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190B1 - 냉장고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190B1
KR100970190B1 KR1020100020802A KR20100020802A KR100970190B1 KR 100970190 B1 KR100970190 B1 KR 100970190B1 KR 1020100020802 A KR1020100020802 A KR 1020100020802A KR 20100020802 A KR20100020802 A KR 20100020802A KR 100970190 B1 KR100970190 B1 KR 100970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ing
handle
ba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식
Original Assignee
(주)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성 filed Critical (주)예성
Priority to KR102010002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가 높아 수명을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변형이나 마모에 의한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냉장고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잠금장치는 하우징(21)에 힌지결합되며 양단에는 상기 고정바(23)와 핸들(25)에 걸리는 연장부(26a,26b)가 구비된 회동블록(26)이 구비되어, 핸들(25)을 당기면 상기 회동블록(26)이 회동되면서 고정바(23)를 시이소운동시켜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얇은 판형상의 연결부재(24)를 이용하여 핸들(25)과 고정바(23)를 연결하는 종래의 냉장고 잠금장치에 비해, 강도가 높아 수명이 길고 부품의 마모나 변형 등에 의한 작동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잠금장치{door lock}
본 발명은 강도가 높아 수명을 늘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변형이나 마모에 의한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냉장고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즈가 큰 업소용 냉장고의 도어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도어가 잠금장치에 의해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냉장고 잠금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프레임(A)에 고정된 고정부(10)와,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냉장고의 도어(B)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10)와 결합되는 잠금부(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0)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는 걸쇠(11)가 구비되고, 상기 잠금부(20)는 도어(B)의 전면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걸쇠(11)가 삽입되는 결합홈(22a)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걸림턱(22b)이 형성된 로킹블록(22)과, 상기 로킹블록(2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우징(21)에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가 상기 걸림턱(22b)과 맞물려 로킹블록(22)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바(23)와, 상기 고정바(23)의 후단부에 연결된 연결부재(24)와, 기단부가 상기 하우징(21)의 외부면에 힌지결합되고 선단부는 상기 연결부재(24)와 연결되는 핸들(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와 연결부재(24) 및 핸들(25)은 직선상에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재(24)는 얇은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고정바(23)의 후단부와 핸들(25)의 선단부 양측에 힌지축(24a)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어(B)를 닫으면 상기 로킹블록(22)의 결합홈(22a)에 상기 걸쇠(11)가 끼워진 후 로킹블록(22)이 회전되면서 상기 고정바(23)가 걸림턱(22b)에 맞물려 로킹블록(22)이 고정되어, 도어(B)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핸들(25)을 당기면 상기 연결부재(24)를 통해 상기 고정바(23)를 당겨 회동시키므로, 상기 고정바(23)와 로킹블록(22)의 결합이 해제되어 로킹블록(22)이 회동되며, 이에따라, 상기 로킹블록(22)의 결합홈(22a)에서 걸쇠(11)가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핸들(25)을 당겨 도어(B)를 열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잠금장치는 상기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 및 연결부재(24)가 일렬로 배치되므로, 장치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며 디자인에 제한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4)는 상기 고정바(23)의 후단 양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와 형태에 제한이 따르게 되어 강도를 충분히 높이기 어렵고 장시간 사용시 마모나 변형이 발생되어 이에따른 작동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잠금장치에는 도어(B)의 내측에서 도어(B)를 열 수 있도록 된 보조해제장치(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해제장치(30)는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바(23)의 후단에 연결된 슬라이드패널(31)과, 상기 도어(B)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외측단은 상기 슬라이드패널(31)에 연결되고 내측단은 상기 도어(B)의 내부로 돌출된 연결바(32)와, 상기 연결바(32)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32)를 밀 수 있도록 하는 푸쉬버튼(33)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바(32)의 외측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패널(31)에 형성된 경사면(31a)에 밀착되는 경사블록(32a)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푸쉬버튼(33)을 누르면, 상기 경사면(31a)과 경사블록(32a)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패널(31)이 후퇴되면서 고정바(23)의 후단을 밀어 회동시키므로써, 고정바(23)와 로킹블록(22)의 고정을 해제하여 도어(B)를 열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보조해제장치(30)는 상기 연결바(32)가 상기 슬라이드패널(31)에 연결될 수 있도록 고정장치의 선단부 즉, 상기 로킹블록(22)에 근접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바(32)에 연결된 푸쉬버튼(33)이 도어(B)의 선단부쪽으로 근접되어 도어(B)를 닫으면, 상기 푸쉬버튼(33)이 냉장고의 내부측벽에 근접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푸쉬버튼(33)을 누르려고 할 때 냉장고의 내부측벽에 손이 부딪히는 일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냉장고 잠금장치 이외에, 냉장 또는 냉동창고 등에 설치된 잠금장치에도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도가 높아 수명이 길도 부품의 마모나 변형 등에 의한 작동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냉장고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으로 돌출되는 걸쇠(11)가 구비되어 냉장고의 프레임(A)에 고정된 고정부(10)와,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냉장고의 도어(B)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10)와 결합되는 잠금부(20)로 구성된 냉장고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0)는 도어(B)의 전면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걸쇠(11)가 삽입되는 결합홈(22a)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걸림턱(22b)이 형성된 로킹블록(22)과, 상기 로킹블록(2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우징(21)에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가 상기 걸림턱(22b)과 맞물려 로킹블록(22)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바(23)와, 상기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블록(26)과, 상기 하우징(21)의 외부면에 힌지결합된 핸들(25)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블록(26)은 상기 하우징(21)에 결합되는 회동축(26c)이 구비되고 양단에는 상기 고정바(23)와 핸들(25)에 걸리는 연장부(26a,26b)가 구비되어, 핸들(25)을 당기면 상기 회동블록(26)이 회동되면서 고정바(23)를 시이소운동시켜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 및 핸들(25)은 상호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동블록(26)은 상기 연장부(26a,26b)가 상기 고정바(23) 및 핸들(25)과 교차되도록 고정바(23)와 핸들(25)의 길이방향의 측면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하우징(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하우징(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34a)에 의해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바(23)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회동패널(34)과, 상기 도어(B)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외측단이 상기 고정바(23)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측단은 도어(B)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연결바(35)와, 상기 연결바(35)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35)를 밀 수 있도록 하는 푸쉬버튼(36)을 포함하는 보조해제장치(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잠금장치는 하우징(21)에 힌지결합되며 양단에는 상기 고정바(23)와 핸들(25)에 걸리는 연장부(26a,26b)가 구비된 회동블록(26)이 구비되어, 핸들(25)을 당기면 상기 회동블록(26)이 회동되면서 고정바(23)를 시이소운동시켜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얇은 판형상의 연결부재(24)를 이용하여 핸들(25)과 고정바(23)를 연결하는 종래의 냉장고 잠금장치에 비해, 강도가 높아 수명이 길고 부품의 마모나 변형 등에 의한 작동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잠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잠금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잠금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도면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도면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잠금장치는 도 3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으로 돌출되는 걸쇠(11)가 구비되어 냉장고의 프레임(A)에 고정된 고정부(10)와,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냉장고의 도어(B)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10)와 결합되는 잠금부(20)와, 상기 잠금부(20)에 연결되어 도어(B)의 내부쪽에서 잠금부(2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보조해제장치(30)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잠금부(20)는 도어(B)의 전면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걸쇠(11)가 삽입되는 결합홈(22a)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걸림턱(22b)이 형성된 로킹블록(22)과, 상기 로킹블록(2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우징(21)에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가 상기 걸림턱(22b)과 맞물려 로킹블록(22)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바(23)와, 상기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블록(26)과, 상기 하우징(21)의 외부면에 힌지결합된 핸들(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 및 핸들(25)은 상기 하우징(2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일렬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블록(26)은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23) 및 핸들(25)과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21)에 힌지결합되는 회동축(26c)이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블록(26)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바(23)와 핸들(25)에 걸리는 연장부(26a,26b)가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26a,26b)가 상기 고정바(23) 및 핸들(25)과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고정바(23)와 핸들(25)의 길이방향 측면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26a,26b)중에서 일측의 연장부(26a)는 상기 핸들(25)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홈(25a)에 삽입되고, 타측의 연장부(26b)는 상기 고정바(23)의 내측면에 걸리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닫으면, 상기 고정부(10)의 걸쇠(11)가 로킹블록(22)의 결합홈(22a)에 삽입된 상태로 로킹블록(22)이 회동되어 상기 걸쇠(11)가 상기 결합홈(22a)에서 빠지지 않게 됨과 동시에, 상기 로킹블록(22)의 걸림턱(22b)이 상기 고정바(23)에 걸려 로킹블록(22)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기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핸들(25)을 당기면 도 4의 (b)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오목홈(25a)에 삽입된 연장부(26a)가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회동블록(26)이 회동되고, 이에따라 타측의 연장부(26b)가 고정바(23)의 내측면을 들어올려 시이소운동시켜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의 고정을 해제하고, 이에따라, 상기 걸쇠(11)가 로킹블록(22)의 결합홈(22a)에서 이탈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21a는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면번호 27은 상기 회동블록(26)에 연결된 스프링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핸들(25)이 원래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적으로 회동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해제장치(30)는,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바(23)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회동패널(34)과, 상기 도어(B)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외측단이 상기 고정바(23)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측단은 도어(B)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연결바(35)와, 상기 연결바(35)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35)를 밀 수 있도록 하는 푸쉬버튼(36)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패널(34)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하우징(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하우징(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34a)에 의해 하우징(21)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패널(3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바(23)의 출몰에 따라 상기 힌지축(34a)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 연결바(35)는 상기 도어(B)에 전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공(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외측단이 상기 하우징(21)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패널(34)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푸쉬버튼(36)은 길이가 긴 막대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2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단은 도어(B)의 내측면에 구비된 브라켓(36a)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바(35)의 내측단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푸쉬버튼(36)의 내측면을 누르면 푸쉬버튼(36)이 회동되면서 연결바(35)를 밀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회동패널(34)이 연결바(35)에 의해 밀려 회동되면서 고정바(23)를 밀어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의 결합을 해제하므로써 도어(B)가 열리게 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38은 자바라관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바(35)의 내측단에 결합된 보호관를 도시한 것으로, 냉장고의 냉기가 상기 관통공(1)을 통해 하우징(21)의 내부로 유입되어 잠금부(20)의 각 부부분이 얼어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 잠금장치는 판형상으로 구성된 연결부재를 힌지축(34a)을 이용하여 고정바(23)와 핸들(25)의 양측면에 힌지결합한 종래의 잠금장치와 달리, 상기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블록(26)을 이용하여 고정바(23)와 핸들(25)을 상호 연결하므로, 강도를 향상시켜 수명을 늘이고, 마모 또는 변형에 의해 작동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회동블록(26)은 상기 고정바(23)와 핸들(25)의 길이방향의 측면위치에 상기 고정바(23) 및 핸들(25)과 교차되도록 배치되므로, 장치 전체의 길이를 줄이므로써, 잠금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장치의 배치가 자유로와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해제장치(30)는 하우징(21)의 내부에 길게 배치된 회동패널(34)이 구비되어, 연결바(35)와 푸쉬버튼(36)의 위치를 종래의 고정장치에 비해, 상기 회동패널(34)의 길이만큼 고정장치의 후단부, 즉, 로킹블록(22)이나 도어(B)의 측단부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B)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푸쉬버튼(36)을 누르려고 할 때 냉장고의 내부측벽에 손이 부딪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냉장고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를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구조의 잠금장치는 냉장 또는 냉동창고에 설치되는 잠금장치나 기타 다양한 종류의 잠금장치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A. 프레임 B. 도어
10. 고정부 20. 잠금부
30. 보조해제장치

Claims (3)

  1. 전면으로 돌출되는 걸쇠(11)가 구비되어 냉장고의 프레임(A)에 고정된 고정부(10)와,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냉장고의 도어(B)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10)와 결합되는 잠금부(20)로 구성된 냉장고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20)는 도어(B)의 전면에 고정설치되는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걸쇠(11)가 삽입되는 결합홈(22a)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걸림턱(22b)이 형성된 로킹블록(22)과, 상기 로킹블록(2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우징(21)에 시이소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가 상기 걸림턱(22b)과 맞물려 로킹블록(22)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바(23)와, 상기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블록(26)과, 상기 하우징(21)의 외부면에 힌지결합된 핸들(25)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블록(26)은 상기 하우징(21)에 결합되는 회동축(26c)이 구비되고 양단에는 상기 고정바(23)와 핸들(25)에 걸리는 연장부(26a,26b)가 구비되어, 핸들(25)을 당기면 상기 회동블록(26)이 회동되면서 고정바(23)를 시이소운동시켜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블록(22)과 고정바(23) 및 핸들(25)은 상호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동블록(26)은 상기 연장부(26a,26b)가 상기 고정바(23) 및 핸들(25)과 교차되도록 고정바(23)와 핸들(25)의 길이방향의 측면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하우징(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하우징(2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34a)에 의해 하우징(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바(23)의 하측면에 접촉되는 회동패널(34)과, 상기 도어(B)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외측단이 상기 고정바(23)의 타측에 연결되고 내측단은 도어(B)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연결바(35)와, 상기 연결바(35)의 내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35)를 밀 수 있도록 하는 푸쉬버튼(36)을 포함하는 보조해제장치(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잠금장치.
KR1020100020802A 2010-03-09 2010-03-09 냉장고 잠금장치 KR100970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802A KR100970190B1 (ko) 2010-03-09 2010-03-09 냉장고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802A KR100970190B1 (ko) 2010-03-09 2010-03-09 냉장고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190B1 true KR100970190B1 (ko) 2010-07-14

Family

ID=4264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802A KR100970190B1 (ko) 2010-03-09 2010-03-09 냉장고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1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248B1 (ko) * 2011-07-21 2013-05-27 구관영 냉장 및 냉동고 도어록 장치
KR101267244B1 (ko) 2011-07-21 2013-05-27 구관영 냉장 및 냉동고 도어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594A (ko) * 1993-07-19 1995-02-17 다키모도 히데아끼 도어 로크 핸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594A (ko) * 1993-07-19 1995-02-17 다키모도 히데아끼 도어 로크 핸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248B1 (ko) * 2011-07-21 2013-05-27 구관영 냉장 및 냉동고 도어록 장치
KR101267244B1 (ko) 2011-07-21 2013-05-27 구관영 냉장 및 냉동고 도어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961B2 (en) Exit device
JP6279752B2 (ja) バックセットが調整可能なドアズームアップラ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ドアロック装置
MXPA02007527A (es) Cerradura de entalladura de multiples puntos.
US8641104B1 (en) Latch device with a clutch function
WO2019205654A1 (zh) 空调室外机及其外壳
AU2013320162A1 (en) A completely recessed door handle provided with lock
WO2013044665A1 (zh) 适用大型容器的锁定系统
KR100970190B1 (ko) 냉장고 잠금장치
KR101428686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핸들장치
KR101467285B1 (ko) 래치볼트의 고정구조체
JP2009197538A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20140265371A1 (en) Handle Assembly
KR200475425Y1 (ko) 래치식 평면핸들장치
JP6523752B2 (ja) ハンドル装置
JP4100699B2 (ja) 平面ハンドル装置のオートロック転換用組立部品
CN109577764A (zh) 应用于弹性转动门钩的门锁
KR200459876Y1 (ko) 걸쇠 자동 돌출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US2655027A (en) Door latch
JP2006225904A (ja) 開放支援機構付き鎌錠および建具
JP2009197492A (ja) 防火ドア
KR100811246B1 (ko) 디지털도어록용 잠금장치
JP5296576B2 (ja) 門扉の係止装置および門扉
KR101297721B1 (ko) 냉장고
KR200342341Y1 (ko) 소화전함 도어용 개폐장치의 잠금구 구조
KR101789685B1 (ko) 래치볼트 분리형 도어락 모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