW420418U (en) * 1999-05-15 2001-01-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6217364B1 (en) * 1999-07-09 2001-04-1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guide pin latch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22387B2 (en) 2001-11-27
US20010004563A1 (en) 2001-06-21
JP2001176608A (ja) 2001-06-29
CN1301066A (zh) 2001-06-27
CN1188934C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0472B1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
US712858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unlocking means
US6146205A (en) Cable connector
KR200438440Y1 (ko) 정합 보호 및 정렬 수단을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
US686930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70149054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2007184231A (ja) コネクタプラグ
JP3539673B2 (ja) コネクタのガタ防止構造
US2008017644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ing devices
US6814605B2 (en)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JP3080186U (ja) コネクタ
US6168467B1 (en) Receptacle connector
KR100653666B1 (ko) 단자 연결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010062541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753415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US5759057A (en) Connector with hybrid latch device
US8425248B2 (en) Plug electrical connector with elastic latch
US73711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sition means
JP2004055485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09059672A (ja) 電気コネクタ
JP407402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EP119380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ale connector used in the same
JP2676063B2 (ja) コネクタ
JPH11204184A (ja) コンタクト保持装置付き電気コネクタ
TWI832606B (zh) 連接器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