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311B1 -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311B1
KR0158311B1 KR1019950028626A KR19950028626A KR0158311B1 KR 0158311 B1 KR0158311 B1 KR 0158311B1 KR 1019950028626 A KR1019950028626 A KR 1019950028626A KR 19950028626 A KR19950028626 A KR 19950028626A KR 0158311 B1 KR0158311 B1 KR 0158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door
opening
hinge
answer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043A (ko
Inventor
윤주일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2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311B1/ko
Publication of KR97001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311B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기의 일측에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테이프와, 상기 테이프를 삽입 설치하는 테이프 삽입부과, 상기 테이프 삽입부 상부를 커버하도록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자동응답전화기에 있어서, 후측 하부면 양측에 후측으로 활곡된 구조로 하향돌출된 가이드힌지가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 닫힘시 테이프의 상부를 눌러주는 테잎누름편이 돌출형성되어 전화기 본체 테이프삽입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테이프삽입부 후측 양측에 상기 도어의 가이드힌지가 삽입되는 힌지공과, 상기 양측 힌지공의 전측면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삽입된 가이드힌지의 전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편들로 구성하여 도어의 확실한 닫힘상태와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가 전화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에 테이프 수납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가 닫힌 상태의 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부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32 : 힌지공
34 : 탄성편 36 : 지지리브
40 : 도어 42 : 가이드힌지
44 : 테이프누름편 421 : 걸림턱
422 : 닫힘유지부 423 : 개방유지부
본 발명은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의 힌지 구조를 개선하여 닫힘시 본체와 공간이 발생되지 않게 확실하게 닫힘되도록 함과 동시에 테이프삽입부에 삽입된 테이프의 상부를 눌러 테이프의 작동을 원할 하게하고, 개방시에도 도어의 흔들림없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응답전화기는 일측에 테이프 삽입부룰 형성하여 이에 녹음 테이프가 장착되고 그 내부에 녹음테이프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통화내용을 녹음시키는 장치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왔으나 통화자가 자리에 없어 이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응답하여 그 상대방의 통화내용을 녹음토록 하므로써 통화자가 돌아 왔을때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응답전화기에 있어서, 테이프가 삽입되면 그 외부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테이프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도어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에 대한 개폐장치를 도면 제1도에 도시한다.
상기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기의 상측에 별도의 테이프 삽입부(11)를 설치하고, 그 외부로 개폐되는 도어(20)를 설치한다.
상기 도어(20)는 후부 양측에 힌지축(201, 202)이 형성되어 본체(10)의 테이프삽입부(11)의 후부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공(101)에 끼워져 개폐되도록 결합되며, 일측 힌지축(202)에는 스프링(22)이 끼워져 그 일단은 도어(20)의 내측면에 탄지되고, 다른 일측은 본체(10)에 탄지되어 상기 도어(20)가 항시 개방되어 있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또한 상기 도어(20)의 선단에는 걸림구(203)가 형성되고, 테이프 삽입부(11)의 전방에는 버튼(110)의 조작에 의해 전, 후로 유동하여 상기 걸림구를 쇄정, 해정토록 하는 스토퍼(111)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프 삽입부(11)에 테이프(12)를 삽입한 다음 도어(20)를 닫게되면 힌지축(202)에 끼워진 스프링(22)이 압축되면서 도어(2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구(203)가 테이프 삽입부(11)의 전방에 형성된 스토퍼(111)에 걸림되어 도어(10)는 닫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어(20)를 개방시킬때에는 버튼(110)을 눌러 스토퍼(111)를 작동시키면 이에 쇄정되었던 도어(20)의 걸림구(203)가 해정되면서 일측 힌지축(202)에 압축되었던 스프링(22)의 탄발력에 의해 도어(20)는 자동으로 개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동되는 종래의 도어(20) 개폐장치는 도어(20)의 일측 힌지축(202)에 스프링(22)이 설치되어 그 탄력이 도어(20)의 일측부에만 작용되므로 도어(20)가 닫힘되면 스프링(22)이 설치된 측부가 본체(10)로 부터 들려 비정상적인 틈(T)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의 힌지구조를 개선하여 닫힘시 본체와 공간이 발생되지 않게 확실하게 닫힘되도록 함과 동시에 테이프삽입부에 삽입된 테이프의 상부를 눌러 테이프의 작동 및 회로적인 작동을 원할 하게하고, 개방시에도 도어의 흔들림없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전화기의 일측에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테이프와, 상기 테이프를 삽입 설치하는 테이프 삽입부와, 상기 테이프 삽입부 상부를 커버하도록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자동응답전화기에 있어서,
후측 하부면 양측에 후측으로 활곡된 구조로 하향돌출된 가이드힌지가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 닫힘시 테이프의 상부를 눌러주는 테잎누름편이 돌출형성되어 전화기 본체 테이프삽입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테이프 삽입부 후측 양측에 상기 도어의 가이드힌지가 삽입되는 힌지공과, 상기 양측 힌지공의 전측면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삽입된 가이드힌지의 전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편들로 이루어진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삽입부 도어 개폐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하부에서 활곡된 구조의 가이드힌지는 상부 소정부위가 직각을 넘지않게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도어의 닫힘에 따른 탄성편과 접촉시 탄성편이 후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닫힘유지부와, 하부 전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평면을 이루어 도어의 개방시 그 개방상태를 유지토록하는 개방유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어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힌지의 하단 내측면에 소정의 두께로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하여 개방시 본체의 일측하부에 걸림되어 도어가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도어의 하부 중간부에 닫힘시 테이프 삽입부에 삽입된 테이프의 상부를 밀어 확실하게 장착되도록 하부로 돌출형성된 테이프 누름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의 일측부에는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외측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힌지공의 후측부에 삽입된 힌지가이드의 후측면을 밀어 그 전면이 탄성편과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회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가 닫힌상태의 측단면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제7도는 제6도의 a부 정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기의 적소에 테이프삽입부(11)를 형성하고, 그 상부를 개폐토록 하는 도어(40)로 구성되는데, 상기 도어(40)의 하면 후부 양측에는 후방으로 활곡되게 돌출형성된 가이드힌지(42)를 형성하고, 그 중간부에 닫힘시 테이프의 상면을 누르는 테잎누름편(44)이 형성되며, 도어의 일측측면 전방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되어 도어(4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한 손잡이부(401)가 형성되고, 그리고 전화기의 테이프삽입부(11) 후측 양측에는 상기 도어(40)의 가이드힌지(42)가 삽입되는 힌지공(32)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공(32)의 전방하부로 삽입된 가이드힌지(42)의 전면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탄성편(34)이 형성되고, 힌지공(32)의 후측에는 삽입된 가이드힌지(42)의 후측을 지지하여 그 전면이 탄성편(34)에 접촉되도록 하는 지지리브(36)가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도어(40)의 하면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힌지(42)는 상부 소정부위가 직각을 넘지않게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도어(40)의 닫힘에 따른 본체(10)의 탄성편(44)과 접촉시 탄성편이 후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닫힘유지부(422)와, 하부 전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평면을 이루어 도어(40)의 개방시 그 개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개방유지부(423)가 형성되며, 도어(4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힌지(42)의 하단내측면에 소정의 두께로 돌출된 걸림턱(421)을 형성하여 개방시 본체(10)의 힌지공(32)의 내측하부에 걸림되어 도어(40)가 본체(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40)의 양측 가이드힌지(42)를 양측으로 약간 벌려 본체(10)의 테이프삽입부(11) 양측에 형성된 힌지공(32)에 삽입시킨다.
삽입된 가이드힌지(42)는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도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턱(421)이 힌지공(32)의 내측본체(10)하부에 걸림되어 도어(4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힌지공(32)에 삽입된 가이드힌지(42)는 닫힘시 도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의 닫힘유지부(422)가 탄성편(34)에 점접촉 또는 면접촉으로 탄접되어 후측으로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므로 도어(40)는 틈이 발생되지 않는 닫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힌지(42)의 후방에는 본체(10)와 일체로 돌출형성된 지지리브(36)가 가이드힌지(42)의 후측면을 지지하여 그 전면이 탄성편(34)과 밀착되도록 하는데, 그 지지부위가 탄성편(34)과 접촉하는 가이드힌지(42)전면의 접촉부위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40)의 하면 중간부에 형성된 테이프누름편(44)이 테이프의 상면을 누르고 있으므로 테이프의 장착상태가 양호하게 되어 그 작동 및 회로적인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0)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부(401)를 손으로 취부하여 상부로 개방시키면 도어(40)가 개방되면서 가이드힌지(42)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개방유지부(423)가 탄성편(34)와 밀착되는데, 상기 개방유지부(423)가 평면으로 탄성편(34)과 접촉된 상태에서 그 후측의 지지리브(36)가 가이드힌지(42)의 후측면을 지지하면 그면접촉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개방유지부(423)와 도어(40)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도어(40)의 개방각도가 결정되는데, 테이프삽입부(11)에서 테이프의 착탈작업이 원할하게 하는 범위는 70도 이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40)를 닫을 때에는 도어(40)의 상부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가이드힌지(42)가 탄성편(34)과 슬라이딩 접촉되면서 하부로 이동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힌지구조를 하부로 활곡돌출된 상태의 가이드힌지로 하고, 이를 본체의 힌지공에서 출몰되도록 조립함과 동시에 힌지공 내부의 탄성편과 가이드힌지의 전면에 형성된 닫힘유지부 및 개방유지부의 접촉에 의해 도어의 확실한 닫힘상태와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특출한 발명이다.

Claims (6)

  1. 전화기의 잎측에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테이프와, 상기 테이프를 삽입 설치하는 테이프 삽입부와, 상기 테이프 삽입부 상부를 커버하도록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자동응답전화기에 있어서, 후측 하부면 양측에 후측으로 활곡된 구조로 하향돌출된 가이드힌지가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 닫힘시 테이프의 상부를 눌러주는 테잎누름편이 돌출형성되어 전화기 본체 테이프삽입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테이프삽입부 후측 양측에 상기 도어의 가이드힌지가 삽입되는 힌지공과, 상기 양측 힌지공의 전측면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삽입된 가이드힌지의 전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편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부에서 활곡된 구조의 가이드힌지는 상부 소정부위가 직각을 넘지않게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도어의 닫힘에 따른 탄성편과 접촉시 탄성편이 후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닫힘유지부와, 하부 전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평면을 이루어 도어의 개방시 그 개방상태를 유지토록하는 개방유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도어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힌지의 하단내측면에 소정의 두께로 돌출된 걸림턱을 형성하여 개방시 본체의 일측하부에 걸림되어 도어가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부 중간부에 닫힘시 테이프삽입부에 삽입된 테이프의 상부를 밀어 확실하게 장착되도록 하부로 돌출형성된 테이프누름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도어의 하부 중간부에 닫힘시 테이프삽입부에 삽입된 테이프의 상부를 밀어 확실하게 장착되도록 하부로 돌출형성된 테이프누름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일측부에는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외측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KR1019950028626A 1995-08-01 1995-09-01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KR0158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626A KR0158311B1 (ko) 1995-08-01 1995-09-01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688 1995-08-31
KR1019950028626A KR0158311B1 (ko) 1995-08-01 1995-09-01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688 Division 1995-08-01 1995-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43A KR970014043A (ko) 1997-03-29
KR0158311B1 true KR0158311B1 (ko) 1998-12-01

Family

ID=6661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626A KR0158311B1 (ko) 1995-08-01 1995-09-01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3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043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323A (en) Structure of carrying case for electronic equipment
KR0158311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KR970001792Y1 (ko) 마그넷 홀더
KR940006351Y1 (ko) 전지케이스구조
KR890003471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문 개폐장치
KR200344449Y1 (ko) 휴대폰의플립형커버개폐구조
KR900002189Y1 (ko) 전기 전자기기의 도어에 장착한 보턴(Button) 장치
JPH0517034Y2 (ko)
KR930005394Y1 (ko) 콤팩트(Compact)뚜껑의 개폐구조
KR920007736Y1 (ko) 닫힘 방지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JP2002151028A (ja) 機器の蓋取付け構造
KR0115697Y1 (ko) 차량의 글로브박스 잠금장치
JPH0718861Y2 (ja) プッシュラッチのロック構造
JP3057954B2 (ja) 操作スイッチの保護カバー
KR920003520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개폐장치
KR940005741B1 (ko) 밧데리 카바 체결장치
JPH08191713A (ja) コンパクト容器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89810Y1 (ko) 텔레비젼의 에이브이(a/v)용 잭도어 개폐장치
KR0125474B1 (ko) 데크의 도어 개폐장치
KR900001798Y1 (ko) 배터리 케이스의 덮개판 고정장치
JP2529817B2 (ja) 平面ハンドル
KR960001783Y1 (ko) 디지탈 콤팩트 카셋트의 슬라이더 개폐장치
KR960006252Y1 (ko) 텔레비죤 셋트의 도어구조
JPH0727713Y2 (ja) 電話機等のカバー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