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44Y1 -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44Y1
KR920003744Y1 KR2019900003463U KR900003463U KR920003744Y1 KR 920003744 Y1 KR920003744 Y1 KR 920003744Y1 KR 2019900003463 U KR2019900003463 U KR 2019900003463U KR 900003463 U KR900003463 U KR 900003463U KR 920003744 Y1 KR920003744 Y1 KR 920003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ing body
groove
pi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3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974U (ko
Inventor
윤광용
Original Assignee
윤광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광용 filed Critical 윤광용
Priority to KR2019900003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744Y1/ko
Publication of KR910016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9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8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with sliding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for display cabinets, e.g. for refrigerated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3도는 덮개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저면도, 제2도는 구동체가 전진하여 있는 상태도.
제3도는 구동체가 후진하여 있는 상태도.
제4도는 종래의 도어홀더를 도시한 일부절개 측면도.
제5도는 종래 도어홀더의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구동체
2a : 이동홈 5 : 작동핀
6 : 덮개 7 : 가이드홈
본 고안은 각종 오디오 제품이나 비디오 제품을 넣어 보관하는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몸체에 부착되어 도어를 개폐시키는 작동을 하는 도어홀더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구조적으로 보다 간단해지고 작동이 확실해질 수 있는 도어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을 장식장의 도어는 내부에 넣어진 가전제품이 외부에서 잘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로 제작되며,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도어를 전방으로 눌러 주기만 하면 도어가 자동적으로 열리는 원터치방식의 개폐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즉, 도어의 상단 또는 하단부에 자석에 달라붙는 금속제의 장식판을 부착하고 장식장 몸체에는 도어홀더를 설치하여 도어를 닫으면 도어홀더내에 설치된 구동체가 후진하여 구속됨과 동시에 장식판이 구동체에 고정된 영구자석에 달라붙고 도어를 한번 밀었다 놓으면 구동체가 구속상태에서 해제되면서 전진함과 동시에 장식판이 영구자석에서 떨어져 도어가 열리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진 가전제품용 장식장에 사용되어온 종래의 도어홀더, 예를들어 제4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도어홀더는 직육면체 형상으로된 케이스(11)내에 영구자석(13)이 매설된 구동체(12)를 스프링(14)으로 탄력 설치하고 구동체(12)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2a)과 케이스(11)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홈(11a) 사이에는 대략형으로 절곡된 작동봉(15)을 결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도시는 생략함)를 닫으면 그 힘에 의해 구동체(12)가 스프링(14)을 압축시키면서 후진함과 동시에 가이드홈(12a)과 작동봉(15)의 상호 연관작동에 의해 후진된 위치에서 정지되고, 이렇게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어를 다시한번 밀었다가 놓으면 가이드홈(12a)과 작동봉(15)의 연관작동에 의해 구동체(12)가 전진하여 도어는 열리게 된다.
여기서 구동체(12)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2a)은 일반적인 누름버튼에 적용되는 공지의 구조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도어홀더는 구동체(12)의 진퇴시 작동봉(15)이 후단부(케이스의 걸림홈부분)를 축으로하여 그 선단부가 가이드홈(12a)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스(11)에 걸림홈(11a)의 형성을 위한 불필요한 돌출부(11b)가 형성되어야 하고 작동봉(15) 후단부의 과잉 유동방지를 위한 체결링(16)을 결합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부품수의 증가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립공정이 증가하게 되며, 작동봉(15)이 정밀하게 가동되지 않는 경우 구동체(12)의 후진시 작동봉(15)의 후단부가 걸림홈(11a)에서 벗어나는 등의 불량품 발생빈도가 많다.
또 일본공개 실용신안공보 소62-124162호에서는 작동핀을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시키지 않고 케이스의 내부(구동체와 저면커버사이)에 설치하여 구동체의 전진 또는 후퇴시 작동핀이 일측단부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면서 저면카버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도어홀더 역시 작동핀이 일측을 힌지점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구조이어서 작동핀의 정밀가공이 요구되고 작동핀의 길이에 오차가 생가는 경우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조립작업 또한 번거로운 등의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도어홀더가 지닌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인 바, 이를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육면체 형상으로된 케이스(1)내에 영구자석(3)이 매설된 4각봉 형상의 구동체(2)를 내장하고 케이스 후면벽과 구동체(12) 사이에 스프링(4)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구동체(2)의 저면에 구동체의 이동방향과 직각방향의 이동홈(2a)을 형성하여 이 이동홈(2a)에 압핀형상의 작동핀(5)을 설치하고 그 저면에는 가이드홈(7)을 가진 덮개(6)를 결합하여 작동핀(5)의 하단부가 가이드홈(7)에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케이스(1)내에 스프링(4)과 구동체(2)를 차례로 삽입하고 구동체(2)에 형성된 이동홈(2a)에 작동핀(5)을 올려 놓은 후 그 저면에서 덮개를 결합하여 주면 작동핀(5)의 하단부가 덮개(6)에 형성된 가이드홈(7)으로 끼워져 구동체(2)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구동체(2)는 케이스(1)내에 내장된 상태로 케이스(1)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어의 개폐시에는 가이드홈(7)에 끼워진 작동핀(5)이 구동체(2) 저면에 형성된 이동홈(2a)을 따라 좌, 우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구동체(2)를 후진상태에서 구속시키거나 구속상태에서 해제시키게 된다.
즉,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2도와 같이 작동핀(5)이 대략자 상으로 된 가이드홈(7)의 꼭지점 부분에 위치하여 있다가 도어를 닫으면 제3도와 같이 작동핀(5)이 가이드홈(7)의 반대측 걸림턱부에 끼워져 구동체(2)를 후진상태로 구속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를 다시 밀어주면 작동핀(5)이 제2도와 같은 위치로 복귀되면서 스프링(4)의 힘에 의해 구동체(2)가 전진하여 도어는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동체(2)가 진퇴운동을 할 때 작동핀(5)은 제2도 및 제3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홈(2a)를 따라 좌, 우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구동체(2)의 진퇴운동시 작동핀(5)이 이동홈(2a)을 따라 좌, 우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구동체(2)를 구속하거나 구속상태에서 해제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동봉과 체결링등의 부품을 사용하던 종래 도어홀더에 비해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고 조립공정이 간소화 된다.
또한 작동봉의 가공오차에 따라 불량품이 많이 발생하던 종래구조에 비해 불량품 발생의 소자가 없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직육면체 형상으로된 케이스(1)내에 영구자석(3)이 매설된 4각봉 형상의 구동체(2)를 내장하고 케이스 후면벽과 구동체(2)사이에 스프링(4)을 설치하고 저면에는 가이드홈(7)이 있는 덮개(6)를 결합한 것에 있어서, 구동체(2)이 저면에 구동체의 이동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의 이동홈(2a)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홈(2a)에 압핀형상으로된 작동핀(5)의 머리부를 삽입하고 상기 작동핀의 하단핀부가 가이드홈(7)에 끼워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을 장식장의 도어홀더.
KR2019900003463U 1990-03-24 1990-03-24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KR920003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3463U KR920003744Y1 (ko) 1990-03-24 1990-03-24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3463U KR920003744Y1 (ko) 1990-03-24 1990-03-24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974U KR910016974U (ko) 1991-10-28
KR920003744Y1 true KR920003744Y1 (ko) 1992-06-08

Family

ID=1929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3463U KR920003744Y1 (ko) 1990-03-24 1990-03-24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7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83A (ko) * 1999-01-14 1999-04-26 최성수 낚싯대 자동테이핑장치
KR20160002999U (ko) * 2015-02-23 2016-08-31 오세진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
KR20170002393U (ko) * 2015-12-24 2017-07-04 오세진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0483A (ko) * 1999-01-14 1999-04-26 최성수 낚싯대 자동테이핑장치
KR20160002999U (ko) * 2015-02-23 2016-08-31 오세진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
KR20170002393U (ko) * 2015-12-24 2017-07-04 오세진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974U (ko) 199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0579A (en) Sliding spring latch
US7325844B2 (en) Opening and closing latch device for furniture
KR920003744Y1 (ko)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JP3002829B2 (ja) ラッチ装置
GB2075109A (en) Magnetic catch eg for clothes washing machines
JPH0464677A (ja) ロック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ラッチ装置
KR100690067B1 (ko) 가구용 도어 홀드
GB2215771A (en) Magnetic latch device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KR940000841Y1 (ko) 장식상용 탄발 개페도어의 잠금장치
KR910003899Y1 (ko) 마그넷트 렛치
KR200157884Y1 (ko) 원터치 버튼 잠금장치
KR890003471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문 개폐장치
KR910010187B1 (ko) 문짝용 로크장치
KR200486898Y1 (ko) 미닫이 창호용 핸들장치
JP2836504B2 (ja) 開閉扉用マグネットキャッチャー
KR0115375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열림장치
KR900007792Y1 (ko) 가전제품의 도어 로크장치
KR930005394Y1 (ko) 콤팩트(Compact)뚜껑의 개폐구조
JPH0230607Y2 (ko)
KR900009671Y1 (ko) 도어 록 장치
JPS5930144Y2 (ja) 扉のロック装置
KR970001792Y1 (ko) 마그넷 홀더
JPH03134473A (ja) 冷蔵庫
KR960004856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