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452B1 - 도어 락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452B1
KR100763452B1 KR1020060022162A KR20060022162A KR100763452B1 KR 100763452 B1 KR100763452 B1 KR 100763452B1 KR 1020060022162 A KR1020060022162 A KR 1020060022162A KR 20060022162 A KR20060022162 A KR 20060022162A KR 100763452 B1 KR100763452 B1 KR 100763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hole
moving
pivo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2852A (ko
Inventor
윤영순
Original Assignee
윤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순 filed Critical 윤영순
Priority to KR102006002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45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6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by means arranged in or on the rose or escutche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 장치는 파손되기 쉬운 스토퍼를 장착시키지 않고, 장공의 가이드홀을 브라켓에 형성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도어를 사이에 두고 내/외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고정결합되는 내/외측 도어고정프레임과, 내/외측 도어고정프레임의 관통홀에 각각 삽입연결되고,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길 수 있는 핸들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핸들의 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는 내/외측 선회프레임과, 일단부가 내/외측 선회프레임의 타단부에 대하여 선회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선회프레임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여, 타단부가 도어 락 래칫의 이동판을 이동시켜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내/외측 이동바와, 내/외측 선회프레임의 타단부와 힌지축결합되고, 선회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이동바의 타단부가 관통결합되도록 이동바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형성된 장공의 가이드홀의 유격거리에 따라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을 제어하고, 양측단부가 도어고정프레임과 고정결합되어 선회프레임과 상기 이동바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 락 장치를 제공한다.
도어 락, 대형도어

Description

도어 락 장치{Door lock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 도어 락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도어 락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도어 락 장치에서 외측 및 내측 브라켓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락 장치에서 외측 및 내측 도어고정프레임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본 발명의 도어 락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어 2... 핸들
2a, 2b... 핸들고정홀 3... 도어 락 래칫
3a... 래칫 4... 이동판
5... 스터드볼트 8... 볼트
10, 110... 선회프레임 10a, 110a... 상부면
10b, 110b... 하부면 10c, 110c... 중앙면
20a, 120a... 상면부 20b, 120b... 하면부
20c, 120c... 정면부 20d, 120d... 측면부
20, 120... 브라켓 21, 121... 프레임 고정홀
30, 130... 이동바 31, 131... 푸시부
31a, 131a... 이동바 삽입홀 32... 절곡부
40, 140... 도어고정프레임 50, 150... 이동축
51, 151... 이동축 고정홀 52, 152... 끼움홈
53, 153... 가이드홀 60, 160... 스프링 지지축
61, 161... 지지축 고정홀 62, 162... 고정홀
70, 170... 이동바 힌지축 71, 171... 힌지홀
72, 172... 힌지축 고정홀 80, 180... 리턴스프링
100, 200... 도어 락 장치
본 발명은 도어 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스토퍼를 장착시키지 않고 가이드홀을 스토퍼역할로 하도록 하고, 파손에 취약한 가이드홀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도어를 예를 들면, 금속재 현관문 또는 유리문 등과 같이 도어의 자중이 큰 경우에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도어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도어의 외/내측에 각각 바아(bar) 형태의 핸들이 결합된 푸시-풀타입(push-pull type)의 도어 락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어 락 장치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특허 제382697호에는, 대형도어의 외/내측면에 각각 대응 고정되어 파지봉을 밀거나 당겨서 도어 락의 래치를 제어하여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의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는 외/내측 고정프레임에 각각 고정결합되고, 파지봉과 연결된 선회프레임을 일방향으로만 선회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결합된 외/내측 힌지프프레임과, 상기 선회프레임과 힌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파지봉에 의해 선회프레임이 선회시 도어 록의 이동판을 이동시켜 래치를 제어하는 푸시바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는 별도의 스토퍼가 힌지프레임의 고정구멍에 결합되어 파손되기 쉬운 구조이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가 파지봉에 과한 힘을 주는 경우에는 파손되어 작동이 되지 않는 등 그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기 종래의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는 외/내측 각각에 리턴스프링이 2개씩 조립되고, 각각의 가이드구멍의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조립성이 나빠 생산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토퍼를 별도로 장착시키지 않고 가이드홀 내에서 선회프레임이 이동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큰 충격에도 파손의 위험이 적도록 그 구조를 개선시킨 도어 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구성요소의 형상을 단순화하고 부품수를 줄여 조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락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일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도어를 사이에 두고 내/외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고정결합되는 내/외측 도어고정프레임과; 상기 내/외측 도어고정프레임의 관통홀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되고,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길 수 있는 핸들이 탈부착 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핸들의 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는 내/외측 선회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의 타단부에 대하여 선회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선회프레임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여, 타단부가 도어 락 래칫의 이동판을 이동시켜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내/외측 이동바와;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의 타단부와 힌지축결합되고, 상기 선회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기 이동바의 타단부가 관통결합되도록 이동바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형성된 장공의 가이드홀의 유격거리에 따라 상기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을 제어하고, 양측단부가 상기 도어고정프레임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선회프레임과 상기 이동바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 락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내/외측 브라켓을 탄력 지지하여,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이 선회운동 후 원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내/외측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측 도어고정프레임에는 상기 도어 락 래칫과 도어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스터드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스터드드볼트 보스가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 각각에는, 일단에는 핸들이 고정결합되며, 타단부는 중앙면을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는 스프링 지지축을 통해 상기 브라켓과 힌지축결합하기 위한 지지축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 고정홀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서상기 브라켓의 가이드홀과 동축결합하 기 위한 이동축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외측 이동바 각각에는, 일단부 측면에 상기 내/외측 브라켓에 결합된 이동바 힌지축이 관통삽입되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에는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내/외측 브라켓의 장공의 가이드홀에 동축결합하는 이동축의 이동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기 위해 상기 이동축과 연결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상기 내/외측 브라켓에 형성된 이동바 삽입홀에 관통삽입되고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에 따라 도어 락 래칫의 이동판을 이동시키는 푸시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외측 이동바가 각각 대응되어 위치하였을 때 서로 간섭이 없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내/외측 이동바의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푸시부 사이에 경사진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외측 브라켓은,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응하여 마주보면서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정면부 양측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상면부와 하면부가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정면부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도어고정프레임과 고정결합되기 위한 측면부가 각각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브라켓의 상면부와 하면부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홀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의 지지축 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과 고정홀 사이에는 상기 이동바와 힌지축 결합되는 힌지축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브라켓의 상면부와 하면부 각각에는 상기 선회프레임의 지지축 고정홀과 이동축 고정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의 인접한 위치에 이격되어 힌지축 고정홀 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의하면, 일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결합되는 내측 도어고정프레임과; 일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도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 도어고정프레임과 대응되는 도어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고정결합되는 외측 도어 고정프레임과; 상기 내측 도어고정프레임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일단에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핸들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핸들의 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며, 타단부는 중앙면을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는 내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외측 도어고정프레임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일단에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핸들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핸들의 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며, 타단부는 중앙면을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는 외측 선회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의 타단부에 대하여 선회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며, 타단부는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에 따라 도어 락 래칫의 이동판을 이동시켜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푸시부가 돌출형성된 내측 이동바와; 일단부가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의 타단부에 대하여 선회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며, 타단부는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에 따라 도어 락 래칫의 이동판을 이동시켜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푸시부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부와 푸시부 사이에는 상기 내측 이동바와 대응되어 위치하였을 때 서로 간섭이 없게 하기 위하여 경사진 절곡부가 형성된 외측 이동바와;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응하여 마주보면서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정면부 상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상면부와 하면부가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정면부에는 상기 내측 이동바의 푸시부가 삽입연결되기 위한 이동바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의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유격거리에 따라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정면부 양측단부에는 상기 내측 도어고정프레임과 고정결합되기 위한 측면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내측 이동바를 지지하는 내측 브라켓과;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응하여 마주보면서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정면부 상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상면부와 하면부가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정면부에는 상기 외측 이동바의 푸시부가 삽입연결되기 위한 이동바삽입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의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유격거리에 따라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정면부 양측단부에는 상기 외측 도어고정프레임과 고정결합되기 위한 측면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외측 이동바를 지지하는 외측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 락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내/외측 브라켓을 탄력 지지하여,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이 선회운동 후 원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내/외측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 장치는, 큰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큰 스토퍼를 별도로 장착시키지 않고 장공의 가이드홀에 의해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을 제어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리턴스프링의 수를 줄이고 부품의 수를 줄임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측 도어 락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도어 락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도어 락 장치에서 외측 및 내측 브라켓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도어 락 장치에서 외측 및 내측 도어고정프레임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서 본 발명의 도어 락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락 장치(100,200)는 대형도어에 주로 채용되는 것으로서, 도어(1)를 사이에 두고 내측과 외측에서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풀 타입으로 사용자가 핸들(2)을 밀거 나 당김에 따라 도어 락 래칫(3:도 10참조)의 이동판(4)을 이동시켜 래칫(3a)을 이동시킴으로써 도어(1)를 오픈/클로즈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어 락 장치(100,200)는, 도 2의 외측 도어 락 장치(100)와, 도 3의 내측 도어 락 장치(200)에 대하여, 도어고정프레임(40,140; 도 6 및 도 7참조)의 관통홀(41,141)을 통해 관통연결되고 일단에 결합된 핸들(2)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는 선회프레임(10,110)과, 이 선회프레임(10,110)의 타단부와 힌지결합되는 브라켓(20,120)과, 선회프레임(10,110)과 브라켓(20,120) 사이에 개재되어 선회프레임(10,110)의 선회운동에 의해 연동하여 선회운동하는 이동바(30,130)와, 브라켓(20,120)과 고정결합되고 선회프레임(10,110)의 타단부가 관통연결됨과 동시에 도어(1)와 결합되는 도어고정프레임(40,140)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외측 및 내측 도어 락 장치를 상호 비교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외측 및 내측 선회프레임(10,110)의 일단에는 핸들(2)과 고정결합되며, 타단부는 중앙면(10c,110c)을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부면(10a,110a)과 하부면(10b,110b)이 서로 대향하여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부면(10a,110a)과 하부면(10b,110b)에는 한 쌍의 지지축 고정홀(61,161)이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면(10a,110a)과 하부면(10b,110b)에는 지지축 고정홀(61,161)에 대하여 이격되어 각각 대응한 위치에 이동축 고정홀(51,151)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및 내측 선회프레임(10,110)에는 핸들(2)과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볼트(8)를 결합시키기 위한 2개의 핸들고정홀(2a,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회프레임(10,110)의 일단은 원형상의 핸들(4)의 외측면에 대하여 용이하게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상이 좋다.
한편, 상기 외측과 내측 브라켓(20,120)은,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선회프레임(10,110)의 상부면(10a,110a)과 하부면(10b,110b)에 대응하여 마주보면서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정면부(20c,120c)의 양측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상면부(20a,120a)와 하면부(20b,120b)가 서로 대향하여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며, 이 때 정면부(20c,120c)의 양측단부에는 측면부(20d,120d)가 각각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브라켓(20)의 상면부(20a)와 하면부(20b)에는 각각 선회프레임(10)의 지지축 고정홀(61)과 이동축 고정홀(51)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고정홀(62)과,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홀(5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20a)와 하면부(20b) 각각의 고정홀(62)과 장공의 가이드홀(53) 사이에는 한쌍의 힌지축 고정홀(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브라켓(20)의 정면부(20c)에는 이동바 삽입홀(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부(20c) 양측 돌출형성된 측면부(20d) 각각에는 도어고정프레임(40)과 볼트결합할 수 있도록 프레임고정홀(2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 브라켓(120)은, 상면부(120a)와 하면부(120b)에는 각각 선회프레임(110)의 지지축 고정홀(161)과 이동축 고정홀(151)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고정홀(162)과,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홀(15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120a)와 하면부(120b) 각각의 가이드홀(153)의 인접한 위치에 이격되어 한쌍의 힌지축 고정홀(17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브라켓(120)의 정면부(120c)에는, 외측 브라켓(20)과 마찬가지로, 이동바 삽입홀(1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부(120c) 양측 돌출형성된 측면부(120d) 각각에는 도어고정프레임(140)과 볼트결합할 수 있도록 프레임고정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측 및 내측 이동바(30,130)는 일단부에 끼움홈(52,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 측면에 힌지홀(71,17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바(30,130)의 타단부는 브라켓(20,120)의 이동바 삽입홀(31a,131a)로 관통삽입되는 푸시부(31,13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외측 이동바(130)에는 절곡부(32)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외측 및 내측 도어 락 장치를 비교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외/내측 선회프레임(10,110)의 이동축 고정홀(51,151)은 각각 지지축 고정홀(61,161)에 대하여 이격된 거리에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내측 브라켓(120)의 가이드홀(153)과 힌지축 고정홀(171)은 외측 브라켓과 비교하여 위치가 바뀌어져 있다.
이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되게 설치했을 경우 외/내측의 이동바(30,130)가 서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기 위함이 며, 외측에서 당기고 내측에서 미는 형식으로 힘의 제공방향이 각각 다른 푸쉬-풀 타입이기 때문에 구조적인 설계상의 차이이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라면 다른 구조로라도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측 이동바(30)에는 절곡부(32)를 두어 굴곡지게 형성시킴으로써,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 이동바(30)의 푸시부(31)와 내측 이동바(130)의 푸시부(131) 각각이 간섭없이 같은 수평선상으로 평행하게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내측 도어락 장치(200)와 외측 도어 락 장치(100)의 브라켓(20,120)과 선회프레임(10,110)의 차이는 외측 및 내측 이동바(30,130)의 푸시부(31,131)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하기 위함이고, 외측 이동바(30)에 절곡부(32)를 형성시킨 것은 외측 푸시부(31)와 내측 푸시부(131)가 선회운동에 대하여 간섭없이 운동시키기 위함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내측 및 외측 이동바(31,131)를 동일한 원리로 선회운동시키기 위해서는 설계변경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 장치의 결합관계와 작동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브라켓(20,120)은, 상면부(20a,120a)와 하면부(20b,120b)가 선회프레임(10,110)의 상부면(10a,110a)과 하부면(10b,110b))에 대응하여 각각 서로 마주보면서 선회프레임(10,110)에 삽입된다.
이 때, 상기 선회프레임(10,110)은, 선회프레임(10,110)의 지지축 고정홀(61,161)과 브라켓(20,120)의 고정홀(62,162)을 동시에 관통결합되는 스프링 지지축(60)을 힌지축으로 하여, 선회프레임(10,110)의 이동축 고정홀(51,151)과 브라켓 (20,120)의 장공의 가이드홀(53,153)을 동시에 관통결합되는 이동축(50,15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선회운동한다.
여기서, 상기 선회프레임(10,110)의 선회이동은, 브라켓(20,120)의 장공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홀(53,153)의 유격거리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 때문에 파손되기 쉬운 별도의 스토퍼 없이도 선회프레임(10,11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52,153)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구조상의 취약한 부분을 줄여 내구성 향상은 물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120)과 선회프레임(10,110) 사이에는, 선회프레임(10,110)의 선회운동에 따라 이동바(30,130)의 푸시부(31,131)가 연동하여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이동바(30,130)가 연결된다.
상기한 이동바(30,130)와 브라켓(20,120)의 연결을 살펴보면,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30,130)의 푸시부(31,131)는 브라켓(20,120)의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도록 즉, 선회프레임(10,110)이 위치한 곳의 반대방향으로 브라켓(20,120)의 이동바 삽입홀(31a,131a)에 삽입되며, 이 때 이동바(30,130)는 일단부가 이동바 삽입홀(31a,131a)보다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브라켓(20,1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푸시부(31,131)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브라켓(20,120)과 연결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동바(30,130)는, 이동바(30,130)의 일단부에 형성된 힌지홀(71,171)과 브라켓(20,120)의 힌지축 고정홀(72,172)을 동시에 관통결합하는 이 동바 힌지축(70,170)에 의해 브라켓(20,1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이동바(30,130)의 끼움홈(52,152)에 선회프레임(10,110)의 이동축 고정홀(51,151)과 브라켓(20,120)의 가이드홀(53,153)에 동축결합하는 이동축(50,150)이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바(30,130)는, 이동바 힌지축(70,170)을 중심으로 가이드홀(53,153)내에서 선회운동하는 이동축(50,150)에 따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게 되어, 이동축(50,150)과 결합된 선회프레임(10,110)의 선회운동에 따라 이동바(30,130)가 연동하여 선회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측 및 내측 스프링 지지축(60,160)에는 외/내측 브라켓(20,120)에 대하여 선회프레임(10,110)이 선회운동시 원위치로 올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외/내측 리턴스프링(80,180)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리턴스프링(80)은 인발된 양단 중 일단이 브라켓(20)의 정면부(20c)의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선회프레임(10)의 중앙면(10c)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끼워져 선회프레임(10)을 탄지 함으로써, 작동 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축(50)은 가이드홀(53) 내에서 도어(1) 방향으로 탄력 지지된다.
이에 반해, 상기 내측 리턴스프링(180)은 인발된 양단 중 일단이 브라켓(120)의 정면부(120c) 내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선회프레임(110)의 중앙면(110c)의 내측에 탄지 함으로써, 작동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축(150)은 가이드홀(153) 내에서 도어(1)의 반대방향으로 탄력 지지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도어 락 장치(100,200)는 외측에서 당기고 내측 에서 밀 때 도어(1)가 오픈되도록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측 및 내측 도어 락 장치(100,200)는 외측 및 내측 각각에 한 개의 리턴스프링(80,180)만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다수개의 리턴스트링을 장착시킴으로 인해 발생되는 조립상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 및 내측 도어고정프레임(40,14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1) 및 도어 락 래칫(3)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외측 및 내측 도어 락 장치(100,200)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도어(1)와 도어 락 장치(100,200)와 도어 락 래칫(3)의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어(1)를 사이에 두고 스터드볼트(5)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과 내측 도어고정프레임(40,140)에는 도어(1)를 사이에 두고 스터드볼트(5)에 의해 서로 대응결합할 수 있도록 스터드볼트 보스(42,1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외/내측 도어 락 장치(100,200)는 스터드볼트(5)에 의해 도어(1)에 장착된 도어 락 래칫(3)을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외측과 내측의 이동바(30,130)는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배치되어 상기 도어 락 래칫(3)의 이동판(4)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 이동축(50)은 외측 브라켓(20)의 가이드홀(53) 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리턴스프링(80)에 의해 도어(1)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내측 이동축(150)은 내측 브라켓(120)의 가이드홀(153)내에서 내측 리턴스프링(181) 에 의해 도어(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락 장치(100,200)는 외부에서는 사용자가 당기고 내부에서는 사용자가 미는 푸시-풀 타입의 도어 락 장치이기 때문에, 이에 외측과 내측에서 도어 락 장치를 작동할 때 상기 내측과 외측의 이동바(30,130)가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내측 및 외측 도어 락 장치의 작동을 도 10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외측 도어 락 장치(100)는 먼저 외측에서 사용자가 핸들(2)을 당기면, 선회프레임(10)은 핸들(2)과 연동하여 스프링 지지축(60)을 중심으로 도어(1)의 반대방향으로 선회운동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선회프레임(10)에 고정결합된 이동축(50)도 연동하여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일단이 상기 이동축(50)에 끼움연결된 이동바(30)는 이동축(5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바 힌지축(70)을 중심으로 선회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푸시부(31)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 락 래칫(3)의 이동판(4)을 도어의 개방단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래칫(3a)을 이동시켜 도어(1)를 오픈시킨다.
이 때 상기 선회프레임(10)의 선회운동은 이동축(50)이 브라켓(20)에 형성된 가이드홀(53)의 장공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외측 도어 락 장치(100)는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하지 않고도 가이드홀(53)을 통해 선회프레임(10)의 선회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측 도어 락 장치(100)는 종래의 충격에 대해 파손의 위 험이 큰 스토퍼를 없애고 가이드홀(53)을 스토퍼 역할을 하게 하였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오픈된 도어(1)를 통하여 내부로 들어가기 위해 파지하고 있던 핸들(2)을 놓을 경우에는, 상기 선회프레임(10)은 리턴스프링(80)에 의해 스프링 지지축(60)을 중심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며, 동시에 이동축(5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이동바(30)의 푸시부(31)가 탄력지지된 이동판(4)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도어(1)를 클로즈 시킨다.
한편, 상기 내측 도어 락 장치(200)는, 내측에서 사용자가 핸들(2)을 밀면, 선회프레임(110)은 핸들(2)과 연동하여 스프링 지지축(160)을 중심으로 선회운동하게 되며, 이에 선회프레임(110)에 고정결합된 이동축(150)이 가이드홀(153)의 장공 내에서 도시된 화살표 방향인 도어(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축(150)의 이동에 의해 이동바(130)의 푸시부(131)가 도시된 화살표방향인 도어 개방단의 반대방향으로 탄력지지된 도어 락 래칫(3)의 이동판(4)을 이동시켜 도어(1)를 오픈시킨다.
그 후, 사용자가 핸들(2)을 놓게 되면, 상기 선회프레임(110)은 리턴스프링(180)에 의해 스프링 지지축(60)을 중심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며, 동시에 이동축(15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이동바(30)의 푸시부(31)가 탄력지지된 이동판(4)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도어(1)를 클로즈 시킨다.
이 때 상기 선회프레임(110)의 선회운동은 외측 도어 락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이동축(150)이 브라켓(120)에 형성된 가이드홀(153)의 장공내에서 그 선회운 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내측 도어 락 장치(200)는 충격에 의한 파손위험이 큰 스토퍼 대신 가이드홀(153)을 통해 선회운동을 제어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락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큰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큰 스토퍼를 별도로 장착시키지 않고, 브라켓에 형성된 장공의 가이드홀을 통해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시켰기 때문에, 그 내구성을 최고 70%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둘째, 구조와 형상이 복잡하지 않고, 리턴스프링의 수를 줄임으로써 종래의 손잡이 장치와 비교하여 부품원가를 20%까지 줄일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생산성을 최소 40%까지 증가시킬 수 있었다.
셋째,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핸들을 조작해도 도어 락 장치가 원활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일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도어를 사이에 두고 내/외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각각 고정결합되는 내/외측 도어고정프레임과;
    상기 내/외측 도어고정프레임의 관통홀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되고, 일단부에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길 수 있는 핸들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핸들의 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는 내/외측 선회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의 타단부에 대하여 선회운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선회프레임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여, 타단부가 도어 락 래칫의 이동판을 이동시켜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내/외측 이동바와;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의 타단부와 힌지축결합되고, 상기 선회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기 이동바의 타단부가 관통결합되도록 이동바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형성된 장공의 가이드홀의 유격거리에 따라 상기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을 제어하고, 양측단부가 상기 도어고정프레임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선회프레임과 상기 이동바를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내/외측 브라켓을 탄력 지지하여,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이 선회운동 후 원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내/외측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도어고정프레임에는 상기 도어 락 래칫과 도어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스터드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스터드드볼트 보스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 각각에는, 일단에는 핸들이 고정결합되며, 타단부는 중앙면을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에는 스프링 지지축을 통해 상기 브라켓과 힌지축결합하기 위한 지지축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 고정홀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에서상기 브라켓의 가이드홀과 동축결합하기 위한 이동축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이동바 각각에는, 일단부 측면에 상기 내/외측 브라켓에 결합된 이동바 힌지축이 관통삽입되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부에는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내/외측 브라켓의 장공의 가이드홀에 동축결합하는 이동축의 이동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기 위해 상기 이동축과 연결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상기 내/외측 브라켓에 형성된 이동바 삽입홀에 관통삽입되고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에 따라 도어 락 래칫의 이동판을 이동시키는 푸시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외측 이동바가 각각 대응되어 위치하였을 때 서로 간섭이 없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내/외측 이동바의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일단부와 상기 푸시부 사이에 경사진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브라켓은,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응하여 마주보면서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정면부 양측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상면부와 하면부가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정면부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도어고정프레임과 고정결합되기 위한 측면부가 각각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브라켓의 상면부와 하면부 각각에는 상기 가이드홀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의 지지축 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과 고정홀 사이에는 상기 이동바와 힌지축 결합되는 힌지축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브라켓의 상면부와 하면부 각각에는 상기 선회프레임의 지지축 고정홀과 이동축 고정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의 인접한 위치에 이격되어 힌지축 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7. 일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결합되는 내측 도어고정프레임과;
    일측면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도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 도어고정프레임 과 대응되는 도어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고정결합되는 외측 도어 고정프레임과;
    상기 내측 도어고정프레임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일단에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핸들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핸들의 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며, 타단부는 중앙면을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는 내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외측 도어고정프레임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일단에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핸들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핸들의 운동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며, 타단부는 중앙면을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는 외측 선회프레임과;
    일단부가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의 타단부에 대하여 선회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며, 타단부는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에 따라 도어 락 래칫의 이동판을 이동시켜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푸시부가 돌출형성된 내측 이동바와;
    일단부가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의 타단부에 대하여 선회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과 연동하여 선회운동하며, 타단부는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에 따라 도어 락 래칫의 이동판을 이동시켜 도어를 오픈/클로즈 시키는 푸시부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부와 푸시부 사이에는 상기 내측 이동바와 대응되어 위치하였을 때 서로 간섭이 없게 하기 위하여 경사진 절곡부가 형성된 외측 이동바와;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응하여 마주보면서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정면부 상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상면부와 하면부가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정면부에는 상기 내측 이동바의 푸시부가 삽입연결되기 위한 이동바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의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유격거리에 따라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정면부 양측단부에는 상기 내측 도어고정프레임과 고정결합되기 위한 측면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내측 이동바를 지지하는 내측 브라켓과;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응하여 마주보면서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정면부 상하단부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상면부와 하면부가 서로 대향하여 'ㄷ'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정면부에는 상기 외측 이동바의 푸시부가 삽입연결되기 위한 이동바삽입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장공의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유격거리에 따라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의 선회운동을 제어하고, 상기 정면부 양측단부에는 상기 외측 도어고정프레임과 고정결합되기 위한 측면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외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외측 이동바를 지지하는 외측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과 상기 내/외측 브라켓을 탄력 지지하여, 상기 내/외측 선회프레임이 선회운동 후 원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내/외측 리턴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락 장치.
KR1020060022162A 2006-03-09 2006-03-09 도어 락 장치 KR100763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162A KR100763452B1 (ko) 2006-03-09 2006-03-09 도어 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162A KR100763452B1 (ko) 2006-03-09 2006-03-09 도어 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852A KR20070092852A (ko) 2007-09-14
KR100763452B1 true KR100763452B1 (ko) 2007-10-24

Family

ID=3869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162A KR100763452B1 (ko) 2006-03-09 2006-03-09 도어 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885B1 (ko) * 2008-12-05 2009-06-04 인제식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593A (en) 1976-02-23 1977-01-18 Herbert Wilzig Push door-latch opener
JPS6120658U (ja) 1984-07-02 1986-02-06 株式会社 西製作所 錠前
JPH1046876A (ja) 1996-07-31 1998-02-17 Alpha Corp 扉用ハンドル装置
KR100310006B1 (ko) 1999-04-30 2001-11-02 전병화 현관문용 잠금장치
KR100382697B1 (ko) 2000-10-24 2003-05-01 윤영순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3593A (en) 1976-02-23 1977-01-18 Herbert Wilzig Push door-latch opener
JPS6120658U (ja) 1984-07-02 1986-02-06 株式会社 西製作所 錠前
JPH1046876A (ja) 1996-07-31 1998-02-17 Alpha Corp 扉用ハンドル装置
KR100310006B1 (ko) 1999-04-30 2001-11-02 전병화 현관문용 잠금장치
KR100382697B1 (ko) 2000-10-24 2003-05-01 윤영순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852A (ko) 200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61109B (zh) 门闩锁
JP3156516U (ja) 蝶番
JP4130586B2 (ja) 収納ユニット
US20070261309A1 (en) Automatic door assembly with telescoping door arm
RU2005109266A (ru) Конструкция защитной двери и рамы
JP3927938B2 (ja) 開放補助機構付き引手、およびサッシ窓
EP1612356B1 (en) Hing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KR100763452B1 (ko) 도어 락 장치
EP0631643B1 (en) Sash window unit, at least comprising a frame with a sash window which is slidable vertically therein
KR100653376B1 (ko) 모티스, 이를 이용한 도어락 및 이의 시공방법
CN211287175U (zh) 一种家具铰链的底座快速扣接结构
JP3993913B2 (ja) プッシュ・プル錠
KR100382697B1 (ko)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KR20110086282A (ko) 여닫이문 닫힘 지지장치
KR20090131872A (ko) 개선된 힌지부를 가지는 프로젝트 및 케이스먼트 운동이가능한 창호
KR100886036B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JP3108904B2 (ja) 連動折り戸の連結機構
JPH11343764A (ja) 開き障子のステー
KR200252596Y1 (ko) 도어 록킹장치
CN219711278U (zh) 门板铰链以及门板铰链组件
JPH09310553A (ja) 引き戸開閉用ダンパー
JP2555139Y2 (ja) 扉体開閉機構
JP3174939B2 (ja) スライドヒンジ
JPH1176552A (ja) 弾球遊技機
JP2005076334A (ja) 開き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