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916A - 로타리 버튼 조립체 - Google Patents

로타리 버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916A
KR20220105916A KR1020210008863A KR20210008863A KR20220105916A KR 20220105916 A KR20220105916 A KR 20220105916A KR 1020210008863 A KR1020210008863 A KR 1020210008863A KR 20210008863 A KR20210008863 A KR 20210008863A KR 20220105916 A KR20220105916 A KR 20220105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utton
slit
rotary button
rot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864B1 (ko
Inventor
구세민
송성민
김준수
Original Assignee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86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로타리 버튼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는, 버튼 하우징의 실장 공간에 위치하는 하단에 걸림 단턱부가 형성된 제1 회전 가이드와,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 가이드를 에워싸는 제2 회전 가이드와, 버튼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탄성 후크와, 제1 회전 가이드와 제2 회전 가이드 사이의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탄성 후크가 관통되는 슬릿 및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디텐트 캠과 버튼 하우징에 설치되는 볼 플런저 구성된 디텐트 기구를 포함하며, 탄성 후크는 실장 공간에서 상기 걸림 단턱부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쐐기 모양의 후크부와, 로타리 버튼과 상기 후크부를 연결하며 로타리 버튼 회전 시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탄동부로 구성되고, 로타리 버튼 조립 시 후크부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부가 상기 슬릿에 형성되되, 후크 삽입부는 슬릿의 일부 구간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켜 구성되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서만 탄동부가 외측으로 탄동 가능하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탄동부의 탄동이 슬릿에 의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로타리 버튼 조립체{Rotary Button Assembly}
본 발명은 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버튼을 회전시켜 다양한 기능(예컨대, 볼륨 조절, 풍량 조절, 네비게이션 조작)의 실행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전방에는 자동차의 부속기능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각종 컨트롤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트롤 스위치는 작동 방식에 따라 크게 레버 방식, 푸쉬 버튼 방식, 로타리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컨트롤 스위치 하나로 여러 기능을 컨트롤 할 수 있는 복합형 스위치(푸쉬 버튼 방식 + 로타리 방식)가 주를 이루고 있다.
도 1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종래 복합형 스위치의 절단면도로서, 종래 복합형 스위치는 크게, 버튼부(100)와 버튼 하우징(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버튼부(100)는 누름 입력 및 회전 입력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버튼 하우징(200)은 버튼부(100)의 누름 입력 및 회전 입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이때 버튼 하우징(200)과 버튼부(100) 간 결합에는 후크 결합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후크 결합 방식의 종래 복합형 스위치 대부분은, 도 1과 같이 버튼부 측 후크(110)와 버튼 하우징 후크(210)가 상호 체결되는 부분(도 1의 타원부)에 형성되는 여유 공간(버튼부 측 후크(110)가 외측으로 탄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이 버튼부(100)가 회전하는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외력이나 충격에 후크(110)가 쉽게 벌어져 버튼부(100)가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15661호(등록일 2018.10.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력이나 충격에도 버튼(로타리 버튼)이 버튼 하우징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 하우징의 실장 공간에 위치하는 하단에 걸림 단턱부가 형성된 제1 회전 가이드;
상기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 가이드를 에워싸는 제2 회전 가이드;
버튼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탄성 후크;
제1 회전 가이드와 제2 회전 가이드 사이의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후크가 관통되는 슬릿; 및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디텐트 캠과 버튼 하우징에 설치되는 볼 플런저 구성된 디텐트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후크는 실장 공간에서 상기 걸림 단턱부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쐐기 모양의 후크부와, 로타리 버튼과 상기 후크부를 연결하며 로타리 버튼 회전 시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탄동부로 구성되고,
로타리 버튼 조립 시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부가 상기 슬릿에 형성되되, 후크 삽입부는 상기 슬릿의 일부 구간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켜 구성되며,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상기 탄동부가 외측으로 탄동 가능하고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상기 탄동부의 탄동이 상기 슬릿에 의해 억제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되지 않은 슬릿의 폭(W1)은 상기 탄동부의 두께(T1)보다 크고 상기 후크부의 최대 두께(T2)보다는 작으며,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의 슬릿의 폭(W2)과 길이(L2)는 적어도 상기 후크부의 최대 폭(W3)과 두께(T2)보다 커서,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상기 탄동부의 탄동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탄성 후크가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위치했을 때 로타리 버튼을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탄성 후크가 해당 슬릿 구간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정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 삽입부와 정확히 일치하는 지점의 슬릿 구간에 상기 탄성 후크가 위치했을 때 상기 디텐트 기구의 볼 플런저가, 로타리 버튼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복수의 산과 골이 교대로 연속되는 구조인 상기 디텐트 캠의 어느 한 산과 골 사이 경사면에 탄성 밀착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타리 버튼에는 탄성 후크와의 사이에 결속 요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탄성 후크를 주위를 둘러싸는 측면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하우징에 로타리 버튼 결합 시 상기 측면 커버와 탄성 후크 사이로 형성되는 상기 결속 요부에 상기 제2 회전 가이드가 맞물리는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제2 회전 가이드보다 낮게 제2 회전 가이드를 둘러싸는 실링 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버튼 하우징에 로타리 버튼 결합 시 상기 실링 커버가 상기 측면 커버의 하단 일부를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에 의하면, 버튼 측의 탄성 후크가 특정 위치(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외한 모든 작동 구간에서 탄성 후크의 탄동(벌어짐)이 슬릿에 의해 억제됨으로써,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탄성 후크가 벌어져 버튼(로타리 버튼)이 버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유일하게 버튼이 분리될 수 있는 위치(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가 위치한 상태)에서 버튼 조작을 멈추더라도 해당 위치를 회피할 수 있도록 디텐트 기구가 구성됨으로써, 유지 보수를 위한 의도적인 버튼 분리가 아닌 이상 어떠한 외력이나 충격에도 탄성 후크가 벌어져 버튼이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에 적용되는 종래 복합형 스위치의 절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타리 버튼 조립체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단면도.
도 4는 버튼 하우징으로부터 로타리 버튼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로타리 버튼이 분리된 버튼 하우징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로타리 버튼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가 위치하도록 로타리 버튼이 회전 조작된 경우 디텐트 기구의 정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타리 버튼 조립체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버튼 하우징으로부터 로타리 버튼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로타리 버튼이 분리된 버튼 하우징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20) 조립체는 크게, 고정체인 버튼 하우징(10)과 회전체인 로타리 버튼(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체와 회전체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고정체는 회전체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회전체는 고정체에 대해 회전 및 정해진 범위 안에서 고정체를 향하거나 반대방향으로 진퇴 운동을 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버튼 하우징(10)은 그 내부에 각종 부품(기판, 스위치, 광원 등)을 실장할 수 있는 소정의 실장 공간(11)이 형성되며, 도면상 버튼 하우징(10)의 상면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1 회전 가이드(12)를 포함한다. 이때 버튼 하우징(10)의 상기 실장 공간(11)에 위치하는 제1 회전 가이드(12)의 하단에는 후술하게 될 탄성 후크(22)의 후크부(23)와 맞물리는 걸림 단턱부(13)가 형성된다.
버튼 하우징(10)의 상면부에는 또한, 상기 제1 회전 가이드(12)와 임의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1 회전 가이드(12) 주위를 에워싸는 제2 회전 가이드(14)가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회전 가이드(12)와 제2 회전 가이드(14)는 도 4 내지 도 5의 예시와 같이 중간 중간이 끊긴 단속적인 원통 모양이거나,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끊김 없이 연속되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가이드(12)와 제2 회전 가이드(14) 사이의 버튼 하우징(10)에는 호형(弧形)의 슬릿(15)이 형성된다. 슬릿(15)은 로타리 버튼(20) 회전 조작 시 탄성 후크(22)가 이동될 경로를 구획하는 것으로, 도 4 내지 도 5의 예시와 같이 곡률 반경이 같은 복수의 단위 슬릿으로 분할 형성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중간에 끊김 없이 연속되는 단일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릿(15)에는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다. 후크 삽입부(16)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슬릿(15)의 일부 구간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로타리 버튼(20) 조립 시 상기 후크 삽입부(16)를 통해서만 탄성 후크(22)의 후크부(23)가 버튼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 단턱부(13)에 맞물리는 구조로 결속될 수 있다.
도 4의 부분 확대도와 같이, 슬릿(15)을 사이에 두고 후크 삽입부(16) 맞은편의 제1 회전 가이드(12)에는 후트 가이드(17)가 형성될 수 있다. 후트 가이드(17)는 로타리 버튼(20)이 정확하게 조립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마커로서 기능한다. 또한 로타리 버튼(20) 조립 시 탄성 후크(22)가 자연스럽게 벌어질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를 위해 후트 가이드(17)는 슬릿(15)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안내면(17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타리 버튼(20)에는 상기 버튼 하우징(10)과의 결합을 위한 탄성 후크(2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탄성 후크(22)는 후크부(23)와 탄동부(24)로 구성될 수 있다. 후크부(23)는 실장 공간(11)에서 상기 걸림 단턱부(13)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도면의 예시와 같은 쐐기 모양일 수 있으며, 탄동부(24)는 로타리 버튼(20)과 후크부(23)를 연결하며 로타리 버튼(20) 회전 시 상기 호형의 슬릿(1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로타리 버튼(20)과 버튼 하우징(10)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탄성 후크(22)와 후크 삽입부(16)는 적어도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둘 이상 복수의 후크 삽입부(16)는 상기 슬릿(15)에 균일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후크(22)는 슬릿(15)에 균일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둘 이상 복수의 후크 삽입부(16) 각각에 하나씩 매칭되어 조립될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탄성 후크(22)는 앞서도 설명했듯이 후크 삽입부(16)를 통해서만 버튼 하우징(1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해 로타리 버튼(20) 조립 시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상기 탄성 후크(22)의 탄동부(24)가 외측으로 탄동되어 벌어질 수 있으며,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상기 탄동부(24)의 탄동이 상기 슬릿(15)에 의해 억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로타리 버튼(20) 조립 후 회전 조작할 경우, 특정 구간(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15)의 구간)을 제외하고는 탄성 후크(22)의 탄동(벌어짐)이 슬릿(15)에 의해 제한된다. 이에 따라 탄성 후크(22)가 상기 특정 구간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회전 위치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도 로타리 버튼(20)은 버튼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 탄성 후크(22)의 탄동이 억제되는 구조는 바람직하게,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되지 않은 슬릿(15)의 폭(W1)을 탄동부(24)의 두께(T1)보다 크게 하고 후크부(23)의 최대 두께(T2)보다는 작게 하며,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부분의 슬릿(15)의 폭(W2)과 길이(L2)는 적어도 상기 후크부(23)의 최대 폭(W3)과 두께(T2)보다 크게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절단면도와 같이 로타리 버튼(20)에는 또한, 탄성 후크(22)와의 사이에 결속 요부(27)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탄성 후크(22)를 주위를 둘러싸는 측면 커버(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버튼 하우징(10)에 로타리 버튼(20) 결합 시 상기 측면 커버(26)와 탄성 후크(22) 사이로 형성되는 상기 결속 요부(27)에 제2 회전 가이드(14)가 맞물리는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버튼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바람직하게, 제2 회전 가이드(14)보다 낮게 제2 회전 가이드(14)를 둘러싸는 실링 커버(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 하우징(10)에 로타리 버튼(20) 결합 후 도 3의 예시와 같이, 실링 커버(18)가 상기 측면 커버(26)의 하단 일부를 에워싸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방진 성능이나 방수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로타리 버튼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 및 앞선 도 4를 참조하면, 로타리 버튼(20)과 버튼 하우징(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텐트 기구(30)가 설치된다. 디텐트 기구(30)는 로타리 버튼(20)을 회전 조작하여 원하는 기능(예컨대, 볼륨 조절, 풍량 조절, 네비게이션 조작 등)을 컨트롤 할 경우, 사용자가 로타리 버튼(20)의 조작 여부와 그 조작량을 감각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의도된 조작 외 로타리 버튼(20)의 임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기능한다.
본 실시 예에 적용된 디텐트 기구(30)는 바람직하게, 로타리 버튼(20)에 일체로 형성되는 디텐트 캠(32)과 버튼 하우징(10)에 설치되는 볼 플런저(34, 도 7 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디텐트 캠(32)은 도 6과 같이 로타리 버튼(20)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삼각형 모양의 복수의 산(320)과 골(322)이 교대로 연속된 구성일 수 있고, 볼 플런저(34, 도 7 참조)는 디텐트 캠(32)에 접하는 볼(35)과 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6), 예컨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디텐트 기구(30)에 의하여, 원하는 기능을 컨트롤하기 위해 사용자가 로타리 버튼(20)을 회전 조작하면, 디텐트 캠(32)이 함께 회전운동을 하고, 이때 볼 플런저(34)의 볼(35)이 상기 탄성체(36)에 의해 디텐트 캠(32)의 캠면(산과 골이 교대로 연속된 요철 형태의 면)에 가압 밀착된 상태로 로타리 버튼(20) 회전에 따른 상기 캠면의 높이 변화에 맞춰 상대적으로 요동운동을 함으로써 회전 조작감이 발생된다.
도 7은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가 위치하도록 로타리 버튼이 회전 조작된 경우 디텐트 기구의 정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S)에 상기 탄성 후크(22)가 위치하는 로타리 버튼(20)의 회전 조작 상태에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디텐트 기구(30)는, 이를 구성하는 볼 플런저(34)의 볼(35)이 상기 디텐트 캠(32)의 어느 한 산(320)과 골(322) 중간의 경사면(321)에 위치하여 탄성체(36)의 반발력으로 해당 경사면(321)을 가압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로타리 버튼(20)의 회전 위치 중 도 7의 (a)와 같이 탄성 후크(22)와 후크 삽입부(16)의 평면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회전 위치에서는, 볼 플런저(34)의 볼(35)이 도 7의 (b)와 같이 디텐트 캠(32)의 특정 경사면(321)에 위치하도록 디텐트 기구(30)가 구성됨으로써, 해당 위치에서만큼은 볼 플런저(34)의 반발력으로 로타리 버튼(2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특정 상황을 제외하고는,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22)가 위치했을 시점에 로타리 버튼(20)의 회전 조작이 멈추더라도, 디텐트 기구(30)가 발생시킨 반발력에 의해 로타리 버튼(20)이 도 8의 작동 상태도와 같이 소정 각도 회전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 후크(22)는 해당 슬릿 구간(후크 삽입부 형성된 슬릿 구간, S)을 벗어날 수 있다.
참고로, 앞서 언급한 특정 상황은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S)에 탄성 후크(22)가 위치하도록 로타리 버튼(20)을 의도적으로 회전 조작한 상태로 로타리 버튼(20)을 구속하고 있는 상황, 다시 말해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S)에 탄성 후크(22)가 위치하도록 로타리 버튼(20)을 의도적으로 회전 조작한 상태로 로타리 버튼(20)을 쥐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
도 7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22)가 위치했을 때 디텐트 기구(30)의 볼(35)은 도 7의 (b)와 같이 디텐트 캠(32)의 특정 경사면(321) 상에 위치한다. 이때 볼(35)은 이를 지지하는 탄성체(36)의 반발력에 의해 해당 경사면(321)을 가압하는 상태이다. 때문에 볼(35)을 통해 해당 경사면(321)에 작용하는 상기 탄성체(36)의 반발력이 로타리 버튼(20)을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로타리 버튼(20)이 소정 각도 회전되고, 도 8의 (b)와 같이 해당 경사면(321)과 가장 인접한 특정 골에 볼(35)이 정확히 위치하는 순간 로타리 버튼(20)은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 7의 (a)와 같이 후크 삽입부(16)가 형성된 슬릿 구간(S)에 위치해 있던 탄성 후크(22)는 도 8의 (a)와 같이 유일하게 로타리 버튼(20)이 분리될 수 있는 위치인 해당 슬릿 구간(S)을 벗어나 위치하게 된다.
후크 결합 방식을 채택한 종래 복합형 스위치 대부분은, 앞선 도 1과 같이 버튼부 측 후크와 버튼 하우징 후크가 상호 체결되는 부분(도 1의 타원부)에 여유 공간(버튼부 측 후크가 외측으로 탄동하여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이 버튼부가 회전하는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버튼부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면 후크가 벌어져 버튼부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타리 버튼 조립체는, 버튼 측의 탄성 후크가 특정 위치(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를 제외한 모든 작동 구간에서 탄성 후크의 탄동(벌어짐)이 슬릿에 의해 억제됨으로써, 외력이나 충격에 의해 탄성 후크가 벌어져 버튼(로타리 버튼)이 버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유일하게 버튼이 분리될 수 있는 위치(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탄성 후크가 위치한 상태)에서 버튼 조작을 멈추더라도 해당 위치를 회피할 수 있도록 디텐트 기구가 배치됨으로써, 유지 보수를 위한 의도적인 버튼 분리가 아닌 이상 어떠한 외력이나 충격에도 탄성 후크가 벌어져 버튼이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버튼 하우징 11 : 실장 공간
12 : 제1 회전 가이드 13 : 걸림 단턱부
14 : 제2 회전 가이드 15 : 슬릿
16 : 후크 삽입부 17 : 후크 가이드
18 : 실링 커버 20 : 로타리 버튼
22 : 탄성 후크 23 : 후크부
24 : 탄동부 26 : 측면 커버
27 : 결속 요부 30 :디텐트 기구
32 : 디텐트 캠 34 : 볼 플런저
35 : 볼 36 : 탄성체
170 : 안내면
S :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

Claims (7)

  1. 버튼 하우징의 실장 공간에 위치하는 하단에 걸림 단턱부가 형성된 제1 회전 가이드;
    상기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 가이드를 에워싸는 제2 회전 가이드;
    상기 버튼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탄성 후크;
    상기 제1 회전 가이드와 제2 회전 가이드 사이의 버튼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후크가 관통되는 슬릿; 및
    로타리 버튼에 형성되는 디텐트 캠과 버튼 하우징에 설치되는 볼 플런저 구성되는 디텐트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후크는 실장 공간에서 상기 걸림 단턱부에 맞물리게 결합되는 쐐기 모양의 후크부와, 로타리 버튼과 상기 후크부를 연결하며 로타리 버튼 회전 시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는 탄동부로 구성되고,
    로타리 버튼 조립 시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는 후크 삽입부가 상기 슬릿에 형성되되, 후크 삽입부는 상기 슬릿의 일부 구간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켜 구성되며,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상기 탄동부가 외측으로 탄동 가능하고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상기 탄동부의 탄동이 상기 슬릿에 의해 억제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되지 않은 슬릿의 폭(W1)은 상기 탄동부의 두께(T1)보다 크고 상기 후크부의 최대 두께(T2)보다는 작으며,
    상기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의 슬릿의 폭(W2)과 길이(L2)는 적어도 상기 후크부의 최대 폭(W3)과 두께(T2)보다 커서,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슬릿 구간에서는 상기 탄동부의 탄동이 억제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기구는,
    상기 탄성 후크가 후크 삽입부가 형성된 슬릿 구간에 위치했을 때 로타리 버튼을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탄성 후크가 해당 슬릿 구간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정렬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삽입부와 정확히 일치하는 지점의 슬릿 구간에 상기 탄성 후크가 위치했을 때 상기 디텐트 기구의 볼 플런저가, 로타리 버튼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해 복수의 산과 골이 교대로 연속되는 구조인 상기 디텐트 캠의 어느 한 산과 골 사이 경사면에 탄성 밀착되도록 정렬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후크 및 후크 삽입부는 적어도 둘 이상 복수로 구성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리 버튼에는 탄성 후크와의 사이에 결속 요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탄성 후크를 주위를 둘러싸는 측면 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 하우징에 로타리 버튼 결합 시 상기 측면 커버와 탄성 후크 사이로 형성되는 상기 결속 요부에 상기 제2 회전 가이드가 맞물리는 구조로 결합되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제2 회전 가이드보다 낮게 제2 회전 가이드를 둘러싸는 실링 커버가 형성되되,
    상기 버튼 하우징에 로타리 버튼 결합 시 상기 실링 커버가 상기 측면 커버의 하단 일부를 에워싸는 로타리 버튼 조립체.
KR1020210008863A 2021-01-21 2021-01-21 로타리 버튼 조립체 KR102484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863A KR102484864B1 (ko) 2021-01-21 2021-01-21 로타리 버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863A KR102484864B1 (ko) 2021-01-21 2021-01-21 로타리 버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16A true KR20220105916A (ko) 2022-07-28
KR102484864B1 KR102484864B1 (ko) 2023-01-09

Family

ID=8260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863A KR102484864B1 (ko) 2021-01-21 2021-01-21 로타리 버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8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661B1 (ko) 2017-07-06 2018-11-0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KR20190042966A (ko) * 2017-10-17 2019-04-25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20190071501A (ko) * 2017-12-14 2019-06-2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090479B1 (ko) * 2019-01-03 2020-03-18 용성전기 주식회사 제어용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661B1 (ko) 2017-07-06 2018-11-06 주식회사 서연전자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KR20190042966A (ko) * 2017-10-17 2019-04-25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20190071501A (ko) * 2017-12-14 2019-06-24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2090479B1 (ko) * 2019-01-03 2020-03-18 용성전기 주식회사 제어용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864B1 (ko)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5463B2 (ja) 携帯機
EP1879093B1 (en) Improved knob assembly for operating the switch of a radio
KR100569951B1 (ko)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스위치 버튼
US7442886B2 (en) Multi-directional input unit
US20020145337A1 (en) Mode switch assembly of automobile having impact/load absorbing apparatus
JP3173137U (ja) 多方向入力装置
EP1750292A1 (e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witch system
JP4777911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H097566A (ja) 電子機器カバーのロック構造
EP2040274A1 (en) Switch for vehicle
KR20220105916A (ko) 로타리 버튼 조립체
JP4832317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EP1909158B1 (en) Actuating element
JPWO2018079209A1 (ja) 燃料タンクの内蔵部品の取付構造
JP3902436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KR102051211B1 (ko)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US7692109B2 (en) Lever switch
JP4084133B2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JP5675430B2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8234934A (ja) スイッチ装置
JP4439225B2 (ja) レンズバリヤ装置
JP2004082936A (ja)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KR100877959B1 (ko) 이중 디텐트핀
JP5508231B2 (ja) 操作装置
JP4713425B2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