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971Y1 - 배전반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971Y1
KR200217971Y1 KR2020000025958U KR20000025958U KR200217971Y1 KR 200217971 Y1 KR200217971 Y1 KR 200217971Y1 KR 2020000025958 U KR2020000025958 U KR 2020000025958U KR 20000025958 U KR20000025958 U KR 20000025958U KR 200217971 Y1 KR200217971 Y1 KR 200217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gear
opening
coupled
doo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흥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흥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흥전기
Priority to KR2020000025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9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9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52Other locks for chests, boxes, trunks, baskets, travelling ba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05Y2999/00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반 또는 분전반, MCC, 전화 단자함, 휴즈박스, 케비넷 등의 도어를 열고 닫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조작이 용이한 배전반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반의 개폐장치{SWITCHBOARD SWITCHGEAR}
본 고안은 배전반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도어의 일측에 잠금레버와 결합된 키실린더가 몸체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키실린더에 작동키가 삽입되어 도어를 열고 닫는 배전반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전반 또는 분전반, 엠씨씨(MCC: Motor Control Center), 전화 단자함, 휴즈박스, 케비넷 등(이하 '배전반'이라 함)에 일측부가 경첩으로 결합되어 측방으로 열고 닫는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를 동작시키는 손잡이가 설치되거나 자물쇠 등의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손잡이가 파손되거나 자물쇠의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수리보수가 난해하여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예상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고 구성으로 견고한 구조의 배전반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개폐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2: 삽입구
14: 돌출부 16: 경사면
20: 키실린더 22: 삽입구
25: 오링 26: 단턱부
30: 작동키 32: 결합봉
36: 결합턱 38: 작동레버
40: 절곡판 44: 스토퍼
50: 잠금레버 52: 다각구멍
100: 배전반 110: 도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배전반(100)의 내부 일측에는 걸림판(102)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배전반(100)과 힌지로 결합된 도어(110)의 타측부에는 개방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112)에 설치되어 도어(110)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양측으로 키홈(23)이 형성된 요입홈(22)가 키실린더(20)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출단(28)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돌출부(14)가 형성된 몸체(10)의 중앙부에는 삽입구(12)가 형성되어 상기 키실린더(20)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도어(110)의 개방구(112)에 삽입되어 절곡판(40)이 결합되며, 상기 절곡판(40)의 일측에는 잠금레버(50)의 일측에 형성된 다각구멍(52)이 상기 둘출단(28)과 결합되어 체결되며, 상기 작동키(30)는 전방 양측으로 결합턱(36)이 형성된 결합봉(32)이 설치되고, 원주면의 일측으로 작동레버(38)가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개폐장치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전반(100)의 일측이 힌지로 결합되어 일측방으로 개방 가능하게 도어(11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10)에는 키실린더(20)가 결합된 몸체(10)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10)의 타측으로 절곡판(40)이 결합되고, 상기 절곡판(40)의 일측으로 잠금레버(50)가 결합된다. 상기 키실린더(20)에는 작동키(30)가 삽입되어 상기 잡금레버(50)를 구간회전시켜 걸림판(112)과 분리시키며 상기 도어(110)를 개방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개폐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돌출부(14)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삽입구(12)가 형성되어 키실린더(20)가 삽입된다. 상기 몸체(10)의 일측이 경사면(16)을 형성하여 손가락이 걸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키실린더(20)는 일측에 형성된 요입홈(22)의 양측으로 사각의 키홈(23)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22)의 중앙에는 돌출봉(24)이 형성된다. 상기 키실린더(20)의 타측에는 단턱(26)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26)의 일측으로 다각의 바람직하게는, 사각의 돌출단(28)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28)의 중앙에는 나사부(29)가 형성된다. 상기 키실린더(20)의 원주면의 테투리를 이루는 홈(21)이 형성되어 오링(25)이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14)의 외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판(40)이 결합된다. 상기 절곡판(40)은 중단에 구멍(46)이 형성되고, 양단에는 절곡면의 내측으로 절곡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42)의 내측이 상기 돌출부(14)와 내접하여 상기 절곡판(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절곡부(42)의 양측에는 절곡면의 외측으로 대칭되게 절곡되어 형성된 스토퍼(44)가 잠금레버(50)의 양측에서 구간 회전 가능하게 정지시킨다.
상기 작동키(30)의 원주면의 일측으로 작동레버(38)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키(30)의 축방향으로 돌설된 결합봉(3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봉(32)의 양측 원주면에는 사각의 결합턱(3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봉(32)의 중앙부에는 삽입구(34)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키(30)의 결합봉(32)이 요입홈(22)에 삽입되고, 동시에 결합턱(36)이 상기 키홈(23)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봉(24)이 삽입구(34)에 삽입된다.
도 3은 도 1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개폐장치는 상기 오링(25)이 결합된 키실린더(20)가 몸체(10)의 삽입구(12)에 삽입된다. 상기 몸체(10)는 도어(110)의 개방구(112)에 삽입된다. 상기 돌출부(14)에 절곡판(14)이 결합되며, 상기 절곡판(40)의 양측 절곡부의 끝단이 도어(110)의 내면과 접하며 고정되고, 상기 절곡판(40)의 일측으로 잠금레버(50)의 다각구멍(52)이 돌출단(28)과 결합되고 와셔 내지는 스프링와셔 등이 결합되어 상기 나사부(29)에 나사로 체결된다.
상기 작동키(30)를 키실린더(20)에 삽입하고 구간 회전시켜 잠금레버(50)를 걸림판(102)으로부터 탄리시키고, 상기 몸체(10)의 경사면(16)에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도어(110)를 개방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전반의 개폐장치는 견고하고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비용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배전반(100)의 내부 일측에는 걸림판(102)이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단자함(100)과 힌지로 결합된 도어(110)의 타측부에는 개방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구(112)에 설치되어 도어(110)를 개폐하는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양측으로 키홈(23)이 형성된 요입홈(22)가 키실린더(20)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돌출단(28)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돌출부(14)가 형성된 몸체(10)의 중앙부에는 삽입구(12)가 형성되어 상기 키실린더(20)가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도어(110)의 개방구(112)에 삽입되어 절곡판(40)이 결합되며;
    상기 절곡판(40)의 일측에는 잠금레버(50)의 일측에 형성된 다각구멍(52)이 상기 둘출단(28)과 결합되어 체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키(30)는 전방 양측으로 결합턱(36)이 형성된 결합봉(32)이 설치되고, 원주면의 일측으로 작동레버(38)가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개폐장치.
KR2020000025958U 2000-09-15 2000-09-15 배전반의 개폐장치 KR200217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58U KR200217971Y1 (ko) 2000-09-15 2000-09-15 배전반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958U KR200217971Y1 (ko) 2000-09-15 2000-09-15 배전반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971Y1 true KR200217971Y1 (ko) 2001-03-15

Family

ID=73088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958U KR200217971Y1 (ko) 2000-09-15 2000-09-15 배전반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9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89U (ko) * 2016-10-26 2018-05-04 대창금속 주식회사 천장 점검구용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천장 점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89U (ko) * 2016-10-26 2018-05-04 대창금속 주식회사 천장 점검구용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천장 점검구
KR200488012Y1 (ko) * 2016-10-26 2018-12-03 대창금속 주식회사 천장 점검구용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천장 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801719C2 (de) Schaltschrankverschluß
PT1866944E (pt) Interruptor de botão de pressão
US6777628B2 (en) Interlock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s
KR200217971Y1 (ko) 배전반의 개폐장치
CA2619705A1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7777139B2 (en) Switching device provided with neutral conductor
KR20010024315A (ko) 스위치장치 캐비닛 본체에 힌지이음되는 캐비닛 도어용슬라이딩 로드 폐쇄구
US11056847B2 (en) Fastening clamp
NO175176B (no) Elektrisk beskyttelses-stikkontakt
EP2759030B1 (en) Panelboard with swing mounted circuit breaker
EP0914663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finger-proof protection
KR200283418Y1 (ko) 강화유리출입문 개폐장치
US6710270B2 (en) Switch
US20020139650A1 (en) Service switching device of the cap type
KR200217972Y1 (ko) 배전반 도어의 개폐장치
JPH10108310A (ja) ヒンジ装置、扉装置および分電盤
KR200279074Y1 (ko) 도어핸들의 고정구조
US3735064A (en) Voidable cover interlock
JPH0747776Y2 (ja) 回路しや断器のインタ−ロツク装置
ITMI960744U1 (it) Dispositivo di blocco per connettori elettrici multipolari
JP2008002093A (ja) キャビネット
AU2014201656A1 (e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RU2001120842A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KR0122457Y1 (ko) 자동판매기의 콘트롤박스 도어 개폐장치
CA2043750C (en) Combination lock and switch m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