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994A - 차량용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994A
KR20110028994A KR1020090086657A KR20090086657A KR20110028994A KR 20110028994 A KR20110028994 A KR 20110028994A KR 1020090086657 A KR1020090086657 A KR 1020090086657A KR 20090086657 A KR20090086657 A KR 20090086657A KR 20110028994 A KR20110028994 A KR 20110028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movable
case
movable bloc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3856B1 (ko
Inventor
오성운
정승원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85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2003/028Rotating knob or lever or tumbler that can be turned or pushed by hand in only one direction, e.g. by making inaccessible one side of a tumb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 노브와 시소 운동하는 가동 블록을 형성하고 가동 블록에 의해 가압되는 가동 접점부를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가동 접점부의 탄성 변형 거리에 따라 다양한 조작 거리 및 조작감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좀더 생동감있고 안정적인 조작감을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인 구성없이도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직접 체감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주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조작 노브, 가동 블록, 캠 블록, 스토퍼 블록

Description

차량용 스위치 장치{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 노브와 시소 운동하는 가동 블록을 형성하고 가동 블록에 의해 가압되는 가동 접점부를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가동 접점부의 탄성 변형 거리에 따라 다양한 조작 거리 및 조작감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좀더 생동감있고 안정적인 조작감을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인 구성없이도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직접 체감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주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은 경우에는,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 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되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우에는 다수개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PCB기판과, PCB기판에 결합되어 외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의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노브가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한 조작 노브의 조작에 따라 PCB기판 상에 장착된 접점 스위치가 작동하게 되고, 이러한 접점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PCB기판에서 다양한 전기적 신호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전기적 신호는 ECU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스위치 장치들은 접점 스위치의 작동 거리 및 조작 노브의 작동 거리가 짧아 운전자가 조작시 느끼는 조작력과 조작감이 양호하지 못하였으며, 이로 인해 운전자가 스위치 장치를 조작한 후 스위치 장치가 정상적으로 조작이 되었는지 느낄 수 있는 조작감이 부족하여 조작 여부를 재차 확인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조작감은 접점 스위치의 특성에 따라 획일화되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의 조작 거리가 제한되고 이에 따라 운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차량의 스티어링 부분에 장착되는 기어 변속을 위한 패들 스위치 장치는 이러한 스위치 장치의 조작감이 특히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는 주행 중 안정성과 긴밀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안정성 측면에서도 더욱 중요한 문제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 노브와 시소 운동하는 가동 블록을 형성하고 가동 블록에 의해 가압되는 가동 접점부를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가동 접점부의 탄성 변형 거리에 따라 다양한 조작 거리 및 조작감을 제공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동 접점부가 가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함으로써, 탄성 변형 거리를 조절하여 더욱 감성적인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도 탄성력이 유지되어 양호한 동작 상태를 유지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좀더 생동감있고 안정적인 조작감을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인 구성없이도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직접 체감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주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조작 노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노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 노브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동 블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 접점부; 및 상기 가동 블록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며 탄성 변형하여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부에 접촉함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 접점부는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점부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평판형으로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 형성되며, 일측단부에는 상기 고정 접점부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부의 타측에 접촉 및 접촉해제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가동 블록에 의해 접촉 가압되는 가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점부의 고정부는 상기 고정 접점부에 커링 공정을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점부의 가압부에는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해 돌출되는 엠보싱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점부의 접촉부는 상기 고정 접점부를 향해 돌출되는 엠보싱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가동 접점부의 탄성 변형량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 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점부는 상기 가동 블록의 가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노브는 일측단부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동 블록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조작 노브와 시소 운동하도록 상기 조작 노브의 일측단부에 상기 회전축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블록에는 상기 회전축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상기 가동 블록으로부터 돌출되게 탄성 편의되는 가이드 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끝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캠홈이 형성된 캠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 및 캠 블록에 의해 상기 가동 블록의 회전 경로가 가이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 노브와 시소 운동하는 가동 블록을 형성하고 가동 블록에 의해 가압되는 가동 접점부를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가동 접점부의 탄성 변형 거리에 따라 다양한 조작 거리 및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가 가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함으로써, 탄성 변형 거리를 조절하여 더욱 감성적인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 블록을 장착하여 가동 접점부의 탄성 변형량을 제한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탄성력이 유지되어 양호한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또한, 사용자에게 좀더 생동감있고 안정적인 조작감을 제공함으로써, 시각적인 구성없이도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직접 체감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주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가동 접점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부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는 조작 거리를 증가시켜 조작감을 향상시킨 구조로, 케이스(100), 조작 노브(200), 가동 블록(300), 고정 접점부(400) 및 가동 접점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데,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 본체(110)와,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커버(120)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0) 및 케이스 커버(120)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스크류 결합을 위한 나사홀(111,121)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홀(111,121)에 삽입 체결되는 스크류(130)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커버(120)의 결합 방법은 스크류 결합 이외에도 끼워맞춤 방식 또는 접착 방식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케이스 본체(110)의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가동 접점부(500)의 탄성 변형량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 블록(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가동 접점부(500)가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될 때 결합 위치가 용이하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가동 접점부(500)에 관통 삽입되는 돌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10)의 일측에는 가동 접점부(500) 및 고정 접점부(400)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커넥터 삽입부(112)가 형성된다.
조작 노브(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조작 노브(200)의 일측단부에는 힌지홀(201)이 형성되며 힌지 홀(201)에 결합핀(210)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조작 노브(200)는 결합핀(210)을 회전축으로 하여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노브(20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동 블록(300)은 일측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사각 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조작 노브(200)와 함께 회전하도록 조작 노브(2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가동 블록(300)은 조작 노브(200)의 회전축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조작 노브(200)의 일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노브(200)가 회전축인 결합핀(21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가동 블록(300)은 조작 노브(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그 구조상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대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가동 블록(300)과 조작 노브(200)가 시소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접점부(400)는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접점부(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케이스 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스위치 장치의 조립 공정이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가동 접점부(500)는 가동 블록(300)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며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탄성 변형에 따라 고정 접점부(40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가동 접점부(500)가 고정 접점부(400)와 접촉하게 되면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며, 이러한 전기적 신호가 커넥터 삽입부(112)를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특 정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는 조작 노브(200)의 조작 거리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특히 가동 접점부(500)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가동 접점부(500)와 고정 접점부(40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접촉을 위한 작동 거리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500)의 형상 및 재질을 변경하여 가동 접점부(500)의 탄성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가동 블록(300)의 가압력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조작력 및 이에 따른 조작감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동 접점부(500)와 고정 접점부(400)의 접촉 상태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고정 접점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에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동 접점부(500)는 탄성 변형하며 이러한 고정 접점부(400)에 접촉할 수 있도록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부(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평판형으로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에는 고정 접점부(40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510)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고정 접점부(400)의 타측에 접촉 및 접촉해제되는 접촉부(530)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가동 블록(300)에 의해 접촉 가압되는 가압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 압부(520)를 중심으로 양측의 고정부(510)와 접촉부(530) 사이에는 경사면(P)이 형성되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가동 접점부(500)는 고정 접점부(400)와 일측 지점에서 접촉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고, 가동 블록(300)에 의해 가압되면 탄성 변형하며 고정 접점부(400)의 타측 지점에서 접촉 연결되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2개 지점에서 접촉되는 경우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가동 접점부(500)의 접촉부(53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접점부(400)와 더욱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면접촉을 이루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접점부(400)와 선접촉을 이루는 곡선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가동 접점부(500)의 접촉부(530)에 대한 형상은 이와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가동 접점부(500)의 형상은 대략 판 스프링 형태로 하나의 평판을 절곡한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Y"자 형태의 평판을 절곡한 형태로 형성하여 끝단부에 2개의 접촉부(530)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2개의 접촉부(530)가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고정부(510)가 고정 접점부(400)에 결합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케이스 본체(110)에만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2개의 접촉부(530)가 고정 접점부(400)에 동시에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도록 회로 구성될 수 있고, 이는 가동 접점부(500)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일측 지점에서 고정 접점부(400)와 접촉 유지될 필요가 없으므로, 가동 접점 부(500)가 케이스 본체(110)에만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가동 접점부(500)와 고정 접점부(400)의 접촉 방식에 대한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가동 접점부(500)의 고정부(510)에는 고정 접점부(400)와 커링 공정을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커링부(5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가동 접점부(500)가 고정 접점부(400)와 결합됨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가동 접점부(500)의 고정부(510)에는 관통홀(512)이 형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돌출부(114)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가동 접점부(500)가 탄성 변형하며 고정 접점부(400)에 접촉하는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노브(200)가 회전 조작되지 않고 기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동 접점부(500)는 접촉부(530)가 고정 접점부(400)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노브(200)가 상향 회전 조작되면, 이러한 조작 노브(200)의 회전에 따라 가동 블록(300)이 시소 운동하며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 블록(300)에 의해 가동 접점부(500)가 가압된다. 가동 접점부(500)는 가압되며 탄성 변형하며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후 가동 접점부(500)의 접촉부(530)가 고정 접점부(400)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부(500)의 접촉부(530)가 고정 접점부(400)와 접촉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고 커넥터 삽입부(112)를 통해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특정 기능이 수행된다.
이때, 케이스 본체(1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 블록(113)이 형성되는 데, 이러한 스토퍼 블록(113)은 가동 접점부(5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가동 접점부(500)의 가압부(520)가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가동 블록(300)에 의해 가동 접점부(500)가 가압되어 탄성 변형하며 하향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동 접점부(500)는 스토퍼 블록(113)에 의해 하향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조작 노브(200)에 의한 회전 조작력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작용하더라도, 가동 접점부(500)의 탄성 변형량이 스토퍼 블록(113)에 의해 일정 범위 이하로 제한되므로, 가동 접점부(500)의 소성 변형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가동 접점부(500)의 탄성력이 유지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가동 접점부(500)와 고정 접점부(400)의 접촉 동작 방식은 가동 접점부(500)가 가동 블록(300)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하며 하향 이동함으로써, 고정 접점부(400)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부(500)가 수평 이동하는 방식으로 고정 접점부(400)에 접촉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부(500)는 가동 블록(300)의 가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고정 접점부(40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6의 (a)에 도시된 기준 상태에서 도 6의 (b) 상태로 가동 블록(300)이 하향 이동하면, 가동 접점부(500)가 가압되며 하향 이동하며 케이스 본체(110)에 접촉되고, 이후 도 6의 (c) 상태로 가동 블록(300)이 계속해서 하향 이동하면, 가동 접점부(500)의 가압부(520)가 계속 가압되어 가동 접점 부(500)는 가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탄성 변형에 따라 가동 접점부(500)의 접촉부(530)가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 접점부(400)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 방식에 따라 조작 노브(200)의 조작 거리가 더욱 길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 노브(200)를 조작하는 동안 탄성력의 변화도 감지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가동 접점부(500)가 가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경우, 스토퍼 블록(113)은 전술한 바와 달리 가동 접점부(500)의 변형에 따른 진행 방향의 전방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스토퍼 블록(113)이 가동 접점부(500)의 접촉부(530) 전방에 위치하여 접촉부(530)의 탄성 변형 진행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가동 접점부(500)는 가압부(520)의 상면이 가동 블록(300)과 접촉하게 되고, 접촉부(530)의 하면이 고정 접점부(400)와 접촉하게 되는데, 이 경우 가동 블록(300)과 가압부(520)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가압부(520)에는 가동 블록(300)을 향해 돌출되는 엠보싱 돌기(5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500)의 접촉부(530)가 플레이트 형태로 고정 접점부(400)와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접촉부(530)와 고정 접점부(400)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접촉부(530)에 고정 접점부를 향해 돌출되는 엠보싱 돌기(52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530)에 형성된 엠보싱 돌기(521)는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점부(500)가 가압 방 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경우 마찰력 감소 효과가 더욱 크게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엠보싱 돌기(521)는 해당 접촉면과 각각 점접촉하도록 끝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조작 노브(200)가 회전 조작 경로가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한 구성으로 별도의 캠 블록(140)을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가동 블록(3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홈(301)이 형성되고, 삽입홈(301)에는 탄성 부재(320)와, 탄성 부재(320)에 의해 가동 블록(3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탄성 편의되는 가이드 돌기(310)가 삽입 결합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10)의 내부에는 캠 블록(140)이 장착되며, 캠 블록(140)에는 가동 블록(300)의 가이드 돌기(310)가 삽입되며 이동 경로가 가이드 되도록 캠홈(141)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돌기(310)는 탄성 부재(320)에 의해 탄성 편의되며 캠홈(141)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조작 노브(200)가 케이스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동 블록(300)의 가이드 돌기(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블록(140)의 캠홈(141)에 삽입되게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조작 노브(200)가 회전 조작되면, 가이드 돌기(310)가 캠홈(141)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 경로가 가이드된다. 즉, 가이드 돌기(310)와 캠홈(141)의 구조에 따라 가동 블록(300) 및 조작 노브(200)의 회전 경로가 가이드되는 구조이다.
이때, 캠홈(14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에 경사부(142)가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동 블록(300)이 하향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 돌기(310)가 캠홈(141)의 경사부(142)에 가압 접촉되며 경사 방향을 따라 다시 상향 이동하도록 원상 복구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이러한 캠 블록(140)을 통해 조작 노브(200)를 회전 조작 후 다시 기준 상태로 자동 복귀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캠홈(141)에는 이러한 경사부(142) 이외에도 다수개의 요철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철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생동감있는 조작감을 전달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장치의 가동 접점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 접점부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200: 조작 노브
300: 가동 블록 400: 고정 접점부
500: 가동 접점부

Claims (1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조작 노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작 노브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조작 노브의 일측에 형성되는 가동 블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고정 접점부; 및
    상기 가동 블록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며 탄성 변형하여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하는 가동 접점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부에 접촉함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부는 인서트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는 일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평판형으로 길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 형성되며, 일측단부에는 상기 고정 접점부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단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부의 타측에 접촉 및 접촉해제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가동 블록에 의해 접촉 가압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의 고정부는 상기 고정 접점부에 커링 공정을 통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의 가압부에는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해 돌출되는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의 접촉부는 상기 고정 접점부를 향해 돌출되는 엠보싱 돌 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가동 접점부의 탄성 변형량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 블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부는 상기 가동 블록의 가압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노브는 일측단부에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동 블록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조작 노브와 시소 운동하도록 상기 조작 노브의 일측단부에 상기 회전축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에는 상기 회전축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상기 가동 블록으로부터 돌출되게 탄성 편의되는 가이드 돌기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끝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캠홈이 형성된 캠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 및 캠 블록에 의해 상기 가동 블록의 회전 경로가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20090086657A 2009-09-14 2009-09-14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133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657A KR101133856B1 (ko) 2009-09-14 2009-09-14 차량용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657A KR101133856B1 (ko) 2009-09-14 2009-09-14 차량용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994A true KR20110028994A (ko) 2011-03-22
KR101133856B1 KR101133856B1 (ko) 2012-04-06

Family

ID=43935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657A KR101133856B1 (ko) 2009-09-14 2009-09-14 차량용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8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966A (ko) * 2017-10-17 2019-04-25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20200002375U (ko) *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327Y1 (ko) * 1981-11-11 1983-08-01 대성전기공업주식회사 시소접촉구조를 가진 슬라이드 스위치용 가동접편
JPH07249348A (ja) * 1994-03-08 1995-09-26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
JP3900749B2 (ja) * 1999-07-16 2007-04-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JP3964731B2 (ja) * 2002-05-14 2007-08-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966A (ko) * 2017-10-17 2019-04-25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20200002375U (ko) * 2019-04-19 2020-10-28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자동차의 변속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856B1 (ko) 2012-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856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094034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100921070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200441295Y1 (ko) 스위치 모듈
KR100835142B1 (ko) 스크롤 푸싱 스위치 모듈
KR102442657B1 (ko) 차량용 로터리 스위치 유닛
KR20190018277A (ko) 차량용 패들 쉬프트 스위치 유닛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602496B1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542257B1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KR200460533Y1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KR101097020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KR20060103225A (ko) 회로 유닛 장치
KR10118163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JP2009259483A (ja) スイッチ装置
KR20180042026A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EP2571038B1 (en) Slide switch device
KR100845257B1 (ko) 시소 스위치 모듈
KR10052198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KR200461776Y1 (ko)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100776615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JPH06260059A (ja) 切換えスイッチ
KR20170091200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