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885B1 -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885B1
KR100900885B1 KR1020080122955A KR20080122955A KR100900885B1 KR 100900885 B1 KR100900885 B1 KR 100900885B1 KR 1020080122955 A KR1020080122955 A KR 1020080122955A KR 20080122955 A KR20080122955 A KR 20080122955A KR 100900885 B1 KR100900885 B1 KR 100900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bar
hand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제식
Original Assignee
인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식 filed Critical 인제식
Priority to KR102008012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조립이 용이하며, 정확하게 작동하는 구조를 갖는 도어 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손잡이를 당기거나 미는 작동에 도어를 쇄정하는 push-pull type 도어손잡이로 도어록의 잠금봉(래치)을 후진시켜 도어를 해정하며, 도어를 닫을시 잠금봉(래치)이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여, 도어와 도어프레임을 괘정하는 도어 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당하는 종래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는 그 부품수가 많아,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탄발을 받는 스프링을 억지로 조립함으로 인해 조립의 어려움을 갖는 것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부품수가 적어 조립이 용이함과 동시에 견고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도어의 개폐작용이 정확하며 신속하게 작동되는 도어 쇄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대형 도어(10)의 내/외측면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하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 도어록의 잠금봉(래치)을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쇄정장치의 구성으로 도어(10)의 내외측에 대응되게 고정하는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과 상기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외측손잡이(11)(111)와 손잡이고정볼트(11-1)(111-1)로 고정되는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을 가지며, 상기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의 내측에는 상하스터드볼트(129)를 가지며,
상기 상하스터드볼트(129)는 내측고정프레임(20)의 스터드볼트고정볼트(201-1)로 고정되어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이 도어(10) 앞뒤에 고정되며,
상기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에는 도어록(50)을 작동시키는 내/외측작동바(21)(121)를 가지며,
상기 도어록(50)의 잠금봉(래치)(51)은 도어 테두리 밖으로 돌출되게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록(50)이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록고정핀(128)이 외측고정프레임(120)의 좌우양측에 갖는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동프레임(130)의 볼트체결구멍(130-1) 반대편에는 외측작동바결합돌기(132) 및 외측힌지봉(138)이 삽입되는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가 형성된 절결면(133)을 가지며, 상기 절결면(133)의 양측에는 회전저지턱(133-1)(133-2)을 가지며,
상기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에는 외측복귀스프링(137)이 삽입되며,
상기 외측가동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외측작동바(121)는 제1,제2결합구멍(121-1)(121-2)을 가지며,
상기 외측작동바(121)의 제2결합구멍(121-2)에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가 결합되며, 제1결합구멍(121-1)에 볼트(130-2)로 외측작동바고정돌기(132)가 고정되며,
상기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에 삽입되는 외측힌지봉(138)의 양단은 외측가동프레임(130) 밖으로 돌출되며, 외측힌지봉(138)의 양단은 상하힌지봉고정편(123) 및 상하힌지봉고정볼트(124)로 외측고정프레임(120)과 고정되며,
상기 내측가동프레임(30)의 볼트체결구멍(30-1) 반대편에는 내측작동바결합돌기(32) 및 내측힌지봉(38)이 삽입되는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가 형성되는 절결면(33)을 가지며, 상기 절결면(33)의 양측에는 회전저지턱(33-1)(33-2)을 가지며,
상기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에는 내측복귀스프링(37)이 삽입되며, 상기 내측가동프레임(30)에 결합되는 내측작동바(21)는 "ㄱ"자 형상으로 구부려짐과 동시에 제1,제2결합구멍(21-1)(21-2)을 가지며, 상기 내측작동바결합돌기(32)에는 내측작동바(21)의 제2결합구멍(21-2)과 결합하는 부싱(36) 및 고정볼트(30-2)를 가지며, 상기 내측작동바(21)의 제1결합구멍(21-1)에는 내측고정프레임(20)에 상기 내측작동바(21)를 결합하는 내측작동바지지봉(39)을 가지며,
상기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에 삽입되는 내측힌지봉(38)의 양단은 내측가동프레임(30) 밖으로 돌출되며, 내측힌지봉(38)의 양단은 상,하내측힌지봉고정편(23) 및 상하내측힌지봉고정볼트(24)로 내측고정프레임(20)과 고정되며,
상기 내측작동바지지봉(39)의 양단은 지지봉고정편(25) 및 지지봉고정볼트(26)로 내측고정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도어 쇄정장치, 도어록, 푸시/풀도어록 손잡이

Description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heavy door handle}
본 발명은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성이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조립이 용이하며, 정확하게 작동하는 구조를 갖는 도어 쇄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도어의 앞뒤면에는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봉(bar) 형태의 손잡이를 부착하며, 상기 봉 형태의 손잡이를 밀거나(push), 당길(pull) 경우 도어와 도어프레임을 고정하는 잠금봉(래치)이 도어 내측으로 후진하여 도어를 해정함과 동시에 도어를 미는 힘 또는 당기는 힘에 의해 손쉽게 도어를 개폐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밀거나 당김식(push-pull type) 도어손잡이는, 손잡이를 당기거나 미는 작동에 의해 잠금봉인 래치를 후진시켜 도어를 해정하며, 도어를 닫을시 잠금봉(래치)이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여, 도어와 도어프레임을 괘정하는 도어 쇄정장치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대형 도어의 봉 타입의 손잡이 내측에 구성되는 도어 쇄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앞뒤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손잡이를 잡아 당기거나, 밀 경우, 도어 내측에 설치된 도어록의 래치가 작동되어 도어를 쇄정하는 것으로,
종래의 특허 문헌으로는
특허등록번호 10-0382697호
발명의 명칭: 대형 도어용 손잡이 장치
특허등록번호 10-763452호
발명의 명칭: 도어락 장치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76-20658호
일본 공개특허 특개 평10-46876호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이 해당하는 종래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는 그 부품수가 많아,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탄발을 받는 스프링을 억지로 조립함으로 인해 조립의 어려움을 갖는 것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부품수가 적어 조립이 용이함과 동시에 견고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도어의 개폐작용이 정확하며 신속하게 작동되는 도어 쇄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형 도어(10)의 내/외측면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하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 도어록의 잠금봉(래치)을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쇄정장치의 구성으로 도어(10)의 내외측에 대응되게 고정하는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과 상기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외측손잡이(11)(111)와 손잡이고정볼트(11-1)(111-1)로 고정되는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을 가지며, 상기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의 내측에는 상하스터드볼트(129)를 가지며,
상기 상하스터드볼트(129)는 내측고정프레임(20)의 스터드볼트고정볼트(201-1)로 고정되어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이 도어(10) 앞뒤에 고정되며,
상기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에는 도어록(50)을 작동시키는 내/외측작동바(21)(121)를 가지며,
상기 도어록(50)의 잠금봉(래치)(51)은 도어 테두리 밖으로 돌출되게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록(50)이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록고정핀(128)이 외측고정프레임(120)의 좌우양측에 갖는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동프레임(130)의 볼트체결구멍(130-1) 반대편에는 외측작동바결합돌기(132) 및 외측힌지봉(138)이 삽입되는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가 형성된 절결면(133)을 가지며, 상기 절결면(133)의 양측에는 회전저지턱(133-1)(133-2)을 가지며,
상기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에는 외측복귀스프링(137)이 삽입되며,
상기 외측가동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외측작동바(121)는 제1,제2결합구멍(121-1)(121-2)을 가지며,
상기 외측작동바(121)의 제2결합구멍(121-2)에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가 결합되며, 제1결합구멍(121-1)에 볼트(130-2)로 외측작동바고정돌기(132)가 고정되며,
상기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에 삽입되는 외측힌지봉(138)의 양단은 외측가동프레임(130) 밖으로 돌출되며, 외측힌지봉(138)의 양단은 상하힌지봉고정편(123) 및 상하힌지봉고정볼트(124)로 외측고정프레임(120)과 고정되며,
상기 내측가동프레임(30)의 볼트체결구멍(30-1) 반대편에는 내측작동바결합돌기(32) 및 내측힌지봉(38)이 삽입되는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가 형성되는 절결면(33)을 가지며, 상기 절결면(33)의 양측에는 회전저지턱(33-1)(33-2)을 가지며,
상기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에는 내측복귀스프링(37)이 삽입되며, 상기 내측가동프레임(30)에 결합되는 내측작동바(21)는 "ㄱ"자 형상으로 구부려짐과 동시에 제1,제2결합구멍(21-1)(21-2)을 가지며, 상기 내측작동바결합돌기(32)에는 내측작동바(21)의 제2결합구멍(21-2)과 결합하는 부싱(36) 및 고정볼트(30-2)를 가지며, 상기 내측작동바(21)의 제1결합구멍(21-1)에는 내측고정프레임(20)에 상기 내측작동바(21)를 결합하는 내측작동바지지봉(39)을 가지며,
상기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에 삽입되는 내측힌지봉(38)의 양단은 내측가동프레임(30) 밖으로 돌출되며, 내측힌지봉(38)의 양단은 상,하내측힌지봉고정편(23) 및 상하내측힌지봉고정볼트(24)로 내측고정프레임(20)과 고정되며,
상기 내측작동바지지봉(39)의 양단은 지지봉고정편(25) 및 지지봉고정볼트(26)로 내측고정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3은 내/외측작동바(21)(121)가 삽입되는 작동바삽입구멍이며, 55는 도어록고정핀(128)이 체결되는 도어록고정핀체결홈이며, 61은 잠금봉(래치)(51) 안내철편이며, 62는 도어프레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함과 동시에 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10)의 내/외측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는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에는 내/외측손잡이(11)(111)에 손잡이고정볼트(11-1)로 고정되는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을 가지며, 내측손잡이(11)를 밀거나, 외측손잡이(111)를 당길경우, 내/외측손잡이(11)(111)와 일체로 고정된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이 작동하며, 작동하는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에 설치된 내/외측작동바(21)(121)이 이동하여, 도어(10) 내측에 매립설치되는 도어록(50)의 잠금봉(래치)(51)을 후진시켜, 도어프레임(62)에 고정된 도어를 해정작동하며, 개방된 도어(10)는 닫을시 도어 록(50) 내측의 스프링의 힘에 의해 잠금봉(래치)(51)이 작동하여 도어를 괘정하는 도어록 쇄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도어 쇄정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 및 상기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에 결합되어 도어록(50)을 작동하는 내/외측작동바(21)(121) 및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을 복귀시키는 내/외측복귀스프링(37)(137)의 결합 구성을 개량한 것이다.
즉. 손잡이고정볼트(11-1)(111-1) 내/외측손잡이(11)(111)와 고정되는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은 각각의 절결면(33)(133)을 형성하며,
상기 절결면(33)(133)에 각각의 내/외측복귀스프링(37)(137)이 삽입되는 스프링결합돌기(31)(131)을 형성하며, 상기 스프링결합돌기(31)(131)에는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을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에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내/외측힌지봉(38)(138)이 삽입되며,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에 삽입되는 내/외측힌지봉(38)(138)은 그 양단부가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 밖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 밖으로 돌출되는 내/외측힌지봉(38)(138)의 양단부는 내/외측힌지봉고정편(23)(123) 및 내/외측힌지봉고정볼트(24)(124)로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에 고정되어 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절결면(33)(133)에는 내/외측힌지봉(38)(138)및 내/외측복귀스프링(37)(137)이 결합하는 스프링결합돌기(31)(131)와 함께 내/외측작동바결합돌 기(32)(13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측작동바결합돌기(32)에는 "ㄱ"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내측작동바(21)의 제2결합구멍(21-2) 부싱(36) 및 볼트(30-2)로 내측작동바(21)를 결합하게 되며,
상기 내측작동바(21)의 제1결합구멍(21-1)에는 작동바지지봉(39)이삽입되며, 상기 작동바지지봉(39)의 양단은, 지지봉고정편(25) 및지지봉고정볼트(26)로 내측고정프레임(20)에 고정되며, 내측작동바(21)의 제2결합구멍(21-2)은 내측복귀스프링(37)이 삽입되는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 단부와, 내측작동바(21)는,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의 외주면과 맞닿게 접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내측가동프레임(30)에 결합되는 내측작동바(21)는 내측가동프레임(30)의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며,
외측가동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외측작동바(121)는 외측작동바 제1,제2결합구멍(121-1)(121-2)이 외측가동프레임(130)과 일체로 되는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와 일체로 고정됨으로 인해, 외측작동바(121)와 같은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외측작동바결합돌기(132)에는 외측작동바(12)의 제1결합구멍(121-1)이 부싱(136) 및 볼트(130-2)로, 외측작동바(121)를 고정하며, 상기 외측작동바(121)의 제2결합구멍(121-2)은, 외측복귀스프링(137)이 삽입되는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의 단부가, 결합되어 진다.
상기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의 절결면(33)(133)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저지턱(33-1)(33-2) 및 회전저지턱(133-1)(133-2)은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의 내주면과 맞닿아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을 지지하며,회전될 시 회전을 멈추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과 일체로 결합되는 내/외측작동바(21)(121)의 단부는 도어(10) 내측에 매립되는 도어록(50)의 상하작동바삽입구멍(53)으로 각각 삽입되어, 잠금봉(래치)(51)을 후진 작동하여, 도어(10)를 해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어(10) 앞,뒤에 대응하여 부착되는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 중 외측고정프레임(120)에는 상하스터드볼트(129)를 결합하며, 스터드볼트(129)의 반대편은, 내측고정프레임(20)의 스터드볼트삽입홈에 결합된 후 고정볼트(20-1)로, 스터드볼트(129)를 결합할 때, 상기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은 도어(10) 앞,뒤에 고정되어 진다.
또한 외측고정프레임(120)에는 좌우,도어록고정핀(128)이 형성되어, 도어록(50)의 앞,뒤체결홈(55)에 결합되어, 도어록(50)이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 사이의 정위치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내측손잡이(11)에 내측고정프레임(20) 및 내측가동프레임(30)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를 가지며,
외측손잡이(111)에는 외측고정프레임(120) 및 외측가동프레임(130)이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내측고정프레임(20)과 외측고정프레임(120) 사이에 도어록(50)을 결합하고,
스터드볼트고정볼트(20-1)를 내측고정프레임(20)을 통해 스터드볼트(129)와 결합할 시 도어(10) 앞,뒤로 내/외측손잡이(11)(111) 일체로 고정되는 간단한 결합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내/외측손잡이(11)(111) 및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에 결합되는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에 결합되는 내/외측작동바(21)(121)는, 내측손잡이(11) 및 외측손잡이(111)의 밀거나 당김작동에 관계 없이 모두 후진작동하여, 도어록(50)의 잠금봉(래치)(51)을 후진시키는 작동을 수행하게 되며,
내/외측작동바(21)(121)을 결합하는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은 간단한 구조로, 작동바를 결합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되며, 조립된 후에는 견고한 체결구조를 가져 고장의 염려가 없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대형 도어의 밀거나 당김식 도어 손잡이에 적용되어 그 작동이 원활하며 작동이 확실한 도어 쇄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도어 내측에 부착되는 내측 손잡이(11)를 밀경우 내측가동프레임(30)이 내측작동바(21)를 작동하여 도어록(50)의 잠금봉(래치)(51)를 후진시켜 도어(10)를 개방하게 되며,
도어외측손잡이(111)를 잡아 당길경우, 외측가동프레임(130)이 외측작동바(121)를 작동하여 도어록(50)의 잠금봉(래치)(51)을 후진시켜 도어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어록(50)에 삽입되어 잠금봉(래치)(50)을 후진시키는 내/외측작동바(21)(121)는 도어록(50)의 상,하삽입구멍에 각각 삽입되도록, 서로 이격되어지 며, 내/외측작동바(21)(121)는 내/외측손잡이(11)(111)의 당기거나 밀경우 후진하여 도어록(50)을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외측손잡이(11)(111)에 의해 작동하는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은 손잡이(11)(111)의 밀은 압력이나 당김력이 해제될 경우, 내/외측복귀스프링(37)(137)의 탄발력에 의해 내/외측손잡이(11)(111) 원위치로 복귀되어 진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은 종래 대형 도어손잡이 즉 봉 타입의 대형 손잡이의 밀거나, 당김으로 인해 닫혀진 도어를 열음과 동시에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도어를 쇄정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있어 내측 손잡이와 결합되는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있어 내측 고정프레임과 내측 가동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있어 내측 가동프레임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있어 내측 도어손잡이와 도어록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있어 내측 도어손잡이를 밀경우 도어록의 잠금봉이 후진 작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있어 외측 손잡이와 결합되는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있어 외측 고정프레임과 외측 가동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있어 외측 가동프레임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있어 외측 도어손잡이와 도어록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있어 외측 도어손잡이를 밀경우 도어록의 잠금봉이 후진 작동하여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이 도어 앞뒤 동시에 결합된 것을 보인 조립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손잡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도어
11, 111 내/외측손잡이
11-1, 111-1 손잡이고정볼트
20, 120 내/외측고정프레임
20-1 스터드볼트고정볼트
21, 121 내/외측작동바
21-1, 21-2 제1/제2결합구멍
23/123 내/외측힌지봉고정편
24/124 내/외측힌지봉고정볼트
25 지지봉고정편
26 지지봉고정볼트
30, 130 내/외측가동프레임
30-2 고정볼트
31, 131 스프링결합돌기
32, 132 내/외측작동바결합돌기
33, 133 절결면
33-1, 33-2 회전저지턱
37, 137 내/외측복귀스프링
38/138 내/외측힌지봉
39 작동바지지봉
50 도어록
51 잠금봉(래치)
53 작동바삽입구멍
55 도어록고정핀체결홈
121-1, 121-2 제1/제2결합구멍
128 도어록고정핀
129 스터드볼트
133-1, 133-2 회전저지턱

Claims (1)

  1. 대형 도어(10)의 내/외측면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하는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 도어록의 잠금봉(래치)을 작동시켜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 쇄정장치의 구성으로 도어(10)의 내외측에 대응되게 고정하는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과 상기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내/외측손잡이(11)(111)와 손잡이고정볼트(11-1)(111-1)로 고정되는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을 가지며, 상기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의 내측에는 상하스터드볼트(129)를 가지며,
    상기 상하스터드볼트(129)는 내측고정프레임(20)의 스터드볼트고정볼트(201-1)로 고정되어 내/외측고정프레임(20)(120)이 도어(10) 앞뒤에 고정되며,
    상기 내/외측가동프레임(30)(130)에는 도어록(50)을 작동시키는 내/외측작동바(21)(121)를 가지며,
    상기 도어록(50)의 잠금봉(래치)(51)은 도어 테두리 밖으로 돌출되게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록(50)이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도어록고정핀(128)이 외측고정프레임(120)의 좌우양측에 갖는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동프레임(130)의 볼트체결구멍(130-1) 반대편에는 외측작동바결합돌기(132) 및 외측힌지봉(138)이 삽입되는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가 형성된 절결면(133)을 가지며, 상기 절결면(133)의 양측에는 회전저지턱(133-1)(133-2)을 가지며, 상기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에는 외측복귀스프링(137)이 삽입되며,
    상기 외측가동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외측작동바(121)는 제1,제2결합구멍(121-1)(121-2)을 가지며,
    상기 외측작동바(121)의 제2결합구멍(121-2)에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가 결합되며, 제1결합구멍(121-1)에 볼트(130-2)로 외측작동바고정돌기(132)가 고정되며, 상기 외측스프링결합돌기(131)에 삽입되는 외측힌지봉(138)의 양단은 외측가동프레임(130) 밖으로 돌출되며, 외측힌지봉(138)의 양단은 상하힌지봉고정편(123) 및 상하힌지봉고정볼트(124)로 외측고정프레임(120)과 고정되며,
    상기 내측가동프레임(30)의 볼트체결구멍(30-1) 반대편에는 내측작동바결합돌기(32) 및 내측힌지봉(38)이 삽입되는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가 형성되는 절결면(33)을 가지며, 상기 절결면(33)의 양측에는 회전저지턱(33-1)(33-2)을 가지며,
    상기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에는 내측복귀스프링(37)이 삽입되며, 상기 내측가동프레임(30)에 결합되는 내측작동바(21)는 "ㄱ"자 형상으로 구부려짐과 동시에 제1,제2결합구멍(21-1)(21-2)을 가지며, 상기 내측작동바결합돌기(32)에는 내측작동바(21)의 제2결합구멍(21-2)과 결합하는 부싱(36) 및 고정볼트(30-2)를 가지며, 상기 내측작동바(21)의 제1결합구멍(21-1)에는 내측고정프레임(20)에 상기 내측작동바(21)를 결합하는 내측작동바지지봉(39)을 가지며,
    상기 내측스프링결합돌기(31)에 삽입되는 내측힌지봉(38)의 양단은 내측가동프레임(30) 밖으로 돌출되며, 내측힌지봉(38)의 양단은 상,하내측힌지봉고정편(23) 및 상하내측힌지봉고정볼트(24)로 내측고정프레임(20)과 고정되며,
    상기 내측작동바지지봉(39)의 양단은 지지봉고정편(25) 및 지지봉고정볼트(26)로 내측고정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
KR1020080122955A 2008-12-05 2008-12-05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 KR100900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955A KR100900885B1 (ko) 2008-12-05 2008-12-05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955A KR100900885B1 (ko) 2008-12-05 2008-12-05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885B1 true KR100900885B1 (ko) 2009-06-04

Family

ID=4098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955A KR100900885B1 (ko) 2008-12-05 2008-12-05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8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9327Y2 (ko) * 1984-07-02 1990-12-26
JPH1046876A (ja) 1996-07-31 1998-02-17 Alpha Corp 扉用ハンドル装置
KR20020031762A (ko) * 2000-10-24 2002-05-03 윤영순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KR20070092852A (ko) * 2006-03-09 2007-09-14 윤영순 도어 락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9327Y2 (ko) * 1984-07-02 1990-12-26
JPH1046876A (ja) 1996-07-31 1998-02-17 Alpha Corp 扉用ハンドル装置
KR20020031762A (ko) * 2000-10-24 2002-05-03 윤영순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KR20070092852A (ko) * 2006-03-09 2007-09-14 윤영순 도어 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6857B2 (en) Door lock of key-driven transmission structure
JP6279752B2 (ja) バックセットが調整可能なドアズームアップラ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ドアロック装置
JP6073950B2 (ja) 押し引きモーチスロック
KR100927899B1 (ko) 사물함 손잡이
CA2885286A1 (en) A completely recessed door handle provided with lock
KR200451017Y1 (ko) 매립형 가구 손잡이
KR101428686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0900885B1 (ko) 대형 도어용 손잡이의 도어 쇄정장치
RU2413062C2 (ru) Замок для внутренней двери
KR100870835B1 (ko) 손잡이의 중립구조가 마련된 도어 손잡이 모듈
KR20060114840A (ko) 도어락 장치용 백셋 및 이를 이용한 잠금 구조
KR100404748B1 (ko) 레버형 도어록
JP4426477B2 (ja)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KR200452186Y1 (ko) 매립형 창문 잠금장치
KR200459876Y1 (ko) 걸쇠 자동 돌출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20070107293A (ko)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KR101407437B1 (ko) 푸쉬-풀 타입 도어록
KR100875296B1 (ko) 모티스 락용 래치 볼트 및 이를 구비한 모티스 락
KR100970190B1 (ko) 냉장고 잠금장치
KR200448479Y1 (ko) 도어 쇄정 장치
KR200227975Y1 (ko) 레버형 도어록
KR101534108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2318630B1 (ko) 도어록용 래치 어셈블리
KR20100120752A (ko) 전기정 스트라이크
KR102076163B1 (ko) 그립형태를 갖는 무락형 핸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