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23Y1 -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23Y1
KR200214423Y1 KR2019980011065U KR19980011065U KR200214423Y1 KR 200214423 Y1 KR200214423 Y1 KR 200214423Y1 KR 2019980011065 U KR2019980011065 U KR 2019980011065U KR 19980011065 U KR19980011065 U KR 19980011065U KR 200214423 Y1 KR200214423 Y1 KR 200214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heart cam
opening
hous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361U (ko
Inventor
김기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1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23Y1/ko
Priority to US09/339,193 priority patent/US6344968B2/en
Publication of KR200000013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3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23Y1/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의 케이스에서 콘트롤박스가 열림 및 닫힘되는 동작을 하는데 있어 콘트롤박스의 열림동작에 필요한 댐퍼장치 및 하트캠구속장치를 개선하여 월등하게 좋아지고 안정적인 열림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제품의 콘트롤부 열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모체로하여 열림 및 닫힘동작되고 다수의 기능키를 가진 콘트롤박스를 갖는 전자제품용 콘트롤부로서, 상기 콘트롤박스를 하우징내에서 정지되게 구속하고 상기 콘트롤박스를 후미방향으로 누르면 해제되는 하트캠구속장치와 상기 콘트롤박스에 가진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기어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의 힘에 의해 열림동작되는 콘트롤박스의 열림속도를 억제시키는 댐퍼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하트캠구속장치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의 케이스에서 콘트롤박스가 열림 및 닫힘되는 동작을 하는데 있어 콘트롤박스의 열림동작에 필요한 댐퍼장치 및 하트캠구속장치를 개선하여 월등하게 좋아지고 안정적인 열림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전자제품에는 그 기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콘트롤부가 채용되며, 상기 콘트롤부는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로 채용되거나 또는 하나의 콘트롤박스화하여 이것을 수조작에 의해서 케이스 내부로 밀어 넣거나 또는 약간 밀면 다시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도록 밀려 나오도록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를 구비하고 이것이 케이스 내,외부로 동작되도록 채용되는 콘트롤부와 관련된 것이며, 이러한 타입의 콘트롤부로는 한국 실용신안등록 번호 제 114104 호가 선행기술로 개시되었다.
그러나 선행기술로 개시된 상기 콘트롤부는, 케이스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열림 및 닫힘운동을 하는 콘트롤박스의 동작장치들이 문제가 있으므로서 기능의 불확실성이 초래되었다.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콘트롤박스가 하우징 내부에 들어간 상태를 콘트롤박스의 닫힘동작 또는 닫힘상태라고 정의하고, 상기 콘트롤박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하우징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동작된 상태를 콘트롤부 열림동작 또는 열림상태 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따라서, 콘트롤부 닫힘상태에는 콘트롤박스가 하우징 내부에서 정지된 상태를 갖게 되며, 이때 정지토록 하는 것은 푸쉬캐처 구속장치에 의해 정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푸쉬캐처 구속장치는 해제를 위해서는 매우 강력하게 콘트롤박스를 눌러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일정한 속도를 갖도록 하면서 콘트롤박스가 급속히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장치가 하우징과 콘트롤박스의 일측에 치우치는 상태로 채용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댐퍼장치가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콘트롤박스와 하우징은 옆으로 길다란 길이를 갖는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 그들의 일측에 댐퍼장치가 있기 때문에 그 댐퍼장치가 발휘하는 운동 억제 기능이 타측에까지 미치기에는 매우 미흡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선행기술의 콘트롤부는 상기한 여러 가지의 결점을 가지게 됨으로써 전반적인 동작에 있어 원활성이 우수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콘트롤박스가 안정적으로 열림동작되도록 개선한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콘트롤부의 열림 및 닫힘상태를 가질수 있도록 동작되는 하트캠구속장치를 갖도록 하고, 상기 하트캠구속장치에서 가까운 위치에 댐퍼장치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콘트롤부의 열림속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트롤박스가 하우징으로부터 열림 및 닫힘동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콘트롤박스가 정지될 수 있도록 구속하고 열림시 해제되게 하는 하트캠구속장치와; 상기 콘트롤박스가 하우징에서 돌출되는 동작을 할 때 서행속도를 갖도록 하는 댐퍼장치를 가지며, 상기 댐퍼장치가 상기 하트구속장치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좁은공간에서 댐퍼장치 사용으로 콘트롤박스의 열림속도를 제어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가 채용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가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보인 일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박스의 가이드 및 윤활구조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박스와 케이스의 유동여유를 설명하는 요부 일측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장치의 결합구조와 하트캠구속장치의 걸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부를 상세히 보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배면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박스가 열림동작되는 것을 보인 작용 일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하트캠구속장치에 의한 콘트롤박스의 열림 및 닫힘동작을 설명하는 일측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하트캠구속장치의 하트캠부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이 실시된 하트캠구속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작용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고안에 따른 하트캠구속장치에 의한 콘트롤박스의 열림 및 닫힘동작을 보인 일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케이스 5 : 인출공
10 : 콘트롤박스 11 : 기능키
12 : 곡면연접부 13 : 가이드홈
14 : 윤활홈 15 ; 윤활제
16 : 랙기어 17 : 평면단부
20 : 하우징 21 : 탄력부재
22 : 가압부재 23 : 댐퍼장치
24 : 기어 25 : 크립
26 : 가이드돌기 27 : 지지리브
40 : 하트캠구속장치 41 : 하트캠부
42 : 핀통로 43 : 하트캠
44 : 꺽임단부 45 : 걸림부
46 : 걸림핀 47 : 스프링편
48 : 유도곡면부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트롤박스(10)가 채용된 디스플레장치(1)를 보여 준다. 상기 콘트롤박스(10)는 제품의 케이스(2) 내부로 삽입되거나 또는 돌출되어 나오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2)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닫힘동작이라고 하고, 돌출되어 나오는 것을 열림동작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콘트롤박스(10)는 열림 및 닫힘동작을 위하여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케이스(2) 내측에 하우징(20)이 설치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은 케이스(2) 내면 쪽에서 윗부분은 고정보스(3)에 고정나사(4)로 고정되고 하단부는 하우징(20)에 형성된 스냅(3')이 케이스(2)에 만들어진 스냅공(2')에 고정된다.
그리고 하우징(20)에서 열림동작되는 콘트롤박스(10)는 케이스(2)에 형성된 인출공(5)을 통해 열림 및 닫힘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트롤박스(10)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11)를 구비한다.
또한, 하우징(20)에 설치되는 탄력부재(21)와 가압부재(22)에 의해 상기 콘트롤박스(10)가 가압되어 열림동작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곡면연접부(12)를 후미에 돌출되도록 구비한다.
콘트롤박스(10) 후미 중간부에는 하우징(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댐퍼장치(23)의 기어(24)와 맞물리는 랙기어(16)를 갖는다.
콘트롤박스(10) 양측에는 길다란 가이드홈(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3)은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내면(13a)에 다수의 윤활홈(14)이 형성되고, 여기에는 조립전에 윤활제(15)가 발라진다.
상기 가이드홈(13)에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양측 내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26)가 끼워지게 조립되며, 이 가이드돌기(26)에 의해서 콘트롤박스(10)가 안내되면서 열림 및 닫힘동작을 하게 된다.
도 6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돌기(26)는 가이드홈(13)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며, 콘트롤박스(10)가 열림 및 닫힘동작을 할 때 상호 미끄럼 마찰이 된다.
이때, 윤활홈(14) 내에 있는 윤활제(15)가 그들이 접촉되는 면에 자연스럽게 발라지게 되므로 원활한 동작이 된다. 또한, 윤활홈(14)에 윤활제(15)가 항상 있게 되므로 장기간에 걸처서 별도의 윤활제를 도포하지 않아도 되고, 그로인해 제품 신뢰성을 더욱 가질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가이드홈(13) 선측에 평면단부(17)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가이드홈(13)은 원호상의 가이드홈(13)을 형성한다. 그와같이하여야만이 하우징(20)에서 콘트롤박스(10)가 열림동작이 되었을 때 사용자가 쉽게 기능키(11)를 누를수 있게 되는 경사상태로 콘트롤박스(10)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가령 상기 가이드홈(13)이 원호상으로만 되어 있고, 케이스(2)와 콘트롤박스(10)가 유동여유가 적은 상태일 경우 콘트롤박스(10)의 열림동작시 원호운동되는 궤적상태로만 열림 및 닫힘동작되기 때문에 동작되는 콘트롤박스(10)가 케이스(2)에 걸릴수 있다.
그러나 도 6a에 보인 바와 같이 가이드홈(13) 선측 하단부에 평면단부(17)를 형성시킴에 따라 열림 및 닫힘운동시에 이 부분에 가이드돌기(26)가 닿을때는 원호운동을 하던 콘트롤박스(10)가 직선운동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유동여유(k)를 더욱 크게 가질수 있으며, 그로인해 콘트롤박스(10)의 동작에 있어 케이스(2)에 걸림됨이 없이 동작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앞서 설명된바 있는 댐퍼장치(23)를 보여 준다. 이 댐퍼장치(23)는 기어(24)를 가지고 있다. 이 기어(24)는 회전이 될 때 그 회전속도가 억제된다. 그것은 댐퍼장치(23) 내부에서 기어(24)의 회전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억제 구조는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도면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댐퍼장치(23)는 하우징(20)에 형성된 크립(25)에 리브(23a)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와같이 하우징(20)에 장착되는 댐퍼장치(23)는 도 3 및 도 8에 따르면 중간부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댐퍼장치(23)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게 된다.
즉, 콘트롤박스(10)가 열림 및 닫힘동작을 하게 되면 이때는 랙기어(16)가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랙기어(16)의 이동에 의해서 기어(24)가 회전된다.
그러나 기어(24)는 그 회전이 억제되므로 콘트롤박스(10)는 급속히 열림되지 않고 서서히 열림동작되는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콘트롤박스(10)가 열림동작을 할 때 그 속도를 서행되게 제어한다.
특히, 본 고안은 댐퍼장치(23)가 하트캠구속장치(40)와 최대한 근접된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하트캠구속장치가 해제되는 동작을 함으로써 콘트롤박스(10)가 열리게 되면 그 열림속도를 가까운 곳에서 서행되게 제어하기 때문에 속도제어 효과가 좋아지게 된다.
도 8에 따르면, 댐퍼장치(23)는 중간부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댐퍼장치가 갖게 되는 억제력이 양측 부분에 곧바로 미치게 되므로 종전에 일측에 댐퍼장치가 있는 것보다 더욱 그 역할을 충실히 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가압부재(22)는 양단부(22a)가 지지리브(27)에 끼워져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탄력부재(21)는 상기 가압부재(22) 양측에 설치되고, 그 일단부(21a)는 하우징(20) 자체에, 그리고 타단부(21b)는 가압부재(22)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로인해 탄력부재(21)의 힘은 가압부재(22)에 작용된다.
또한, 가압부재(22)는 콘트롤박스(10)의 곡면접연부(12)에 맞닿아서 가압하는 상태를 갖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상기된 가압부재(22)에 의해 콘트롤박스(10)가 열림동작되는 상태를 보여 준다. 즉, 콘트롤박스(10)는 이후에 설명되는 하트캠구속장치(40)에 의해서 정지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도 11a와 같이 가압부재(22)는 뒤쪽으로 밀려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는 탄력부재(21)의 탄력이 큰 상태이다.
또한, 콘트롤박스(10)의 곡면연접부(12)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있는 가압부재(22)는 상기 곡면연접부(12)의 하단부에서 가압하게 되므로 이때부터 열림동작이 되면 가압부재(22)가 곡면연접부(12)를 미는 힘은 큰 상태이며, 이 힘으로 열리게 되는 콘트롤박스(10)는 보통 속도로 열리게 된다.
그러나 도 11b와 같이 중간정도 열리는 상태가 도달되면 이때부터는 가압부재(22)의 미는 힘은 중간정도의 힘이 되나 열리는 콘트롤박스(10)의 속도는 빠른속도를 갖게 된다. 그러나 도 11c와 같이 거의 다 열린상태에까지 콘트롤박스(10)가 이르게 되면, 이때는 가압부재(22)의 미는 힘은 많이 약화된다. 그러므로 콘트롤박스가 거의 다 열리는 상태에 이르러서는 그 열림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콘트롤박스(10)의 열림속도가 차등화된다. 즉 콘트롤박스(10)가 중간정도 열린 상태에서는 보다 빠른 열림속도를 갖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열림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열림되는 지점에서는 다시 느린상태로 열리게 되기 때문에 충돌음등은 발생되지 않고 안전한 열림이 도모된다.
하트캠구속장치(40)는 그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알려진 기술의 하트캠구속장치(40)를 포함하여 그보다 개선된 구조의 하트캠구속장치를 채용한 것이 그 특징이 된다.
그러한 하트캠구속장치(40)는 움직이지 않게 되는 부재와 상기 부재를 기준으로하여 동작되는 부재에 각각의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즉, 하트캠구속장치(40)는 크게 구분하여 하트캠부(41)와 상기 하트캠부(41)에 걸림되어 구속되게 하거나 또는 다시 해제되도록 하는 걸림부(45)를 갖는다.
도 12는 상기한 하트캠부(41)와 걸림부(45)를 갖는 하트캠구속장치(40)가 채용된 것을 보여 준다. 상기한 하트캠구속장치(40)의 작용에 의해서 콘트롤박스(10)는 하우징(20) 내부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가상선 도시와 같이 열림동작되는 상태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트캠부(41)는 콘트롤박스(10) 저면에 구성되고, 걸림부(45)는 하우징(20)에 구성된다.
도 13 및 도 14는 콘트롤박스(10) 저면에 형성되는 하트캠부(41)를 나타 낸다.
상기 하트캠부(41)는 걸림핀(46)이 지나 다니는 핀통로(42)와, 하트캠(43)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트캠(43) 선측은 "V"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걸림핀(46)이 걸리지 않고 원만하게 핀통로(42)를 찾아 들어갈 수 있게 한다.
도 14에 따르면, 걸림핀(46)은 우측으로 들어 간다. 여기서 바닥은 우측핀통로바닥(42a)이 더 깊고, 좌측핀통로바닥(42b)은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걸림핀(46)은 일단 우측핀통로로 찾아 들어가게 된다. 이때 하트캠(43)이 "V"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핀(46)이 하트캠(43) 자체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찾아 들어 갈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우측핀통로로 찾아 들어간 걸림핀(46)은 화살표 도시와 같이 이동되는 경로를 갖게 되며, 최종단부에까지 이르렀을때는 유도곡면부(44)에 의해 진행경로가 바뀌면서 하트캠(43)의 걸림홈(43a)에 걸리게 된다. 이때가 걸림된 상태로서 하우징(20) 내부에서 콘트롤박스(10)가 정지된 상태이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한 꺽임턱부(44)의 끝부를 경사지게 깍아 버린 상태, 즉, 하향경사부(44a)를 갖도록 한것이다.
가령, 상기한 꺽임턱부(44)의 끝단부가 기존과 같이 수직된 상태를 가지게 될 경우 이 부분에서 걸림핀(46)이 걸린후 열림을 위하여 콘트롤박스를 열려고 할 때 걸림핀(46)의 꺽임부(46a)가 수직상태의 끝단부위에 걸려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꺽임턱부(44)의 끝단에 하향경사부(44a)를 갖게 됨으로써 걸림핀(46)이 걸림홈(43a)에서 빠져 나올 때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그로인해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홈(43a)에 걸림핀(46)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콘트롤박스(10)가 하우징(20) 내부에서 정지된 상태이며, 아울러서 콘트롤박스(10)를 열리게 하려면 상기 상태에서 콘트롤박스(10)의 전면부를 안쪽으로 약간 누르면 된다.
즉, 콘트롤박스(10) 전면을 약간 눌러서 약간 들어가게 하면 걸림핀(46)은 도 14에서 점선 화살표 도시와 같이 걸림홈(43a)을 이탈하여 나오는 상태가 되고, 그로인해 콘트롤박스(10)는 구속된 것이 해제됨에 따라 열리게 되는 동작이 개시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한 꺽임턱부(44)의 끝부를 경사지게 깍아 버린 상태, 즉, 하향경사부(44a)를 갖도록 한것이다.
가령, 상기한 꺽임턱부(44)의 끝단부가 기존과 같이 수직된 상태를 가지게 될 경우 이 부분에서 걸림핀(46)이 걸린후 열림을 위하여 콘트롤박스를 열려고 할 때 걸림핀(46)의 꺽임부(46a)가 수직상태의 끝단부위에 걸려 오동작이 발생되는 경우가 수시로 발생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꺽임턱부(44)의 끝단에 하향경사부(44a)를 갖게 됨으로써 걸림핀(46)이 걸림홈(43a)에서 빠져 나올 때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그로인해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5a 및 도 15b에서 콘트롤박스(10)의 닫힘상태와 열림상태를 보여 주고 있으며, 이때의 하트캠구속장치(40)의 하트캠부(41)와 걸림부(45)를 나타 내고 있다.
상기 걸림부(45)는 도 7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걸림핀(46)은 하우징(20) 자체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편(47)에 의해 항시 눌림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걸림핀(46)이 핀통로(42)를 지나는 과정에 그 핀통로(42)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콘트롤부의 열림속도 제어 능력이 월등히 좋아지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므로 제품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케이스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모체로하여 열림 및 닫힘동작되고 다수의 기능키를 가진 콘트롤박스를 갖는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를 하우징내에서 정지되게 구속하고 상기 콘트롤박스를 후미방향으로 누르면 해제되는 하트캠구속장치와;
    상기 콘트롤박스에 가진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기어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의 힘에 의해 열림동작되는 콘트롤박스의 열림속도를 억제시키는 댐퍼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하트캠구속장치와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캠구속장치는, 상기 콘트롤박스에 형성되고 하트캠과 핀통로를 갖는 하트캠부와, 상기 하트캠부에서 걸림 및 해제되고 하우징에 설치되는 스프링편에 의해 눌림되는 걸림핀을 갖는 걸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의 열림동작을 구속 및 해제시키는 하트캠구속장치와, 상기 콘트롤박스의 열림속도를 억제시키는 댐퍼장치를 콘트롤부 중앙부에 구비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KR2019980011065U 1998-06-24 1998-06-24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KR200214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065U KR200214423Y1 (ko) 1998-06-24 1998-06-24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US09/339,193 US6344968B2 (en) 1998-06-24 1999-06-24 Controller for electronic go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065U KR200214423Y1 (ko) 1998-06-24 1998-06-24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361U KR20000001361U (ko) 2000-01-25
KR200214423Y1 true KR200214423Y1 (ko) 2001-03-02

Family

ID=6951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065U KR200214423Y1 (ko) 1998-06-24 1998-06-24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361U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6030B1 (en) Distortion resistant silent push-push latch
KR100291364B1 (ko) 전자제품용콘트롤부동작장치
KR200214423Y1 (ko)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KR100291366B1 (ko) 전자제품용콘트롤부의열림속도가변구조
KR200214421Y1 (ko)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콘트롤박스 걸림방지구조
KR200214424Y1 (ko)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하트캠구속장치
KR200208169Y1 (ko)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작동부 윤활구조
KR200208168Y1 (ko)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걸림핀 이탈방지구조
EP0676521B1 (en) Lock mechanism and latch device
KR100217571B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개폐장치
KR920003744Y1 (ko) 가전제품용 장식장의 도어홀더
KR970003633Y1 (ko) 카셋트 데크 도어의 열림 및 닫힘장치
KR970004888Y1 (ko) 차단기의 도어 개폐장치
KR0119415Y1 (ko) 카세트 도어의 개폐장치
KR100424566B1 (ko) 좌우개폐도어용 개폐기구
KR920005376Y1 (ko) 유동식 래치
JP3167375B2 (ja)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
KR20050047734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0138839Y1 (ko) 트레이의 록킹장치
JPH08213768A (ja) 車載用機器の扉開閉機構
KR890001195Y1 (ko) 도어개폐 및 록크 장치
KR0113058Y1 (ko) Ld에 도어
KR100303814B1 (ko) 슬라이드식컨트롤도어개폐장치
KR0129052Y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손잡이
KR100246637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