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972Y1 -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972Y1
KR200217972Y1 KR2020000025959U KR20000025959U KR200217972Y1 KR 200217972 Y1 KR200217972 Y1 KR 200217972Y1 KR 2020000025959 U KR2020000025959 U KR 2020000025959U KR 20000025959 U KR20000025959 U KR 20000025959U KR 200217972 Y1 KR200217972 Y1 KR 200217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witchgear
opening
closing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흥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흥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흥전기
Priority to KR2020000025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9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반 또는 분전반, MCC, 전화 단자함, 휴즈박스, 케비넷 등의 도어를 열고 닫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전반에 설치된 걸림쇠와 착탈되는 작동구의 일측에 레버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를 원터치방식으로 동작하여 도어를 열고 닫는 간편한 구조의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SWITCHGEAR OF SWITCHBOARD DOOR}
본 고안은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배전반의 걸림쇠와 착탈되는 작동구의 레버를 원터치방식으로 동작시키는 편리한 구조의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전반 또는 분전반, 엠씨씨(MCC: Motor Control Center), 전화 단자함, 휴즈박스, 케비넷 등(이하, '배전반'이라 함)에 일측부가 경첩으로 결합되어 측방으로 열고 닫는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를 동작시키는 손잡이가 일측부에 설치되거나 자물쇠 등의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손잡이가 파손되거나 자물쇠의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수리보수가 난해하여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예상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터치로 동작되는 간단한 구조의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며 파손 시, 교체 및 수리보수가 용이한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의 중간부를 수평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의 중간부를 수평으로 절개하여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작동구 12: 걸림턱
16: 레버 17: 핀
18: 스프링 19: 탄접부
20: 몸체 22: 결합공간부
26: 가이드 28: 안내홈
30: 체결구 34: 돌출턱
36: 가이드 38: 스토퍼
100: 배전반 102: 걸림쇠
110: 도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배전반(100)의 도어(110)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작동구(10)의 일측으로 걸림턱(12)이 형성되어 걸림쇠(102)와 결착되고, 타측에는 레버(16)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10)와 핀(17)으로 결합되어 구간회전을 지지하는 몸체(20)와 체결구(30)가 결합되어 상기 도어(110)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구(10)에는 요입홈(13)이 형성되어 탄접부(19)가 형성된 스프링(18)이 상기 핀(17)과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는 배전반(100)은 일측이 도어(110)의 일측과 경첩(104)으로 결합되어 측방으로 개방가능하게 구성된 상기 도어(110)의 타측부에 설치된다. 상기 배전반(100)의 일측 전방에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일측 끝단이 내측으로 한번 더 절곡되어 형성된 걸림턱(102)이 중간부에 하나 또는 상하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개방구에 작동구(10)가 체결된 몸체(20)의 가이드(26)가 삽입되어 접촉면(24)이 상기 도어(110)의 외면과 접한다. 상기 도어(110)의 내면에는 체결구(30)이 결합되어 도어(110)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작동구(10)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스프링(18)이 결합되는 요입홈(13)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3)과 연결되는 지지홈(11)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18)의 일측 끝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18)의 타측 끝단부가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탄접부(19)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10)의 일측부가 돌출되어져 일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의 일측이 각지게 고리형상을 이루는 걸림턱(12)이 형성되어 배전반(100)의 걸림쇠(102)와 결합된다. 또한, 타측은 외측방으로 경사지게 레버(16)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10)의 중앙부 일측에 오목하게 요입부(14)가 형성되어 체결구(30)의 스토퍼(38)를 수용한다.
상기 몸체(20)는 중앙부에는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결합공간부(22)가 형성되어 'ㄷ'형상을 이루며, 일측면이 도어(110)의 외면과 접하도록 평활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24)에는 가이드(26)가 양측으로 돌축되어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26)의 외측면에는 오목하게 연속적으로 안내홈(28)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28)의 중간부에는 구멍(29)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구(10)는 요입홈(13)에 스프링(18)이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18)의 하단에 와셔(15)가 구비되어 핀(17)으로 체결되어져 상기 몸체(20)의 구멍(29)에 결합된다.
체결구(30)는 중앙부에 공간부(32)가 형성되어 일측으로 개방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30)의 양측부에는 가이드(36)가 수직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30)의 중간부에는 스토퍼(38)가 공간부(32)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의 중간부를 수평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30)에 형성된 공간부(32)에 가이드(26)를 수용하며, 상기 가이드(26)의 외측에 형성된 안내홈(28)을 따라 돌출턱(36)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몸체(20)의 접촉면(24)이 도어(110)의 외면에 접하며, 상기 체결구(30)가 도어(110)의 내면과 접하도록 상기 몸체(20)와 결합되어 도어(11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어(110)를 닫으면 상기 걸림턱(12)이 걸림쇠(102)에 결착되고, 일측이 지지홈(11)에 삽입된 스프링(18)의 탄접부(19)가 걸림쇠(102)와 탄접되어져 스프링(18)이 감기면서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걸림턱(1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의 중간부를 수평으로 절개하여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 작동구(10)의 레버(16)를 손끝으로 당기면 핀(17)을 중심축으로 걸림턱(12)가 걸림쇠(102)로부터 이탈되고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도어(11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는 간단한 구조의 원터치 방식으로 동작하여 실용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파손 시, 분리가 용이하며 부품의 일부만을 교체 가능하여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배전반(100)의 도어(110)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작동구(10)의 일측으로 걸림턱(12)이 형성되어 걸림쇠(102)와 결착되고, 타측에는 레버(16)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10)와 핀(17)으로 결합되어 구간회전을 지지하는 몸체(20)와 체결구(30)가 결합되어 상기 도어(110)에 설치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10)에는 요입홈(13)이 형성되어 탄접부(19)가 형성된 스프링(18)이 상기 핀(17)과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KR2020000025959U 2000-09-15 2000-09-15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KR200217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59U KR200217972Y1 (ko) 2000-09-15 2000-09-15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59U KR200217972Y1 (ko) 2000-09-15 2000-09-15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972Y1 true KR200217972Y1 (ko) 2001-03-15

Family

ID=73088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959U KR200217972Y1 (ko) 2000-09-15 2000-09-15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9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5856B1 (en) Key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20020084149A (ko) 콘센트
US6452125B1 (en) Switch with an override interruption structure
US20070029178A1 (en) Interlock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nect switches
KR200217972Y1 (ko)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KR20060086655A (ko) 밀폐형 도어핸들의 결합구조
US4305610A (en) Defeatable interlock for fuse access door
US20030143880A1 (en) Built-in device and system for masking an accessory, in particular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related electrical equipment
KR100463605B1 (ko) 주택용 분전반
US6710270B2 (en) Switch
KR20020043065A (ko) 휴대폰 힌지장치
KR100534334B1 (ko) 버스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200419667Y1 (ko) 밀폐용 도어핸들 잠금장치
JPH10108310A (ja) ヒンジ装置、扉装置および分電盤
KR200217971Y1 (ko) 배전반의 개폐장치
KR200203653Y1 (ko) 창문 자동 잠금장치
KR200345029Y1 (ko) 안전도어 개폐장치
KR200148201Y1 (ko)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200208963Y1 (ko) 밀폐용 도어핸들
JPH09298809A (ja) 扉の保持構造
RU2435510C2 (ru) Ручной миксер с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й защелкой
KR200146377Y1 (ko) 도아용 평핸들장치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900001231Y1 (ko) 가전제품 문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