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792Y1 - 마그넷 홀더 - Google Patents

마그넷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792Y1
KR970001792Y1 KR2019930015764U KR930015764U KR970001792Y1 KR 970001792 Y1 KR970001792 Y1 KR 970001792Y1 KR 2019930015764 U KR2019930015764 U KR 2019930015764U KR 930015764 U KR930015764 U KR 930015764U KR 970001792 Y1 KR970001792 Y1 KR 970001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magnet
yoke plate
magnet hold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137U (ko
Inventor
다게시 시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야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야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ublication of KR9400161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1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그넷 홀더
제1도는 본고안의 실시예인 마그넷 홀더의 정면도.
제2도는 마그넷 홀더의 우측면도.
제3도는 마그넷 홀더이 평면도.
제4도는 마그넷 홀더이 전면도.
제5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의 (a), (b)는 마그넷 홀더의 종래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마그넷 홀더를 본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하우징 2, 2A : 수용부
2a : 트인구멍 2c : 구멍
2d : 탄성편 2da : 돌부
3, 3A : 턱부 7, 7A : 부착날개부
11 : 자석편 21, 21A : 요크부
21a : 돌출부 21b : 절곡편
본 고안은 각종 캐비닛의 전면에 일단을 나사부착한 전면 패널의 자유단, 또는 본체에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문의 자유단에 부착된 자성체를 자석의 자력으로 끌어당겨서 도어등을 닫은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마그넷 홀더에 관한 것이다.
제6도의 (a), (b)는 상기한 마그넷 홀더의 종래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마그넷 홀더를 본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1은 합성수지로 성형한 하우징을 나타내며, 전면부에 2개의 트인구멍 (2a)이 형성되어 있고, 후측면부에 구멍(2b)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면부가 개방된 수용부(2)와; 상기 수용부(2)의 전면부분의 양 옆에 각 각 일체로 형성된 턱부(3)와; 상기 수용부(2)의 후면측으로 힌지(4)를 통하여 연이어 접속되며, 상기 수용부(2)의 후측면부에 형성된 구멍(2b)에 걸어맞춰져서 수용부(2)의 후면을 닫은 상태로 유지하는 돌기(5a)를 가진 덮개(5)와; 상기 덮개(5)의 수용부(2)측으로 일체로 형성된 탄성편(6)과; 상기 수용부(2)의 후면부분의 양 옆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부 방향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부착날개부(7)로 구성되어 있다.
11은 자석편, 21은 자성체로 구성된 요크판(yoke板)을 나타내며, 상기 2개의 요크판(21)사이에 상기 자석편(11)을 끼운상태로 하우징(1)의 수용부(2)에 수용되는 것이다. 또, 상기 요크판(21)에는 수용부(2)의 트인구멍(2a)에서 돌출되는 돌출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C는 본체, H는 본체(C)에 형성된 단불이 구멍을 나타내며, 이 단불이 구멍(H)을 이용하여 본체(C)에 마그넷 홀더를 부착한다.
이어서,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6도의(a)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우징(1)의 수용부(2)의 후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2개이 요크판(21)사이에 자석편(11)을 끼우고서, 각 요크판(21)의 돌출부(21a)가 대응하는 트인구멍(2a)에서 돌출되도록 수용부(2)의 후면측에서 자석편(11) 및 요크판(21)을 수용부(2)로 끼워 넣는다.
그리고, 힌지(4)를 중심으로 덮개(5)를 회동시켜 수용부(2)내로 누르면, 탄성편(6)이 자석편(11) 및 요크판(21)에 A맞닿아서 트인구멍(2a)측, 즉 전면측으로 탄지하게 되고, 돌기(5a)가 구멍(2b)에 끼워맞춰져서 덮개(5)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제6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인구멍(2a)에서 돌출부(21a, 21a)를 돌출시킨 상태로 조립할 수있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조립한 마그넷 홀더의 본체로의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체(C)의 전면측에서 단붙이 구멍(H)으로 마그넷 홀더의 후면측을 끼워넣으면, 부착날개부(7)가 단붙이 구멍(H)을 관통할 때에 압축되었다가 단붙이 구멍(H)을 관통한 후에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벌어지므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C)를 턱부(3)와 부착날개부(7)로 파지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마그넷 홀더를 본체(C)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넷 홀더를 본체(C)에서 떼어낼 때에는, 부착날개부(7)를 압축하면서 마그넷 홀더를 본체(C)의 후면측에서 전면측으로 밀어내므로써 마그넷 홀더를 본체(C)에서 떼어낼 수 있다.
이어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문을 닫을 경우, 예를 들면 본체(C)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문을 회동시켜서 문의 자유단에 부착된 자성체를 수용부(2)에서 돌출되어 있는 요크판(21)의 돌출부(21a)에 누름접촉시키면, 자석편(11) 및 요크판(21)이 탄성편(6)을 누르면서, 즉 탄성편을 휘면서 수용부(2)의 후면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문의 압압력을 해제하면, 자석편(11) 및 요크판(21)이 탄성편(6)의 복원하려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문도 약간 밀려서 되돌여진다.
이 문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자석편(11), 일측의 요크판(21), 문에 부착된 자성체, 타측의 요크판(21) 및 자석편(11)의 경로로 형성되는 자로(磁路)에 의해서 문의 자성체가 요크판(21)으로 끌어당겨지기(흡인되기) 때문에, 문을 닫혀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문을 열 경우, 요크판(21)에 흡인되어 있는 문의 자성체를 요크판(21)에서 떼어내는 힘으로 문을 잡아당겨서 회동시키면, 문의 자성체를 흡인하는 힘을 이겨내어 문을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문을 열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은 종래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소62-16537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마그넷 홀더는 자석편(11) 및 요크판(21)의 후면에 자석편(11) 및 요크판(21)을 탄지편 (6)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덮개(5) 및 탄지편(6)의 두께분 만큼 안쪽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대형화된다.
또, 수용부(2)에 자석편(11) 및 요크판(21)을 수용시킨 후, 덮개(5)의 돌기(5a)를 구멍(2b)에 끼워맞춰서 덮개(5)를 닫은 상태로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2공정으로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형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마그넷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돌출부를 가진 2개의 요크판 사이에 자석판을 끼워서 후면부가 개방된 하우징내로 수납하고, 상기 자석판 및 상기 요크판을 탄지하여 상기 요크판의 돌출부를 상기 하우징의 전면부에 형성된 트인구멍에서 돌출시킨 마그넷 홀더에 있어서, 상기 각 요크판에 절곡편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을 합성수지로 형성하며, 상기 요크판의 측면이 맞닿는 측면부에 상기 절곡편이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절곡편을 트인 구멍측으로 탄지하는 탄성편을 상기 측면부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마그넷 홀더는 상기한 바와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트인구멍에서 돌출되어 있는 각 요크판의 돌출부를 누르면, 자석편 및 요크판이 탄성편을 누르면서 하우징의 후면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요크판의 돌출부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자석편 및 요크판이 탄성편의 탄성력에 의해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마그넷 홀더를 나타내며, 제1도는 정면도, 제2도는 우측면도, 제3도는 평면도, 제4도는 저면도, 제5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며, 제1도 및 제3도는 잎부를 파단하고 있다.
또한, 배면도는 정면도와 같고, 좌측면도는 우측면도와 같다. 또 제1도 및 제3도는 좌우 대칭이 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1A는 합성수지로 성형한 하우징을 나타내며, 후면부가 개방된 수용부(2A)와; 상기 수용부(2A)의 전면부분의 양 옆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턱부(3A)와; 상기 수용부(2A)의 후면부분의 양 옆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부 방향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부착날개부(7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2A)의 전면부에는 후술하는 2개의 요크판(21A)의 돌출부(21a)가 돌출되는 2개의 트인구멍(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요크판(21A)의 측면이 맞닿는 수용부(2A)의 측면부에 구멍(2c)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트인구멍(2a)측으로 활과 같이 굽은 형상으로 불룩한 탄성편(2d)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편(2d)의 후면측에는 돌부(2da)가 형성되어 있다.
11은 자석편, 21A는 자성체로 구성된 요크판을 나타내며, 상기 2개의 요크판(21A)사이에 상기 자석편(11)을 끼운 상태로 하우징(1A)이 수용부(2A)에 수용되는 것이다. 또 상기 요크판(21A)에는 수용부(2A)의 트인구멍(2a)에서 돌출되는 돌출부(21a)와; 수용부(2A)의 측면부에 형성된 구멍(2c)에 끼워지며, 탄성편(2d)에 의해서 트인구멍(2a)측으로 탄지되는 절곡편(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곡편(21b)은 하우징(1A)의 외부로 비어져 나오지 않는 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절곡편(21b)을 외측으로 한 2개의 요크판(212A)사이에 자석편(11)을 끼우고서 수용부(2A)의 후면측으로 각 요크판(21A)의 돌출부(21a)측을 끼워 넣으면, 절곡편(21b)은 수용부(2A)의 후부분 및 탄성편(2d)을 벌리면서 수용부(2A)내로 눌려들어간다.
그리고, 수용부(2A)의 전면부분에 맞닿을 때까지 자석편(11) 및 요크판(21A)을 밀어넣으면, 각 돌출부(21a)는 대응하는 트인구멍(2a)에서 돌출되고, 절곡편(21b)은 탄성편(2d) 앞까지 눌려 들어간다.
이때, 수용부(2A)의 후부분 및 탄성편(2d)은, 절곡편(21b)이 통과하면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절곡편(21B) 뒤에 탄성편(2d)이 위치하게 되어 자석편(11) 및 요크편(21A)이 수용부(2A)에서 빠지지 않게 되므로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마그넷 홀더의 본체로의 부착은 상기한 종래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한 종래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문의 자유단에 부착된 자성체를 수용부(2A)의 트인구멍(2a)에서 돌출된 요크판(21A)의 돌출부(12a)에 누름접촉시키면, 절곡편(21b)이 탄성편(2d)을 누르면서 수용부(2A)의 후면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요크판(21A)의 이동량은 돌부(2da)가 수용부(2A)의 후부분에 맞닿을 때까지의 거리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요크판을 탄지하는 탄성편을 요크판의 측면이 맞닿는 하우징이 후면부에 형성하였기 때문에, 요크판의 후측에 덮개부 및 탄성편을 배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쪽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소형화할 수 있다.
또, 하우징의 개방된 후면측에서 자석편 및 요크판을 끼워넣는 1공정에 의하여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수가 감소되어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돌출부(21a)를 가진 2개의 요크판(21A)사이에 자석판(11)을 끼워서 후면부가 개방된 하우징(1A)내로 수납하고, 상기 자석판(11 및 상기 요크판)(21A)을 탄지하여 상기 요크판(21A)의 돌출부(21a)를 상기 하우징(1A)의 전면부에 형성된 트인구멍(2a)에서 돌출시킨 마그넷 홀더에 있어서, 상기 각 요크판(21A)에 절곡편(21b)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A)을 합성수지로 형성하며, 상기 요크판(21A)의 측면이 맞닿는 축면부에 상기 절곡편(21a)이 끼워지는 구멍(2c)을 형성함과 아울러, 절곡편(21b)을 트인구멍(2a)측으로 탄지하는 탄성편(2d)을 상기 측면부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넷 홀더.
KR2019930015764U 1992-12-16 1993-08-16 마그넷 홀더 KR9700017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2091181U JP2576947Y2 (ja) 1992-12-16 1992-12-16 マグネットホルダ
JP92-91181 1992-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37U KR940016137U (ko) 1994-07-22
KR970001792Y1 true KR970001792Y1 (ko) 1997-03-15

Family

ID=1401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764U KR970001792Y1 (ko) 1992-12-16 1993-08-16 마그넷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76947Y2 (ko)
KR (1) KR9700017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84B1 (ko) * 2009-08-12 2011-09-26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마그넷 캐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84B1 (ko) * 2009-08-12 2011-09-26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마그넷 캐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137U (ko) 1994-07-22
JPH0652105U (ja) 1994-07-15
JP2576947Y2 (ja) 199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2231A (en) Lock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
US5463195A (en) Key switch
KR930004624Y1 (ko) 콤펙트디스크케이스의 원터치서랍식 개폐장치
KR970001792Y1 (ko) 마그넷 홀더
JPH04213679A (ja) ロック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ラッチ装置
US4453058A (en) Leaf switch cover
KR0130438B1 (ko) 록크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형 스위치
KR0158311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KR880001056Y1 (ko) 프린터(printer)의 폼트랙터(forms tractor) 록킹장치
JP2586946B2 (ja) スイッチ付き浮出しラッチ
JPS636819Y2 (ko)
KR890003471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문 개폐장치
KR200176782Y1 (ko) 일체형 콤팩트 용기
JPH0637766Y2 (ja) コンパクト容器
KR0129177Y1 (ko) 전자제품의 전원노브 편심 방지구조
JPS6320951Y2 (ko)
JPS60165796A (ja) 収納ケ−ス
KR900001798Y1 (ko) 배터리 케이스의 덮개판 고정장치
KR0131105Y1 (ko) 가전제품의 동작스위치
JPH0643786Y2 (ja) カメラの電池室用蓋体の取付け構造
JPH089834Y2 (ja) 火災発信機
JP3675088B2 (ja) バッテリー着脱機構
KR19980019330U (ko) 콤팩트
KR960002605Y1 (ko) 카 오디오 노브(Knob) 결합장치
KR900003121Y1 (ko) 자석식 판넬도어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