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211B1 -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211B1
KR102051211B1 KR1020180036754A KR20180036754A KR102051211B1 KR 102051211 B1 KR102051211 B1 KR 102051211B1 KR 1020180036754 A KR1020180036754 A KR 1020180036754A KR 20180036754 A KR20180036754 A KR 20180036754A KR 102051211 B1 KR102051211 B1 KR 102051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washer
diaphragm
support
ring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283A (ko
Inventor
이상무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8003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2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2Clutch-bands; Clutch shoes; Clutch-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탄성와셔에 펄크럼 링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에 의해 펄크럼 링의 센터링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CLUTCH ASSEMBLY HAVING FULCRUM RING CENTERING FUNC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클러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펄크럼 링의 센터링 기능을 가지는 클러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클러치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 중 엔진과 변속기의 기구적 연결 상태를 끊어 줌으로써 엔진과 변속기를 보호하고, 변속 충격을 감소시켜 보다 원활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어셈블리는 압력플레이트(10), 다이어프램(20), 펄크럼링(30), 탄성와셔(40), 커버(50)를 포함한다.
상기 부품들은 도시된 순서로 배치되며, 다이어프램(20)의 가압 작용에 의해 압력플레이트(10)가 밀려져 클러치디스크(도시하지 않음, 압력플레이트의 왼쪽에 위치됨)를 플라이휠이나 센터플레이트 등의 엔진에 직결되어 회전되는 중량 마찰체에 밀착 마찰시킴으로써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20)과 커버(50)의 사이에는 다이어프램(20)의 지렛대 작용시 지지점 역할을 하는 펄크럼 링(30)과, 다이어프램(20) 작동시 지지점에 탄성 반력을 가하는 탄성와셔(40)가 구비된다.
탄성와셔(Elastic washer)(40)는 접시스프링과 같이 원추 형태로서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부품이다.
탄성와셔(40)는 내주부가 커버(50)에 지지되고, 외주부가 다이어프램(20)에 지지되는데, 다이어프램(20)과 탄성와셔(40)의 외주부 사이에 상기 펄크럼 링(30)이 개재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20)은 펄크럼 링(30)과 탄성와셔(40)를 매개로 커버(50)에 지지된 상태에서 작동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61과 62는 다이어프램(20)을 커버(50)에 장착하고, 다이어프램(20) 및 탄성와셔(40)의 위치(축방향 및 반경방향 위치)를 잡아주는 가이드리벳과 지지부재이다.
한편, 클러치의 사용이 지속되면 상기 가이드리벳(61)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2와 같이, 펄크럼 링(30)이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펄크럼 링(30)이 클러치의 축 중심에서 편심되면 다이어프램(20)과 탄성와셔(40)를 정확한 위치에서 지지할 수 없으므로 다이어프램(20)과 탄성와셔(40)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2669호(2017.11.06.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펄크럼 링이 정확하게 센터링되고, 센터링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이어프램과 탄성와셔가 정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된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다이어프램을 축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와셔와, 다이어프램과 탄성와셔의 외주부 사이에 설치되어 다이어프램 지렛대 작용의 지지점 역할을 하는 펄크럼 링을 포함하는 클러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에 다이어프램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이어프램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펄크럼 링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는 탄성와셔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탄성와셔의 외주부 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펄크럼 링의 외주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탄성와셔의 외주 단부로부터 펄크럼 링의 직경만큼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되어 펄크럼 링의 내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와셔의 외주부 단부 외측에 형성된 지지부의 중간 부분에 절개편이 형성되고, 그 절개편이 복수회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와 평행한 보조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펄크럼 링의 직경만큼 이격되어 지지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으로 펄크럼 링이 삽입되어 펄크럼 링의 외주부와 내주부가 모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와셔는 커버에 장착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벳에 의해서도 센터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와셔에 복수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펄크럼 링이 정확히 센터링되고, 센터링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과 탄성와셔의 지지가 정확히 이루어짐으로써 다이어프램의 조작 성능 및 탄성와셔의 축방향 하중 억제 성능이 정상적으로 발휘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클러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클러치 어셈블리의 조립 상태 일부 확대도로서 펄크럼 링이 정위치에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탄성와셔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어셈블리의 조립 상태 사시도 및 탄성와셔의 지지부에 의한 펄크럼 링 지지 상태 확대도.
도 6은 상기 탄성와셔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상기 탄성와셔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탄성와셔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어셈블리는, 클러치디스크(미도시)를 플라이휠 또는 센터플레이트(더블클러치인 경우)에 가압 밀착시키는 압력플레이트(10)와, 보통 상태에서 압력플레이트(10)를 밀어 클러치디스크와 플라이휠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는 다이어프램(20)과, 압력플레이트(10)에 연결되고 다이어프램(20) 조작시 압력플레이트(10)를 당겨서 클러치디스크를 플라이휠로부터 이격시키는 커버(50)와, 커버(5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다이어프램(20) 작동시 지지점 역할을 하는 펄크럼 링(30)과, 펄크럼 링(30)과 커버(50) 사이에 설치되어 축방향 하중을 억제하는 탄성와셔(40)를 포함한다.
또한, 다이어프램(20)과 펄크럼 링(30) 및 탄성와셔(40)를 커버(50)의 내측면에 장착하기 위해 복수의 가이드리벳(61)과 지지부재(62)가 사용된다. 이들 가이드리벳(61)과 지지부재(62)는 다이어프램(20)과 펄크럼 링(30) 및 탄성와셔(40)가 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클러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와셔(40)에 펄크럼 링(30)을 탄성와셔(40)의 반경방향으로 지지해주는 복수의 지지부(41)가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지지부(41)는 도 4의 (a), (b)와 같이, 탄성와셔(40)의 외주 단부 외측(테두리선에 내측면이 접하는 상태)에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와셔(40)의 외주부로부터 다이어프램(20)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의 (a)에는 지지부(41)가 3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b)에는 지지부(41)가 6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펄크럼 링(30)을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41)는 최소한 3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최대로는 다이어프램(20)에 형성된 개구부(22)와 동일한 숫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지지부(41)가 직사각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펄크럼 링(30)을 클러치의 반경 방향으로 지지(위치 유지)할 수만 있으면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클러치 조립 상태에서 압력플레이트(10)와, 다이어프램(20)과, 펄크럼 링(30)과, 탄성와셔(40) 및 커버(50)는 축방향으로 차례대로 배치된다.
조립 상태에서 상기 탄성와셔(40)의 지지부(41)는, 도 5와 같이, 다이어프램(20)의 다수 개구부(22) 중 대응 위치에 있는 개구부(22)로 삽입 관통되어 반대쪽면으로 돌출된다.
이때 펄크럼 링(30)은 상기 지지부(41)에 의해서 반경 방향 외측부가 지지된다. 즉, 펄크럼 링(30)은 복수의 지지부(41)들의 내측부에 삽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불가하게 되며 탄성와셔(40)와 중심이 일치된다. 기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와셔(40)는 가이드리벳(61)에 의해 센터링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지지부(41)들에 의해 외주부가 지지됨으로써 펄크럼 링(30) 역시 조립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센터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펄크럼 링(30)은 다이어프램(20)을 정확한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탄성와셔(40)의 외주부를 정확히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다이어프램(20)과 탄성와셔(40)가 클러치의 축방향으로 변형 작동할 때 설계시 의도한 대로 정확한 하중 조건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20)과 탄성와셔(40)가 정상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클러치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탄성와셔(4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지지부(41)가 탄성와셔(40)의 외주 단부(40a) 외측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단부(40a)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량 이동된 위치에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도 6의 I-I선 단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41)는 탄성와셔(40)의 외주 단부(40)로부터 펄크럼 링(30)의 직경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동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 상태에서 제2실시예의 지지부(41)는 펄크럼 링(30)의 내주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지지부(41)는 탄성와셔(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펄크럼 링(30)이 반경 방향 어느 쪽으로든 즉, 방사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며, 이에 조립과 동시에 자연히 센터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제3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의 지지부(41)의 중간 부분 양측이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고, 양측 절개선 사이의 중간 부분이 탄성와셔(4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완전히 절곡된 후 다시 수직 상방으로 재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탄성와셔(40)의 외주 단면에 형성된 지지부(41)의 중간 부분에 절개편이 형성되고, 그 절개편이 먼저 탄성와셔(4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부(42a)가 형성되고, 그 수평부(42a)가 다시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수직부(42b)가 형성됨으로써 지지부(41)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보조지지부(42)가 형성된 것이다. 보조지지부(42)는 지지부(41)에 대해 평행하다.
상기 보조지지부(42)는 지지부(41)로부터 펄크럼 링(30)의 직경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탄성와셔(40)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지지부(41)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조립 상태에서 펄크럼 링(30)은 지지부(41)와 보조지지부(4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외주부는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되고, 내주부는 보조지지부(4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보조지지부(42)를 구비한 제3실시예의 지지부(41) 역시 센터링이 이루어진 탄성와셔(40)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부(41)와 보조지지부(42)의 사이에 펄크럼 링(30)이 삽입 설치되면 펄크럼 링(30)의 센터링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3실시예의 경우, 펄크럼 링(30)의 외주부와 내주부가 모두 지지되므로 펄크럼 링(30)이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 양방향으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펄크럼 링(30)의 반경 방향 이동이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센터링 위치로부터 이탈하여 편심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압력플레이트 20 : 다이어프램
21 : 핑거 22 : 개구부
30 : 펄크럼 링 40 : 탄성와셔
40a : 단부 41 : 지지부
42 : 보조지지부 42a : 수평부
42b : 수직부 50 : 커버

Claims (5)

  1. 다이어프램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다이어프램을 축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와셔와, 다이어프램과 탄성와셔의 외주부 사이에 설치되어 다이어프램 지렛대 작용의 지지점 역할을 하는 펄크럼 링을 포함하는 클러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에 다이어프램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이어프램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펄크럼 링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는 탄성와셔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탄성와셔의 외주 단부로부터 펄크럼 링의 직경만큼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된 위치에 형성되어 펄크럼 링의 내주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중간 부분에 절개편이 형성되고, 그 절개편이 복수회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와 평행한 보조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 펄크럼 링의 직경만큼 이격되어 지지부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으로 펄크럼 링이 삽입되어 펄크럼 링의 외주부와 내주부가 모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셔는 커버에 장착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벳에 의해 센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KR1020180036754A 2018-03-29 2018-03-29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KR102051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54A KR102051211B1 (ko) 2018-03-29 2018-03-29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54A KR102051211B1 (ko) 2018-03-29 2018-03-29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83A KR20190114283A (ko) 2019-10-10
KR102051211B1 true KR102051211B1 (ko) 2019-12-02

Family

ID=6820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54A KR102051211B1 (ko) 2018-03-29 2018-03-29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176B1 (ko) * 2019-10-31 2021-04-2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조립체
KR102245181B1 (ko) * 2019-10-31 2021-04-2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자기조심형 클러치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677Y1 (ko) 1999-12-23 2000-05-1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EP2861883A1 (de) 2012-06-14 2015-04-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3226B2 (ja) * 2012-05-23 2016-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周囲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車両周囲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FR3050782B1 (fr) 2016-04-27 2019-08-23 Valeo Embrayages Ensemble pour un dispositif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677Y1 (ko) 1999-12-23 2000-05-1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커버 어셈블리
EP2861883A1 (de) 2012-06-14 2015-04-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83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0233A (en) Clutch assembly
KR102051211B1 (ko) 펄크럼 링 센터링 기능을 구비한 클러치 어셈블리
US4332314A (en) Spring clutch
GB2122283A (en) Motor vehicle clutch mechanism
KR20080081202A (ko) 클러치 커버 조립체
CN108138858B (zh) 用于摩擦离合器的盖组件
EP3617544B1 (en) Friction pad assembly for disk brake
US4200176A (en) Clutch assembly
US4741420A (en) Damper for a diaphragm spring in a clutch
KR101534657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US20120006645A1 (en) Clutch cover assembly
KR20190104143A (ko) 마찰 클러치
JP2001295860A (ja) 皿ばね
JP6934389B2 (ja) バネ組立体
JP7087480B2 (ja) ダンパ装置
GB2268553A (en) A diaphragm clutch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CN109210100B (zh) 用于离合器结构的盖、离合器机构和组装所述机构的方法
JPS60211127A (ja) ねじれ減衰装置
KR102623504B1 (ko) 리턴스프링 오조립 방지 구조
JPH10153220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2017145947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2005195077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H0247298Y2 (ko)
JP2016142339A (ja) トルク変動吸収装置
JP5083529B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