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409Y1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409Y1
KR200466409Y1 KR2020080016817U KR20080016817U KR200466409Y1 KR 200466409 Y1 KR200466409 Y1 KR 200466409Y1 KR 2020080016817 U KR2020080016817 U KR 2020080016817U KR 20080016817 U KR20080016817 U KR 20080016817U KR 200466409 Y1 KR200466409 Y1 KR 200466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lot
seating
connecto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540U (ko
Inventor
천진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6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40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5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5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2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extension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록킹홀더를 구비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제1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1하우징(11)에 핑거슬롯(16)이 형성되는 록킹레버(15)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면에 안착슬롯(19)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커넥터(20)의 외관을 구성하는 제2하우징(21)에 상기 핑거슬롯(16)에 걸어지는 체결돌기(23)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레버(15)의 체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록킹홀더(30)의 선단에는 슬롯안착부(37)가 구비되는데, 상기 슬롯안착부(37)는 록킹홀더(30)의 1차결합시에는 상기 핑거슬롯(16)에 위치되며, 록킹홀더(30)의 2차결합시에는 상기 안착슬롯(19)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홀더(30)의 2차결합시에 상기 록킹레버(15)의 상면과 상기 슬롯안착부(37)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C)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록킹홀더의 2차결합시에 상기 슬롯안착부가 상기 록킹레버의 선단을 직접 누르지 않게 되므로 록킹레버의 소성변형을 방지하고 록킹레버의 탄성력이 오래 유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슬롯을 통해 록킹홀더의 2차결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커넥터, 결합, 록킹홀더, 2차록킹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록킹레버의 변형을 방지하여 서로 결합된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록킹홀더가 구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한 쌍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암, 수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의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결합된 커넥터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홀더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홀더는 상기 한 쌍의 커넥터를 결합시켜주는 록킹레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홀더가 상대커넥터의 체결돌기와 체결된 록킹레버의 선단을 눌러주어 록킹레버의 체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상기 홀더가 상기 록킹레버의 선단을 눌러줌으로써 록킹레버의 걸림상태를 유지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록킹레버의 선단이 상기 홀더에 의해 지속적으로 눌려 록킹레버가 소성변형되어 커넥터의 반복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 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홀더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바로 확인할 수가 없었다. 홀더가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으면 록킹레버가 눌러져 걸림이 해제되므로, 작업자는 홀더를 조립한 후 록킹레버가 눌러지지는 않는지 별도로 확인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록킹레버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하는 커넥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록킹홀더의 결합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넥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연장되게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핑거슬롯이 형성되어 제2커넥터의 외면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록킹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안착슬롯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핑거슬롯에 유지핑거의 선단이 위치되게 상기 제1커넥터에 설치되는 1차록킹상태와 상기 록킹레버의 탄성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2차록킹상태 사이에서 동작되는 록킹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홀더는 상기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결합된 후에야 1차록킹상태에서 2차록킹상태로 되도록 이동가능하며, 상기 록킹홀더가 2차록킹상태일 때 상기 록킹레버의 상면과 상기 유지핑거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유지핑거는 상기 안착슬롯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슬롯의 일측에는 안착경사가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지핑거의 선단 일측에는 상기 록킹홀더가 2차록킹상태일 때 상기 안착경사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 안착경사와 마주하는 상기 안착돌기의 일면은 상기 안착경사와 대응되는 경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우징의 록킹레버에 형성된 상기 핑거슬롯에는 상기 록킹홀더의 일측이 위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체결돌기가 선택적으로 걸어지고, 상기 록킹레버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돌기와의 연동을 위한 가이드경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록킹레버의 양단에 나란히 연장되도록 가이드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록킹홀더가 설치되도록 하고 록킹홀더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레버에는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홀더에는 록킹공이 형성되어 2차록킹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버와 록킹홀더 사이의 결합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홀더는, 록킹몸체와, 상기 록킹몸체의 양단에서 나란히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가이드레버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록킹몸체에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부와 나란히 위치되고 선단에 상기 록킹레버의 핑거슬롯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슬롯안착부가 구비되는 상기 유지핑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지핑거는 록킹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그 선단부의 슬롯안착부가 경사부에 의해 높이차가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록킹레버의 핑거슬롯과 상기 안착슬롯에 선택적으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록킹홀더의 2차결합시에 슬롯안착부의 상면 일부가 안착슬롯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록킹홀더의 안착돌기가 안착슬롯에 형성된 안착경사에 안착된다. 이때, 슬롯안착부와 록킹레버의 상면 사이에 소정의 유격이 형성되도록 설계되어 슬롯안착부가 유지핑거를 직접 누르지 않도록 된다. 이에 따라 록킹홀더의 2차결합시에 슬롯안착부가 유지핑거를 직접 누르지 않게 되므로 록킹레버의 소성변형을 방지하고 록킹레버의 탄성력이 오래 유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안착돌기가 안착경사에 안착된 상태를 안착슬롯을 통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록킹홀더의 2차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별도로 커넥터 결합의 정확성을 검사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내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록킹홀더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제1하우징(1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 관통부(12)(도 2참고)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2)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부(12)에는 터미널의 고정을 위한 랜스(13)가 구비된다. 상기 관통부(12)가 형성된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되게 가이드레버(1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버(14)는 제1하우징(11)의 후방으로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레버(14)의 선단부에는 각각 록킹돌기(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록킹돌기(14')는 양단의 가이드레버(14)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버(14)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고, 상기 록킹돌기(14')는 록킹홀더(30)가 제1하우징(11)에 대해 2차록킹상태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되게 록킹레버(15)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레버(15)는 상기 가이드레버(14)의 사이에 위치된다. 물론, 상기 록킹레버(15)의 선단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레버(15)는 그 중간부분이 상기 제1하우징(11)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록킹레버(15)의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제1하우징(11)과 각각 연결된다. 상기 록킹레버(15)는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록킹레버(15)의 중간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핑거슬롯(16)이 형성된다. 상기 핑거슬롯(16)은 상기 록킹레버(15)를 도 2를 기준으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핑거슬롯(16) 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30)의 유지핑거(35)의 일부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록킹레버(15)의 선단, 즉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가이드경사(17)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경사(17)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넥터(20)의 체결돌기(23)와 록킹레버(15)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록킹레버(15)의 핑거슬롯(16)의 일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경사(17)가 형성된 단부쪽에 해당되는 핑거슬롯(16)의 단부에는 걸이요홈(1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요홈(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30)의 걸이돌기(37')가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상기 록킹레버(15)중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단부는 조작부(18')이다. 상기 조작부(18')는 작업자가 눌러서 상기 록킹레버(15)를 탄성변형시켜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20)와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조작부(18')는 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착슬롯(19)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슬롯(19)을 통해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지핑거(35)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안착슬롯(19) 내에 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30)의 유지핑거(35)의 일부가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안착슬롯(19)의 일단부에는 안착경사(19')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경사(19')는 제1하우징(11)의 선단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경사(19')에는 후술할 유지핑거(35)의 안착돌기(37")가 안착된다.
상기 안착경사(19')에 유지핑거(35)의 안착돌기(37")가 안착된 상태가 록킹홀더(30)의 2차결합상태이며, 이때 록킹레버(15)의 상면과 상기 유지핑거(35)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C)(도 4 참고)이 형성된다. 따라서 록킹홀더(30)의 2차결합상태에서 상기 유지핑거(35)는 록킹레버(15)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방지하면서도, 록킹레버(15)를 직접 눌러주지는 않게 된다.
제2커넥터(2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2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21)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 일측에는 체결돌기(23)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23)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핑거슬롯(16)에 걸어짐에 의해 제1 및 제2 커넥터(10,2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체결돌기(23)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30)의 유지핑거(35)가 록킹레버(15)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돌기(23)에는 제2하우징(21)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가이드경사(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돌기(23)의 양측방에 삽입안내리브(2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리브(25)는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 징(21)이 서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26은 스페이서리브로서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21)이 결합될 때, 이들 사이의 틈새가 없도록 하는 역할과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록킹홀더(30)의 골격을 록킹몸체(31)가 형성한다. 상기 록킹몸체(31)를 포함하는 록킹홀더(30) 전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몸체(31)의 양단에는 가이드부(3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3)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가이드레버(14)를 따라 안내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33)의 내부로 상기 가이드레버(14)가 삽입되어 이들 사이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33)는 대략 상기 가이드레버(14)의 3면을 둘러싼 상태로 상대 이동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가이드부(33)의 단부에는 상기 록킹돌기(14')가 걸어지도록 록킹공(3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3)의 사이에 가이드부(33)와 나란히 연장되게 유지핑거(35)가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지핑거(35)는 일단부가 상기 록킹몸체(31)에 일체로 형성된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유지핑거(35)는 그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되는 사각기둥형상이다.
상기 유지핑거(35)는 상기 록킹몸체(31)와 연결되는 연결부(36)와 상기 연결부(36)의 선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36') 및 상기 경사부(36')의 선단에 길게 연장되는 슬롯안착부(37)로 구성된다. 상기 슬롯안착부(37)와 연결부(36)는 경사부(36')에 의해 높이차가 있도록 된다. 상기 슬롯안착부(37)는, 록킹홀더(30)가 1차결합될 때에는 상기 핑거슬롯(16)에 위치하고, 록킹홀더(30)가 2차결합될 때 에는 상기 안착슬롯(19)에 위치한다.
상기 슬롯안착부(37)의 선단 일측에는 걸이돌기(3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37')는 상기 걸이요홈(18)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슬롯안착부(37)의 선단 타측에는 안착돌기(3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돌기(37")는 상기 안착경사(19')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돌기(37")의 상기 안착경사(19')와 마주하는 일면은 상기 안착경사(19')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돌기(37")가 상기 안착경사(19')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슬롯안착부(37)와 상기 록킹레버(15)의 상면에 소정의 유격(C)이 형성되도록 상기 슬롯안착부(37)의 형상과 두께를 설계한다.
상기 록킹홀더(30)의 록킹몸체(31)에는 록킹홀더(30)를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도록 하는 손걸이리브(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손걸이리브(40)는 상기 록킹홀더(30)의 후단에 록킹몸체(31)에 직립되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되어 록킹홀더(30)에 의해 록킹되는 과정을 도 5a에서 도 5e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는 상기 록킹홀더(3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1차록킹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록킹홀더(30)의 가이드부(33)에 상기 제1하우징(11)의 가이드레버(14)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유지핑거(35)의 슬롯안착부(37)가 상기 록킹레버(15)의 핑거슬롯(16)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홀더(30)는 상기 유지핑거(35)의 슬롯안착부(37)와 핑거슬롯(16) 사이의 틈새 내에서 약간의 길이방향 유동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상기 록킹홀더(3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조립된 상태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을 위한 작업에 제공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록킹홀더(30)를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더 삽입하려고 힘을 가해도 상기 록킹홀더(30)는 일정 이상 전진할 수 없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홀더(30)의 유지핑거(35)가 그 선단의 걸이돌기(37')가 상기 록킹레버(15)의 걸이요홈(18)에 걸어진 상태가 되면 더 이상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태를 1차록킹상태라 할 수 있다.
이제, 제2커넥터(20)를 제1커넥터(1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b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2커넥터(20)의 체결돌기(23)의 가이드경사(24)가 상기 록킹레버(15) 선단의 가이드경사(17)와 접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20)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내부로 더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경사(17,24)의 안내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23)가 상기 록킹레버(15)의 선단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c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록킹레버(15)의 선단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유지핑거(35) 선단의 걸이돌기(37')는 상기 걸이요홈(18)에서 빠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제2커넥터(20)가 제1커넥터(10)로 삽입되면, 상기 유지핑거(35) 선단의 슬롯안착부(37)는 상기 제2커넥터(20)의 체결돌기(23)에 의해 들어 올려지게 된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내부로 상기 제2커넥터(20)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 즉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이 완성된 상태가 도 5d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록킹레버(15)의 핑거슬롯(16)에 상기 제2커넥터(20)의 체결돌기(23)가 걸어진다. 즉, 상기 체결돌기(23)가 상기 걸이요홈(18)이 형성되어 있는 핑거슬롯(16)의 내면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록킹홀더(30)의 유지핑거(35) 선단은 상기 제2커넥터(20)의 체결돌기(23)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유지핑거(35) 선단의 걸이돌기(37')가 상기 걸이요홈(18)에서 빠진 상태이다. 다시 말해 상기 유지핑거(35)의 슬롯안착부(37)의 적어도 선단이 상기 핑거슬롯(16)에서 벗어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홀더(30)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더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록킹홀더(30)를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밀어주면 상기 록킹홀더(30)가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록킹홀더(30)는 상기 가이드레버(14)의 록킹돌기(14')가 상기 가이드부(33)의 록킹공(34)에 걸어질 때까지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록킹홀더(30)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대해 임의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홀더(30)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간 상태가 되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지핑거(35)의 슬롯안착부(37)가 상기 록킹레버(15)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록킹레버(15)의 조작부(18')를 눌러주더라도 록킹레버(15)가 탄성변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록킹레버(15)와 체결돌기(23)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를 2차록킹상태라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슬롯안착부(37)의 상면 일부가 상기 안착슬롯(19)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안착돌기(37")가 상기 안착경사(19')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돌기(37")가 안착경사(19')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롯안착부(37)가 들어올려지면서 슬롯안착부(37)와 상기 록킹레버(15)의 상면 사이에 소정의 유격(C)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격(C)은 상기 슬롯안착부(37)가 상기 유지핑거(35)를 누르지 않으면서 상기 유지핑거(35)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방지할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록킹홀더(30)의 2차결합시에 상기 슬롯안착부(37)가 상기 유지핑거(35)를 직접 누르지 않게 되므로 록킹레버(15)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37")가 안착경사(19')에 안착된 상태를 상기 안착슬롯(19)을 통해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록킹홀더(30)의 2차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록킹홀더(30)를 먼저 제1하우징(11)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록킹공(34)에서 상기 록킹돌기(14')가 빠지도록 작업자가 힘을 록킹홀더(30)에 가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5d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레버(15)의 조작부(18')를 작업자가 눌러주면 상기 록킹레버(15)의 선단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록킹레버(15)의 핑거슬롯(16)에서 상 기 제2커넥터(20)의 체결돌기(23)가 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커넥터(20)가 제1커넥터(10)에서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도 5c의 상태)
도 5c의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 이들 커넥터(10,20)가 분리되고, 상기 록킹홀더(30)는 유지핑거(35) 선단의 걸이돌기(37')가 상기 록킹레버(15)의 걸이요홈(18)에 걸어져 더 이상 제1하우징(11)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 상태로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록킹홀더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a에서 도 5e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
12: 관통부 14: 가이드레버
14': 걸이돌기 15: 록킹레버
16: 핑거슬롯 17: 가이드경사
18: 걸이요홈 18': 조작부
19: 안착슬롯 19': 안착경사
20: 제2커넥터 21: 제2하우징
23: 체결돌기 24: 가이드경사
30: 록킹홀더 31: 록킹몸체
33: 가이드부 34: 록킹공
35: 유지핑거 36: 연결부
36': 경사부 37: 슬롯안착부
37': 걸이돌기 37": 안착돌기
40: 손잡이리브

Claims (8)

  1. 외관을 구성하고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의 내외부로 연장되게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핑거슬롯이 형성되어 제2커넥터의 외면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록킹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안착슬롯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핑거슬롯에 유지핑거의 선단이 위치되게 상기 제1커넥터에 설치되는 1차록킹상태와 상기 록킹레버의 탄성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2차록킹상태 사이에서 동작되는 록킹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홀더는 상기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결합된 후에야 1차록킹상태에서 2차록킹상태로 되도록 이동가능하며, 상기 록킹홀더가 2차록킹상태일 때 상기 록킹레버의 상면과 상기 유지핑거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고 상기 유지핑거는 상기 안착슬롯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슬롯의 일측에는 안착경사가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지핑거의 선단 일측에는 상기 록킹홀더가 2차록킹상태일 때 상기 안착경사에 안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경사와 마주하는 상기 안착돌기의 일면은 상기 안착경사와 대응되는 경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록킹레버에 형성된 상기 핑거슬롯에는 상기 록킹홀더의 일측이 위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체결돌기가 선택적으로 걸어지고, 상기 록킹레버의 선단에는 상기 체결돌기와의 연동을 위한 가이드경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록킹레버의 양단에 나란히 연장되도록 가이드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록킹홀더가 설치되도록 하고 록킹홀더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레버에는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홀더에는 록킹공이 형성되어 2차록킹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버와 록킹홀더 사이의 결합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홀더는,
    록킹몸체와,
    상기 록킹몸체의 양단에서 나란히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가이드레버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록킹몸체에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부와 나란히 위치되고 선단에 상기 록킹레버의 핑거슬롯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슬롯안착부가 구비되는 상기 유지핑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핑거는 록킹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그 선단부의 슬롯안착부가 경사부에 의해 높이차가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록킹레버의 핑거슬롯과 상기 안착슬롯에 선택적으로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20080016817U 2008-12-18 2008-12-18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66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817U KR200466409Y1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817U KR200466409Y1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540U KR20100006540U (ko) 2010-06-28
KR200466409Y1 true KR200466409Y1 (ko) 2013-04-18

Family

ID=4445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817U KR200466409Y1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0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312Y1 (ko) * 1990-03-20 1992-06-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코넥터하우징의 체결구조
KR100796028B1 (ko) * 2006-07-28 2008-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록킹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312Y1 (ko) * 1990-03-20 1992-06-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코넥터하우징의 체결구조
KR100796028B1 (ko) * 2006-07-28 2008-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록킹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540U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028B1 (ko) 커넥터 록킹구조
US9608373B2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roduct
KR100829733B1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7223113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US10230178B2 (en) Cable connector
US7534134B2 (en) Electrical connector retaining mechanism having slide clip member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US8292330B2 (en) Insertable tube system for a vacuum cleaner
KR20020046947A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8878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75724A (ko) 전기 커넥터
KR200466409Y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1001994A (ja) ロック解除構造
CN114175416A (zh) 连接器
KR20140008642A (ko) 커넥터 조립체
JP5910882B2 (ja) コネクタ
JP5818103B2 (ja) コネクタ
KR100922206B1 (ko) 커넥터의 록킹장치
KR20090001328A (ko) 커넥터어셈블리
KR102658829B1 (ko) 커넥터
JP5243588B2 (ja) コネクタ
CN114080732A (zh) 连接器
KR20210084146A (ko) 커넥터 조립체
KR20130006956U (ko) 커넥터
KR10095505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결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