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736Y1 - 닫힘 방지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 Google Patents

닫힘 방지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736Y1
KR920007736Y1 KR2019900008891U KR900008891U KR920007736Y1 KR 920007736 Y1 KR920007736 Y1 KR 920007736Y1 KR 2019900008891 U KR2019900008891 U KR 2019900008891U KR 900008891 U KR900008891 U KR 900008891U KR 920007736 Y1 KR920007736 Y1 KR 920007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door
tape door
leaf spring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374U (ko
Inventor
김희채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8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736Y1/ko
Publication of KR9200013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3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7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담힘 방지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제1a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도어의 평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측면도.
제2a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사용상태를 나태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구본체 2 : 테이프도어
3 : 연결부재 4 : 힌지부
5a : 라운드부 5b : 원형요부
6a : 판스프링 6B : 원형철부
7 : 고정부 8 : 연장부
본 고안은 테이프도어(Tape Do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재의 자체하중에 의한 도어의 닫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테이프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하는 기구(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전화기의 자동응답기등)에서 테이프 수용부를 보호하는 테이프 도어는 에젝트 버튼(Eject Button)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으나, 닫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어에 직접 힘을 가하여 닫게 되어 있다.
그러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등과같이 카세트 테이프 도어가 기구장착면(예를들어 탁자면이나 방바닥)에 대하여 수직인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장착면과 수평으로 설치된 테이프 도어(전화기의 자동응답기)는 자체의 하중 및 미세한 외력으로 테이프도어가 닫기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테이프도어의 담힘이 테이프의 교체시에 발생될 경우 사용자가 또 다시 도어를 열어야 되는 번거러움이 야기된다.
이에 본고안은 테이프 도어의 열림은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나 도어의 개방상태에서 자연적인 닫힘을 방지할 수 있는 테이프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도어 개폐장치는 테이프 도어(2) 양측 저면에 도어의 외측을 향하여 연결부재(2)를 U자형으로 돌출형성하여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재(2)보다 넓은 폭의 힌지부(4)를 형성하며, 힌지부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원호면으로 라운드부(5A)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라운드부(5A)의 소정의 위치, 즉 테이프 도어가 수직하게 개방되는 위치에 원호형요부(5B)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기구본체(1)의 저면에는 1쌍의 고정부(7)를 형성하여 상기 각 U자형 연결부재(2)의 단부에 형성된 힌지부(4)를 각각 삽설시켜 상기 연결부재(2)가 고정부(7)에서 지점회전가능토록 하며, 상기 고정부(7)의 후미 외측부에는 각각 연장부(8)를 수직하방향으로 성형하여 판스프링(6A)의 일단은 통상의 스크류체결로 고정하며, 상기 판스프링(6A)의 또 다른 단부를 소정형상으로 절곡하여 연결부재(2)의 라운드부(5A)와 면에 탄력접촉하는 원형철부(6B)를 형성하여 외력에 의하여 상기 원형철부(6B)의 상기 연결부재(2)의 라운드부(6A)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 및 상기 원형요부(6B)에 대한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도어의 평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특징은 일반적인 구조의 테이프 도어(2) 하부 양측부에 U자형 연결부재(3)를 일체로 돌출시켜서 된 것이다.
이러한 U자형 연결부재(3)는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상태로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3)의 끝단에 형성하는 힌지부(4)의 하부에는 힌지부(4)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된 라운드부(5A)를 구성하되, 라운드부(5A)는 전면이 힌지부(4)의 중심에서 반지름의 원호로된 완전 원형면이다.
라운드부(5A)의 전단에는 부재 전폭에 걸친 원형요부(5B)를 구성하여 후술한 판스프링의 원형 철부와 대응, 연동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은 테이프 도어와 기구본체와의 상호연동관계를 살펴보면, 제2a도는 본 고안의 테이프 도어를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로서, 편의상 제1a도의 좌측부재를 예를들어 도시하였다(좌, 우측 부재는 대칭 구조임)
테이프 도어(2)의 연결부재(3) 단부에 구성된 힌지부(4)를 기구본체(1) 저면에서 연장시킨 고정부(7)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하며, 본체(1) 저면에 또다른 연장부(8)에는 판스프링(6A plate spring)을 고착시킨다.
판스프링(6A)은 그 폭을 상술한 힌지부(4) 및 라운드부(5A)의 폭과 동일하게 하며, 연장부(8)에 고착되지 않은 또 다른 단부에는 원형철부(6B)를 형성한다.
판스프링(6A)은 단부에 형성한 원형철부(6B)배면 단부가 초기 위치에서 슬라이드부(5A) 단부에 대응하도록 연장부(8)에 고착시킨다.
이와같이 기구본체(1)에 고착된 테이프 도어(2)를 테이프의 교체를 위하여 개발시킬 경우(에젝트 버튼이나 수동)테이프도어(2)는 힌지부(4)를 중심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자전하게 된다.
이때, 연장부(8)에 고착된 판스프링(6A)단부의 원형철부(6B) 볼록면과 대응하는 연결부재(3)의 라운드부(5A)면은 판스프링(6A)을 하향으로 밀어버린 상태에서 원형칠부(6B)의 볼록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최종적으로 라운드부(5A) 진단의 원형요부(5B)와 판스프링(6A) 단부의 원형칠부(6B)가 대응된다.
따라서 최초 슬라이딩시 하향으로 밀린 상태의 판스프링(6A)에는 라운드부(5A)의 원형요부(5B)의 판스프링(5A)의 원형칠부(6B)가 대응시 원형요부(5B)의 깊이 차이로 인한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원형칠부(6B)는 원형요부(5B)에 삽입되어, 테이프 도어(2)는 수직한 상태로 개방된다(제2B도의 상태).
사용자가 테이프 도어(2)를 닫고자 할때 테이프 도어를 제2b도에 도시된 방향으로 밀게 되면 원형요부(5B) 및 원형철부(6B)의 삽입상태가 해제되어 판스프링(6A)의 원형칠부(6B)가 라운드부(5A)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같이 라운드부(5A)의 원형요부(5B)에 판스프링(6A)의 원형철부(6B)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테이프 도어(2)의 자체하중으로 인한 도어의 닫힘은 물론 예상치 않은 어느 정도의 외력으로 인한 도어의 닫힘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과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자체하중이 작은 도어에 적용함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기구본체에 수용되는 카세트테이프의 인출 및 수용을 위하여 테이프삽입구를 지점회전상태로 개폐하도록하며 열림완료지점에 닫힘방지용 요홈을 구성한 테이프 도어에 있어서, 기구본체(1)의 저면에 한쌍의 고정부(7)와 연장부(8)를 돌출형성시켜, 테이프 도어 제어용 판스프링(6A)을 상기 연장부(8)에 설치고정하고, 테이프 도어(2)의 양측저면에서, 각각 U자형으로 돌출시킨 연결부재(3)의 끝단에 연결부재 보다 폭이 넓게 형성한 힌지부(4)를 상기 고정부(7)에서 지점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힌지부를 중심으로 반지름의 원호면과 테이프 도어의 열림 완료 위치의요홈(5B)을 원호형(5B)으로 한 힌지부(4)의 라운드부(5A)면에 판스프링(6A)의 자유로운 단의 원호형 철부(6B)가 탄력접촉을 이루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담힘방지 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KR2019900008891U 1990-06-23 1990-06-23 닫힘 방지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KR920007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891U KR920007736Y1 (ko) 1990-06-23 1990-06-23 닫힘 방지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891U KR920007736Y1 (ko) 1990-06-23 1990-06-23 닫힘 방지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374U KR920001374U (ko) 1992-01-28
KR920007736Y1 true KR920007736Y1 (ko) 1992-10-17

Family

ID=1930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891U KR920007736Y1 (ko) 1990-06-23 1990-06-23 닫힘 방지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7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374U (ko) 199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158A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US5273328A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EP0477863A1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US5441167A (en) Storage area and hinge structure
KR920007736Y1 (ko) 닫힘 방지구조를 갖는 테이프 도어
EP0676521B1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JPH10162694A (ja) 車両用レバースイッチの構造
JP3655725B2 (ja) ドアチェック装置
KR940020402A (ko) 테이프 카세트(Tape Cassette)
JPH073517Y2 (ja) テ−プカセット
JPH0428094Y2 (ko)
JP2001116038A (ja) ヒンジユニット
JP2571922Y2 (ja) 開閉体のヒンジ構造
JP2001207695A (ja) 自動車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2585773Y2 (ja) 電気機器のドアロック機構
KR920001804Y1 (ko) 전기, 전자기기의 도어 개폐장치
JPS597493Y2 (ja) ドア−キヤツチヤ−
KR0158311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US4875640A (en) Tape cartidge
JP2510361Y2 (ja) 開閉蓋付時計ケ―スの構造
KR940002134Y1 (ko) 콤팩트 카세트가 사용되는 톱로딩방식 브이씨알의 카세트 오삽입 방지장치
JP2001106245A (ja) リッドの開閉装置
KR930004497Y1 (ko) 슬라이더를 개선시킨 콤팩트 용기
KR890003471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문 개폐장치
US3062399A (en) Hing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