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342A -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342A
KR19990027342A KR1019970049780A KR19970049780A KR19990027342A KR 19990027342 A KR19990027342 A KR 19990027342A KR 1019970049780 A KR1019970049780 A KR 1019970049780A KR 19970049780 A KR19970049780 A KR 19970049780A KR 19990027342 A KR19990027342 A KR 19990027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door
door opening
closing devi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9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342A/ko
Publication of KR1999002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342A/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도어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중 어느 한쪽의 양측단부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힌지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쌍의 힌지핀과; 상기 각 힌지핀들의 출입을 위한 핀슬롯들을 가지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중 타측에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양 핀슬롯의 영역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히지핀을 상기 핀슬롯내에 구속하기 위해 상기 힌지핀의 이탈방향에서 상기 핀슬롯을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힌지핀이 상기 핀슬롯을 통해 이탈가능하도록 허용하는 해제위치간을 회동가능한 한쌍의 핀그립퍼수단과; 상기 핀그립퍼수단중 어느 하나를 해제위치에 유지하는 한편 다른 하나를 차단위치에 유지하는 래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양측개방이 가능하며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도어개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어개폐장치
본 발명은 도어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도어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적으로 양측개방이 가능하도록 한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는, 주택 등의 건축물이나 가구, 냉장고나 전자렌지 등의 가전제품 등에 거의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는 일반적으로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한쪽에 경첩이나 힌지를 설치하고 타측에 손잡이를 두어 당초부터 한쪽으로만 개방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왼손잡이인가 혹은 오른손잡이인가에 따라 이용에 불편이 따를 수 있다. 또한, 도어의 개방방향을 고려하여 설치장소를 선택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주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데 있어 큰 제한요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유럽특허공개 EP 0 501 021, 미국특허공보 US 3 889 419, US 4 503 582, US 4 503 583, US 5 064 255등으로부터 여러 가지 형태의 양측개방형 도어개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양측개방형 도어개폐장치는, 비교적 복잡한 메카니즘을 채용하여, 양측 어디서든 자유롭게 개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양측의 어느 한쪽을 개방방향으로 당기면, 언제든지 그 방향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동시에 반대편쪽은 안전한 힌지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양측개방형 도어개폐장치는 개방방향에 따른 양측의 정확한 힌지절환과 도어의 이탈 등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정교한 부품들이 조합되어 있다. 그래서, 제조비용이 비교적 높은 경우가 많으며, 지속적인 사용에 의하여 마모나 변형이 발생할 경우 오작동이나 고장의 우려가 클 뿐만 아니라, 안전한 작동이 보장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적으로 양측개방이 가능하며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양측개방형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가 장착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어의 상하측단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핀그립퍼의 확대사시도,
도 4는 유지부재 및 유지부재안내부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도어의 폐쇄시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어의 좌측 및 우측개방시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냉동실
7 : 냉동실도어 10 : 도어지지부
12a,12b : 힌지핀 15 : 케이싱
16a,16b : 힌지핀슬롯 20a,20b : 핀그립퍼
23 : 래치부재 25 : 고정돌기
27 : 유지부재 29 : 개방위치고정부
33 : 돌출연장부 37a,37b : 핀그립퍼수용부
39 : 유지부재안내부 41 : 토션코일스프링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도어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중 어느 한쪽의 양측단부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힌지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쌍의 힌지핀과, 상기 각 힌지핀들의 출입을 위한 핀슬롯들을 가지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중 타측에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양 핀슬롯의 영역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힌지핀을 상기 핀슬롯내에 구속하기 위해 상기 힌지핀의 이탈방향에서 상기 핀슬롯을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힌지핀이 상기 핀슬롯을 통해 이탈가능하도록 허용하는 해제위치간을 회동가능한 한쌍의 핀그립퍼수단과, 상기 핀그립퍼수단중 어느 하나를 해제위치에 유지하는 한편 다른 하나를 차단위치에 유지하는 래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핀그립퍼수단은, 상기 힌지핀이 출입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상을 가지고 상기 힌지핀을 둘러 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위치와 상기 해제위치간을 회동가능한 다수의 핀그립퍼와, 상기 핀그립퍼를 둘러 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핀그립퍼의 회동을 안내하는 핀그립퍼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수단은, 상기 양 핀그립퍼수단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각 핀그립퍼수단과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막대상의 래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재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래치부재의 양측연부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와, 상기 래치부재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부재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유지부재에는 상기 도어의 일측개방시 상기 핀그립퍼수단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래치부재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개방위치고정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유지부재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유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지부재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케이싱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연장된 돌출연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위치고정부가 상기 래치부재의 고정돌기와 접촉하도록 상기 유지부재를 탄성부세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가 장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상부 및 하부에 냉동실(3) 및 냉장실(미도시)이 각각 형성된 본체(1)와, 이들 냉동실(3) 및 냉장실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는 냉동실도어(7) 및 냉장실도어(9)를 가진다. 냉동실도어(7)는 좌측이 일부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냉동실도어(7)의 전면 좌우측에는 양측에서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1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냉동실(3)의 전면개구 상부 및 하부영역에는 각각 냉동실도어(7)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결합지지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연장된 도어지지부(1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도어지지부(10)의 양측영역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힌지핀(12a,1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냉동실도어의 상하측단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핀그립퍼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유지부재 및 유지부재안내부의 저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도어개폐장치는 본체(1)에 형성되어 힌지축을 형성하는 힌지핀(12a,12b)과, 힌지핀(12a, 12b)의 출입을 허용하는 힌지핀슬롯(16a,16b)이 형성되어 있으며 냉동실도어(7)의 상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케이싱(15)과, 냉동실도어(7)의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힌지핀(12a,12b)의 이탈을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힌지핀(12a,12b)의 이탈을 가능하도록 하는 해제위치간을 회동가능한 핀그립퍼(20a,20b)와, 핀그립퍼(20a,20b)가 차단위치 및 해제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래치부재(23)를 가진다.
케이싱(15)은 냉동실도어(7)의 상하측 단부면과 냉동실도어(7)의 내측 상하부영역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역 “L”형상을 가지며, 힌지핀(12a,12b)의 대응영역에는 힌지핀(12a,12b)을 수용할 수 있도록 힌지핀슬롯(16a,1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15)의 냉장실측 연부 중앙영역에는 사각형상의 유지부재수용홈(18)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핀그립퍼(20a,20b)는 힌지핀(12a,12b)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상을 가지며, 중앙영역에는 래치부재(23)의 일단부에 상대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핀수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부재(23)는 막대형상을 가지며 양단부에 핀그립퍼(20a,20b)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핀수용공(24)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부재(23)의 중앙영역에는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된 톱니형상의 다수의 고정돌기(25)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돌기(25)에는 래치부재(23)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래치부재(23)의 위치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유지부재(27)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재(27)는 래치부재(23)의 중앙영역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고정돌기(25)에 맞물리는 돌기수용홈(30)이 형성된 개방위치고정부(29)와, 개방위치고정부(29)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개방위치고정부(29)와 나란하게 형성된 지지부(31)와, 이들 개방위치고정부(29)와 지지부(31)의 일측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도어개구의 연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연장된 돌출연장부(33)를 가진다. 돌출연장부(33)에는 유지부재(27)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코일스프링(41)의 고정을 위한 스프링고정돌기(35)가 판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냉동실도어(7)의 단부에는 핀그립퍼(20a,20b)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핀그립퍼수용부(37a,37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핀그립퍼수용부(37a,37b)는 힌지핀(12a,12b)의 출입을 위하여 냉장실측 영역이 개방되어 있다. 냉동실도어(7)의 상하 단부 중앙영역에는 거의 “ㄷ”형상을 가지고 유지부재(27)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지부재안내부(39)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지부재안내부(39)에는 유지부재(27)의 스프링고정돌기(35)에 고정되어 유지부재(27)의 돌출연장부(33)가 냉장실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탄성부세하는 토션코일스프링(41)의 양단부가 접촉지지된다.
도 5는 도어의 폐쇄시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어의 좌측 및 우측개방시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핀그립퍼(20a,20b)에는 래치부재(23)와의 결합을 위한 핀수용홈(22)이 힌지핀(12a,12b)의 출입을 위한 개방부의 중심에 대해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래치부재(23)와의 결합시 일측의 핀그립퍼(20a)는 힌지핀(12a)의 출입을 차단하는 차단위치에 존재하고 타측의 핀그립퍼(20b)는 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들 핀그립퍼(20a,20b)는 래치부재(23)의 선형이동에 대응연동하여 차단위치 및 해제위치간을 상호 가역적으로 회동하게 된다.
냉동실도어(7)가 닫히게 되면, 케이싱(15)의 유지부재수용홈(18)을 통과하여 냉장실측을 향하여 돌출연장된 돌출연장부(33)는 본체(1)에 접촉되어 케이싱(15)내로 후퇴하게 된다. 이때, 유지부재(27)의 개방위치고정부(29)는 래치부재(23)의 고정돌기(25)로부터 이격되어 맞물림해제됨으로써, 래치부재는 좌우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냉동실도어(7)의 폐쇄상태에서 냉동실도어(7)의 전면 우측에 형성된 손잡이(11)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우측의 핀그립퍼(20b)의 내면과 힌지핀(12b)의 외주면이 접촉되면서 핀그립퍼(20b)는 힌지핀(12b)이 이탈될 수 있는 해제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연동하여 래치부재(23)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래치부재(23)의 좌측에 결합된 좌측의 핀그립퍼(20a)는 래치부재(23)에 의하여 힌지핀(12a)을 감싸도록 차단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동실도어(7)는 좌측의 힌지핀(12a)을 축으로 회동하여 냉동실(3)이 개방되도록 한다. 냉동실도어(7)의 좌향회동이 시작됨과 거의 동시에 유지부재(27)는 토션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하여 냉장실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개방위치고정부(29)가 래치부재(23)의 고정돌기(25)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래치부재(23)의 개방시 위치를 존속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냉동실도어(7)의 폐쇄시 좌측에 형성된 손잡이(11)를 당기게 되면, 좌측의 핀그립퍼(20a)는 힌지핀(12a)과 접촉되면서 힌지핀(12a)의 이탈을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래치부재(23)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우측의 핀그립퍼(20b)는 차단위치로 회동하여 힌지핀(12b)를 감싸게 된다. 냉동실도어(7)의 우향회동이 시작됨과 거의 동시에 유지부재(27)는 토션코일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래치부재(23)의 우측래치상태를 고정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 및 도어 중 어느 한쪽에 힌지축을 형성하도록 힌지핀을 형성하고, 힌지핀의 타측에 힌지핀의 출입을 위한 핀슬롯이 형성된 케이싱과, 힌지핀의 이탈을 차단 및 해제하는 핀그립퍼수단과, 핀그립퍼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래치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냉장고도어를 양측방향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해서 개방할 수 있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본체에 힌지핀이 형성되도록 하고, 도어에 케이싱, 핀그립퍼수단 및 래치수단을 마련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도어에는 힌지핀만을 구성하고, 나머지 래치수단과 핀그립퍼수단을 본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으로 양측개방이 가능하며 저렴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도어개폐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9)

  1. 도어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도어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중 어느 한쪽의 양측단부영역에 각각 설치되어 힌지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한쌍의 힌지핀과;
    상기 각 힌지핀들의 출입을 위한 핀슬롯들을 가지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중 타측에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양 핀슬롯의 영역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힌지핀을 상기 핀슬롯내에 구속하기 위해 상기 힌지핀의 이탈방향에서 상기 핀슬롯을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힌지핀이 상기 핀슬롯을 통해 이탈가능하도록 허용하는 해제위치간을 회동가능한 한쌍의 핀그립퍼수단과;
    상기 핀그립퍼수단중 어느 하나를 해제위치에 유지하는 한편 다른 하나를 차단위치에 유지하는 래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그립퍼수단은, 상기 힌지핀이 출입가능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상을 가지고 상기 힌지핀을 둘러 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위치와 상기 해제위치간을 회동가능한 다수의 핀그립퍼와, 상기 핀그립퍼를 둘러 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핀그립퍼의 회동을 안내하는 핀그립퍼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은, 상기 양 핀그립퍼수단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양단부가 상기 각 핀그립퍼수단과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막대상의 래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래치부재의 양측연부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와, 상기 래치부재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부재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에는 상기 도어의 일측개방시 상기 핀그립퍼수단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래치부재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는 개방위치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유지부재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유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지부재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케이싱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연장된 돌출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위치고정부가 상기 래치부재의 고정돌기와 접촉하도록 상기 유지부재를 탄성부세하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KR1019970049780A 1997-09-29 1997-09-29 도어개폐장치 KR19990027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780A KR19990027342A (ko) 1997-09-29 1997-09-29 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780A KR19990027342A (ko) 1997-09-29 1997-09-29 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342A true KR19990027342A (ko) 1999-04-15

Family

ID=6604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780A KR19990027342A (ko) 1997-09-29 1997-09-29 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3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021B1 (ko) * 2002-07-26 2006-02-03 김현주 양방향 개폐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KR200459030Y1 (ko) * 2011-07-21 2012-03-22 노유학 클린룸용 도어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021B1 (ko) * 2002-07-26 2006-02-03 김현주 양방향 개폐 도어의 힌지 어셈블리
KR200459030Y1 (ko) * 2011-07-21 2012-03-22 노유학 클린룸용 도어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9197A (en) Manually actuable apparatus enabling a door to be selectively hinged at either side
KR950000159B1 (ko) 휴대용 통신장비의 바테리커버 잠금장치
KR100389805B1 (ko) 여닫이 창문의 개폐장치
JP2006525041A (ja) はめ込み式自動閉鎖機構
WO2014196755A1 (en) Button latch device of dual door type inner door
US20020003083A1 (en) Door switch for refrigerator
KR19990027342A (ko) 도어개폐장치
KR0142006B1 (ko) 양측개방가능한 도어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18689B1 (ko) 터치 스위치 및 터치 스위치를 구비한 냉장고
JP3899127B2 (ja) スイッチ装置
KR0142005B1 (ko) 양측개방가능한 도어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0142007B1 (ko) 양측개방가능한 도어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006985A (ko) 전자렌지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CN110853950A (zh) 空开互锁机构及电气设备
EP0849750B1 (en) Timed electromechanical safety switch
KR100424566B1 (ko)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KR100310006B1 (ko) 현관문용 잠금장치
KR200169795Y1 (ko)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KR100303814B1 (ko) 슬라이드식컨트롤도어개폐장치
KR100465794B1 (ko) 컴퓨터장치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910005670Y1 (ko) 냉장고의 도어 좌우 개폐장치
KR200227549Y1 (ko)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20010027573A (ko) 냉장고의 홈바도어 자동닫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