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415Y1 -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415Y1
KR0119415Y1 KR2019930026121U KR930026121U KR0119415Y1 KR 0119415 Y1 KR0119415 Y1 KR 0119415Y1 KR 2019930026121 U KR2019930026121 U KR 2019930026121U KR 930026121 U KR930026121 U KR 930026121U KR 0119415 Y1 KR0119415 Y1 KR 0119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cassette
opening
cassette doo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925U (ko
Inventor
김인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26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415Y1/ko
Publication of KR9500209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9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4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카세트 도어를 보다 유연하게 개폐함과 아울러 별도의 개폐수단에 의존하지 않도록 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영구자석에 의해 카세트 본체와 덮개를 착탈되게 하고 댐퍼기어에 의해 덮개의 개방속도를 조절할 때 발생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인 바, 덮개(2)의 양측으로 취부되고 카세트의 측벽(1)에 힌지(12)로 결합되는 양측의 걸림쇠(3)(4)중 어느 한측에 정지수단을 가진 안내홈(10)을 형성하고 이에 대향되는 면에는 마찰기능을 가진 안내홈(11)을 각각 형성하여 안내봉(9)과 볼(7)에 의해 지지되게 함에 따라, 상기 덮개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 카세트 도어의 개폐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각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중 우측걸림쇠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의 (a)(b)는 제3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중 좌측걸림쇠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의 (a)(b)는 제5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덮개 3:걸림쇠
4:걸림쇠 5:스프링
6:고정링 7:볼(ball)
9:안내봉 10:우측안내홈
10a:곡선부 10b,10c,10e,10f:꺽임부
10d:걸림부 11:좌측안내홈
s:틈새
본 고안은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 또는 비디오의 카세트 도어를 유연하게 개폐함과 동시에, 별도의 도어 개폐수단에 의존하지 않도록 한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세트 도어는, 제1도에서와 같이 힌지부(hinge)를 기준으로 하여 그 좌·우측 또는 소정의 위치에 영구자석(M)을 부설하거나, 한쪽 방향으로만 작동 가능한 댐퍼기어(damper gear)(D)를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자석(M)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세트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와 본체에 부착된 자석이 자성으로 인한 밀착상태에서 분리되도록 별도 개폐수단(이젝트 버튼)을 통하여 힘을 가해야 하므로 개방동작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소음발생과 사용상 번거로움 및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품격을 높게 인식시키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댐퍼기어(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것보다 다소 부드러운 동작은 가능하였으나, 오디오 장치내에서 댐퍼기어 및 개폐수단 설치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였다. 이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제품의 소형화 추세에 상반하는 것으로서 제품의 품격을 떨어뜨리는 주요인이 될 뿐 아니라 댐퍼기어로 인한 원가가 상승되는 등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걸림쇠를 부설함으로써 카세트 도어의 유연한 개폐동작을 얻을 수 있으며, 별도의 개폐수단을 제거함으로써 원가면에서도 유리한 카세트 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카세트 도어가 유연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카세트 도어의 좌·우 양측에 걸림쇠를 부설하고, 각기 상이한 형상의 안내홈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몸체 측벽의 한쪽 내측면상의 후방에는 볼(ball)이 일부돌출된 형상으로 삽입 고정되고, 몸체 측벽의 다른 한쪽 내측면상에는 이 볼과 대향된 위치에 안내봉이 장착되어 있다.
한쪽 걸림쇠의 안내홈은 단순한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한 볼이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홈에 따라 상기한 걸림쇠가 이동하면 카세트 도어가 유연한 개폐동작을 하게 된다.
다른 한쪽 걸림쇠의 안내홈은 본 고안의 목적에 딸 독특한 기하하적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홈은 안내봉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 홈에 따라 상기한 걸림쇠가 이동함에 따라, 카세트 도어가 개폐동작 및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걸림쇠는 별도의 개폐보조수단이 없이도 카세트 도어가 원터치(one touch)식으로 즉, 카세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덮개를 한번 밀 듯이 눌러주면 열리게 되는 독특한 안내홈을 가지고 있다.
이 안내홈의 출발지점은 카세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안내봉이 위치한 지점이다.
또한, 종착지점은 카세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안내봉이 위치한 지점이다.
카세트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 덮개를 손으로 밀어서 닫고, 닫힌 상태에서 도어 덮개를 밀 듯이 눌러주면(원터치) 다시 열리게 된다. 이때 안내봉은 출발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안내홈을 따라 종착지점으로 이동하고, 종착지점에는 걸림부가 있어서 카세트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도어 덮개를 눌러주면 안내봉이 걸림부에서 이탈되어 고정상태를 벗어나 다시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출발지점으로 복귀한다. 닫힘 동작과 열림동작시 이 안내홈 내에서 안내봉의 이동경로는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볼과 결합되는 안내홈의 깊이는 일정하고, 안내봉과 결합되는 안내홈의 깊이는 경로에 따라 달리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각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측걸림쇠(3) 및 촤측걸림쇠(4)는 덮개(2)의 길이방향 양측에 나사와 같은 체결구로 결합된다.
우측걸림쇠(3)는 중심부에 구멍이 있고, 이 구멍을 통해 몸체 측벽(1)에 부설되어 있는 봉형상의 힌지(12)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12)에 우측걸림쇠(3)를 결합한 후, 스프링(5)을 끼우고 고정링(6)으로 고정한다. 스프링(5)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우측걸림쇠(3)가 탄성력을 받게 하기 위함이다. 안내봉(9)은 측벽(1)상에서 힌지(12)보다 더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봉(9)은 우측걸림쇠(3)의 안내홈(10)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된 안내봉(9)에 대하여 안내홈(10)의 형상에 따라 우측걸림쇠(3)가 이동함으로써 카세트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진다.
제3도를 참조하면, 우측걸림쇠(3)의 측면상에 안내홈(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홈(10)은 일정깊이를 가진 곡선부(10a)와, 각각 깊이를 달리하는 꺽임부(10b)(10c)(10e)(10f) 및 걸림부(10d)로 되어 있다.
즉, 덮개(2)의 개방 및 밀폐동작시 무부하 상태로 안내봉(9)이 슬라이딩 되는 안내홈(10)의 곡선부(10a)는 비교적 깊고 균일한 깊이로 되며, 밀폐시 정지력을 제공하는 각각의 꺽임부와 걸림부는 10b 10c 10e 10f 10d 순의 깊이로 되는데, 다만 곡선부(10a)로부터 꺽임부(10b)로 진입되는 부분은 상향된 기울기로 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꺽임부(10b)의 저면은 (10c)(10e)보다 급격한 상향 경사면이다.
꺽임부(10f)는 (10b)와 경사도(기울기)가 같으나 반대방향으로 되고, 곡선부(10a)와 이어진다.
즉, 상기 꺽임부들은 걸림부(10d)를 정점으로 산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홈(10)의 높이가 상이함으로 인하여, 곡선부를 제외한 꺽임부 및 걸림부를 지나는 동안 안내봉(9)에 의하여 우측걸림쇠(3)는 곡선부를 지날 때의 위치에서 좌측으로 밀리게 되고, 밀리는 만큼 스프링(5)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다.
걸림부(10d)는 안내봉(9)이 걸려지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봉(9)은 개방동작이 일어날 때까지 여기에 걸려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카세트 도어 덮개를 밀 듯이 눌러주면 안내봉(9)의 위치는 (10d)에서 (10e)로 밀려 올라가고, 꺽임부(10f)를 거쳐 곡선부(10a)로 되돌아오게 된다.
제4도 (a)를 참조하면, 카세트 도어가 닫힌 상태로서 안내봉(9)이 종착지점인 걸림부(10d)에 위치하고, 제4도 (b)는 카세트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서 안내봉(9)이 곡선부(10a)의 출발지점에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안내봉(9)이 안내홈(10)의 곡선부(10a)에 위치하는 동일 카세트 도어는 개방상태에 있다. 꺽임부(10b)(10c)에 있는 경우는 카세트 도어가 닫히기 직전 상태이고, 걸림부(10d)에서는 카세트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꺽임부(10e)(10f)에서는 개방되기 시작한다.
제4도 (a)에서, 사용자가 카세트 도어 덮개를 밀 듯이 눌러주면, 도어가 틈새(S)만큼 들어가고, 이때 안내봉(9)의 위치는 걸림부(10d)에서 꺽임부(10e)로 이동되어 카세트 도어가 개방되기 시작하고, (10f)의 하향 경사면을 지나 곡선부(10a)에 이르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제5도를 참조하면, 좌측걸림쇠(4)의 중심부에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한쪽 측면상에는 안내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안내홈(11)의 깊이는 일정하다.
볼(7)은 몸체 측벽상에 일부 돌출되게 고정되어 있고, 안내홈(11)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반대편인 우측걸림쇠(3)에 구비된 안내봉(9)과 안내홈(10)의 동작관계와 동일하게 된다. 다만, 안내홈(1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으로서 안내홈(11)과 상이하고, 곡선부의 곡률반경도 안내홈(11)과 다르게 하므로써, 카세트 도어의 개폐동작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제6도 (a) 및 (b)는 좌측걸림쇠(4)가 닫힌 상태, 개방상태를 각기 도시한 것으로, 볼(7)이 안내홈(11)의 끝부분에 각기 위치한다.
볼(7)은 안내홈(11)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안내홈(11)을 지나는 동안 카세트 도어의 급격한 개폐동작을 완충하여 유연한 동작이 되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선택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실시예에 한하지 않는 다양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카세트 도어 양측에, 안내홈이 형성된 걸림쇠를 부설함으로써, 카세트 도어의 개폐동작이 유연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개폐동작에 따른 소음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제품의 소형화, 경량화에 매우 유리하며, 제품의 품격이 높아지고, 아울러 별도의 개폐수단이 제거됨으로써 원가 절감면에서도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카세트 덮개(2)의 양측으로 취부되고 적어도 어느 한측에 정지수단을 제공하는 안내홈(10)이 갖추어진 걸림쇠(3)(4)와, 이 걸림쇠가 회전 지지되게 카세트 몸체의 양측벽(1)에 부석된 힌지(12)와, 상기 안내홈(10)상에서 슬라이딩되게 측벽(1)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안내봉(9)과, 일측 힌지(12)의 내측부에 탄성이 구비된 스프링(5)을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도어의 개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10)이 일정한 깊이를 가진 곡선부(10a)와 이에 대해 점진적으로 상향된 기울기를 가진 꺽임부(10b)(10c)(10e)(10f) 및 걸림부(10d)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도어의 개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우측걸림쇠(3)에는 측벽에 형성된 안내봉(9)이 안내되게 안내홈(10)이, 이에 대응하는 촤측걸림쇠(4)에는 측벽(1)에 부설된 볼(7)이 미끄럼 결합되게 균일한 깊이를 가진 안내홈(1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도어의 개폐 장치.
KR2019930026121U 1993-12-02 1993-12-02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 KR0119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121U KR0119415Y1 (ko) 1993-12-02 1993-12-02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121U KR0119415Y1 (ko) 1993-12-02 1993-12-02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925U KR950020925U (ko) 1995-07-26
KR0119415Y1 true KR0119415Y1 (ko) 1998-08-01

Family

ID=1936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121U KR0119415Y1 (ko) 1993-12-02 1993-12-02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4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925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37990Y2 (ko)
US7173815B2 (en) Receiving unit for computer
KR0119415Y1 (ko)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
KR950004197A (ko) 미니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로딩장치
EP0676521B1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JP4231223B2 (ja) 引戸用取手
CN217743622U (zh) 滑动装置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KR100291364B1 (ko) 전자제품용콘트롤부동작장치
JP3773309B2 (ja) 着脱装置
KR100246637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 도어 개폐장치
KR910010187B1 (ko) 문짝용 로크장치
KR100291366B1 (ko) 전자제품용콘트롤부의열림속도가변구조
KR900009247Y1 (ko) 전자기기의 도어 개폐장치
JPH09195608A (ja) 係止構造
KR910003460Y1 (ko) 콘트롤 스위치보드의 도아(door)개폐장치
JPH0532834B2 (ko)
KR200214423Y1 (ko)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JPH0316377Y2 (ko)
JPH06104579A (ja) 扉開閉機構
JP4260992B2 (ja) スライドラッチの可動式受座
KR0130266Y1 (ko) Vtr 및 mvcr의 테이프 출입도어 자동개방장치
JPH0454595Y2 (ko)
KR960004856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JPS60203790A (ja) ドア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