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997B1 -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997B1
KR102271997B1 KR1020200026204A KR20200026204A KR102271997B1 KR 102271997 B1 KR102271997 B1 KR 102271997B1 KR 1020200026204 A KR1020200026204 A KR 1020200026204A KR 20200026204 A KR20200026204 A KR 20200026204A KR 102271997 B1 KR102271997 B1 KR 10227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battery
coupling part
hinge shaf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20002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공간을 구비한 케이스에 마련되는 후크부; 및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배터리 커버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와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후크부의 저부를 경유하여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이동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이동공간 내에서 상기 후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LOSSING PREVENTION STRUCTURE OF BATTERY COVER}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배터리 커버가 리모컨이나 기타 전자제품의 본체 상에서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간편한 방식으로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컨이나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기기나 전동용 장난감 등에는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가 사용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전자기기나 장난감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교체 가능하게 내장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구조를 가지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터리 커버에 보호를 받는다.
예컨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TV, DVD, 선풍기, 에어컨, 오디오, 공기청정기 등)는 대부분 리모컨에 의해 원격 조정되는바, 리모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리모컨 케이스에 마련된 배터리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 배터리 수용공간은 배터리 커버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는 다양한 방식의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커버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돌출부를 케이스의 결합공에 삽입하고 배터리 커버의 타측 단부에 마련된 탄성편을 케이스의 홈부에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에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케이스상에서 배터리 커버를 분리시킬 시에는, 손가락으로 탄성편을 가압하여 당긴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의 타측부를 들어올린 뒤 케이스 상에서 배터리 커버를 분리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방식 이외에 슬라이딩 방식이나 억지끼움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를 서로 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기존의 체결방식은,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에도 배터리 커버와 케이스의 체결력을 유지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설계되기 때문에 성인남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 여성 등이 배터리 커버를 분리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배터리 커버는, 예컨대, 리모콘의 케이스와는 별도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하여 케이스에서 분리된 배터리 커버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분실될 우려가 매우 높으며, 분실될 경우 배터리 수용공간에 장착된 배터리의 이탈을 초래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스와 배터리 커버가 지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리모컨 배터리 커버 구조를 개발하였으며, 이러한 배터리 커버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7010호 및 등록실용신안 20-0477932호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는, 배터리 커버가 연결용 홀더를 매개로 케이스와 지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는, 배터리 커버가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할 때마다 연결용 홀더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왕복운동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연결용 홀더의 운동구간, 즉, 작동구간을 고려하여 전자부품의 케이스를 설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연결용 홀더가 케이스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큰 관계로 인하여 PCB와 같은 회로부품의 설치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생활방수용 부재들을 전자제품의 케이스에 마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브라켓을 따라 배터리 커버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PCB와 같은 회로부품이나 기타 전장부품, 방수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케이스에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공간을 구비한 케이스에 마련되는 후크부; 및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배터리 커버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와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후크부의 저부를 경유하여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이동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이동공간 내에서 상기 후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길이방향 일측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편이 마련된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에 마련되는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이동공간을 구획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차단하였을 때 상기 결합부의 걸림편과 체결되는 제1걸림턱; 상기 제1걸림턱의 측부에서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선단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결합부의 힌지축과 체결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힌지축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된 채 직선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를 상기 가이드부재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이동공간에 삽입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부의 힌지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힌지축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는, 배터리 커버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결합부가 케이스에 마련된 이동공간 내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공간 내에 마련된 후크부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커버가 선회되어도 케이스상에서 분리되지 않아 배터리 커버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는,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를 위한 체결고리, 홀더 등과 같은 부품의 작동 구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PCB와 같은 회로부품이나 기타 전장부품, 방수부품 등을 케이스에 내장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는,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를 위한 체결고리, 홀더 등과 같은 부품의 작동으로 인하여 기타 회로 부품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회로 부품이 노출되는 공간이 줄어듬에 따라서 생활방수의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를 아래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에 형성된 결합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부가 케이스에 형성된 이동공간에 장착되어 배터리 커버의 결합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개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참고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힌지축이 브라켓과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를 아래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에 형성된 결합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브라켓부가 케이스에 형성된 이동공간에 장착되어 배터리 커버의 결합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가 개방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참고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힌지축이 브라켓과 가이드부재 사이에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100)는, 배터리 수용공간(S1)을 구비한 케이스(10)에 마련되는 후크부(200);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S1)을 개폐하는 배터리 커버(20)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200)와 연결되는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결합부(200)는, 후크부(200)의 저부를 경유하여 케이스(10)에 형성된 이동공간(S2)으로 삽입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는, 리모컨을 구성하는 본체 중에서 터치 패널 또는 작동 패널의 배면측에 위치하는 부재라 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S1)이 마련되어 있다.
더불어, 케이스(10)에는 결합부(300)가 삽입되는 이동공간(S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공간(S2)은, 배터리 수용공간(S1)이 배터리 커버(20)에 의해 개폐될 시에, 상기 결합부(200)가 슬라이딩 또는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배터리 수용공간(S1)과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후크부(200)의 저부를 경유하여 케이스(10)에 형성된 이동공간(S2)으로 삽입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2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재(310); 상기 연결부재(310)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200)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편(321)이 마련된 체결부재(320); 및 상기 체결부재(320)에 마련되는 힌지축(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2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20)는 연결부재(310)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걸림편(32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321)은, 후술할 후크부(200)의 제1걸림턱(210) 또는 제2걸림턱(230)과 체결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310)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10)와 상기 걸림편(321) 사이에는 홈부(32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330)은 체결부재(320)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할 후크부(200)의 가이드부재(220)와 제2걸림턱(230)에 접촉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즉, 힌지축(330)은 가이드부재(220)의 안내를 받으면서 직선 왕복 이동되다가 상기 제2걸림턱(230)에 걸림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커버(2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결합부(300)가 이동공간(S2) 내에서 상기 후크부(200)의 길이방향르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후크부(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공간(S2)을 구획하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부위에 형성되며, 배터리 커버(20)가 배터리 수용공간(S1)을 차단하였을 때 상기 결합부(300)의 걸림편(321)과 체결되는 제1걸림턱(210); 상기 제1걸림턱(210)의 측부에서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S1)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재(220); 및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선단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20)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S1)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결합부(300)의 힌지축(330)과 체결되는 제2걸림턱(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턱(210)은, 상기 이동공간(S2)을 구획하는 케이스(10)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20)가 배터리 수용공간(S1)을 차단하였을 때, 결합부(300)의 걸림편(321)과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20)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상기 이동공간(S2)을 구획하는 케이스(10)의 내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배터리 커버(20)의 결합부(300)가 배터리 수용공간(S1)을 개방하거나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공간(S2)에서 이동될 시에 그 이동방향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이드부재(220)는, 결합부(300)에 마련된 한 쌍의 힌지축(330)이 직선 왕복 운동될 시에 그 이동방향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턱(230)은,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선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20)가 배터리 수용공간(S2)을 개방하였을 때, 결합부(300)의 힌지축(330)과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20)의 결합부(300)가 케이스(10) 상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걸림턱(230)은, 결합부(300)가 이동공간(S2)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 커버(20)가 케이스(10) 상에서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100)에 의하여 배터리 커버(20)의 작동 과정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된다.
사용자가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하여 배터리 수용공간(S1)을 개방하려면, 우선, 제1걸림턱(210)과 체결된 걸림편(321)이 제1걸림턱(210) 상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배터리 커버(20)의 길이방향 일단부를 손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제1걸림턱(210) 상에서 걸림편(321)이 분리되어 결합부(300)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사용자는 배터리 커버(20)를 외면을 손으로 당긴다. 그러면, 결합부(300)가 가이드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퇴되다가 힌지축(330)이 가이드부재(220)의 선단측에 마련된 제2걸림턱(230)에 걸리어진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위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20)의 길이방향 타단을 상향으로 선회시켜 배터리 수용공간(S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커버(20)의 길이방향 일단측은 상기 케이스(10)의 이동공간(S2)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케이스(10)에서 배터리 커버(20)가 분리되어 분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결합부(300)의 힌지축(330)이 가이드부(220)의 선단측에 형성된 제2걸림턱(230)에 걸리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배터리 커버(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1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공간(S2)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300)를 상기 후크부(200)의 가이드부(220)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브라켓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부(400)는, 배터리 커버(20)가 개폐될 시에, 상기 결합부(300)가 이동공간(S2) 내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을 더욱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더불어, 결합부(300)의 직선 왕복 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여 배터리 커버(20)의 개폐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브라켓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공간(S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저면이 PCB에 놓여지는 지지부재(410); 및 상기 지지부재(410)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부(300)의 힌지축(3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면부가 PCB와 접촉된 상태러 상기 이동동간(S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410)는 RM 일면부가 PCB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그 타면부는 상기 후크부(200)의 가이드부재(220)를 향한하도록 상기 이동공간(S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20)는 상기 결합부(300)의 힌지축(330)을 상기 가이드부재(220)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410)의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지지부재(410)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탄성부재(420)는 이동공간(S2) 내에 배치된 결합부(300)의 힌지축(330)이 가이드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 될 시에, 힌지축(330)이 가이드부재(220)와 더욱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결합부(300)의 이동 과정이 매끄럽게 진행되도록 한다.
특히, 탄성부재(420)는, 배터리 커버(20)의 길이방향 타측이 사용자에 의해 선회될 때, 제2걸림턱(230)에 걸리어진 상태로 회전되는 힌지축(330)이 제2걸림턱(2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배터리 커버(20)의 선회 동작을 더욱 매끄럽게 한다.
상기 탄성부재(420)의 일면에는 상기 힌지축(33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42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21)은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421)은, 상기 제2걸림턱(230)의 하부에서 상기 제2걸림턱(230)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20)의 길이방향 타측 부위에 두 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421)은 힌지축(330)이 의도치 않게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330)이 제2걸림턱(230)에 걸린 상태로 회전될 시에 상기 가이드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지 않고 한 지점에서만 회전되도록 하여 배터리 커버(20)가 안정적인 자세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힌지축(330)은 둘레면 일부가 제2걸림턱(230)과 안착홈(421)에 의하여 감싸진 상태로 회전되기 때문에, 배터리 커버(20)가 선회되더도 제2걸림턱(230)과 안착홈(421)이 서로 협력하는 공간 내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20)가 반복적으로 선회되어도 케이스(10) 상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
10 : 케이스 20 : 배터리 커버
200 : 후크부 210 : 제1걸림턱
220 : 가이드부재 230 : 제2걸림턱
300 : 결합부 310 : 연결부재
320 : 체결부재 321 : 걸림편
322 : 홈 330 : 힌지축
400 : 브라켓부 410 : 지지부재
420 : 탄성부재 421 : 안착홈
S1 : 배터리 수용공간 S2 : 이동공간

Claims (8)

  1. 배터리 수용공간을 구비한 케이스에 마련되는 후크부; 및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배터리 커버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와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후크부의 저부를 경유하여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이동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이동공간 내에서 상기 후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폐시키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길이방향 일측 저면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에 걸림될 수 있는 걸림편이 마련된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에 마련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이동공간을 구획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차단하였을 때 상기 결합부의 걸림편과 체결되는 제1걸림턱;
    상기 제1걸림턱의 측부에서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선단에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배터리 수용공간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결합부의 힌지축과 체결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힌지축은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된 채 직선 왕복 이동되고,
    상기 이동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부를 상기 가이드부재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이동공간에 삽입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결합부의 힌지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된 채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힌지축이 안착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후크부의 상기 제2걸림턱의 하부에서 상기 제2걸림턱과 마주하게 배치되며,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2걸림턱과 상기 안착홈에 의하여 감싸진 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26204A 2020-03-02 2020-03-02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 KR10227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204A KR102271997B1 (ko) 2020-03-02 2020-03-02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204A KR102271997B1 (ko) 2020-03-02 2020-03-02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997B1 true KR102271997B1 (ko) 2021-07-02

Family

ID=7689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204A KR102271997B1 (ko) 2020-03-02 2020-03-02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9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798Y1 (ko) * 1987-03-11 1990-03-05 주식회사금성사 배터리 케이스의 덮개판 고정장치
JPH0879342A (ja) * 1994-09-09 1996-03-22 Sony Corp 蓋装置
JP2000307263A (ja) * 1999-04-23 2000-11-02 Sanyo Electric Co Ltd 蓋体を具えた電気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798Y1 (ko) * 1987-03-11 1990-03-05 주식회사금성사 배터리 케이스의 덮개판 고정장치
JPH0879342A (ja) * 1994-09-09 1996-03-22 Sony Corp 蓋装置
JP2000307263A (ja) * 1999-04-23 2000-11-02 Sanyo Electric Co Ltd 蓋体を具えた電気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6299A1 (en) Apparatus for locking detachable battery pack case of portable terminal
US7680521B2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phone
CN212545952U (zh) 一种磁吸表扣及可穿戴设备
CN210129541U (zh) 电池固定装置
KR102271997B1 (ko) 배터리 커버의 분실방지 구조
KR20140141972A (ko)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CN101310565A (zh) 适配器底座以及适配器底座与助听器的组合
KR101160257B1 (ko) 퍼프부재 터치식 작동 구조를 갖는 진동퍼프
JP2007188770A (ja) ラッチ解除操作装置
CN113489823B (zh) 电子设备
KR101923684B1 (ko) 푸쉬풀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해제를 위한 조립체
CN209917435U (zh) 前壳组件及净水机
CN212751047U (zh) 电池盒及燃气设备
EP1505236B1 (en) Detachable hinge
US8673481B2 (en) Battery system
JP2001208407A (ja) リモコン装置
JP2571496Y2 (ja) ドア錠装置のカバーの取付構造
KR920003744Y1 (ko)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CN218849326U (zh) 开关结构及控制面板
CN210218384U (zh) 拉线装置以及车辆
EP3240060B1 (en) Battery lid lock structure
CN219289366U (zh) 布艺清洁机的刷子组件和布艺清洁机
JPS6232534Y2 (ko)
JP2556538Y2 (ja) ロック釦の取付構造
KR200145878Y1 (ko) 촬상기기의 삼각대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