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479B1 - 제어용 스위치 - Google Patents

제어용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479B1
KR102090479B1 KR1020190000886A KR20190000886A KR102090479B1 KR 102090479 B1 KR102090479 B1 KR 102090479B1 KR 1020190000886 A KR1020190000886 A KR 1020190000886A KR 20190000886 A KR20190000886 A KR 20190000886A KR 102090479 B1 KR102090479 B1 KR 102090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engaging
guide surface
main bod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필구
장경봉
Original Assignee
용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용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용 스위치는 설정 체적을 가지고, 내측 중앙 영역에 전후 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되는 본체; 후방 영역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조작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전면 및 상기 조작 부재의 후단부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본체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는, 좌우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제공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용 스위치{Control switch}
본 발명은 제어용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레버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조작 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제어용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제어용 스위치는 소정의 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 또는 정/역 방향으로 전환하여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의 일종이다. 제어용 스위치는 전방에 제공되는 조작 부재를 본체에 대해 회전시키는 방향 또는 누름 상태에 따라 제어 상태가 전환되도록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어용 스위치는 사용 중 조작 부재를 분해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조작 부재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제어용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조작 부재를 본체에 결합하거나,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제어용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정 체적을 가지고, 내측 중앙 영역에 전후 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되는 본체; 후방 영역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조작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전면 및 상기 조작 부재의 후단부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본체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는, 좌우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제공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어용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는, 후방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체결부의 내측면이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홀더부; 및 전방 영역에 위치되고, 전후 방향을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홀더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거나, 누름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조절되는 버튼을 갖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내측면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레버 걸림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되는 결합 안내면은 상기 레버 걸림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조작 부재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제어용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레버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로 조작 부재를 본체에 결합하거나,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제어용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용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용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레버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전면도이다.
도 6은 레버에 의한 조작 부재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방식으로 레버에 의한 조작 부재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용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용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용 스위치(1)는 본체(10), 커버(20), 조작 부재(30) 및 레버(40)를 포함한다.
이하, 본체(10) 및 조작 부재(30)가 서로 결합될 때, 조작 부재(30)가 위치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본체(10)가 위치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평면상에 위치되고 전후방에 수직한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한다.
본체(10)는 설정 체적을 갖는 블록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전기적 동작을 위한 단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측 중앙 영역에는 전후 방향으로 체결홀(100)이 형성된다. 본체(10)에는 레버(40)의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부(110)가 형성된다. 안내부(110)는 본체(10)의 전면에서 전방을 향해 설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안내부(110)는 설정 거리 이격되어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안내부(110)는 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면(이하, 안내면(111))이 상하 방향의 영역에 따라 상이한 경사를 갖도록 제공된다.
안내면(111)은 결합 안내면(112) 및 삽입 안내면(116)을 포함한다.
결합 안내면(112)은 안내면(111)의 하부에 위치된다. 결합 안내면(112)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영역이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제공된다. 일 예로, 결합 안내면(112)은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위쪽에 위치되는 상부 결합 안내면(113) 및 아래쪽에 위치되는 하부 결합 안내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합 안내면(113)은 하단 보다 상단이 폭 방향 외측에 위치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상부 결합 안내면(113)은 위쪽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경사진 선형, 접선의 상부가 외측을 향하는 곡선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 결합 안내면(114)은 상단 보다 하단이 폭 방향 외측에 위치되게 제공된다. 일 예로, 하부 결합 안내면(114)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경사진 선형, 접선의 하부가 외측을 향하는 곡선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삽입 안내면(116)은 안내면(111)의 상부에 위치된다. 삽입 안내면(116)은 상부 결합 안내면(113)보다 상하 방향에 대한 경사가 작게 제공된다. 일 예로, 삽입 안내면(116)은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커버(20)는 본체(10)의 전방에 결합되어, 본체(10)에 결합된 레버(4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20)는 본체(10)의 전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커버(20)가 본체(10)에 결합되면, 본체(10)와 커버(20) 사이에는 상방을 향해 개방된 삽입홀(2)이 형성된다. 삽입홀(2)은 안내면(111)과 인접한 영역의 위쪽에 위치될 수 있다.
커버(20)의 내측 중앙 영역에는 전방 체결홀(200)이 형성된다. 커버(20)가 본체(10)에 결합되면, 전방 체결홀(200)은 체결홀(100)과 전후 방향으로 정렬된다.
조작 부재(30)는 후방 영역이 체결홀(10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본체(10)에 결합된다. 조작 부재(30)는 홀더부(310) 및 조작부(320)를 포함한다.
홀더부(310)는 조작 부재(30)의 후방 영역에 위치된다. 홀더부(310)의 외측 둘레는 체결홀(1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체결홀(100)에 삽입될 수 있다. 홀더부(310)의 외측 둘레에는 걸림부(315)가 형성된다. 걸림부(315)는 홀더부(310)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공된다. 걸림부(315)는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되게 제공될 수 있다. 걸림부(315)는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320)는 조작 부재(30)의 전방 영역에 위치된다. 조작부(320)는 전후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홀더부(3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거나, 일측에 누름 상태에 동작 상태가 조절되는 버튼이 위치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조작 부재(30)가 본체(10)에 결합되면, 조작부(320)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게 제공된다. 조작부(320)의 외측 둘레는 홀더부(310)의 외측 둘레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레버(40)는 본체(10)의 전면 및 조작 부재(30) 후단부의 외측에 위치되어, 조작 부재(30)가 본체(10)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레버(40)는 연결부(410) 및 체결부(420)를 포함한다.
연결부(410)는 좌우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410)는 상하 방향으로 설정 폭을 가지고, 연결부(410)의 전면에는 후방을 향해 들어간 홈 형상의 레버 조작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420)는 연결부(410)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레버(40)의 개략적인 형상은 ㄷ자로 제공될 수 있다.
체결부(420)의 내측면에는 레버 걸림부(421)가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버 걸림부(421)는 결합 안내면(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레버 걸림부(421)는 위쪽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제1 걸림 면(421a)과, 상기 제1걸림면(421a)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제2걸림면(421b)을 포함한다. 레버(40)가 본체(10)에 결합하였을 때, 제1걸림면(421a)은 상부 결합 안내면(113)과 접하고, 제2걸림면(421b)은 하부 결합 안내면(114)과 접한다. 일 예로, 레버 걸림부(421)의 삼각형 형상, 반원 형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레버 걸림부(421)는 체결부(420)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420)의 내측 전면에는 경사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422)는 내측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422)는 레버 걸림부(421)의 아래쪽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커버(20)의 후면 상부에는 제1 상부 조립부(210)가 형성되고, 본체(10)의 상부에는 제1 상부 조립부(210)에 대응하여 제2 상부 조립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조립부(210) 및 제2 상부 조립부(120)는 설정 거리 이격되어 커버(20) 및 본체(1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의 후면 하부에는 제1 하부 조립부(220)가 형성되고, 본체(10)의 하부에는 제1 하부 조립부(220)에 대응하여 제2 하부 조립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부 조립부(220) 및 제2 하부 조립부(130)는 설정 거리 이격되어 커버(20) 및 본체(1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0)는 추가적인 구성 없이, 제1 상부 조립부(210) 및 제1 하부 조립부(220)를 각각 제2 상부 조립부(120) 및 제2 하부 조립부(130)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레버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전면도이다.
도시 및 설명을 편의를 위치 커버(20)는 생략되었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420)를 삽입홀(2)과 상하로 정렬한 후, 레버(4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레버(40)는 본체(10)에 결합되고, 체결부(420)의 내측 영역은 체결홀(100)이 형성된 영역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 때, 체결홀(100)의 전방에 위치되는 영역은 경사부(422)가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레버(40)가 본체(10)에 결합되면, 레버 걸림부(421)는 결합 안내면(112)에 위치되어 레버(40)가 본체(10)에서 상방으로 임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레버 걸림부(421)의 제1걸림면(421a)은 상부 결합 안내면(113)과 접하고, 제2걸림면(421b)은 하부 결합 안내면(114)과 접한다.
또한, 레버(40)가 본체(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레버(40)가 삽입홀(2)에 정렬되는 과정 또는 레버(40)가 삽입되는 초기에 체결부(420)는 삽입 안내면(116)과 접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레버(40)와 본체(10)의 정렬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에서도, 촉감에 의해 정렬 상태를 확인 하면서 레버(40)를 본체(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레버(40)가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홀(100)을 향해 조작 부재(30)를 삽입하면, 홀더부(310)에 의해 체결부(420)가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었다 복원되면서 걸림부(315)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체결홀(100)의 전방에 경사부(422)가 위치되는 경우, 경사부(422)가 조작 부재(30)의 후단에 의해 가압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되어, 체결부(420)는 효과적으로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315)가 체결부(420)와 정렬되는 깊이로 삽입되면, 경사부(422)가 걸림부(315)에 효과적을 끼워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조작 부재(30)를 본체(10)에 먼저 결합한 후, 레버(40)를 본체(10)에 결합하여, 조작 부재(30)가 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레버에 의한 조작 부재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레버(40)가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레버(40)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면, 레버 걸림부(421)는 하부 결합 안내면(114)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레버 걸림부(421)의 제2걸림면(421b)이 하부 결합 안내면(114)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체결부(420)의 하단 사이가 벌어진다. 이에 따라, 체결부(420)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걸림부(315)에서 빠진 상태가 되어, 조작 부재(30)를 전방으로 당겨 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레버(40)를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레버(40)는 탄성 복원되면서 도 5와 같이 본체(1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레버(40)가 본체(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조작 부재(30)가 레버(40)에 고정된 상태가 간편하게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용 스위치(1)가 사람의 손이 들어가기 어려운 좁은 공간에 설치된 경우에도, 제어용 스위치(1)를 설치 상태에서 분리하는 과정없이 조작 부재(30)를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방식으로 레버에 의한 조작 부재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버(40)가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레버(40)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레버 걸림부(421)는 상부 결합 안내면(113)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레버 걸림부(421)의 제1걸림면(421a)이 상부 결합 안내면(113)을 따라 위로 이동하면서 체결부(420)의 하단 사이가 벌어진다. 이 때, 작업자는 레버(40)가 사람의 손이 닫지 않는 장소에 위치된 경우에도, 스틱 등을 레버 조작부(411)에 집어넣은 후, 레버(40)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420)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걸림부(315)에서 빠진 상태가 되어, 조작 부재(30)를 전방으로 당겨 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레버(40)를 들어 올리는 힘을 제거하면, 레버(40)는 탄성 복원되면서 도 5와 같이 본체(1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레버(40)를 계속 들어 올리면, 레버(40)는 본체(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체 20: 커버
30: 조작 부재 40: 레버
100: 체결홀 110: 안내부
111: 안내면 112: 결합 안내면
116: 삽입 안내면 200: 전방 체결홀
310: 홀더부 320: 조작부
410: 연결부 420: 체결부

Claims (5)

  1. 설정 체적을 가지고, 내측 중앙 영역에 전후 방향으로 체결홀이 형성되는 본체;
    후방 영역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조작 부재; 및
    상기 본체의 전면 및 상기 조작 부재의 후단부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본체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버는,
    좌우 방향으로 설정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제공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며, 레버 걸림부가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위쪽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상부 결합 안내면; 및
    상기 상부 결합 안내면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부 결합 안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 걸림부는 위쪽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제1 걸림 면과, 상기 제1걸림면의 하단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제2걸림면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가 상기 본체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제1걸림면은 상기 상부 결합 안내면과 접하고, 상기 제2걸림면은 상기 하부 결합 안내면과 접하며,
    상기 레버가 상기 본체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면 상기 제2걸림면이 상기 하부 결합 안내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체결부의 하단 사이가 벌어지고, 상기 레버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상기 제1걸림면이 상기 상부 결합 안내면을 따라 위로 이동하면서 상기 체결부의 하단 사이가 벌어지는 제어용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후방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체결부의 내측면이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홀더부; 및
    전방 영역에 위치되고, 전후 방향을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홀더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거나, 누름 상태에 따라 동작 상태가 조절되는 버튼을 갖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제어용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공되되 상방 및 하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어용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레버 걸림부의 하부에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는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어용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걸림부는 삼각형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이며,
    상기 상부 결합 안내면과 상기 하부 결합 안내면은 상기 제1걸림면과 상기 제2걸림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어용 스위치.
KR1020190000886A 2019-01-03 2019-01-03 제어용 스위치 KR102090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886A KR102090479B1 (ko) 2019-01-03 2019-01-03 제어용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886A KR102090479B1 (ko) 2019-01-03 2019-01-03 제어용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479B1 true KR102090479B1 (ko) 2020-03-18

Family

ID=6999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886A KR102090479B1 (ko) 2019-01-03 2019-01-03 제어용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16A (ko) * 2021-01-21 2022-07-2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로타리 버튼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0062A (ja) * 1999-05-28 2000-12-08 Omron Corp スイッチ
KR200262521Y1 (ko) * 2001-10-23 2002-03-18 한영수 스위치 조작부가 결합된 고정 유니트
KR100428252B1 (ko) * 2001-10-23 2004-04-28 한영수 자기유지용 제어 스위치
KR200365852Y1 (ko) * 2004-08-09 2004-10-25 주식회사 한영자동제어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200441429Y1 (ko) * 2007-03-12 2008-08-18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0062A (ja) * 1999-05-28 2000-12-08 Omron Corp スイッチ
KR200262521Y1 (ko) * 2001-10-23 2002-03-18 한영수 스위치 조작부가 결합된 고정 유니트
KR100428252B1 (ko) * 2001-10-23 2004-04-28 한영수 자기유지용 제어 스위치
KR200365852Y1 (ko) * 2004-08-09 2004-10-25 주식회사 한영자동제어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KR200441429Y1 (ko) * 2007-03-12 2008-08-18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스위치용 고정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16A (ko) * 2021-01-21 2022-07-2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로타리 버튼 조립체
KR102484864B1 (ko) * 2021-01-21 2023-01-09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로타리 버튼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657B1 (ko) 포트 리플리케이터
US7138593B2 (en) Keytop component, operation key, and electronic device
KR100796028B1 (ko) 커넥터 록킹구조
KR102090479B1 (ko) 제어용 스위치
KR20140032289A (ko) 커넥터 조립체
GB2458002A (en) Easily detachable connector
US6213793B1 (en) Connector
KR20120024458A (ko)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EP2157844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ntrol key unit
KR20090001328A (ko) 커넥터어셈블리
KR100922206B1 (ko) 커넥터의 록킹장치
KR200422724Y1 (ko) 푸시 버튼 구조
JP4334362B2 (ja) ボタン式スイッチ装置及びシーソーボタン式スイッチ装置
KR100782057B1 (ko) 푸시락 스위치
KR200408899Y1 (ko) 푸시락 스위치
JP2018186027A (ja) スイッチ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KR200167626Y1 (ko) 누름 스위치의 오동작 방지 장치
KR19990010337U (ko) 푸쉬버튼의 가이드 구조물
KR0129471Y1 (ko) 연동 노브장치
JP2020047386A (ja) 押しボタン式スイッチ並びに操作盤
KR200172698Y1 (ko) 함몰식 스위치구조
KR101291255B1 (ko) 매입형 콘센트
KR200346433Y1 (ko) 차량용 스위치장치
KR200466409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910007291Y1 (ko) 시이소 버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