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966A -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966A
KR20190042966A KR1020170134671A KR20170134671A KR20190042966A KR 20190042966 A KR20190042966 A KR 20190042966A KR 1020170134671 A KR1020170134671 A KR 1020170134671A KR 20170134671 A KR20170134671 A KR 20170134671A KR 20190042966 A KR20190042966 A KR 2019004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rotary detent
elastic
housing
elastic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657B1 (ko
Inventor
박두식
정태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6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 소음과 부품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와, 로터리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로터리 스위치부는 스위치 노브와 함께 회전하고 외주에 복수 개의 엔코더 로터 슬릿이 구비되는 엔코더 로터와, 엔코더 로터 슬릿의 이동수를 감지하기 위한 로터리 스위치와, 엔코더 로터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구비한다. 로터리 디텐트부는 엔코더 로터에 엔코더 로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리 디텐트와, 하우징부에 지지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할 수 있도록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일체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와, 하우징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VEHICULAR ROTARY SWITCH UNIT}
본 발명은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 조작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는 차량, 공작 기계,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기 및 게임기 등 매우 다양한 장치들에 선택 및 조작을 위한 부품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스위치는 적용 대상 디바이스의 종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적 선택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스위치로는 간단한 누름 조작이 가능한 푸시 스위치, 축방향 회전 조작이 가능한 로터리 스위치, 레버형 스위치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에는 다기능 스위치가 설치된다. 다기능 스위치는 라이트 및 포그 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차량 윈도우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기능 스위치는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운전 중 각종 장치의 조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다기능 스위치는 회전형 노브, 또는 복합적 움직임이 가능한 노브를 채택하고 있다.
노브가 회전 동작하는 스위치의 경우,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는 디텐트 기능을 갖는다. 디텐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구성 부품 간의 마찰이 불가피한데, 장시간 사용 시 구성 부품이 이동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조작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공개특허공보 제2017-0051704호 (2017. 05. 12)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 부품의 형상 및 구조 개선을 통하여 조작 소음과 부품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조작감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및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에 복수 개의 엔코더 로터 슬릿이 구비되는 엔코더 로터와, 상기 엔코더 로터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엔코더 로터 슬릿의 이동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와,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구비하는 로터리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엔코더 로터에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하우징부에 지지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일체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에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절곡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이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은 상기 탄성클립 바디의 끝단에서 둔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의 사이에 상기 하우징부에 접하도록 곡면을 이루도록 굽은 로터리 디텐트 만곡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되는 아치형의 탄성클립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가 부분 절제되어 상기 탄성클립 바디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되는 탄성클립 보조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의 끝단에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절곡편과,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의 끝단에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이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탄성클립 고정편의 끝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에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되는 탄성클립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하우징부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대해 상기 로터리 디텐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하우징부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대해 상기 로터리 디텐트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이 밀착되는 하우징 고정부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접하여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를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막기 위해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및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블록과, 상기 회전 블록에 결합되고 외주에 복수 개의 엔코더 로터 슬릿이 구비되는 엔코더 로터와, 상기 엔코더 로터가 상기 회전 블록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 상기 엔코더 로터 슬릿의 이동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와, 상기 회전 블록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회전 블록에 지지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일체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와, 상기 회전 블록의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탄성클립 바디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 블록에 밀착되는 탄성클립 절곡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의 끝단에서 상기 탄성클립 바디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보조 절곡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과 상기 탄성클립 보조 절곡편이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회전 블록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회전 블록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대해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블록의 내부에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이 밀착되는 회전 블록 고정부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은 스위치 노브의 회전 조작에 따른 조작감을 제공하기 위한 로터리 디텐트부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가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의 떨림이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의 구조 변경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다양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은 로터리 디텐트부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가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되는 방식으로 조립 대상 부품에 결합될 수 있어 조립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의 엔코더 로터와 로터리 디텐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의 로터리 디텐트부와 엔코더 로터 및 하우징부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의 로터리 디텐트부의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로터리 디텐트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의 하우징 홀더와 로터리 디텐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의 회전 블록과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의 엔코더 로터와 로터리 디텐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의 로터리 디텐트부와 엔코더 로터 및 하우징부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10)은 하우징부(100)와, 기판(150)과, 스위치 노브(200)와, 스위치 샤프트부(250)와, 로터리 스위치부(30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400)와, 푸시 스위치부(3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10)은 차량에 사용되는 스위치 유닛으로서 차량의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되는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자 부품들의 작동 상태를 조정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홀더(120)와, 하우징 베이스(115)를 구비한다.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15)의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베이스(115)의 상측을 덮도록 하우징 베이스(115)와 결합된다.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가 형성된다.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를 통해 스위치 샤프트부(250)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115)에는 후술할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를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 고정부(116)가 구비된다.
하우징 홀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15)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 베이스(115)와 함께 기판(150)을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 홀더(120)의 중앙에는 스위치 샤프트부(250)가 삽입되는 하우징 홀더 관통구(121)가 마련된다. 하우징 홀더(120)는 후술할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와 접하여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를 움직이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기판(15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기판(150)에는 다양한 전기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전기 소자는 기판(150)에 형성되는 기판 배선을 통하여 연결되거나, 플렉서블 기판이나 케이블과 같은 별도 부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소자는 기판(150)의 양쪽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150)의 중앙에는 기판 관통구(151)가 형성되어 스위치 샤프트부(250)의 관통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기판(150)의 일단에는 기판 커넥터(152)가 구비된다. 기판 커넥터(152)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예를 들어 제어부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기 기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노브(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부(100)의 상측에 가동적으로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200)는 회전 동작, 틸팅 디렉셔널 동작 및 푸시 동작이 가능하다. 스위치 노브(200)는 하우징부(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위치 샤프트부(250)와 연결된다.
스위치 샤프트부(250)는 일단이 하우징부(100)에 수용되고 타단이 스위치 노브(200)와 연결된다. 스위치 샤프트부(250)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251)와, 스위치 샤프트 힌지(252)를 포함한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251)는 사전 설정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바디(251)의 끝단에는 스위치 노브(200)가 결합된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252)는 스위치 샤프트 바디(251)의 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수용 배치된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252)는 도시된 것과 같이 구형, 또는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252)는 스위치 샤프트부(250)의 축회전 또는 틸팅 동작의 중심을 이룰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252)는 로터리 스위치부(300)의 엔코더 로터(310)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스위치 샤프트 힌지(252)는 샤프트 힌지 가이드(253)를 구비하고, 샤프트 힌지 가이드(253)를 통해 엔코더 로터(310)와 연결되어 엔코더 로터(3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스위치 샤프트부(250)는 스위치 노브(200)와 함께 축방향 회전 운동, 수평 가압력에 의한 스위치 샤프트 힌지(252)를 중심으로 하는 틸팅 운동,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푸시 운동 등의 복합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300)는 스위치 샤프트부(250)의 축회전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출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와 같은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300)는 엔코더 로터(310)와, 엔코더 로터(31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기판(150)에 지지되는 로터리 스위치(315)와, 엔코더 로터(31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켜 스위치 샤프트부(250)의 회전 조작에 따른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320)를 포함한다.
엔코더 로터(310)는 기판(150)의 하측에 배치된다. 엔코더 로터(310)에는 스위치 샤프트부(250)의 회전 중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엔코더 로터 슬릿(311)이 구비된다. 엔코더 로터(310)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252)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엔코더 로터(310)의 내측에는 엔코더 로터 수용 가이드(312)가 구비된다. 엔코더 로터 수용 가이드(312)는 스위치 샤프트 힌지(252)의 샤프트 힌지 가이드(253)와 맞물림 가능하다. 샤프트 힌지 가이드(253)와 엔코더 로터 수용 가이드(312)를 통해 스위치 샤프트부(250)와 엔코더 로터(310)는 상대적인 축방향 회전이 방지되도록 맞물리는 구조를 취한다. 스위치 샤프트부(250)는 엔코더 로터(310)에 대해 축방향, 측 스위치 샤프트 바디(251)의 축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은 허용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315)는 엔코더 로터(310)가 회전하는 경우 엔코더 로터 슬릿(311)의 이동수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로터리 스위치(315)는 기판(150)의 저면에 지지되어 엔코더 로터(3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315)는 기판(150) 이외에 하우징부(1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부(320)는 엔코더 로터(310)의 가장자리에 엔코더 로터(310)의 회전 중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로터리 디텐트(321)와, 로터리 디텐트(321)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100)에 지지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를 포함한다. 로터리 디텐트(321)는 엔코더 로터(310)의 가장자리로부터 완만하게 돌출된 돌기 구조를 취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와 일체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324)와, 하우징부(100)에 밀착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을 포함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는 판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는 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와 같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편으로 형성되고,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324)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324)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로터리 디텐트(321)와 접촉할 수 있다. 엔코더 로터(310)가 회전할 때 로터리 디텐트(321)가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324)와 마찰 접촉하여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324)를 밀면서 이동함으로써 엔코더 로터(310)의 회전에 따른 조작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은 하우징 베이스(115)에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고정부(116)에 밀착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은 한 쌍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의 양쪽 끝단에 각각 배치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326)와, 탄성클립 바디(326)에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절곡편(327)을 포함한다. 탄성클립 절곡편(327)은 탄성클립 바디(326)의 끝단에서 둔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은 탄성클립 바디(326)와 탄성클립 절곡편(327)이 연결되는 부분이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고정부(116)에 접하여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 대해 로터리 디텐트(3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와 탄성클립 바디(326)의 사이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굽은 로터리 디텐트 만곡부(328)가 구비된다. 로터리 디텐트 만곡부(328)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324)가 로터리 디텐트(321)에 의해 밀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가 탄성 변형될 때 하우징 베이스(115)에 접촉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은 곡면형의 로터리 디텐트 만곡부(328)가 하우징 베이스(115)에 접촉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하우징 베이스(115)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고, 마찰 및 마찰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는 원활한 디텐팅 동작과 더불어 엔코더 로터(310)의 회전 시 엔코더 로터(310)를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엔코더 로터(310)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균등 분할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두 개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가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의 개수나 배치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터리 디텐트부(320)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가 하우징부(100)에 지지된 상태로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 지지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324)가 엔코더 로터(310)에 구비되는 로터리 디텐트(321)와 탄력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엔코더 로터(31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켜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이 하우징부(100)에 밀착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324)가 로터리 디텐트(321)에 의해 밀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가 탄성 변형될 때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의 작용으로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324)가 엔코더 로터(310)의 로터리 디텐트(321)와 더욱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정지 상태에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 및 엔코더 로터(310)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힘이나 압력 발생에 의한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의 떨림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고,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의 유동을 줄이기 위한 별도의 추가 부품을 생략할 수 있어 부품수 절감과, 조립성 개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이 하우징부(100)에 밀착되면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가 간단하게 하우징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푸시 스위치부(350)는 푸시 홀더(355)와, 푸시 스위치(360)와, 푸시 리턴부(365)를 포함한다. 푸시 홀더(355)는 적어도 일부가 기판(150)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스위치 샤프트부(250)의 스위치 샤프트 힌지(252)와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부(250)가 수직 가동되는 경우 함께 수직 가동될 수 있다. 푸시 스위치(360)는 기판(150)의 저면에 배치되고, 푸시 홀더(355)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 변동되는 경우 변화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푸시 리턴부(365)는 푸시 홀더(355)의 하부에 배치되어 푸시 홀더(355)를 탄성 지지한다.
푸시 스위치부(35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스위치 샤프트부(250)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부(400)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410)와, 디렉셔널 스위치(415)와, 디렉셔널 리턴부(420)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슬라이드부(410)는 스위치 샤프트부(250)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의하여 하우징부(100) 내에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415)는 기판(150)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슬라이드부(410)의 위치 가변에 의하여 가동되어 변화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렉셔널 리턴부(420)는 디렉셔널 슬라이드부(410) 및 스위치 샤프트부(25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렉셔널 스위치부(40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스위치 샤프트부(250)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10)은 구성 요소를 최소화하고, 스위치 등을 단일 기판 측으로 집중시켜 전기적 배선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킴과 아울러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 증진으로 인한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엔코더 로터(31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320)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가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325)의 작용으로 유동 발생없이 안정적으로 엔코더 로터(310)에 구비되는 로터리 디텐트(321)에 탄성 접촉할 수 있고,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322)의 떨림이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에 구비되는 로터리 디텐트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로터리 디텐트부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의 구조만 일부 변형된 것이다.
먼저, 도 6에 나타낸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50)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451)와, 탄성클립 바디(326)에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고정부(116)에 밀착되는 탄성클립 돌기(452)를 포함한다. 탄성클립 돌기(452)는 하우징 고정부(116)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우징 고정부(116)에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형 또는 구면형으로 이루어진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와 탄성클립 바디(451)의 사이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굽은 로터리 디텐트 만곡부(328)가 구비된다.
이러한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는 탄성클립 돌기(452)가 하우징 고정부(116)에 밀착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50)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가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탄성클립 바디(451)에 구비되는 탄성클립 돌기(452)의 형상이나 개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60)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461)와, 탄성클립 바디(461)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보조 지지편(462)을 포함한다. 탄성클립 보조 지지편(462)은 탄성클립 바디(461)가 부분 절제되어 절곡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와 탄성클립 바디(461)의 사이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굽은 로터리 디텐트 만곡부(328)가 구비된다.
이러한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는 탄성클립 보조 지지편(462)이 하우징 고정부(116)에 밀착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60)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가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6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탄성클립 보조 지지편(462)이 하우징 고정부(116)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그 끝단이 하우징 고정부(116)의 일면에 접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가 하우징부(100)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더라도 하우징부(10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탄성클립 보조 지지편(462)은 탄성클립 바디(461)가 부분 절제되어 절곡된 구조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클립 보조 지지편(462)의 형상이나 개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70)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고정부(116)에 밀착되는 아치형의 탄성클립 바디(471)를 포함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와 탄성클립 바디(471)의 사이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굽은 로터리 디텐트 만곡부(328)가 구비된다. 이러한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는 탄성클립 바디(471)가 하우징 고정부(116)에 밀착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70)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가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7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탄성클립 바디(471)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로터리 디텐트부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80)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481)와, 탄성클립 바디(481)의 끝단에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절곡편(482)과, 탄성클립 절곡편(327)의 끝단에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고정편(483)을 포함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와 탄성클립 바디(481)의 사이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굽은 로터리 디텐트 만곡부(328)가 구비된다.
이러한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는 탄성클립 바디(481)와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482)이 연결되는 부분과 탄성클립 고정편(483)의 끝단이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고정부(116)에 밀착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가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48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탄성클립 고정편(483)이 하우징 고정부(116)에 대해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그 끝단이 하우징 고정부(116)의 일면에 접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가 하우징부(100)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더라도 하우징부(10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탄성클립 고정편(483)의 형상이나 개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 이외에,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은 하우징부(100)의 일측에 밀착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를 지지할 수 있도록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 대해 로터리 디텐트(3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323)에 대해 로터리 디텐트(321)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의 하우징 홀더와 로터리 디텐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20)은 하우징부(500)와, 기판(550)과, 스위치 노브(600)와, 로터리 스위치부(700)와, 프레스 스위치부(750)와, 터치 모듈(800)과, 진동 액츄에이터(8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20)은 차량에 사용되는 스위치 유닛으로서 차량의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되는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장 장치 들의 작동 상태를 조정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부(500)는 하우징 베이스(510)와, 하우징 커버(515)와,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과, 하우징 홀더(530)를 포함한다. 하우징 베이스(510) 위에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이 결합되고,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 위에 하우징 커버(515)가 결합되어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의 상부를 덮는다. 하우징 베이스(510)와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의 사이에는 기판(550) 등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과 하우징 커버(515)의 사이에 터치 모듈(800) 등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하우징 홀더(530)는 하우징 베이스(510)와 하우징 커버(515) 및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으로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510)는 하우징 홀더(530)를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 베이스 고정돌기(511)를 포함한다. 하우징 베이스 고정돌기(511)는 하우징 홀더(530) 측으로 돌출 구비된다. 하우징 베이스(510)의 중간에는 복수의 하우징 베이스 기둥(512)이 하우징 커버(515)를 향해 돌출 구비된다. 이들 복수의 하우징 베이스 기둥(512)은 기판(550)을 떠받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베이스 고정돌기(511)의 외측에 상호 이격 배치된다. 각각의 하우징 베이스 기둥(512)은 기판(550)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스 스위치(751)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 기둥(512)은 프레스 스위치(751)가 하우징 베이스(510) 측으로 가압력을 받을 때, 프레스 스위치(75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기판(550)을 떠받침으로써 기판(550)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515)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516)를 갖는다. 하우징 커버 관통구(516)에 스위치 노브(600)가 하우징부(500)의 외측으로 드러나게 배치된다.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은 하우징 베이스(510)에 결합되는 미들 프레임 바디(521)와, 미들 프레임 바디(521)의 중간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 가이드(525)를 포함한다. 미들 프레임 가이드(525)는 후술할 스위치 플런저(752)를 기판(550) 상의 프레스 스위치(751) 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미들 프레임 가이드(525)는 미들 프레임 바디(521)의 중간에 배치되는 미들 프레임 지지판(526)과, 미들 프레임 지지판(526)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미들 프레임 가이드 캡(527)을 포함한다. 미들 프레임 지지판(526)의 중간에는 미들 프레임 관통구(528)가 마련된다. 미들 프레임 가이드 캡(527)은 스위치 플런저(752)의 상부 끝단을 감싼 상태로 회전 블록(710)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 가이드 캡(527)은 미들 프레임 지지판(526)과 일체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된다. 미들 프레임 가이드 캡(527)은 회전 블록(710)과 스위치 플런저(752)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의 두께가 미들 프레임 지지판(526)보다 얇아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의 상측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540)가 배치된다. 조작부는 차량의 각종 전자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하우징 홀더(530)는 하우징 홀더 바디(531)와, 하우징 홀더 바디(53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하우징 베이스(510)에 결합되는 하우징 홀더 결합부(532)를 포함한다. 하우징 홀더 바디(531)는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의 미들 프레임 가이드(525) 위에 배치되어 터치 모듈(800)과 진동 액츄에이터(850) 등을 지지한다. 하우징 홀더 바디(531)의 일측에는 하우징 홀더 연통구(533)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하우징 홀더 바디(531)의 저면에는 후술할 로터리 디텐트부(730)의 로터리 디텐트(731)가 배치된다. 하우징 홀더 결합부(532)는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의 미들 프레임 관통구(528)를 통해 하우징 베이스(510)의 하우징 베이스 고정돌기(511)과 결합된다. 하우징 홀더 결합부(532)의 외측에는 로터리 스위치부(700)의 회전 블록(7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545)이 배치된다.
하우징부(50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우징 베이스(510)가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과 결합되고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이 하우징 커버(515)와 결합됨으로써, 하우징 베이스(510)와 하우징 커버(515)가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우징 베이스(510)와 하우징 커버(515)가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이 하우징 베이스(510)와 하우징 커버(515)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기판(550)은 하우징부(5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기판(550)은 하우징 베이스(510)에 구비되는 복수의 하우징 베이스 기둥(512)에 의해 지지된다. 기판(550)의 중간에는 기판 관통구(551)가 형성된다. 하우징 베이스 고정돌기(511)이 기판 관통구(551)를 관통하여 기판(55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기판(550)은 커넥터나 전원 라인을 통해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550)에는 다양한 전기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기판(550)의 상면에는 복수의 프레스 스위치(751)가 배치된다. 이들 전기 소자는 기판(550)에 형성되는 배선을 통하여 연결되거나, 플렉서블 기판이나 케이블과 같은 별도 부품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노브(600)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부(5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우징 커버(515)의 하우징 커버 관통구(516)에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600)는 원형 프로파일의 상면을 갖는 노브 바디(610)와, 노브 바디(610)의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노브 그립 돌기(611)를 포함한다. 노브 바디(610)의 중간에는 노브 관통구(612)가 마련되고, 복수의 노브 그립 돌기(611)는 노브 관통구(612)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노브 그립 돌기(611)는 사용자가 손이 미끄러지지 않고 스위치 노브(6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스위치 노브(60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부(700)는 회전 블록(710)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5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부(700)는 하우징부(5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블록(710)과, 회전 블록(710)에 결합되어 회전 블록(7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엔코더 로터(715)와, 엔코더 로터(715)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하우징 홀더(530)에 지지되는 로터리 스위치(720)와, 회전 블록(71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켜 회전 블록(710)의 회전 조작에 따른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730)를 포함한다.
회전 블록(710)은 스위치 노브(600)와 기판(550) 사이에 배치되어 엔코더 로터(715)를 지지함과 동시에 스위치 노브(600)의 가압력을 기판(550) 상의 프레스 스위치(751)에 전달한다. 회전 블록(710)은 스위치 노브(600)와 결합되어 스위치 노브(6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회전 블록 바디(711)를 포함한다. 회전 블록 바디(711)는 스위치 노브(6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프레스 스위치(751)가 배치되는 기판(550)의 상면에 대해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블록 바디(711)의 중간에는 회전 블록 관통구(712)가 구비된다. 회전 블록 바디(711)는 회전 블록 관통구(712)에 하우징 홀더(530)의 하우징 홀더 결합부(53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하우징 홀더(530)와 결합된다. 회전 블록 바디(711)와 하우징 홀더 결합부(532) 사이에 베어링(545)이 배치되어 회전 블록 바디(7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회전 블록 바디(711)의 상면에는 로터리 디텐트부(730)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732)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 블록 고정부(713)가 구비된다.
엔코더 로터(715)는 회전 블록 바디(711) 상면의 회전 블록 관통구(712) 외측에 배치된다. 엔코더 로터(715)에는 회전 블록(710)의 회전 중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엔코더 로터 슬릿(716)이 구비된다.
로터리 스위치(720)는 엔코더 로터(715)가 회전하는 경우 엔코더 로터 슬릿(716)의 이동수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한다. 로터리 스위치(720)는 터치 모듈(800)의 저면에 결합되어 터치 모듈(800)을 통해 하우징 홀더(530)에 지지된다. 터치 모듈(800)이 하우징 홀더(530)의 상면에 결합될 때 로터리 스위치(720)는 하우징 홀더(530)의 하우징 홀더 연통구(533)를 통해 하우징 홀더(530)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엔코더 로터(715)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720)는 터치 모듈(800)을 통해 하우징 홀더(530)에 지지되는 방식 이외에,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부(5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부(730)는 하우징 홀더 바디(531)의 저면에 회전 블록(710)의 회전 중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로터리 디텐트(731)와, 로터리 디텐트(731)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회전 블록(710)에 지지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732)를 포함한다. 로터리 디텐트(731)는 하우징 홀더 바디(531)의 저면으로부터 완만하게 돌출된 돌기 구조를 취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732)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와 일체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734)와, 회전 블록(710)에 밀착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를 지지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을 포함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는 판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는 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와 같은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는 탄성편으로 형성되고,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734)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의 중앙에서 돌출 절곡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734)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로터리 디텐트(731)와 접촉할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은 회전 블록(710)에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과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회전 블록 고정부(713)에 밀착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를 지지할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은 한 쌍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의 양쪽 끝단에 각각 배치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에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734)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736)와, 탄성클립 바디(736)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탄성클립 바디(736)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절곡편(737)과, 탄성클립 절곡편(737)의 끝단에서 탄성클립 바디(736)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보조 절곡편(738)을 포함한다. 탄성클립 바디(736)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고, 탄성클립 절곡편(737)은 탄성클립 바디(736)로부터 예각으로 절곡되며, 탄성클립 보조 절곡편(738)은 탄성클립 절곡편(737)의 끝단에서 둔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은 탄성클립 절곡편(737)과 탄성클립 보조 절곡편(738)이 연결되는 부분이 회전 블록(710)의 회전 블록 고정부(713)에 접하여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에 대해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734)의 돌출 방향과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클립 바디(736)와 탄성클립 절곡편(737)의 사이에는 곡면을 이루도록 굽은 탄성클립 만곡부(739)가 구비된다. 탄성클립 만곡부(739)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734)가 로터리 디텐트(731)에 의해 밀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가 탄성 변형될 때 회전 블록(710)에 접촉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은 곡면형의 탄성클립 만곡부(739)가 회전 블록(710)에 접촉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회전 블록(710)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고, 마찰 및 마찰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732)는 원활한 디텐팅 동작과 더불어 회전 블록(710)의 회전 시 회전 블록(710)을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엔코더 로터(715)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균등 분할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두 개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732)가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732)의 개수나 배치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터리 디텐트부(730)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가 회전 블록(710)에 지지된 상태로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734)가 하우징 홀더(530)의 로터리 디텐트(731)와 탄력적으로 접촉함으로써 회전 블록(71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켜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이 회전 블록(710)에 밀착되어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734)가 로터리 디텐트(731)에 의해 밀려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가 탄성 변형될 때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733)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레스 스위치부(750)는 기판(55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스 스위치(751)와, 회전 블록(710)과 복수의 프레스 스위치(75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위치 플런저(752)를 포함한다.
복수의 프레스 스위치(751)는 스위치 노브(60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기판(550) 상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프레스 스위치(751)는 스위치 노브(6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균등 각 분할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프레스 스위치(751)는 하우징 베이스(510)의 복수의 하우징 베이스 기둥(512)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면에는 네 개의 프레스 스위치(751)가 스위치 노브(6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프레스 스위치(751)의 개수나 배치 간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프레스 스위치(751)는 가압력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압력 센서 등 사전 설정된 크기 이상의 가압력이 가해지면 신호를 발생하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스위치 플런저(752)는 회전 블록(710)과 프레스 스위치(751)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블록(710)에 인가되는 가압력을 프레스 스위치(751)로 전달한다. 스위치 플런저(752)를 이용함으로써 스위치 노브(6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프레스 스위치(751)에 집중시킬 수 있어 스위치 노브(600)의 가압력을 프레스 스위치(751)에 더욱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치 플런저(752)는 하우징 미들 프레임(520)의 미들 프레임 가이드(525)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프레스 스위치(751)에 대해 수직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스 스위치부(750)는 스위치 노브(6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회전 블록(710)과 스위치 플런저(752)를 통해 프레스 스위치(751)에 전달하고 프레스 스위치(751)가 사전 설정된 크기 이상의 가압력이 가해지면 신호를 발생하는 방식으로 스위치 노브(600)의 편심 프레스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터치 모듈(800)은 스위치 노브(600)의 노브 관통구(612)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스위치 노브(600)의 내부에 배치된다. 터치 모듈(800)은 하우징 홀더(530)의 상면에 결합된다. 터치 모듈(800)은 필기 인식 또는 터치 인식이 가능한 구조, 또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진동 액츄에이터(850)는 스위치 노브(600)의 프레스 조작에 따라 진동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5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진동 액츄에이터(850)는 하우징 홀더(530)에 결합되어 진동을 스위치 노브(60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위치 노브(600)를 프레스 조작할 때 진동 액츄에이터(850)가 진동을 발생하여 스위치 노브(600)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진동 액츄에이터(850)는 스위치 노브(600)의 프레스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전 설계된 프로그램에 따라 진동 액츄에이터(850)가 다양한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다양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20)은 압력에 반응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프레스 스위치(751)를 통해 스위치 노브(600)의 프레스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스위치 노브(600)를 고정 또는 스위치 노브(60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600)와 스위치 노브(600) 주변의 하우징부(500) 사이의 갭을 최소화하고, 스위치 노브(6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블록(71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기 위한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732)가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735)의 작용으로 유동 발생없이 안정적으로 하우징 홀더(530)의 로터리 디텐트(731)에 탄성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732)의 떨림이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 :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100, 500 : 하우징부
110, 515 : 하우징 커버 115, 510 : 하우징 베이스
120, 530 : 하우징 홀더 150, 550 : 기판
200, 600 : 스위치 노브 250 : 스위치 샤프트부
300, 700 : 로터리 스위치부 310, 715 : 엔코더 로터
315, 720 : 로터리 스위치 320, 730 : 로터리 디텐트부
321, 731 : 로터리 디텐트 322, 732 : 로터리 디텐트 탄성체
323, 733 :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
324, 734 :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
325, 735, 450, 460, 470, 480 :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
350 : 푸시 스위치부 355 : 푸시 홀더
360 : 푸시 스위치 400 : 디렉셔널 스위치부
410 : 디렉셔널 슬라이드부 415 : 디렉셔널 스위치
520 : 하우징 미들 프레임 525 : 미들 프레임 가이드
710 : 회전 블록 750 : 프레스 스위치부
751 : 프레스 스위치 752 : 스위치 플런저
800 : 터치 모듈 850 : 진동 액츄에이터

Claims (18)

  1. 하우징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및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주에 복수 개의 엔코더 로터 슬릿이 구비되는 엔코더 로터와, 상기 엔코더 로터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엔코더 로터 슬릿의 이동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와,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구비하는 로터리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엔코더 로터에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하우징부에 지지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일체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에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절곡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이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은 상기 탄성클립 바디의 끝단에서 둔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의 사이에 상기 하우징부에 접하도록 곡면을 이루도록 굽은 로터리 디텐트 만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되는 아치형의 탄성클립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가 부분 절제되어 상기 탄성클립 바디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되는 탄성클립 보조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의 끝단에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절곡편과,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의 끝단에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이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탄성클립 고정편의 끝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에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에 밀착되는 탄성클립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하우징부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대해 상기 로터리 디텐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하우징부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대해 상기 로터리 디텐트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이 밀착되는 하우징 고정부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 고정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접하여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를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막기 위해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하우징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14. 하우징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및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블록과, 상기 회전 블록에 결합되고 외주에 복수 개의 엔코더 로터 슬릿이 구비되는 엔코더 로터와, 상기 엔코더 로터가 상기 회전 블록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 상기 엔코더 로터 슬릿의 이동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와, 상기 회전 블록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회전 블록에 지지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와 일체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와,
    상기 회전 블록의 일측에 밀착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바디와,
    상기 탄성클립 바디로부터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상기 탄성클립 바디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 블록에 밀착되는 탄성클립 절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티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의 끝단에서 상기 탄성클립 바디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탄성클립 보조 절곡편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클립 절곡편과 상기 탄성클립 보조 절곡편이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회전 블록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은 상기 회전 블록에 접하여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지지부에 대해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돌기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록의 내부에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이 밀착되는 회전 블록 고정부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클립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1020170134671A 2017-10-17 2017-10-17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102442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71A KR102442657B1 (ko) 2017-10-17 2017-10-17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71A KR102442657B1 (ko) 2017-10-17 2017-10-17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966A true KR20190042966A (ko) 2019-04-25
KR102442657B1 KR102442657B1 (ko) 2022-09-13

Family

ID=6628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671A KR102442657B1 (ko) 2017-10-17 2017-10-17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6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16A (ko) * 2021-01-21 2022-07-2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로타리 버튼 조립체
KR102560000B1 (ko) * 2023-02-08 2023-07-27 (주)테크리더월드 수밀성을 향상시킨 로터리 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994A (ko) * 2009-09-14 2011-03-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698647B1 (ko) * 2014-10-29 2017-01-23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70051704A (ko) 2015-10-30 2017-05-12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994A (ko) * 2009-09-14 2011-03-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698647B1 (ko) * 2014-10-29 2017-01-23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20170051704A (ko) 2015-10-30 2017-05-12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16A (ko) * 2021-01-21 2022-07-28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로타리 버튼 조립체
KR102560000B1 (ko) * 2023-02-08 2023-07-27 (주)테크리더월드 수밀성을 향상시킨 로터리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657B1 (ko)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8212B1 (en) Push and rotary operating type electronic component
KR101698647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US20090260963A1 (en) Vehicle switch
JP6674540B2 (ja) 車両用マルチオペレーティングスイッチユニット
KR1026037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H117865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
KR20190042966A (ko)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102529615B1 (ko) 로터리 노브의 로터리 디텐트 기구 및 이를 갖는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10256583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0835142B1 (ko) 스크롤 푸싱 스위치 모듈
KR20190046215A (ko)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유닛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모듈
KR101514154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706426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435283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EP3203355B1 (en) Flat cable wiring structure
KR20190071501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KR101133856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JP3931532B2 (ja) 多方向操作型電子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977055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180046125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KR101555378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JP3931528B2 (ja) 押圧・回転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9955594B2 (en) Operation device
JP2014182718A (ja) 操作装置
CN111103994A (zh) 滚轮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