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005B1 - 현관문용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현관문용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005B1
KR100310005B1 KR1019990015547A KR19990015547A KR100310005B1 KR 100310005 B1 KR100310005 B1 KR 100310005B1 KR 1019990015547 A KR1019990015547 A KR 1019990015547A KR 19990015547 A KR19990015547 A KR 19990015547A KR 100310005 B1 KR100310005 B1 KR 10031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plate
members
flow
press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599A (ko
Inventor
전병화
Original Assignee
전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화 filed Critical 전병화
Priority to KR1019990015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000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00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손잡이를 출입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현관문을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하여 주는 현관문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외측에 각각 최소한의 내,외측 누름부재만을 갖추어서 현관문에 이미 형성된 조립구멍을 통하여 잠금장치의 보조잠금구를 개폐동작시켜 주도록 구성하여서, 불필요한 구성부품수를 감축시켜 줌은 물론이고, 작업현장에서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설치할 때의 작업량 및 작업시간을 감축시켜 주며, 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모든 현관문에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발명의 기술구성은 현관문(300)의 내외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설되는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와,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그 일단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과,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의 끝단에 각기 고정되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외측 손잡이(30a, 30b)로 구성하여,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 중 서로 반대쪽의 내,외측 누름부재(20a,20b)에 의하여 간섭되어 유동되도록 내,외측 작동부재(40a,40b)를 각각 결착하되,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 40b)의 자유단이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내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절곡 연장시켜서, 그 각각의 내,외측 작동부재(40a,40b)가 서로 마주하여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현관문용 핸들장치{A Handle for a Front Door}
본발명은 현관문에 장착되어서 출입시에 사용되는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를 출입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현관문을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게하여 주는 현관문용 핸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현관문은 키박스와 노브를 가지는 도어실린더와, 그 도어실린더와 협동하는 주잠금구 및 보조잠금구를 가지는 2중의 잠금장치를 갖추어서, 평상시에 실내외에서 도어실린더를 회전시키면 잠금장치의 보조잠금구가 잠겨지거나 해지되어서 출입자가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야간이나 외출시에는 도어실린더의 키박스 또는 노브를 조작하면 잠금장치의 주잠금구가 잠겨서 외부인의 무단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설비되었다.
이와 같이 현관문에 설치되는 도어실린더는 출입자가 실내외에서 그 도어실린더를 회전시켜서 잠금장치의 보조잠금구가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제공되었기 때문에, 출입자가 도어실린더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 무리한 힘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악력이 약한 노약자의 경우에는 도어실린더를 회전시킬 만큼의 힘을 주기가 어려워 현관문을 출입하는 데 커다란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도어실린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현관문용 핸들장치는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현관문의 내외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설되는 내,외측 플레이트(110a,110b)와,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10a,110b)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일단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내,외측 누름부재(120a,120b)들과,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120a,120b)들의 끝단에 연결되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외측 손잡이(130a,130b)와,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120a,120b)들에 의하여 간섭되어서 유동되면서 장금장치(200)의 보조잠금구(210)가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단속하여 주는 내,외측 작동부재(140a,140b)들로 구성되어, 출입자가 현관문(300)을 보다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즉, 이 현관문용 핸들장치는 내측 손잡이(130a)를 밀거나 외측 손잡이(130b)를 당기면 내,외측 플레이트(110a,110b)의 상하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내,외측 누름부재(120a,120b)들이 지렛대의 원리로 눌려지게 되고, 눌려지는 내,외측 누름부재(120a,120b)들에 의하여 유동되는 내,외측 작동부재(140a,140b)로서 장금장치(200)의 보조잠금구(210)가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동작시켜 주기 때문에, 출입자가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현관문을 개폐시켜서 출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내,외측 플레이트(110a,110b)의 상하부에 각각 탄력적으로 배설되는 내,외측 누름부재(120a,120b)들에 대하여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착되어 있는 내,외측 작동부재(140a,140b)들 중 어느 한쪽의 내,외측 작동부재(140a,140b)만이 선택되어서 현관문(300)에 이미 뚫어져 있는 조립구멍(310)을 통하여 장금장치(200)의 보조잠금구(210)와 연결되도록 조립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실제로 내,외측 작동부재(140a,140b)들 중 어느 한쪽의 내,외측 작동부재(140a,140b)는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불필요한 구성부품수를 증가시켜서 현관문용 핸들장치의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현관문(30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현관문(300)에 뚫어져 있는 조립구멍(310) 이외에, 작업현장에서 상부 및 하부에 배설된 내,외측 작동부재(140a,140b)에 맞추어서 현관문(300)에 또 다른 조립구멍(320)을 뚫어야 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작업현장에서 조립구멍을 뚫는 작업이 가능한 알루미늄재 현관문의 경우에는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설치할 때에 작업량과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작업현장에서 조립구멍을 뚫는 작업이 불가능한 철재 현관문의 경우에는 아에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설치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내외측에 각각 최소한의 내,외측 누름부재만으로 현관문에 형성된 조립구멍을 통하여 잠금장치의 보조잠금구를 개폐동작시켜 주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불필요한 구성부품수를 감축시켜서 보다 저렴한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둘째 작업현장에서 별도의 조립구멍을 뚫는 작업을 배제시켜서 설치작업을 보다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하여 주는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셋째 현관문 자체의 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모든 현관문에 설치가능한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2는 본발명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는 본발명 현관문용 핸들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 정면도
도4는 본발명 현관문용 핸들장치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일부절결 평면도
도5는 본발명 다른실시예의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평면도로서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내,외측 플레이트 11a,11b: 구획턱부
12a,12b: 조립홈부 13a,13b: 장공
20a,20b: 내,외측 누름부재 21a,21b: 계지블록
22a,22b: 접지돌부 23a,23b: 유동핀
24a,24b: 제1고정핀 25a,25b: 유동판
26a,26b: 판스프링 27a,27b: 연결판
30a,30b: 내,외측 손잡이 40a,40b: 내,외측 작동부재
41a,41b: 제2고정핀 41a,41b: 돌편
50a,50b: 하우징 60: 노브
70: 키박스 61,71: 작동레버
본발명의 현관문용 핸들장치는 도2 및 도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현관문(300)의 내외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설되는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와,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그 일단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과,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의 끝단에 각기 고정되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외측 손잡이(30a, 30b)로 구성하고,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 중 서로 반대쪽의 내,외측 누름부재(20a,20b)에 의하여 간섭되어 유동되도록 내,외측 작동부재(40a,40b)를 각각 결착하되,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 40b)의 자유단이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내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절곡 연장시켜서, 그 각각의 내,외측 작동부재(40a,40b)가 서로 마주하여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발명은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외측 작동부재(40a,40b)가 서로 반대쪽 내,외측 누름부재(20a,20b)에 의하여 간섭되어유동되도록 하고, 그 내,외측 작동부재(40a,40b)들의 자유단이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내면 중앙부에 집중되어서 현관문(300)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구멍(310)을 통하여 잠금장치(200)의 보조잠금구(210)가 잠겨지거나 해지되도록 동작시켜 줌으로써, 첫째 잠금장치의 보조잠금구를 개폐동작시키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내,외측 작동부재만을 갖추어서 현관문용 핸들장치의 불필요한 구성부품수를 감축시켜 주며,
둘째 현관문에 뚫어져 있는 조립구멍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하게 되므로 작업현장에서 현관문에 별도의 조립구멍을 뚫는 작업을 생략시켜서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설치할 때에 소요되는 작업량 및 작업시간을 감축시켜 주며,
셋째 현관문에 별도의 조립구멍을 뚫지않고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알루미늄재 현관문은 물론이고, 작업현장에서 구멍을 뚫기 어려운 철재 현관문에도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설치하여서 사용할 수 있게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10a), 내측 누름부재(20a), 내측 손잡이(30a), 내측 작동부재(40a)를 1개조로하여 현관문(300)의 내측에 조립 설치되고, 상기 외측 플레이트(10b), 외측 누름부재(20b), 외측 손잡이(30b), 외측 작동부재(40b)를 1개조로하여 현관문(300)의 외측에 대향되도록 조립 설치된다. 본발명에서는 설명을 위한 편의상 내,외측 플레이트(10a,10b)·내,외측누름부재(20a,20b)·내,외측 손잡이(30a, 30b)·내,외측 작동부재(40a,40b)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내,외측 플레이트(10a,10b)는 현관문(300)의 내외측에 접지 고정되어서 각 구성부를 지탱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상하부 해당위치에 돌출되어서 일단이 트여지게 구획되는 구획턱부(11a,11b)를 두고, 그 구획턱부(11a,11b)로부터 내부로 요입되는 조립홈부(12a,12b)들을 형성하여서,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상하부에 형성된 조립홈부(12a,12b)에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이 각각 조립 설치되도록 한다.
또,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상하부에 위치한 조립홈부(12a,12b)들 중 서로 반대방향 어느 한쪽의 조립홈부(12a,12b)에 장공(13a,13b)을 각각 형성하여서,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에 의하여 간섭되도록 결착되는 내,외측 작동부재(40a,40b)가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조립홈부(12a,12b)에 형성되는 장공(13a,13b)을 통하여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 내측 중앙에 서로 마주하여 대향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10a)의 하부에 위치한 조립홈부(12a)에 장공(13a)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 플레이트(10b)의 상부에 위치한 조립홈부(12b)에 장공(13b)을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은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와 내,외측 손잡이(30a,30b)를 연계시켜 주도록 배설되어서, 상기 내,외측 손잡이(30a,30b)의 눌림작용력으로 눌려져서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40b)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의 일측단부는 상기 내,외측플레이트(10a,10b)의 조립홈부(12a,12b)내에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40b)를 간섭하도록 결착시키고, 그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의 타측단부는 상기 내,외측 손잡이(30a,30b)에 각각 고정시켜서 설치되도록 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은 그 각각의 일측단부에 일체로 돌출되어 내측 중앙에 접지돌부(22a,22b)를 가지는 계지블록(21a,21b)을 형성하고, 상기 계지블록(21a,21b)를 가로질러서 일정한 유격을 두고 끼워져서 유동되는 유동핀(23a,23b) 및 제1고정핀(24a,24b)에 결착되는 유동판(25a,25b)을 가지며, 그 유동판(25a,25b)이 상기 계지블록(21a,21b) 내측의 접지돌부(22a,22b)에 자유곡선형의 판스프링(26a,26b)으로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지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은 그 각각의 유동판(25a, 25b)을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조립홈부(12a,12b) 바닥에 접지시키고 관통되는 체결볼트로서 체결 고정시켜서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은 그 각각의 내측 누름부재(20a)들과 외측 누름부재(20b)들의 타측단부를 일연체로서 연이어주는 연결판(27a,27b)을 가져서,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이 연결판(27a,27b)을 통하여 상기 내,외측 손잡이(30a,30b)에 각각 고정시켜서, 내,외측 손잡이(30a,30b)의 작용력에 의하여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이 각각 일시에 누름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은 상기 내측 손잡이(30a)를 밀거나 외측 손잡이(30b)를 당기는 힘에 의하여 눌려지고, 상기 내,외측 손잡이(30a,30b)를 놓으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20a,20b)를 간섭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내,외측 손잡이(30a,30b)는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의 끝단에 고정되어서, 그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과 협동하여 지렛대의 원리로서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40b)를 유동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내,외측 손잡이(30a,30b)는 봉형상으로서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 각각의 끝단에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하여서, 실내외를 출입하고자 하는 출입자가 현관문(300)을 개폐시킬 때에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내,외측 작동부재(40a,40b)는 상기 내,외측 손잡이(30a,30b)에 의하여 가해지는 작용력에 의하여 눌려지는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로서 간섭되어서 잠금장치(200)의 보조잠금구(210)를 개폐동작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40b)는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 중 서로 반대쪽의 내,외측 누름부재(20a,20b)에 의하여 간섭되어 유동되도록 내,외측 작동부재(40a,40b)를 각각 결착하되,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 40b)의 자유단이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내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절곡 연장시켜서, 그 각각의 내,외측 작동부재(40a,40b)가 서로 마주하여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 40b)의 작용점을 한 곳에 집중시켜서 그 내,외측 작동부재(40a,40b)의 자유단이 현관문(300)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구멍(310)에 맞추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내측 작동부재(40a)는 그 일단이 상기 내측 누름부재(20a)의 유동판(25a) 내에 계지블록(21a)을 가로질러 끼워지는 제2고정핀(41a)을 힌지점으로하여 유동핀(23a)에 중첩되게 결착시켜서 상기 유동판(25a)에 의하여 유동되도록 하되, 그 내측 작동부재(40a)의 자유단을 상기 내측 플레이트(10a)의 장공(13a)을 통하여 절곡 연장시켜서 그 내측 플레이트(10a) 내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외측 작동부재(40b)는 그 일단이 상기 외측 누름부재(20b)의 유동판(25b) 내에 계지블록(21b)을 가로지르는 제2고정핀(41b)을 힌지점으로하여 유동핀(23b)에 중첩되게 결착시켜서 상기 유동판(25b)에 의하여 유동되도록 하되, 그 외측 작동부재(40b)의 자유단을 상기 외측 플레이트(10b)의 장공(13b)을 통하여 절곡 연장시켜서 그 외측 플레이트(10b) 내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하여, 상기 내측 누름부재(20a)와 외측 누름부재(20b)가 서로 반대반향으로 마주하도록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40b)의 자유단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돌편(42a,42b)를 가져서, 그 내,외측 작동부재(40a,40b)의 돌편(42a,42b)들이 현관문(300)의 내외측에서 조립구멍(310)을 통하여 잠금장치(200)의 보조잠금구(210)가 잠겨지거나 해지시켜 주도록 동작되는 연동부재(212)에 결합되도록 조립하여서 된다.
한편, 도5는 본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 10b)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각각 결합공이 뚫어지는 하우징(50a,50b)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측 플레이트(10a)의 하우징(50a)내에 작동레버(61)를 가지는 노브(60)를 설치하되, 대향되는 외측 플레이트(10b)의 하우징(50b)내에 작동레버(71)를 가지는 키박스(7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하우징(50a,50b)에 각각 결착되는 노브(60)와, 상기 키박스(70)의 작동레버(61,71)가 현관문(300)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구멍(310)의 내외측에서 끼워져서 잠금장치(200)의 주잠금구(220)를 개폐단속하는 회동부재(211)에 결착되도록 조립하여, 실내외에서 상기 노브(60) 또는 키박스(70)를 조작하면 회동되는 회동부재(211)에 의하여 잠금장치(200)의 주잠금구(220)가 잠겨지거나 해지되게 하여서, 야간이나 외출시에 현관문(300)을 잠가두어 외부인의 무단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내외측에 각각 최소한의 내,외측 누름부재만을 갖추고 그 내,외측 누름부재들이 작용점이 한 곳에 집중되도록 하여서, 불필요한 구성부품수를 감축시켜 줌은 물론이고, 작업현장에서 현관문용 핸들장치를 설치할 때의 작업량 및 작업시간을 감축시켜 주며, 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모든 현관문에 설치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현관문(300)의 내외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설되는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와,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그 일단이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과,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의 끝단에 각기 고정되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외측 손잡이(30a, 30b)로 구성하여,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 중 서로 반대쪽의 내,외측 누름부재(20a,20b)에 의하여 간섭되어 유동되도록 내,외측 작동부재(40a,40b)를 각각 결착하되,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 40b)의 자유단이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내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절곡 연장시켜서, 그 각각의 내,외측 작동부재(40a,40b)가 서로 마주하여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핸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누름부재(20a,20b)들은 그 각각의 일측단부에 일체로 돌출되어 내측 중앙에 접지돌부(22a,22b)를 가지는 계지블록(21a,21b)을 형성하고, 상기 계지블록(21a,21b)를 가로질러서 일정한 유격을 두고 끼워져서 유동되는 유동핀(23a,23b) 및 제1고정핀(24a,24b)에 결착되는 유동판(25a,25b)을 가지며, 그 유동판(25a,25b)이 상기 계지블록(21a,21b) 내측의 접지돌부(22a,22b)에 자유곡선형의 판스프링(26a,26b)으로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핸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작동부재(40a)는 그 일단이 상기 내측 누름부재(20a)의 유동판(25a) 내에 계지블록(21a)을 가로질러 끼워지는 제2고정핀(41a)을 힌지점으로하여 유동핀(23a)에 중첩되게 결착시켜서 상기 유동판(25a)에 의하여 유동되도록 하되, 그 내측 작동부재(40a)의 자유단을 상기 내측 플레이트(10a)의 장공(13a)을 통하여 절곡 연장시켜서 그 내측 플레이트(10a) 내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외측 작동부재(40b)는 그 일단이 상기 외측 누름부재(20b)의 유동판(25b) 내에 계지블록(21b)을 가로지르는 제2고정핀(41b)을 힌지점으로하여 유동핀(23b)에 중첩되게 결착시켜서 상기 유동판(25b)에 의하여 유동되도록 하되, 그 외측 작동부재(40b)의 자유단을 상기 외측 플레이트(10b)의 장공(13b)을 통하여 절곡 연장시켜서 그 외측 플레이트(10b) 내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하여, 상기 내측 누름부재(20a)와 외측 누름부재(20b)가 서로 반대반향으로 마주하도록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핸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작동부재(40a,40b)의 자유단에는 직각으로 절곡되어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돌편(42a,42b)를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핸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각각 결합공이 뚫어지는 하우징(50a,50b)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내측 플레이트(10a)의 하우징(50a)내에 작동레버(61)를 가지는 노브(60)를 설치하되, 대향되는 외측 플레이트(10b)의 하우징(50b)내에 작동레버(71)를 가지는 키박스(70)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용 핸들장치.
KR1019990015547A 1999-04-30 1999-04-30 현관문용 핸들장치 KR10031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547A KR100310005B1 (ko) 1999-04-30 1999-04-30 현관문용 핸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547A KR100310005B1 (ko) 1999-04-30 1999-04-30 현관문용 핸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599A KR20000067599A (ko) 2000-11-25
KR100310005B1 true KR100310005B1 (ko) 2001-11-02

Family

ID=1958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547A KR100310005B1 (ko) 1999-04-30 1999-04-30 현관문용 핸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00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697B1 (ko) * 2000-10-24 2003-05-01 윤영순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KR100414361B1 (ko) * 2000-09-28 2004-01-13 윤영순 도어 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361B1 (ko) * 2000-09-28 2004-01-13 윤영순 도어 록 장치
KR100382697B1 (ko) * 2000-10-24 2003-05-01 윤영순 대형도어용 손잡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599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176B1 (ko) 원터치형 도어록
US20100251786A1 (en) Door Lock of Key-Driven Transmission Structure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US5653134A (en) Magnetic card key-operated locking device
US5412960A (en) Lock structure
JPH07116874B2 (ja) シリンダ状ロックアセンブリ
US5593193A (en) Thumb actuated latch retracting mechanism for grip handle locks including integral installation gripping aid
KR20060133938A (ko)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버튼
KR100310005B1 (ko) 현관문용 핸들장치
KR101370517B1 (ko) 푸쉬-풀 도어락의 강제해정 방지 구조체
KR100345376B1 (ko) 현관문용 핸들장치
TWI673421B (zh) 具多功能模組更換之鎖閘結構
KR20060003463A (ko) 출입문용 잠금장치
RU2186184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ей жилых домов
KR200238414Y1 (ko) 도어록 몸체 고정장치
KR101941589B1 (ko) 레버 타입 dls 창호용 손잡이
KR20020023102A (ko) 문용 2중자물쇠
KR100310006B1 (ko) 현관문용 잠금장치
KR200205795Y1 (ko) 도어용 로킹장치
RU2245978C2 (ru) Дверь
RU2027834C1 (ru) Дверная защелка
KR200178635Y1 (ko) 캐비넷의 비돌출형 도어핸들 장치
JP3481873B2 (ja) ロッド棒ロック装置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KR200373366Y1 (ko) 자성체를 이용한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