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330U - 콤팩트 - Google Patents

콤팩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330U
KR19980019330U KR2019960032448U KR19960032448U KR19980019330U KR 19980019330 U KR19980019330 U KR 19980019330U KR 2019960032448 U KR2019960032448 U KR 2019960032448U KR 19960032448 U KR19960032448 U KR 19960032448U KR 19980019330 U KR19980019330 U KR 199800193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ase
compact
presser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8135Y1 (ko
Inventor
김상영
Original Assignee
김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영 filed Critical 김상영
Priority to KR2019960032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135Y1/ko
Priority to JP9027333A priority patent/JPH10108724A/ja
Publication of KR19980019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1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65D1/36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콤팩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한손으로 콤팩트를 잡고 나머지 한손으로 개폐장치를 작동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개폐장치가 소형이어서 작동이 불편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3과 같이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로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로 구성되는 콤팩트에 있어서, 상부케이스(1)의 선단중앙에 세로 방향의 상부후크(13)를 형성하고, 하부케이스(2)에는 측면에는 전면 중앙에 이르는 누름간(14)을 설치하되, 누름간(14)의 후단에는 탄지부(15)를 형성하여 누름간(14)을 항상 외측으로 밀어주도록 하고, 누름간(14)의 선단에는 세로 방향의 하부후크(16)를 일체로 형성하여 천공부(17)를 통하여 삽입된 상부후크(13)가 걸리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콤팩트
본 고안은 콤팩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개폐작동이 편리하도록한 콤팩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콤팩트에 관한 분리사시도로서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로 구성되는 콤팩트는 상부케이스(1)내에 거울(3)이 설치되고 하부케이스(2)내에는 분과파우더퍼프를 보관할 수 있는 내부케이스(4)가 설치되며,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가 결합되는 결합부(5)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부케이스(1)가 항상 열림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1)의 선단부에는 후크(6)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하부케이스(2)의 선단부에는 걸림부(7)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스(1)를 눌러닫게 되면 후크(6)가 걸림부(7)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7)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결합편(8)이 하부케이스(2)의 요홈부(9)에 결합되고, 선단부(10)가 하부케이스 전면 중앙의 관통공(11)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에서 선단부(10)를 내측으로 압압하면 걸림부(7) 전체가 하부케이스(2)의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걸림돌부(12)도 내측으로 약 1mm 내지 2mm 정도 이동되어 후크(6)가 걸림돌부(12)에서 이탈되며 다음 순간에 상부케이스(1)는 결합부(5)내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종래의 콤팩트는 대부분 사용자가 왼손으로 하부케이스의 양옆을 잡고 오른손으로 걸림부의 선단부를 눌러주도록 되어 있어서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 및 외부로 돌출된 선단부가 작기 때문에 누르는 힘의 전달이 충분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대응되는 후크를 설치하되 하부케이스의 후크는 측면의 누름간과 일체로 형성하여 개폐작동이 간편한 콤팩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가 스프링에 의해 열리도록 하되, 하부케이스의 측면에 탄성을 갖고 외측으로 완만히 절곡된 누름간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눌러줄 수 있도록 하고 누름간의 선단에는 하부후크를 설치하여 상부케이스의 상부후크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콤팩트 분리사시도.
도 2은 종래의 콤팩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의 개폐 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의 보관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의 요부 단면도(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상부케이스 2:하부케이스
3:거울 4:내부케이스
5:결합부 6:후크
7:걸림부 8:결합편
9:요홈부 10:선단부
11:관통공 12:걸림돌부
13:상부후크 14:누름간
15:탄지부 16:하부후크
17:천공부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로 구성되는 콤팩트에 있어서, 상부케이스(1)의 선단중앙에 세로 방향의 상부후크(13)를 형성하고, 하부케이스(2)에는 측면에서 전면 중앙에 이르는 누름간(14)을 설치하되, 누름간(14)의 후단에는 탄지부(15)를 형성하여 누름간(14)을 항상 외측으로 밀어주도록 하고, 누름간(14)의 선단에는 세로방향의 하부후크(16)를 일체로 형성하여 천공부(17)를 통하여 삽입된 상부후크(13)가 걸리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누름간(14)의 일부가 외측으로 완만히 절곡되어 돌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내측으로 누르게 되면 탄지부(15)와 누름간(14)이 근접되면서 누름간(14)이 내측으로 이동되며, 이와 동시에 누름간(14)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후크(16)도 좌측으로 이동되어 하부후크(16)가 상부후크(13)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하부후크(16)가 상부후크(13)로부터 이탈되면 상부케이스(1)는 열리도록 되는 것이며, 이와 반대로 상부케이스(1)를 하부케이스(2) 쪽으로 눌러주게 되면 상부후크(13)가 천공부(17)로 삽입되어 하부후크(16)에 걸리게 된다.
상부후크(13)가 하부후크(16)에 걸릴때는 하부후크(16)의 경사면으로 인하여 하부후크(16)가 순간적으로 좌측으로 밀리게 되며, 상부후크(13)와 하부후크(16)가 걸린 상태에서는 탄지부(15)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누름간(14)이 외측으로 힘을 받게되어 상부후크(13)는 이탈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의 보관상태 사시도로서 이때는 만곡형으로된 누름간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의 단면도로서 상부후크(13)와 하부후크(16)가 걸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만곡형의 누름간(14)을 측면에 설치하여 이를 내측으로 눌러주도록 함으로서 상부후크(13)로부터 하부후크(16)가 이탈되도록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한손으로 열수 있고, 더우기 콤팩트를 잡는 힘과 같은 방향으로 누름간을 눌러 줄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개폐작동 특히 여는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로 구성된는 콤팩트에 있어서,
    상부케이스(1)의 선단 중앙에 세로 방향의 상부후크(13)를 형성하고, 하부케이스(2)에는 측면에는 전면 중앙에 이르는 누름간(14)을 설치하되, 누름간(14)의 후단에는 탄지부(15)를 형성하여 누름간(14)을 항상 외측으로 밀어주도록 하고, 누름간(14)의 선단에는 세로 방향의 하부후크(16)를 일체로 형성하여 천공부(17)를 통하여 삽입된 상부후크(13)가 걸리도록 한 콤팩트.
KR2019960032448U 1996-10-01 1996-10-01 콤팩트 KR200178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448U KR200178135Y1 (ko) 1996-10-01 1996-10-01 콤팩트
JP9027333A JPH10108724A (ja) 1996-10-01 1997-01-28 化粧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448U KR200178135Y1 (ko) 1996-10-01 1996-10-01 콤팩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30U true KR19980019330U (ko) 1998-07-15
KR200178135Y1 KR200178135Y1 (ko) 2000-05-01

Family

ID=1946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448U KR200178135Y1 (ko) 1996-10-01 1996-10-01 콤팩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08724A (ko)
KR (1) KR2001781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12979T2 (de) * 2001-08-21 2007-02-15 L'oreal Usa, Inc. Kosmetikbehälter mit einem magnetischen scharnier
KR200457995Y1 (ko) * 2009-09-04 2012-01-16 (주)아모레퍼시픽 힌지 결합구조의 투명 중간판을 갖는 분쇄식 파우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08724A (ja) 1998-04-28
KR200178135Y1 (ko)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9330U (ko) 콤팩트
JP4369076B2 (ja) ドア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およびドアの開閉方法
JPS6214969Y2 (ko)
KR100450518B1 (ko) 담배케이스
KR930005394Y1 (ko) 콤팩트(Compact)뚜껑의 개폐구조
KR200269618Y1 (ko) 담배케이스
KR970001792Y1 (ko) 마그넷 홀더
KR900002189Y1 (ko) 전기 전자기기의 도어에 장착한 보턴(Button) 장치
KR200177538Y1 (ko) 오프너가 구비된 열쇠고리
KR980009133U (ko) 냉장고의 도어 손잡이 구조
KR0158311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 테이프 수납도어 개폐장치
KR900006249Y1 (ko) 마이크로스위치
KR890004975Y1 (ko) 전기 전자 기기의 콘트롤 스위치 개폐 도어
KR960001783Y1 (ko) 디지탈 콤팩트 카셋트의 슬라이더 개폐장치
KR940001726Y1 (ko) 콤팩트 뚜껑의 개폐구조
KR870002187Y1 (ko) 화일박스 설합의 개폐장치
KR970003124Y1 (ko) 애쉬트레이 개폐장치
KR890003779Y1 (ko) 휴대용 부채
KR200174955Y1 (ko) 다용도 클립형 고리
KR950005047Y1 (ko) 카메라 밧데리 캡 도어의 개폐구조
KR940002631Y1 (ko) 수저 케이스
KR960005958Y1 (ko) 무전기의 휴대장치
KR930004497Y1 (ko) 슬라이더를 개선시킨 콤팩트 용기
KR900003121Y1 (ko) 자석식 판넬도어 개폐 장치
KR980001404A (ko) 차량의 명함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109

Effective date: 200001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