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006B1 - 현관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현관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006B1
KR100310006B1 KR1019990015548A KR19990015548A KR100310006B1 KR 100310006 B1 KR100310006 B1 KR 100310006B1 KR 1019990015548 A KR1019990015548 A KR 1019990015548A KR 19990015548 A KR19990015548 A KR 19990015548A KR 100310006 B1 KR100310006 B1 KR 10031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auxiliary
casing
front doo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600A (ko
Inventor
전병화
Original Assignee
전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화 filed Critical 전병화
Priority to KR101999001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00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현관문을 개폐하여 주는 주잠금구와 보조잠금구를 가지는 잠금장치에 있어, 보조잠금구의 절환동작을 단속하기 위한 보조잠금구 작동기구를 간단한 구조로서 단순화하여 주는 현관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박스형상의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주잠금구 작동기구(30)에 의하여 단속되어 외부로 출몰하면서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설치되는 주잠금구(20)와,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에 의하여 단속되어 절환동작하면서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설치되는 보조잠금구(40)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는 동일형상으로서 선단부에 걸림돌기(511)(521)가 형성되며 그 후단부에 굴곡작용단부(512) (522)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을 각각 힌지고정시켜서 서로 마주하여 탄력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의 굴곡작용단부(512)(522)와 접촉하여 간섭하도록 중앙부의 연결통공(531)을 기준으로 상,하부 작용돌부(532)(533)가 일체로 형성된 진퇴블록(53)이 전후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현관문용 잠금장치{A Locking Device for a Front Door}
본발명은 현관문을 개폐하여 주는 주잠금구와 보조잠금구를 가지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잠금구의 절환동작을 단속하기 위한 보조잠금구 작동기구를
간단한 구조로서 단순화하여 주는 현관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현관문은 키박스와 노브를 가지는 도어실린더와, 그 도어실린더와 협동하는 주잠금구와 보조잠금구를 가지는 2중의 잠금장치를 갖추어서, 평상시에 실내외에서 도어실린더를 회전시키면 잠금장치의 보조잠금구가 잠겨지거나 해지되어서 출입자가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야간이나 외출시에는 도어실린더의 키박스 또는 노브를 조작하면 잠금장치의 주잠금구가 잠겨서 외부인의 무단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설비되었다.
이와 같이 도어실린더와 협동하여서 현관문을 개폐시켜 주도록 동작되는 잠금장치에 있어, 보조잠금구는 도어실린더의 레버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서 동작되는 보조잠금구 작동기구에 의하여 단속되어 전후방향으로 출몰동작하면서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입자가 현관문을 개폐하고자 보조잠금구를 해지시키기 위해서는 도어실린더를 무리한 힘을 주어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는 도어실린더를 완전히 회전시키지 않으면 보조잠금구가 해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어 출입자의 불편을 가중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절환동작하면서 잠겨지거나 해지되는 보조잠금구를 구비한 현관문용 잠금장치가 개발되어 있는 바, 이 현관문용 잠금장치의 보조잠금구는 지렛대의 원리로서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면 작동되는 레버를 가지는 현관문용 핸들장치와 협동하여 현관문을 개폐시켜 주도록 설치 사용되었다.
즉, 이와 같은 현관문용 잠금장치의 보조잠금구는, 현관문용 핸들장치의 작동레버와 협동하도록 유기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보조잠금구 작동기구에 의하여 단속되어 절동작하여서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구성되어서, 현관문용 핸들장치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면 보조잠금구의 작동기구가 보조잠금구의 절환동작을 단속하여 잠가주거나 해지시켜 주게 됨으로써, 보조잠금구의 절환동작을 확실하게 단속하여서 오동작됨이 없이 현관문을 편리하게 개폐시켜서 출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현관문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보조잠금구를 단속하여 주는 보조잠금구 작동기구는 각 구성부재간의 조립이 복잡한 구조로서 구성부품수가 증될 뿐만 아니라, 각 구성부재들이 보조잠금구의 절환동작을 단속하기 위한 작용반경이 커서 잠금장치의 부피를 증대시켜서 대형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보조잠금구 작동기구가 최소한의 구성부품수와 작용반경으로서 보조잠금구를 단속하여 주도록 구성하여서, 잠금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주면서도 소형화할 수 있도록하여 주는 현관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 현관문용 잠금장치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발명 현관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3는 본발명 현관문용 잠금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4는 본발명 현관문용 잠금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싱 11: 막이판 12: 덮개판
111,112: 상,하부측 통로 113: 끼움통로 20: 주잠금구
21: 고정봉 22: 안내장공 23: 걸림요홈
30: 주잠금구 작동기구 31: 작용편 32: 판스프링
40: 보조잠금구 41: 커버체 42: 탄발스프링
43: 돌출턱 50: 보조작금구 작동기구
51,52: 상부 및 하부 작동간 511,521: 걸림돌기 512,522: 굴곡작용단부
512a,522a: 굴곡작용면 53: 진퇴블록 531: 연결통공
532,533: 상,하부 작용돌부 532a,533a: 접촉작용면 54: 탄발스프링
55: 힌지봉 56: 탄발스프링 57: 안내판
본명발도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박스형상의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주잠금구 작동기구(30)에 의하여 단속되어 외부로 출몰하면서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설치되는 주잠금구(20)와,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에 의하여 단속되어 절환동작하면서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설치되는 보조잠금구(40)로서 구성된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발명의 현관문용 잠금장치(1)는 도1 및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는 동일형상으로서 선단부에 걸림돌기(511)(521)가 형성되며 그 후단부에 굴곡작용단부(512)(522)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을 각각 힌지고정시켜서 서로 마주하여 탄력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의 굴곡작용단부(512)(522)와 접촉하여 간섭하도록 중앙부의 연결통공(531)을 기준으로 상,하부 작용돌부(532)(533)가 일체로 형성된 진퇴블록(53)이 전후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발명은 도3 및 도4의 도시와 같이, 현관문용 핸들장치(2)의 내측 및 외측 작동레버(2a,2b)들의 작용력으로서 상기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의 진퇴블록(53)이 전후방향으로 진퇴동작하게 되고, 이 진퇴블록(53)의 상,하부 작용돌부(532)(533)가 상기 보조잠금구(40)를 향하여 지향되어 서로 마주하여 탄력적으로 설치된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 각각의 굴곡작용단부(512)(522)를 간섭하여, 그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의 걸림돌기(511)(521)가 상기 보조잠금구(40)의 상하부를 향하여 일시에 동작되어서, 상기 보조잠금구(40)의 절환동작을 단속하여 잠가주거나 해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 보조잠금구(40)의 절환동작을 단속하여 주는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가 유기적으로 동작하는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 및 진퇴블록(53)으로 이루어져서, 현관문용 핸들장치(2)의 내측 및 외측 작동레버(2a,2b)로부터 전달되는 작용력으로 상기 보조잠금구(40)의 절환동작을 단속하여 잠가주거나 해지시켜 주게 됨으로써,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의 핵심적인 구성부품수를 감축시켜서 잠금장치의 단순화를 실현시켜 주는 동시에,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를 이루는 구성부품의 작용반경을 축소시켜서 잠금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싱(10)은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부를 가지는 박스형상으로서 그 전면의 막이판(11)에 간격을 두고 관통되게 뚫어지는 상,하부측 통로(111)(112)를 형성하여서, 상기 상부측 통로(111)를 통하여 출몰동작하도록 주잠금구(20)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측 통로(112)를 통하여 절환동작하도록 보조잠금구(40)를 설치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은 개방된 일측면에 결착되는 덮개판(12)을 가져서, 그 케이싱(10) 내부에 내설되는 주잠금구(20) 및 주잠금구 작동기구(30)와, 보조잠금구(40) 및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를 덮어서 보호하여 주도록 한다.
또, 상기 케이싱(10)과 그 케이싱의 덮개판(12)의 일정위치에 대향되도록 끼움구멍(113)들을 각각 형성하여서, 상기 케이싱(10)과 덮개판(12)의 끼움구멍(113)들을통하여 현관문용 핸들장치(2)의 내측 및 외측 작동레버(2a,2b)들을 끼워서 상기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의 진퇴블록(53) 중앙에 형성된 연결통공(531)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주잠금구(20)는 상기 케이싱(10) 내측 상부 일정위치에 고정봉(21)을 착설하여 두고, 그 고정봉(21)에 끼워져서 전후방향으로 안내하여 주도록 형성되는 안내장공(22)을 가져서, 상기 케이싱(10)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주잠금구(20)는 그 하부 중앙에 소정의 형상으로서 요입 형성되는 걸림요홈(23)을 형성하여서, 상기 주잠금구(20)의 걸림요홈(23)을 지향하여 설치되는 주잠금구 작동기구(30)로 단속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측 통로(111)를 통하여 출몰하여서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한다.
상기 주잠금구 작동기구(30)는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작용편(31)이 가져서, 그 주잠금구 작동기구(30)의 작용편(31)이 상기 주잠금구(20)의 걸림요홈(23)에 끼워지도록 설치하되, 상기 주잠금구(20)의 후방 일측에 착설되는 판스프링(32)으로서 탄력적으로 회동되도록 하여서 상기 주잠금구(20)의 출몰동작을 확실하게 단속하여 주도록 한다.
상기 보조잠금구(40)는 밀폐된 커버체(41)내에 탄발스프링(42)으로 탄지되어서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며, 그 보조잠금구(40)의 커버체(41)를 상기 케이싱(10) 내에 고정시켜서 하부측 통로(112)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에 의하여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잠금구(40)의 상하부에 돌출턱(43)를 각각 형성하여서, 그 보조잠금구(40)의 커버체(41)를 통하여 출입하는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의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 각각의 걸림돌기(511)(521)가 상기 보조잠금구(40)의 돌출턱(43)을 직각방향으로 걸어서 절환동작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서 대향되는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과, 그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을 간섭하여 상하로 동작시켜 주는 진퇴블록(5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은 선단부에 걸림돌기(511)(512)를 그 후단부에는 굴곡작용단부(512)(522)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되며, 그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을 각각 힌지고정하여 탄발스프링(54)으로서 탄력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작동간(51)들은 상기 케이싱(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주잠금구 작동기구(30)로서 상하로 유동되도록 힌지고정하고, 상기 하부 작동간(52)은 상기 케이싱(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봉(55)으로서 상하로 유동되도록 힌지고정하여서 된다.
또, 상기 진퇴블록(53)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의 굴곡작용단부(512)(522)와 접촉하여 간섭하도록 중앙부의 연결통공(531)을 기준으로 상,하부 작용돌부(532)(533)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케이싱(10) 및 덮개판(12)에 형성되는 끼움구멍(113)를 통하여 끼워지는 현관문용 핸들장치(2)의 내측 및 외측 작동레버(2a,2b)들의 작용력으로서 전후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진퇴블록(53)는 그 후단부를 향하여 상기 케이싱(10) 내측벽에 접지되는 탄발스프링(56)로서 탄지되도록 설치하여서, 평상시에 상기 진퇴블록(53)이 중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의 굴곡작용단부(512) (522)는 요입된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경사지는 굴곡작용면(512a)(522b)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진퇴블록(53)의 상,하부 작용돌부(532)(533)는 돌출된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경사지는 접촉작용면(532a)(533a)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는, 상기 진퇴블록(53)이 현관문용 핸들장치(2)의 내측 작동레버(2a) 또는 외측 작동레버(2b)의 작용력으로 전후방향으로 동작되면, 그 진퇴블록(53)의 접촉작용면(532a)(533a)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의 굴곡작용면(512a)(522a)을 타고 눌러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의 걸림돌기(511)(521)가 상승되면서 상기 보조잠금구(40)의 돌출턱(43)로부터 이탈되어 그 보조잠금구(40)가 자유롭게 절환동작하도록 해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 현관문용 핸들장치(2)의 내측 작동레버(2a) 또는 외측 작동레버(2b)가 복귀되면, 상기 진퇴블록(53)이 원위치되어서 중립상태로서 그 진퇴블록(53)의 접촉작용면(532a)(533a)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의 굴곡작용면(512a)(522a)이 맞물려짐에 따라,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의 걸림돌기(511)(512)는 하강하여 상기 보조잠금구(40)의 돌출턱(43)을 걸어서 그 보조잠금구(40)의 절환동작을 단속하여 잠가지게하여 주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진퇴블록(53)은 상기 케이싱(10)의 내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안내판(57)들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여서, 상기 진퇴블록(53)이 동작중에 임의로 이탈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배려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보조잠금구 작동기구가 최소한의 구성부품수와 작용반경으로서 보조잠금구를 단속하여 줌으로써, 보조잠금구 작동기구의 핵심적인 구성부품수를 감축시켜서 잠금장치의 단순화를 실현시켜 주는 동시에, 보조잠금구 작동기구를 이루는 구성부품의 작용반경을 축소시켜서 잠금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박스형상의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주잠금구 작동기구(30)에 의하여 단속되어 외부로 출몰하면서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설치되는 주잠금구(20)와,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서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에 의하여 단속되어 절환동작하면서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설치되는 보조잠금구(40)로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조잠금구 작동기구(50)는 동일형상으로서 선단부에 걸림돌기(511)(521)가 형성되며 그 후단부에 굴곡작용단부(512)(522)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을 각각 힌지고정시켜서 서로 마주하여 탄력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들의 굴곡작용단부(512)(522)와 접촉하여 간섭하도록 중앙부의 연결통공(531)을 기준으로 상,하부 작용돌부(532)(533)가 일체로 형성된 진퇴블록(53)이 전후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작동간(51)(52)의 굴곡작용단부(512)(522)는 요입된 중앙부를 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경사지는 굴곡작용면(512a)(522b)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진퇴블록(53)의 상,하부 작용돌부(532)(533)는 돌출된 중앙부를기준으로 전후방향으로 경사지는 접촉작용면(532a)(533a)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퇴블록(53)은 상기 케이싱(10)의 내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안내판(57)들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잠금장치.
KR1019990015548A 1999-04-30 1999-04-30 현관문용 잠금장치 KR100310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548A KR100310006B1 (ko) 1999-04-30 1999-04-30 현관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548A KR100310006B1 (ko) 1999-04-30 1999-04-30 현관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00A KR20000067600A (ko) 2000-11-25
KR100310006B1 true KR100310006B1 (ko) 2001-11-02

Family

ID=1958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548A KR100310006B1 (ko) 1999-04-30 1999-04-30 현관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697B1 (ko) * 2000-10-24 2003-05-01 윤영순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KR100414361B1 (ko) * 2000-09-28 2004-01-13 윤영순 도어 록 장치
KR100763452B1 (ko) 2006-03-09 2007-10-24 윤영순 도어 락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361B1 (ko) * 2000-09-28 2004-01-13 윤영순 도어 록 장치
KR100382697B1 (ko) * 2000-10-24 2003-05-01 윤영순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KR100763452B1 (ko) 2006-03-09 2007-10-24 윤영순 도어 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600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2926C (en) Sash lock actuator
KR100575157B1 (ko) 컴퓨터
KR100451478B1 (ko) 핸들장치
KR100310006B1 (ko) 현관문용 잠금장치
JP4514403B2 (ja) ラッチング機構
RU2413062C2 (ru) Замок для внутренней двери
KR0131801Y1 (ko)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KR200269128Y1 (ko) 배전반용 도어의 핸들 구조
KR20020062411A (ko) 레버형 도어록
KR200179028Y1 (ko) 창문 잠금장치
KR100310005B1 (ko) 현관문용 핸들장치
JP4214243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開閉構造
KR200260113Y1 (ko)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자물쇠
KR200222308Y1 (ko) 리필 케이스가 내장되는 콤팩트 케이스의 구조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KR100303814B1 (ko) 슬라이드식컨트롤도어개폐장치
KR100345376B1 (ko) 현관문용 핸들장치
KR200298579Y1 (ko) 유모차 절첩용 손잡이
KR200175232Y1 (ko)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KR200325262Y1 (ko) 도어개폐장치
KR100488663B1 (ko) 도어 개방시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도어연동구조
JP2922244B2 (ja) ドア用ラッチ装置
KR20000002410U (ko) 캐비넷 괘정구의 키실린더 지지구조
KR970001198Y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의 로킹 장치
KR100414974B1 (ko) 도어 및 윈도우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