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478B1 -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478B1
KR100451478B1 KR10-2001-0035653A KR20010035653A KR100451478B1 KR 100451478 B1 KR100451478 B1 KR 100451478B1 KR 20010035653 A KR20010035653 A KR 20010035653A KR 100451478 B1 KR100451478 B1 KR 100451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hook
sliding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513A (ko
Inventor
스기모토나오유키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0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2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lock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8Details of fastening means or of fixed retaining means for the ends of bars
    • E05C9/1808Kee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8Details of fastening means or of fixed retaining means for the ends of bars
    • E05C9/1825Fastening means
    • E05C9/1833Fastening means performing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0Latch and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00Locks
    • Y10S70/31Handle assembly, lock-contro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42Rigid engaging means
    • Y10T292/432Sliding c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4Trippers
    • Y10T292/558Sliding bolt, swinging de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tch Board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도어의 개폐조작을, 핸들의 회전운동조작을 필요로 하지않고 각각 1단계의 조작으로 행할 수 있고, 도어의 개폐조작을 안전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어 및 케이스체 틀을 구비하는 케이스체에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시정할 수 있는 핸들장치로서,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도어용 유닛과, 케이스체 틀에 설치하기 위한 훅부재를 구비한 케이스체 틀용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도어용 유닛이 도어면에 대하여 기복조작할 수 있는 핸들 및 이 핸들을 엎어 놓은 상태로 고정하고, 시정할 수 있는 자물쇠를 갖는 핸들부와, 도어면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미끄럼이동부재를 갖는 미끄럼이동부를 구비하고, 미끄럼이동부재가, 핸들의 기복동작에 각각 대응하여 미끄럼이동하도록 상기 핸들에 걸어맞춤하고 있고, 미끄럼이동부재는 훅 걸어맞춤구멍을 갖고, 미끄럼이동부재가, 핸들을 엎어 놓을 때의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함으로써 훅 걸어맞춤구멍에 훅부재가 걸어맞춤되고, 또한 핸들을 일으킬 때의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Description

핸들장치{HANDLE DEVICE}
본 발명은, 배분전반(電盤), 제어반, 큐비클, 캐비넷, 랙 등의 케이스체의 개구부에 설치된 도어를, 개폐 및 시정해제하는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및 케이스체 틀을 구비하는 케이스체의 이 도어의 개폐 및 시정해제에사용되는 핸들장치는, 통상,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핸들을 구비한 도어용 유닛과, 케이스체 틀에 설치하기 위한 훅부재를 구비한 케이스체 틀용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핸들장치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 핸들의 회전운동조작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핸들장치에서는, 상기 핸들의 회전운동조작을 행하는 영역부근의 도어면에 돌기물 등이 있는 경우, 핸들조작중에 손이 닿거나, 손가락이 끼워지거나 하는 외에, 도어의 개폐조작이 행해지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핸들장치의 도어를 열기 위한 구조는, 핸들을 일단 앞으로 끌어내는 조작을 행한 후, 핸들을 회전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고, 더욱이 회전운동된 핸들을 당겨서 도어를 여는 조작을 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문에, 도어의 개폐에 있어서는, 도어를 여는데에 3단계의 조작을, 동일하게 도어를 닫는 조작에도 3단계의 조작이 각각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여는 조작 및 닫는 조작을, 각각 1단계의 조작으로 가능하게 하고, 또, 핸들을 부착한 도어면에 돌기물 등을 가지는 경우에도 도어의 개폐조작을 안전하게 또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도어의 록조작도 용이한 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에 따른 핸들장치를 도어 및 케이스체 틀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핸들장치의 미끄럼이동부를 일부 투시한 일부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핸들장치의 핸들부를 설명하기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핸들부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평면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핸들장치의 미끄럼이동부에 플랫 바를 부착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및 케이스체 틀을 구비하는 케이스체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도어를 시정할 수 있는 핸들장치로서, 상기 핸들장치는, 도어에 설치하기위한 도어용 유닛과, 케이스체 틀에 설치하기 위한 훅부재를 구비한 케이스체 틀용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용 유닛이, 도어면에 대하여 기복(起伏)조작할 수 있는 핸들 및 이 핸들을 엎어 놓은 상태로 고정하고, 시정할 수 있는 자물쇠를 갖는 핸들부와, 도어면을 따라 대향하는 2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미끄럼이동부재를 갖는 미끄럼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이동부재가, 상기 핸들을 일으키는 동작 및 상기 핸들을 엎어 놓는 동작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2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도록 상기 핸들에 걸어맞춤되어 있고, 상기 미끄럼이동부재는 훅 걸어맞춤구멍을 가지고, 상기 미끄럼이동부재가, 상기 2방향중, 핸들을 엎어 놓을 때의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함으로써 상기 훅 걸어맞춤구멍에 상기 훅부재가 걸어맞춤하고, 또한, 핸들을 일으킬 때의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핸들장치가 제공된다.
이 형태에서는, 상기 핸들을 일으키는 조작 또는 엎어 놓는 조작의 각각 1단계의 조작을 행하는 것 만으로, 케이스체 틀에 설치된 훅부재가, 미끄럼이동부재의 훅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맞춤 또는 걸어맞춤해제하고, 도어의 개폐가 행해지고, 상기 훅부재가 상기 훅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맞춤한 상태에 있어서, 자물쇠를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시정 또는 시정의 해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미끄럼이동부재가, 핸들부의 길이 양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고, 또한 훅 걸어맞춤구멍을 3개소 이상 가지고, 이 훅 걸어맞춤구멍이, 핸들부의 길이 양방향으로 연장된 각각의 개소에 적어도 1이상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핸들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서는, 미끄럼이동부재가, 슬라이드 블럭이 연결된, 훅 걸어맞춤구멍을 갖는 슬라이드 바와, 이 슬라이드 바 및 슬라이드 블럭의 각각에 연결되는, 훅 걸어맞춤구멍을 갖는 플랫 바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도어를 케이스체 틀에 대하여 복수개소에서 로킹할 수 있고, 게다가, 핸들부보다도 연장된 개소에 있어서도 로킹할 수 있으므로, 로킹상태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용 유닛이, 미끄럼이동부재의 미끄럼이동방향 및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핸들장치가 제공된다.
이 형태에서는, 미끄럼이동부재가 연장되어 있어도, 이 미끄럼이동부재의 미끄럼이동방향 및 범위를 원하는 방향 및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를 도면에 의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핸들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어(1) 및 케이스체 틀(7)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어(1)에는, 도어용 유닛으로서의 핸들부(A) 및 미끄럼이동부(B)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케이스체 틀(7)에는, 케이스체용 유닛으로서의 훅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부(A)는, 핀축(4)을 지지축으로 하여, 도어(1)의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기복조작할 수 있는 핸들(3)과, 이 핸들(3)을 엎어 놓은 상태에서 수용할 수있는 오목부(2a)를 가지는 핸들커버(2)를 구비한다. 한편, 미끄럼이동부(B)는, 가이드프레임(5)과, 이 가이드프레임(5)내에 일부가 수용된 슬라이드 바(6)와, 슬라이드 블럭(9)을 구비한다. 이 슬라이드 바(6) 및 슬라이드 블럭(9)은 연결되어 있고(도 2참조), 각각의 끝부에는, 후술하는 플랫 바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핀(10,11)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하는 핸들장치의 구성의 관계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핸들부(A)와, 미끄럼이동부(B)의 가이드 프레임(5)은, 복수의 나사(15)에 의해 도어(1)에 나사부착되어 있다. 핸들(3)은, 핀축(4)으로 축지지된 측의 선단부에 핸들클릭(3a)을 가지고, 한편,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대의 후단부측에는, 이 핸들(3)을 엎어 놓은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걸어맞춤 돌출부(3b)를 가지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커버(2)의 하단부에는, 나사(23)에 의한 지지판(24)의 고정에 의해, 자물쇠(14) 및 데드로크부재(22)가 내접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자물쇠(14)는, 전면에 키를 꽂아 넣는 키구멍을 가지고, 바닥부에는 키구멍으로의 키의 삽입 및 회전운동조작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축(14a), 및 이 회전운동축(14a)의 회전운동에 의해 편심하는 편심캠(20)이 설치되어 있다.
데드로크부재(22)는, 상기 핸들(3)의 걸어맞춤 돌출부(3b)에 걸어맞춤하는 로크돌기(22a)와, 상기 편심캠(20)의 편심에 의해 가압되는 조작돌기(22b)를 가지고, 더욱이 데드로크부재(22) 자체를, 편심캠(20)의 가압이 되지않는 상태로 걸어맞춤 돌출부(3b)와 로크돌기(22a)가 약하게 걸어맞춤하는 정도로 유지되도록 가압된 스프링(25)을 구비한다.
상기 데드로크부재(22)는, 자물쇠(14)를 작용시키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25)의 가압에 의해 핸들(3)의 걸어맞춤 돌출부(3b)와 로크돌기(22a)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하고, 핸들(3)을 엎어 놓은 상태에서 핸들커버(2)의 오목부(2a)내에 유지되도록 작용한다. 한편, 자물쇠(14)에 키를 삽입하고 작용시켜, 편심캠(20)을 편심시켜서 조작돌기(22b)를 가압함으로써, 데드로크부재(22)가, 지지판(24)상을 이 가압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미끄럼이동하고, 핸들(3)의 걸어맞춤 돌출부(3b)와 로크돌기(22a)의 걸어맞춤을 견고하게 한다. 이 견고한 걸어맞춤의 상태에서 자물쇠(14)가 로킹되므로써 핸들(3)의 기복조작이 규제되고, 도어(1)가 닫힌 상태로 로킹된다.
상기 핸들부(A)와 함께 도어(1)에 설치된 가이드프레임(5)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17)에 의해 연결된, 슬라이드 바(6) 및 슬라이드 블럭(9)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바(6)는, 케이스체 틀(7)에 부착된 훅부재(8)를 걸어맞춤 또는 걸어맞춤해제할 수 있는 긴구멍(18)을 가지고 있다. 또, 슬라이드 바(6)의 일단부는, 가이드프레임(5)에 설치된 가이드 절결(5a)을 통해서 가이드프레임(5)의 틀 밖에까지 뻗어 있다. 이 가이드프레임(5)의 틀 밖으로 뻗은 슬라이드 바(6)는, 슬라이드 바(6) 및 슬라이드 블럭(9)의 미끄럼이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 절결(5a)을 통과하지 않도록 L자형상으로 굴곡한 부위를 가지고 있다.
한편, 슬라이드 블록(9)은, 상기 핸들(3)의 핸들클릭(3a)을 수용하기 위하여, 일부가 원호형상으로 개구하는 클릭받이 구멍(19)을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릭받이 구멍(19)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클릭(3a)이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5) 근방의 도어(1)의 이면에는, 긴 개스킷(패킹)(12)이 부착되어 있다. 이 개스킷(12)은, 도어(1)를 닫은 때에, 그 표면에, 케이스체 틀(7)의 일부에 돌출설치된 돌출가장자리(7a)가 접촉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13은 도어(1)의 이면에 개스킷(12)을 따르도록 설치된 보강틀이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핸들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3에 도시하는 핸들장치는, 핸들(3)을 엎어 놓은 상태, 즉, 핸들(3)이 핸들커버(2)의 오목부(2a)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로서, 케이스체 개구부의 도어(1)를 닫은 상태로 유지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3)의 핸들 클릭(3a)의 선단부는, 슬라이드 블럭(9)의 클릭받이 구멍(19)내에 얕게 삽입된 상태로 되고, 이 위치에서 슬라이드 블럭(9)과 슬라이드 바(6)가 고정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체 틀(7)에 설치된 L자형상의 훅부재(8)는, 슬라이드 바(6)의 긴구멍(18)내에 삽입되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음된 상태로 된다.
한편, 상기의 상태에 있어서, 자물쇠(14)에 키를 삽입하고, 로킹방향으로 회전운동 조작함으로써, 회전운동축(14a)이 회전운동하고, 편심캠(2)이 데드로크부재(22)의 조작돌기(22b)를 도 4에 도시하는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이 작용에 의해, 데드로크부재(22)의 로크돌기(22a)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3)의 걸어맞춤 돌출부(3b)와 끼워맞춤하기 때문에, 핸들(3)의 핀축(4)을 지지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조작이 규제되고, 따라서, 도어(1)가 닫힌상태로 로킹된다.
다음에, 도어(1)가 데드로크되어 닫힌 상태로부터, 이 도어(1)를 여는 경우의 핸들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자물쇠(14)에 키를 삽입하여 데드로크 해제방향으로 회전운동조작함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편심캠(20)이 회전운동되어, 데드로크부재(22)의 조작돌기(22b)에 대하여 상기 가압이 해제된다. 따라서 데드로크부재(22)의 로크돌기 (22a)와, 핸들(3)의 걸어맞춤 돌출부(3b)의 상술한 강제적인 끼워맞춤이 해제되고, 이 끼워맞춤상태는, 단지 스프링(25)에 의해 약한 걸어멈춤상태로 되고, 핸들(3)의 핀축(4)을 지지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조작의 규제가 해제된다.
계속해서, 핸들(3)을 도어(1)의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으키므로써, 핸들 클릭(3a)은, 도 4에 도시하는 화살표(P)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핸들 클릭(3a)의이동에 의해, 핸들 클릭(3a)은, 도 2에 도시하는 슬라이드 블럭(9)의 클릭받이 구멍(19)내에 깊이 진입하고, 슬라이드 블럭(9)을 하방으로 눌러 내리고, 이것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바(6)도 하방으로 미끄럼이동한다. 이 미끄럼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바(6)의 긴구멍(18)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L자형상의 훅부재(8)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따라서, 핸들(3)을 도어(1)의 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일으키면서 당긴다고 하는 1단계의 조작에 의해 도어(1)를 열 수 있다.
종래의 핸들장치에서는, 핸들을 일단 앞으로 끌어내는 조작을 행한 후, 핸들을 회전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고, 다시 회전운동시킨 핸들을 끌어당겨서 도어를 여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핸들장치에서는, 회전운동시키는 조작을 행할 필요없고, 게다가 회전운동을 행하는 구성을 구비할 필요도 없으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핸들의 조작성이나 회전조작에 의한 장애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슬라이드 바(6) 및 슬라이드 블럭(9)에 플랫 바(26,27)를 접속한 다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랫 바(26,27)는, 상기 슬라이드 바(6) 및 슬라이드 블럭(9)에 설치된 연결핀(10,11)을 삽입·고정하기 위한 핀구멍(28,29)과, 케이스체 틀(7)에 설치되는 바용 훅부재(32,33)를 걸어맞춤 또는 걸어맞춤 해제가능하게 하는 훅부재용 긴구멍(30,31)을 가진다. 플랫 바(27)에는, 가이드 긴구멍(3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긴구멍(34)에는 도어(1)의 이면에 용접 등에 의해 돌출 설치되는 가이드핀(35)을 삽입통과할 수 있다. 이 가이드핀(35)을, 와셔(36) 및 E링(37)을 사용하여 가이드 긴구멍(34)에 부착함으로써, 플랫 바(27)는, 미끄럼이동시에 가이드핀(35)에서 빠지지 않고, 가이드 긴구멍(34)에 안내되어 소정방향 및 소정범위만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가이드핀(35) 및 긴구멍(34)과 동일한 것을 플랫 바(26)측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 플랫 바(26,27)를 부착한 경우의 핸들장치의 동작도 기본적으로 상술한 동작에 준거한다. 그러나, 이 형태에서는, 도어(1)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플랫바(26,27)에 설치된 바용 긴구멍(30,31)에 바용 훅부재(32,33)가 걸어맞춤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훅부재로, 도어(1)를 닫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더구나, 핸들부의 길이 양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도 걸어맞춤 고정하므로, 로크의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형태의 핸들장치는, 핸들의 기복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도어를 따르도록 미끄럼이동부재가 왕복 미끄럼이동하고, 이 미끄럼이동부재의 미끄럼이동위치에 따라, 케이스체 틀에 부착된 훅부재가, 미끄럼이동부재에 설치된 긴구멍에 걸어맞춤 또는 걸어맞춤 해제된다. 그리고, 이 긴구멍에 대한 훅부재의 걸어맞춤시에, 시정에 의해 상기 핸들의 기복조작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핸들장치는, 핸들을 기복조작하는 것 만으로 도어의 개폐와, 도어의 로킹 및 로킹해제가 가능하고, 이 로킹상태를, 자물쇠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확실히 걸 수 있다.
또, 상기 미끄럼이동부재를 연장할 수 있는 플랫 바를 연결하고, 미끄럼이동부재를 핸들부의 길이 양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로 하고, 또한 훅걸어맞춤 구멍을 3개소 이상 설치함으로써, 도어 로킹을 위한 훅부재를 케이스체 틀에 복수 설치할 수 있고, 도어의 로킹상태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도어 및 케이스체 틀을 구비하는 케이스체에 설치함으로써 도어를 시정할 수 있는 핸들장치로서,
    상기 핸들장치는,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도어용 유닛과, 케이스체 틀에 설치하기 위한 훅부재를 구비한 케이스체 틀용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용 유닛이, 도어면에 대하여 기복조작할 수 있는 핸들 및 이 핸들을 엎어 놓은 상태로 고정하고, 시정할 수 있는 자물쇠를 갖는 핸들부와, 도어면을 따라서 대향하는 2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미끄럼이동부재를 갖는 미끄럼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이동부재가, 상기 핸들을 일으키는 동작 및 상기 핸들을 엎어 놓는 동작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2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도록 상기 핸들에 걸어맞춤되어 있고,
    상기 미끄럼이동부재는 훅 걸어맞춤구멍을 갖고, 상기 미끄럼이동부재가, 상기 2방향중, 핸들을 엎어 놓을 때의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므로서 상기 훅 걸어맞춤구멍에 상기 훅부재가 걸어맞춤되고, 또한 핸들을 일으킬 때의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이동부재가, 핸들부의 길이 양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고, 또한 훅 걸어맞춤구멍을 3개소 이상 갖고, 이 훅 걸어맞춤구멍이,핸들부의 길이 양방향으로 연장된 각각의 개소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이동부재가, 슬라이드 블록이 연결된, 훅 걸어맞춤구멍을 갖는 슬라이드 바와, 이 슬라이드 바 및 슬라이드 블록의 각각에 연결되는, 훅 걸어맞춤구멍을 갖는 플랫 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도어용 유닛이, 미끄럼이동부재의 미끄럼이동방향 및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장치.
KR10-2001-0035653A 2000-06-26 2001-06-22 핸들장치 KR100451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91559A JP2002004652A (ja) 2000-06-26 2000-06-26 ハンドル装置
JP2000-191559 2000-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513A KR20020000513A (ko) 2002-01-05
KR100451478B1 true KR100451478B1 (ko) 2004-10-06

Family

ID=1869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653A KR100451478B1 (ko) 2000-06-26 2001-06-22 핸들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37785B2 (ko)
JP (1) JP2002004652A (ko)
KR (1) KR100451478B1 (ko)
DE (1) DE10130719A1 (ko)
GB (1) GB2364349A (ko)
TW (1) TW50974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873B1 (ko) 2015-10-28 2017-02-01 주식회사 공진 도어록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5846B2 (en) * 2003-05-07 2008-0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w profile mechanical assist hood latch
US7201407B2 (en) * 2003-06-25 2007-04-10 Southco, Inc. Sliding panel latch
CA2463401A1 (en) * 2003-11-13 2005-05-13 Modernfold, Inc. Slide latch assembly
US7168745B2 (en) * 2004-09-28 2007-01-30 Mohammad Ali Jamnia Device for latching a cabinet door
DE202006003307U1 (de) * 2006-03-02 2006-05-18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Abschließbarer Klappgriff-Verschluss
CN201654630U (zh) * 2009-11-04 2010-11-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臂枢转结构组合
CN102383651B (zh) * 2010-08-27 2014-03-05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尾门抠手装置及安装方法
US8720237B2 (en) 2011-10-19 2014-05-13 Daws Manufacturing Company, Inc. Rotary latch
JP5603898B2 (ja) * 2012-03-28 2014-10-0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9003706B2 (en) * 2013-03-15 2015-04-14 Truth Hardware Corporation Key lockable operator cover
CN105089349B (zh) * 2014-05-05 2017-06-09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把手模块
US9260890B2 (en) 2014-05-13 2016-02-16 Daws Manufacturing Co., Inc. Latch mechanism
US10392839B2 (en) * 2015-08-31 2019-08-27 Truth Hardware Locking bolt with surface-mounted transmission
US10337219B2 (en) * 2015-08-31 2019-07-02 Truth Hardware Locking bolt with surface-mounted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44189C (ko) * 1934-12-07
BE423491A (ko) * 1936-09-08
US2698197A (en) * 1949-08-01 1954-12-28 Edwin B Jacobson Door latch mechanism
US3045465A (en) * 1960-08-10 1962-07-24 Nat Lock Co Refrigerator latch
US3884514A (en) * 1973-11-30 1975-05-20 Wright Products Inc Door latch mechanism
US4554807A (en) * 1983-10-12 1985-11-26 Ardac, Inc. Door latch mechanism
US4687237A (en) * 1986-05-01 1987-08-18 Southco, Inc. Over-center toggle latch
EP0261266B1 (de) * 1986-09-25 1990-08-22 Dieter Ramsauer Schwenkhebelstangenverschluss
US4913476A (en) * 1988-08-04 1990-04-03 Crenlo, Inc. Door latch and release apparatus
DE9004756U1 (ko) * 1990-04-27 1991-08-22 Ramsauer, Dieter, 5620 Velbert, De
GB2247714B (en) * 1990-09-01 1994-06-01 Independent Engineering Compan Fastener drive mechanism and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5201557A (en) * 1991-09-24 1993-04-13 Southco, Inc. Slide fastener
US5970757A (en) * 1992-12-22 1999-10-26 Ramsauer; Dieter Swivel lever closing device for doors of housing or cabinets
DE4425970C1 (de) * 1994-07-22 1995-11-16 Emka Beschlagteile Versenkbarer Verschluß für links- und rechts angeschlagene Schaltschranktüren
US6182483B1 (en) 1997-03-27 2001-02-06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Lever loc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영국특허공보 2 259 940호(1993.3.3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873B1 (ko) 2015-10-28 2017-02-01 주식회사 공진 도어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54824A1 (en) 2001-12-27
TW509747B (en) 2002-11-11
DE10130719A1 (de) 2002-01-10
GB2364349A (en) 2002-01-23
US6637785B2 (en) 2003-10-28
KR20020000513A (ko) 2002-01-05
GB0115490D0 (en) 2001-08-15
JP2002004652A (ja)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1478B1 (ko) 핸들장치
US7399934B2 (en) External operation handle device
KR100407032B1 (ko) 래칫 폴 래치
JPH0711209B2 (ja) 非常口装置
US6293131B1 (en) Lock casing to be installed in a door or the like
US6719337B1 (en) Push-push latch
CN111328360B (zh) 杠杆式压缩闩锁
KR20140143016A (ko) 이중 도어방식을 갖는 내부도어의 버튼 래치장치
KR100575157B1 (ko) 컴퓨터
KR100456582B1 (ko) 컴퓨터
JP5034065B2 (ja) 施錠装置、及び収納家具
KR0131801Y1 (ko)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JP3025872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US6419287B1 (en) Fastening mechanism for a cover, door or the like
JP2007327279A (ja) 鎖錠用ハンドル装置
KR20040093027A (ko) 평면 핸들 장치
JP3781383B2 (ja) リッドロック装置
KR960005324Y1 (ko) 휴대용 컴퓨터의 잠금장치용 랫치구조
JPH0718861Y2 (ja) プッシュラッチのロック構造
EP4357565A1 (en) An improved latch assembly having a handle
JP2559400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KR200147588Y1 (ko) 자동 잠김 도어록의 자동 잠김 방지 장치
JPH0541178Y2 (ko)
JP4286611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KR20030021837A (ko) 자동차의 잼 방지용 프론트 도어래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