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82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58829B1 KR102658829B1 KR1020190018827A KR20190018827A KR102658829B1 KR 102658829 B1 KR102658829 B1 KR 102658829B1 KR 1020190018827 A KR1020190018827 A KR 1020190018827A KR 20190018827 A KR20190018827 A KR 20190018827A KR 102658829 B1 KR102658829 B1 KR 1026588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connector
- mating
- fastening lever
- bottom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이다. 커넥터의 하우징(10)에는 상대커넥터(4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8)가 체결레버(20)의 바닥판(22)에 있다. 상기 바닥판(22)을 따라서는 체결유지구(30)가 전후로 이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체결유지구(30)는 상기 하우징(10)에 제1결합상태와 제2결합상태 사이를 오가도록 설치된다. 제1결합상태에서는 상기 체결유지구(30)의 조작부(38)에 사용자가 조작력을 가해서 상기 체결레버(20)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제2결합상태에서는 상기 체결유지구(30)가 상기 체결레버(20)의 상대적으로 선단에 위치되어 상대커넥터(40)와 본 발명의 커넥터 사이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유지구(30)의 위치를 확인하여 커넥터와 상대커넥터(40)의 결합상태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고, 체결유지구(30)가 제2결합상태로 들어가면 체결레버(20)에 외력이 전달될 수 없어서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레버의 조작을 결합유지구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된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된 것으로, 상대커넥터와 결합되어 터미널을 통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와 결합된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커넥터결합유지구(일명,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커넥터와 상대커넥터 사이의 완전 체결상태를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결합된 외관 상태로는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커넥터와 상대커넥터를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보아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결합레버가 후드부에서 일정 이상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야, 결합레버의 조작이 가능하므로, 외부로 노출된 결합레버의 부분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결합레버가 파손되거나 의도치 않은 조작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커넥터결합유지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도 있다. 커넥터결합유지구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넥터에 1차조립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후드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온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레버의 일부를 커넥터결합유지구가 가리게 되어 결합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면적이 좁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결합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력이 높아지고 결합레버를 조작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커넥터와의 완전결합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는 조작부가 상대커넥터와의 완전결합시에는 누름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커넥터와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는 결합유지구가 상대커넥터와의 체결과 해제를 위한 조작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터미널안착부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있으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체결레버와, 상기 체결레버에 설치되어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키고 상기 체결레버를 탄성변형시켜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한 사용자의 힘을 받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결합유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지구는 유지구몸체와, 상기 유지구몸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결합부와 체결레버의 바닥판 선단에 형성된 걸이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고 상기 결합부와 바닥판 선단에 걸어지는 부분이 곡면으로 되는 제1위치설정턱이 있는 제1핑거와, 상기 제1핑거와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체결레버에 형성된 연동리브를 통해 상기 조작부에 가해진 힘을 상기 체결레버로 전달하는 연동단이 있고 상기 체결레버의 스톱턱에 걸어지는 제2위치설정턱이 형성된 제2핑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지구는 상기 체결레버를 따라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결합위치에서 상기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위한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고 제2결합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와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킨다.
상기 체결레버는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가 있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과, 상기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과 마주보는 연동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리브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유지구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스톱턱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의 선단에는 안내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경사가 끝나는 부분에는 걸이면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유지구의 제1위치설정턱이 걸어진다.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돌출되어 형성된 후드부의 내부에 위치된다.
삭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유지구몸체의 후단에 다단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터미널안착부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바닥판에 있으며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 체결레버와, 상기 체결레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결합상태에서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키고 제1결합상태에서 상기 체결레버를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력을 전달하여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분리하도록 하는 결합유지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유지구는 유지구몸체와, 상기 유지구몸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바닥판 선단에 형성된 걸이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바닥판 선단에 걸어지는 부분이 곡면으로 되는 제1위치설정턱이 있는 제1핑거와, 상기 제1핑거와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체결레버로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동단이 있고 상기 체결레버의 스톱턱에 걸어지는 제2위치설정턱이 형성된 제2핑거와, 상기 유지구몸체의 후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1결합상태에서 전달받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2핑거는 상기 제1핑거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2개가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연동단은 상기 체결레버의 바닥판에 형성된 연동리브와 접촉하여 상기 체결레버로 조작력을 전달하여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위치설정턱의 선단과 후단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결합유지구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후단의 곡면이 상기 바닥판 선단의 안내경사를 따라 이동되어 제2결합상태에서 제1결합상태로 된다.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드부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후드부의 후단 일부는 제거되어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제2결합상태에서 상기 결합유지구의 조작부가 위치된다.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절개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유지구의 후단은 상기 체결레버의 바닥판 상에 안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와 상대커넥터의 완전결합이 이루어지면 결합유지구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와 상대커넥터의 완전결합이 이루어져 상기 결합유지구가 후드부 내측으로 이동하면 결합유지구의 조작부가 후드부의 절개부에 위치되어 작업자가 커넥터와 상대커넥터의 완전결합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커넥터와 상대커넥터 사이의 완전결합을 인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유지구의 조작부가 후드부의 절개부에 위치하여 체결레버의 후단에 안착되면 결합유지구에 의해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이 수행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체결레버가 결합유지구의 조작부에 의해 조작될 수 없게 되어 커넥터와 상대커넥터 사이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대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이 결합유지구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결합유지구의 조작부가 후드부에서 빠져나온 상태, 다시 말해 결합유지구가 하우징에 1차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유지구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커넥터와 상대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결합유지구의 조작부가 커넥터와 상대커넥터 사이의 결합상태에서는 외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필요시에는 결합유지구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커넥터와 상대커넥터 사이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커넥터와 상대커넥터 사이의 체결이 보다 견고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결합유지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와 이에 결합되는 상대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상대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결합유지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와 이에 결합되는 상대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상대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한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부로 선단이 개방되게 상기 하우징(10)을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4)에는 도시되지 않은 터미널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부에는 프론트홀더(16)가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홀더(16)는 터미널이 터미널안착부(14) 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면에는 돌출되게 후드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드부(18)의 내부는 상기 내부공간(12)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후드부(18)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버(20)가 위치된다. 상기 후드부(18)의 후단에는 절개부(18')가 있다. 상기 절개부(18')는 상기 후드부(18)의 일부가 잘라내어진 부분이다. 상기 절개부(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유지구(30)의 조작부(38)가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체결레버(20)가 있다. 상기 체결레버(20)는 그 후단이 상기 하우징(10)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체결레버(20)는 상기 후드부(18)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외팔보 형태로 된다. 상기 체결레버(20)는 반드시 외팔보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부(28)가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43)와 해제될 수 있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체결레버(20)에는 바닥판(22)이 있고, 상기 바닥판(22)의 폭방향 양단에는 측벽(23)이 상기 바닥판(22)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양측의 상기 측벽(23)에는 서로 마주보게 연동리브(24)가 있다. 상기 연동리브(24)는 상기 측벽(23)의 선단에서 후단까지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연동리브(24)는 상기 체결레버(20)가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유지구(30)와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결합유지구(30)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가해지면 이를 체결레버(20)측으로 전달하여 체결레버(20)의 결합부(28)와 상대커넥터(40)의 상대결합부(43)가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연동리브(24)의 일부가 제거되어 스톱턱(24')이 만들어진다. 상기 스톱턱(24')은 결합유지구(30)의 1차결합위치에서 상기 체결레버(20)로부터 결합유지구(30)가 하우징(10)의 후방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체결레버(20)에서 상기 바닥판(22), 측벽(23) 그리고 연동리브(24)에 의해서 이동공간(26)이 만들어진다. 상기 이동공간(26)은 상기 체결레버(20)에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유지구(30)가 위치되어 이동하는 부분이다.
상기 바닥판(22)에는 결합부(28)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부(28)가 일종의 홈으로 되고 그 일측 내면에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커넥터(40)의 상대결합부(43)가 걸어진다. 즉, 상기 상대결합부(43)는 돌출된 돌기 형태이어서 돌기가 홈에 결합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22)의 선단에는 안내경사(29)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29)는 상기 바닥판(22)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안내경사(29)의 선단 하부에는 걸이면(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면(29')은 평면으로 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유지구(30)의 제1핑거(33)에 형성된 제1위치설정턱(34)의 후단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 결합유지구(30)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40)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이와 동시에 커넥터와 상대커넥터(4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력을 사용자로부터 전달받는 역할도 한다.
상기 결합유지구(30)의 골격을 유지구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유지구몸체(32)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유지구몸체(32)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핑거(33)가 있다. 상기 제1핑거(33)는 외팔보 형태로 길게 연장되는데, 상기 제1핑거(33)의 선단에는 제1위치설정턱(3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은 결합유지구(30)의 제1결합위치와 제2결합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이 상기 결합부(28) 내에 있으면 제1결합위치이고 상기 바닥판(22)의 선단에 걸어지면 제2결합위치이다.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은 도 3과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측과 후단측에 모두 곡면이 있다. 여기서 제1위치설정턱(34)의 후단에 있는 곡면은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이 체결레버(20)의 바닥판(22) 선단에서 일정 이상의 힘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의 선단에 있는 곡면은 경사면에 가깝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핑거(32)가 상대커넥터(40)의 상대결합부(43)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체결레버(2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지구몸체(32)에는 상기 제1핑거(32) 양단에 하나씩 제2핑거(35)가 있다. 상기 제2핑거(35)들은 상기 제1핑거(32)와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제2핑거(35)에는 각각 연동단(36)이 제2핑거(35)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동단(36)은 상기 체결레버(20)의 연동리브(24) 하단에 위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동리브(24)와 바닥판(22) 사이에 해당되는 이동공간(26)에 상기 연동단(36)이 위치되어 상기 체결레버(20)의 탄성변형을 만들어낸다. 상기 연동단(36)은 양측의 제2핑거(35)에 있는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핑거(35)의 선단에는 제2위치설정턱(37)이 있다. 상기 제2위치설정턱(37)은 상기 체결레버(20)의 스톱턱(24')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위치설정턱(37)이 상기 스톱턱(24')에 걸어지면 체결레버(20)에서 결합유지구(30)가 상기 하우징(10)의 후방쪽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유지구몸체(32)의 후단에는 조작부(38)가 있다. 상기 조작부(38)는 본 실시례에서는 높이가 다른 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앞쪽의 단보다 뒤쪽의 단이 높도록하여 작업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결합유지구(3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유지구(30)가 체결레버(20)의 이동공간(26) 내에 위치되어 1차결합상태에 있을 때 상기 조작부(38)를 눌러주면 상기 결합유지구(30)에 의해 체결레버(20)가 탄성변형된다. 이는 상기 연동단(36)이 연동리브(24)가 접촉되어 힘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5와 도 6에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결합되는 상대커넥터(4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대커넥터(40)의 외관과 골격을 상대하우징(42)이 형성하고 상기 상대하우징(42)의 외면에는 상대결합부(43)가 있다. 상기 상대결합부(43)는 본 실시례에서는 돌출된 돌기 형태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상기 결합유지구(30)는 상대커넥터(30)와 결합하기 전에는 도 1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의 유지부(38)가 상기 하우징(12)의 후드부(18)를 벗어나 하우징(10)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는 일명 제1결합상태라고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은 상기 체결레버(20)의 결합부(28)에 위치되어서 결합유지구(30)가 하우징(10)의 전방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제2위치설정턱(37)은 상기 체결레버(20)의 스톱턱(24')에 걸어져서 결합유지구(30)가 하우징(10)의 후방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유지구(30)는 상기 조작부(38)가 하우징(12)의 후드부(18)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조작부(38)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38)에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결합유지구(30)의 후단이 눌러짐에 의해 상기 제2핑거(35)를 통해 힘이 상기 체결레버(20)로 전달된다. 즉, 상기 결합유지구(30)의 상기 연동단(36)이 상기 체결레버(20)의 연동리브(24)를 하부에서 밀어올려서 상기 체결레버(20)의 선단측이 들어올려지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대커넥터(40)가 커넥터의 하우징(12) 내부공간(12)으로 삽입되면 상기 상대결합부(43)가 상기 후드부(18) 내로 진입하면서 상기 체결레버(20)의 바닥판(22) 저면을 밀어올리면서 이동한다. 상기 상대결합부(43)가 상기 체결레버(20)의 바닥판(22) 선단을 지나서 상기 결합부(28)에 이르면 상기 상대결합부(43)가 상기 결합부(28)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을 밀어올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대결합부(43)가 상기 결합부(28)에 위치되는 것은 본 발명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28)가 서로 결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이 밀어올려져서 상기 결합부(28)에서 빠져나가게 되면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이 결합부(28)에 있는 것 때문에 결합유지구(30)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던 것이 해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결합유지구(30)의 후단을 밀어주면 상기 결합유지구(30)는 상기 이동공간(26)에서 하우징(10)의 전방 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이 상기 체결레버(20)의 바닥판(22) 선단에 있는 걸이면(29')에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유지구(30)가 후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결합유지구(3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은 상기 조작부(38)가 상기 후드부(18)의 후단에 있는 절개부(18')에 위치되어 걸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유지구(30)의 후단이 절개부(18')에 위치하면 상기 조작부(38)의 저면이 상기 바닥판(22) 후단 상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조작부(38)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결합유지구(30)가 눌러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는 도 6과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7에 보면, 상기 결합부(28)에 상기 상대결합부(43)가 위치되어 커넥터와 상대커넥터(40)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유지구(30)는 상기 체결레버(20)의 바닥판(22) 선단에 걸어지고 후단의 조작부(38)는 저면이 상기 바닥판(22) 표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유지구(30)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20)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커넥터와 상대커넥터(40)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4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유지구(30)를 하우징(10)의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이 상기 체결레버(20)의 바닥판(22) 선단에 있는 걸이면(29')에 걸어져 있기는 하지만,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의 후단에는 곡면이 있어서 일정 이상의 힘을 작업자가 상기 결합유지구(30)의 조작부(38)에 가하면 상기 바닥판(22) 선단의 안내경사(29)를 따라 제1위치설정턱(34)이 이동하면서 상기 제1핑거(32)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핑거(35)들은 상기 연동단(36)이 상기 연동리브(24)를 따라 안내되어 직선운동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40)가 아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유지구(30)가 제1결합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40)가 아직 결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28)에 상기 제1위치설정턱(34)이 들어가지 못하고 상기 상대결합부(43) 상에 제1위치설정턱(34)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핑거(32)는 상기 제1위치설정턱(34) 때문에 탄성변형되어 선단이 들어올려진 상태이나, 제2핑거(32)는 상기 연동단(36)이 상기 연동리브(24)의 하단에 있어서 탄성변형되지 않고 있다.
도 8의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38)에 힘을 주면 상기 제2핑거(35)들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연동단(36)이 상기 연동리브(24)를 밀어올려 상기 체결레버(20)가 전체적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체결레버(20)가 외팔보 형상이므로 자유단부쪽이 가장 많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상기 결합부(28)에서 상기 상대커넥터(40)의 상대결합부(43)가 빠지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와 상대커넥터(4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프론트홀더(16)가 있고 후드부(18)가 체결레버(20)를 덮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프론트홀더(16)와 후드부(18)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드부(18)의 경우 상기 체결레버(20)의 폭방향 양측에 인접하게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대신할 수도 있다. 물론 후드부(18)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체결레버(20)와 결합유지구(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력으로부터 더 잘 보호될 수는 있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터미널안착부 16: 프론트홀더
18: 후드부 18': 절개부
20: 체결레버 22: 바닥판
23: 측벽 24: 연동리브
26: 이동공간 28: 결합부
29: 안내경사 29': 걸이면
30: 결합유지구 32: 유지구몸체
33: 제1핑거 34: 제1위치설정턱
35: 제2핑거 36: 연동단
37: 제2위치설정턱 38: 조작부
40: 상대커넥터 42: 상대하우징
43: 상대결합부
14: 터미널안착부 16: 프론트홀더
18: 후드부 18': 절개부
20: 체결레버 22: 바닥판
23: 측벽 24: 연동리브
26: 이동공간 28: 결합부
29: 안내경사 29': 걸이면
30: 결합유지구 32: 유지구몸체
33: 제1핑거 34: 제1위치설정턱
35: 제2핑거 36: 연동단
37: 제2위치설정턱 38: 조작부
40: 상대커넥터 42: 상대하우징
43: 상대결합부
Claims (16)
- 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터미널안착부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있으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체결레버와,
상기 체결레버에 설치되어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키고 상기 체결레버를 탄성변형시켜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한 사용자의 힘을 받는 조작부를 구비하는 결합유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지구는 유지구몸체와, 상기 유지구몸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결합부와 체결레버의 바닥판 선단에 형성된 걸이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고 상기 결합부와 바닥판 선단에 걸어지는 부분이 곡면으로 되는 제1위치설정턱이 있는 제1핑거와, 상기 제1핑거와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체결레버에 형성된 연동리브를 통해 상기 조작부에 가해진 힘을 상기 체결레버로 전달하는 연동단이 있고 상기 체결레버의 스톱턱에 걸어지는 제2위치설정턱이 형성된 제2핑거를 포함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지구는 상기 체결레버를 따라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결합위치에서 상기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위한 사용자의 힘을 전달하고 제2결합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와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는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가 있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과, 상기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과 마주보는 연동리브를 포함하는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리브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유지구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스톱턱이 형성되는 커넥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선단에는 안내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경사가 끝나는 부분에는 걸이면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유지구의 제1위치설정턱이 걸어지는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돌출되어 형성된 후드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커넥터.
- 삭제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유지구몸체의 후단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 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터미널안착부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바닥판에 있으며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 체결레버와,
상기 체결레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결합상태에서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키고 제1결합상태에서 상기 체결레버를 탄성변형시키는 조작력을 전달하여 상대커넥터의 상대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분리하도록 하는 결합유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지구는 유지구몸체와, 상기 유지구몸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바닥판 선단에 형성된 걸이면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바닥판 선단에 걸어지는 부분이 곡면으로 되는 제1위치설정턱이 있는 제1핑거와, 상기 제1핑거와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체결레버로 조작력을 전달하는 연동단이 있고 상기 체결레버의 스톱턱에 걸어지는 제2위치설정턱이 형성된 제2핑거와, 상기 유지구몸체의 후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제1결합상태에서 전달받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 삭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핑거는 상기 제1핑거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2개가 나란히 연장되는 커넥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단은 상기 체결레버의 바닥판에 형성된 연동리브와 접촉하여 상기 체결레버로 조작력을 전달하여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발생시키는 커넥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설정턱의 선단과 후단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결합유지구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후단의 곡면이 상기 바닥판 선단의 안내경사를 따라 이동되어 제2결합상태에서 제1결합상태로 되는 커넥터.
- 제 9 항,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드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커넥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의 후단 일부는 제거되어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제2결합상태에서 상기 결합유지구의 조작부가 위치되는 커넥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절개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유지구의 후단은 상기 체결레버의 바닥판 상에 안착되는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8827A KR102658829B1 (ko) | 2019-02-18 | 2019-02-18 |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8827A KR102658829B1 (ko) | 2019-02-18 | 2019-02-18 |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0478A KR20200100478A (ko) | 2020-08-26 |
KR102658829B1 true KR102658829B1 (ko) | 2024-04-18 |
Family
ID=7224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8827A KR102658829B1 (ko) | 2019-02-18 | 2019-02-18 |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588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1409A (ko) | 2021-05-06 | 2022-11-15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체결유지구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0355B1 (ko) * | 1995-03-17 | 1999-09-15 | 루이스 에이. 헥트 | 전기 커넥터 위치 보장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75451B2 (en) | 2005-03-15 | 2007-02-13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position assurance device |
KR100866090B1 (ko) | 2007-03-30 | 2008-10-3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어셈블리 |
KR100912950B1 (ko) * | 2007-06-05 | 2009-08-2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하우징 |
US9362676B2 (en) * | 2014-09-04 | 2016-06-07 | Delphi Technologies Inc. |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
KR101835115B1 (ko) | 2015-09-16 | 2018-04-19 | 몰렉스 엘엘씨 | 커넥터 위치 확정 장치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
US9929509B1 (en) * | 2017-06-12 | 2018-03-27 | Delphi Technologies, Inc. | Connector system with low profile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
-
2019
- 2019-02-18 KR KR1020190018827A patent/KR1026588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0355B1 (ko) * | 1995-03-17 | 1999-09-15 | 루이스 에이. 헥트 | 전기 커넥터 위치 보장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0478A (ko) | 2020-08-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59625B1 (en) |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product | |
US9588305B2 (en) | Optical connector plug | |
WO2012107439A1 (en) | Release tab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said release tab | |
CN107123885B (zh) | 连接器 | |
JP4425316B2 (ja) |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
US7407403B2 (en) | Connector | |
JPWO2019131372A1 (ja) | コネクタ | |
KR102658829B1 (ko) | 커넥터 | |
KR102429481B1 (ko) | 커넥터 | |
JP6569131B2 (ja) | 嵌合検知機能を有する電気接続装置 | |
KR102675514B1 (ko) | 커넥터 조립체 | |
JP6006575B2 (ja) | コネクタ | |
JP2016115570A (ja) | コネクタ | |
WO2014084025A1 (ja) | 端子抜き治具 | |
JP2019008970A (ja) | コネクタ | |
KR20120120810A (ko) |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 |
JP4289235B2 (ja) | 速結端子装置 | |
CN111448720B (zh) | 连接器 | |
JP5786834B2 (ja) | コネクタ | |
JP4428348B2 (ja) | コネクタ | |
KR102589863B1 (ko) |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조립체 | |
KR20230146920A (ko) |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 |
JP5572006B2 (ja) | ポジティブ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 |
JP2017050232A (ja) | コネクタ | |
KR200466409Y1 (ko) | 커넥터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