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566B1 -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566B1
KR100424566B1 KR10-2001-0039778A KR20010039778A KR100424566B1 KR 100424566 B1 KR100424566 B1 KR 100424566B1 KR 20010039778 A KR20010039778 A KR 20010039778A KR 100424566 B1 KR100424566 B1 KR 10042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opening
rib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917A (ko
Inventor
권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3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5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 E05D15/5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 E05D15/505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allowing alternative movements for opening at either of two opposite edges by radial separation of the hing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개폐도어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40)의 상하단 좌우에 대응되는 본체에 힌지판(30)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판(30)에는 힌지(3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힌지(32)의 주변을 둘러 힌지(32)보다 낮은 높이로 힌지리브(34)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리브(34)의 일측으로는 개방부(35)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판(30)과 대응되는 도어(40)의 위치에는 상기 힌지(32)가 삽입되는 힌지슬롯(42)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슬롯(42)의 일단부에는 회전중심측에서 상기 힌지리브(34)의 내측과 상대회전하고 개방측에서상기 개방부(35)를 통해 입출되는 도어리브(4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40)의 상하단에는 상기 힌지리브(34)의 외면과 연동되어 도어(40)의 개폐동작에 따라 도어(40)의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40)의 설치 및 동작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탈거방지바아(5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40)의 개폐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도어(40)의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며, 그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Opening/closing mechanism for double swing door}
본 발명은 좌우개폐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조작없이 좌우 양단으로 개폐가능한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나 가구에서는 그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도어는 일반적으로 일방향으로만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어 일단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소정 각도 회전되면서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도어가 일방향으로만 개폐되도록 하면 가전기기 등이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서는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개방하더라도 수납과 인출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특허 제6,085,46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좌우개폐도어가 제시되었다. 여기에 개시된 좌우개폐도어는 별도의 조작없이도어를 좌측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개방하거나, 우측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개방하도록 구성되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앵글(13)에는 슬라이드캠(1)이 고정되고, 가전기기 본체에 구비되는 힌지앵글(15)에는 체결캠(2)이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드캠(1)은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체결캠(2)에 대해 도어의 폭방향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체결캠(2)이 구비되는 힌지앵글(15)에는 도어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핀(1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어의 상하좌우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캠(1)에는 제1캠돌부(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캠돌부(5)의 내측에는 제2요홈캠부(4)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요홈캠부(4)와 연결되어 상기 제1캠돌부(5) 외측으로는 제1요홈캠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캠돌부(5)는 상기 제2캠돌부(6)의 내부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힌지핀(14)은 상기 체결캠(2)의 통홀(7)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캠(1)의 제1요홈캠부(3)와 제2요홈캠부(4)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도어는 일측의 힌지핀(14)이 그 대응되는 슬라이드캠(1)의 제2요홈캠부(4)를 중심으로 도어의 타측에 설치된 힌지핀(14)이 상기 제2요홈캠부(4)에서 제1요홈캠부(3)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개방된다. 이때 회전중심이 되는 측의 상기 힌지핀(14)에 대해 상기 슬라이드캠(1)이 도어의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 슬라이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도어개폐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의 슬라이드캠(1)이 도어의 개방 및 폐쇄시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폭방향으로 상기 체결캠(2)에 대해 소정 거리 이동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상기 슬라이드캠(1)이 힌지앵글(15)에 고정된 체결캠(2)에 대해 소정 거리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동작시에 많은 힘이 소용된다.
또한 이와 같이 슬라이드캠(1)이 체결캠(2)에 대해 미끄럼운동을 하여야 하므로 슬라이드캠(1)이나 체결캠(2)이 마찰로 인해 소손될 우려가 있으며, 조금이라도 소손이 되면 제 기능을 상실하여 도어의 개폐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개폐도어에서 개폐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우개폐도어에서 서로 상대운동을 하는 마찰부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우개폐도어에서 도어의 설치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2a에서 도 2d는 종래 기술에 의한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의 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개략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어의 하단면을 보인 저면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힌지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a,6b,6c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구성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구성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힌지판 32: 힌지
34: 힌지리브 35: 개방부
40: 도어 42: 힌지슬롯
45: 도어리브 50: 탈거방지바아
55: 링크캠 56: 중심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회전중심 역할을 하고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힌지리브가 소정 곡률로 형성되어 본체의 상하측 양단에 구비되는 힌지판과, 상기 힌지판에 지지되고 회전중심측에서 상기 힌지리브와 접촉하여 상대회전되고, 개방측에서 상기 힌지리브의 개방부를 통해 빠져나오는 도어리브가 힌지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리브에 양단이 접촉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도어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어가 본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탈거방지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힌지리브의 개방부는 도어의 개폐시 상기 도어리브의 이동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힌지판의 힌지리브 내측에는 힌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도어 내면과 상하단면으로 개방되게 힌지슬롯이 형성되어 회전중심측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되고 개방측에서 상기 힌지가 힌지슬롯을 따라 안내되어 도어가 개폐된다.
상기 탈거방지바아의 양단과 힌지리브의 사이에 대응되는 도어에는 링크캠이 더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탈거방지바아를 구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좌우개폐도어의 개폐기구에 의하면 본체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도어의 동작 및 설치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개폐기구는 좌우개폐도어의 상하단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아래에서는 도어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것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3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전기기 본체에 힌지판(30)이 연결설치된다. 상기 힌지판(30)에는 그 상면에 힌지(3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힌지판(30)의 상면에는 또한 힌지(32)를 둘러 힌지리브(34)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리브(34)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40)의 회전중심측이 될 때 도어(40)의 회전을 안내하고 도어(40)가 본체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힌지리브(34)는 상기 힌지(32)의 둘레를 따라 그 높이가 힌지(32)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상기 힌지리브(34)는 그 일측이 개방되게 개방부(35)가 형성되어, 도어(40)의 개방측이 될 때,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리브(45)의 이동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개방부(35)는 도어(40) 반대쪽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32)를 기준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리브(45)의 이동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힌지리브(34)는 도어(40)의 회전중심의 역할도 하지만, 아래에서 설명될 탈거방지바아(50)와 협력하여 도어(40)가 본체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다음으로,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도어(40)가 개폐하는데, 상기 도어(40)에는 그 내면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도어(40)의 하면으로 개방되게 힌지슬롯(4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힌지슬롯(42)은 도어(40)의 회전중심이 될 때는 그 일단부가 회전중심이 되고, 도어(40)의 개방측이 될 때는 힌지(32)가 도어(40)와 간섭되지 않고 도어(40)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40)의 하면에는 상기 힌지슬롯(42)의 일단부 근처에 도어리브(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리브(45)는 그 길이가 상기 힌지리브(34)의 개방부(35)의 폭과 같거나 약간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리브(45)는 대략 상기 힌지리브(34)의 곡률반경보다는 작고 상기 힌지(32)의 외경보다는 큰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리브(45)는 상기 도어(40)의 하단면과 힌지판(30)의 상면사이의 간격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도어(40)의 하단면에는 탈거방지바아(50)가 설치된다. 상기 탈거방지바아(50)는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슬롯(42)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상기 힌지리브(34)의 후단에 일단부가 위치되고 타단부는 도어(40)의 하단면 반대쪽에 형성되는 힌지슬롯(42)의 입구측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탈거방지바아(50)는 상기 도어(40)의 하단면에 별도의 구조물에 의해 도어(40)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별도의 구조물은 탈거방지바아(50)의 중앙부분을 도어(40)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어서 탈거방지바아(50)의 양단부를 위주로 도시된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탈거방지바아(50)는 일단부가 도어(40)의 개폐시에 개폐되는 측의 힌지리브(34)를 따라 안내되어 타단부가 반대쪽, 즉 회전중심이 되는 측의 힌지슬롯(42)을 차단하여 힌지(32)가 힌지슬롯(4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도어(40)를 정면에서 볼 때 그 상단 양측과 하단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도어(40)의 개폐방향을 별도의 조작없이 사용자가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좌우개폐도어의 개폐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 도어(40)가 개폐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 6b,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0)의 우측이 회전중심 측이 되고, 좌측이 개폐측인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어(40)의 좌측에 개방을 위한 힘을 가하면, 우측의 힌지(32)를 중심으로 도어(40)의 좌측단이 이동하면서 도어(40)가 개방된다. 이때 우측의 힌지(32)는 도어(40) 우측의 힌지슬롯(42)의 일단부에 위치된 상태로 도어(40)의 회전중심이 된다. 그리고 도어(40) 좌측의 힌지슬롯(42)에 있던 힌지(32)는 도어(40)의 개방에 따라 상기 힌지슬롯(42)으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힌지(32)는 고정되어 있고 도어(40)가 이동함에 의해 힌지슬롯(42)에서 힌지(32)가 빠져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도어(40)의 좌측에서는 상기 도어리브(45)가 상기 힌지리브(34)의 개방부(35)를 통해 외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도어(40)의 우측에서는 상기 도어리브(45)가 상기 힌지리브(34)와 힌지(32)의 사이로 들어가, 상기 힌지리브(34)에 안내된다. 이때 도어(40)의 우측에서 상기 힌지리브(34)와 도어리브(45)는 도어(4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탈거방지바아(50)는 상기 도어(40)좌측의 힌지리브(34)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어, 그 타단부가 우측의 힌지리브(34)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어, 도 6b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어, 도어(40) 우측의 힌지슬롯(42)에서 힌지(32)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작은 도어(40)의 상단과 하단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동일하게 일어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40)가 닫혔을 때 상기 탈거방지바아(50)는 그 양단이 상기 힌지판(30)에 형성된 힌지리브(34)의 후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되므로 도어(40)를 전방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이에 저항할 수 있어, 도어(40)가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판(30) 및 도어(40)에 별도의 힌지와 힌지슬롯을 형성하지 않고, 도어리브(45)와 힌지리브(35)가 도어(40)의 회전중심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리브(45)와 힌지리브(35)가 서로 접촉되어 상대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리브(34)와 탈거방지바아(50)의 사이에 링크캠(55)을 설치한다. 상기 링크캠(55)은 상기 도어(40)에 중심핀(56)을 중심으로 그 선단 일측이 상기 힌지리브(34)와 연동되고, 타측이 상기 탈거방지바아(50)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링크캠(55)이 상기 힌지리브(34)의 외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중심핀(56)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탈거방지바아(50)를 구동시켜 반대쪽에 있는 링크캠(55)을 구동시켜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리브(34)가 유동되지 않게 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좌우개폐도어의 개폐기구는 별도의 조작없이 도어의 개폐방향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어의 개폐시에 상대적으로 마찰되는 부분이 탈거방지바아와 힌지리브사이 밖에 없어 상대적으로 도어의 개폐에 요구되는 힘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탈거방지바아에 의해 도어의 회전중심이 되는 측의 힌지나 힌지리브가 유동되지 않게 되므로 도어의 설치와 동작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탈거방지바아가 힌지리브의 후단에 위치되므로 도어를 전방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도어가 임의로 본체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회전중심 역할을 하고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힌지리브가 소정 곡률로 형성되어 본체의 상하측 양단에 구비되는 힌지판과,
    상기 힌지판에 지지되고 회전중심측에서 상기 힌지리브와 접촉하여 상대회전되고, 개방측에서 상기 힌지리브의 개방부를 통해 빠져나오는 도어리브가 힌지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리브에 양단이 접촉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도어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어가 본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탈거방지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개폐도어의 개폐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리브의 개방부는 도어의 개폐시 상기 도어리브의 이동궤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개폐도어의 개폐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판의 힌지리브 내측에는 힌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도어 내면과 상하단면으로 개방되게 힌지슬롯이 형성되어 회전중심측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되고 개방측에서 상기 힌지가 힌지슬롯을 따라 안내되어 도어가 개폐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개폐도어의 개폐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방지바아의 양단과 힌지리브의 사이에 대응되는 도어에는 링크캠이 더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탈거방지바아를 구동함을 특징으로하는 좌우개폐도어의 개폐기구.
KR10-2001-0039778A 2001-07-04 2001-07-04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KR10042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778A KR100424566B1 (ko) 2001-07-04 2001-07-04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778A KR100424566B1 (ko) 2001-07-04 2001-07-04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917A KR20030003917A (ko) 2003-01-14
KR100424566B1 true KR100424566B1 (ko) 2004-03-27

Family

ID=2771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778A KR100424566B1 (ko) 2001-07-04 2001-07-04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5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4373U (ko) * 1978-11-17 1980-05-22
WO1985002647A1 (en) * 1983-12-12 1985-06-20 Willy Ebner Hinge for leaf pivoting, as desired, about two rotation axes
JPS6424280U (ko) * 1987-07-29 1989-02-09
JPH09303942A (ja) * 1996-05-14 1997-11-28 Sharp Corp 扉開閉機構
KR980009739A (ko) * 1996-07-30 1998-04-30 양태웅 양측개방가능한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4373U (ko) * 1978-11-17 1980-05-22
WO1985002647A1 (en) * 1983-12-12 1985-06-20 Willy Ebner Hinge for leaf pivoting, as desired, about two rotation axes
JPS6424280U (ko) * 1987-07-29 1989-02-09
JPH09303942A (ja) * 1996-05-14 1997-11-28 Sharp Corp 扉開閉機構
KR980009739A (ko) * 1996-07-30 1998-04-30 양태웅 양측개방가능한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917A (ko) 200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0199B2 (en) Multi-stage button switch
EP1327841B1 (en) Refrigerator with two-axis door hinge
KR200416692Y1 (ko) 가전제품용 도어래치유닛
KR101114478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하부 장착형 슬라이딩 장치
US7405369B2 (en) Inter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nect switches
JP2000341812A (ja) 引出形回路遮断器の収納箱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0424566B1 (ko)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KR102004428B1 (ko) 냉장고
KR20044787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장치
KR100607678B1 (ko) 냉장고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20040042748A (ko)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KR100214968B1 (ko) 차량의 에어벤트 댐퍼 개폐장치
KR0138859Y1 (ko)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장치
KR20060132392A (ko) 냉장고
KR200319587Y1 (ko) 냉장고 도어용 록킹장치
KR100260916B1 (ko) 냉장고의 도어 록킹장치
KR200158384Y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록킹장치
KR19990027342A (ko) 도어개폐장치
KR200265517Y1 (ko) 업다운형 힌지조립체
KR910005670Y1 (ko) 냉장고의 도어 좌우 개폐장치
KR200248432Y1 (ko) 도어 잠금 장치
KR200217972Y1 (ko)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KR0113439Y1 (ko) 식기건조기의 도아개폐 및 수납장치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