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376Y1 - 유동식 래치 - Google Patents

유동식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376Y1
KR920005376Y1 KR2019910017451U KR910017451U KR920005376Y1 KR 920005376 Y1 KR920005376 Y1 KR 920005376Y1 KR 2019910017451 U KR2019910017451 U KR 2019910017451U KR 910017451 U KR910017451 U KR 910017451U KR 920005376 Y1 KR920005376 Y1 KR 920005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er
cam groove
fixed cylinder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7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오 아라까와
야스도모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6106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881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to KR2019910017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3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동식 래치
제 1 도 내지 제 22 도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 2 도 및 제 3 도는 본 고안의 래치와 뭉치부가 각각 조립된 상태의 걸어맞춤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2도는 열림상태 단면도.
제 3 도는 닫힘상태 단면도.
제 4 도는 고정통의 평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좌측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우측면도.
제 8 도는 제 5 도의 저면도.
제 9 도는 왕복운동체의 평면도.
제 10 도는 제 9 도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 11 도는 제 9 도의 좌측면도.
제 12 도는 제 9 도의 저면도.
제 13 도는 캠홈의 확대평면도.
제 14 도는 제 13 도의 각 단면을 연속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 15 도는 트레이서의 평면도.
제 16 도는 제 15 도의 종단면도.
제 17 든 제 15 도의 측면도.
제 18 도는 제 15 도의 저면도.
제 19 도 내지 제 22 도는 각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 23 도 내지 제 27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23 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 24 도 내지 제 27 도는 각 동작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 28 도 내지 제 30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28 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 29 도 및 제 30 도는 제 28 도의 래치의 각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 29 도는 열림상태 단면도.
제 30 도는 닫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래치 2 : 고정통
3 : 뭉치부 4 : 왕복운동체
5 : 스프링 6 : 캠홈
7 :트레이서 11 : 후벽
12 : 부착구멍 13 : 상벽
14 : 홈부 15 : 축구멍
16 : 구멍부 18 : 저벽
25 : 기부 26 : 아암부
27 : 핀부 28 : 축부
30 : 캐비넷의 기판부 32 : 문
33 : 판스프링 35 : 스프링편
본 고안은 예를들면 여닫이문을 닫힌 상태로 걸리게 하고 닫힌문을 열때에는 일단 문을 누르고 있던 손을 떼게 되면 문이 열려지는 방향으로 약간 눌리면서 열려지게 되는 유동식 래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유동식 래치로서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실 개소 60-46834호 및 실개소 61-201466호에 의하여 공개된 것이었다.
이 래치는 한쪽이 트인고정통과, 뭉치부에 걸리거나 벗겨지면서 고정통내에 미끄럼이 가능하게 수납되는 왕복운동체와, 왕복운동체와 고정통의 후면 사이에서 탄발 또는 수축되는 스프링과 왕복운동체의 표면에 새겨진 하트모양의 캡홈과, 이 캠홈에 한쪽 부분을 삽입하고, 다른 한쪽 부분은 왕복운동체에 삽입시켜 왕복운동체의 이동으로 캠홈을 한바퀴 돌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통내에 축받이 트레이서(追跡字: TRACER)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트레이서는 금속재의 선재를 짧게 절단하여자형으로 구부리고, 구부린 한쪽끝을 고정통내의 트레이서에 끼워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눌리도록 함과 아울러 다른쪽 끝을 캠홈내에 삽입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동식 래치는 트레이서가 금속재의 선재로 되어 있는 점에 문제가 있었다.
또 무리하게 구부려 성형하기 때문에 그 구부린 부분에 응력이 쉽게 집중되어 변형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절단할 때에 절단부위 끝에 남는 부스러기가 캠홈내에서의 미끄럼운동을 저해시켜 오동작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서는 캠홈내에 그리이스를 충분히 발라서 해결하여도 좋으나 그리이스 비용이나 도포과정이 필요하게 되고 선재의 절단후 절단면에 남은 부분이나 부스러기등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그 작업에 따른 제조과정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79277호는, 캠작용을 하는 안내홈과 상호관련작용으로 슬라이더를 로킹상태와 해제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안내레버가 슬라이더에 끼워져 지축에 스프링이 접촉되는 구성과 지축에 예각상태의 경사진 접촉면 구성에 의해 안내 레바가 로킹 해제위치로 되돌아오려는 탄력을 안내레버의 세장형 아암면이 슬라이더면과 케이스면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인해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면마찰력이 안내레버의 움직임을 유연하지 않게 하여 캠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76373호는, 순환통로가 형성된 캠판과 상호관련작용으로 계지부재를 로킹상태와 해제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미끄럼맞춤돌기가 케이스의 상면에 탄성을 보유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술한 것에 비하여는 캠 작용 등이 양호한 편이라고는 할 것이나, 캠판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조립이 어렵고 캠판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돌조를 계지부재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이어서 캠판과 계지부재와의 결합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트레이서의 작동이 원활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경제적인 유동식 래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통 (2), 왕복운동체(4) 및 트레이서(7)을 플라스틱으로 각각 성형하고, 상기 고정통(2)은 그 후벽(11)에 트레이서(7)를 삽입하는 부착구멍(12)을 뚫어 설치하여 이 부착구멍(12)에 연속하여 상벽(13)에 트레이서(7)의 이동을 허용하는 홈부(14)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홈부(14)에 축구멍(15)을 뚫고 트레이서(7)는 고정통(2)의 부착구멍(12)의 상하에 대향하는 면의 내부에 위치하는 기부(25)와, 고정통(2)의 홈부(14)의 하면으로 부터 밑쪽으로 분리되어 있고, 기부(25)로 부터 횡방향으로 이어진 아암부(26)와 이 아암부(26)의 선단으로 부터 밑쪽으로 이어진 캠홈(6)을 유도하는 핀부(27)와 고정통(2)의 축부(28)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통(2) 내에는 트레이서(7)의 핀부(27)를 캠홈(6)의 밑으로 밀어내는 탄력유지수단(예를들면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고정통(2), 왕복운동체(4) 및 트레이서(7)를 플라스틱으로 각각 성형한 후 고정통(2), 왕복운동체(4) 및 스프링(5)을 조립하고 트레이서(7)를 왕복운동체(4)의 캠홈(6)내로 삽입함과 아울러 축부(28)를 고정통(2)의 축구멍(15)내에 끼워 넣는다.
이렇게 조립한 래치는 고정통(2)을, 예를들면 양측에 여닫이문이 나비날개식으로 설치된 캐비넷[기판부(30)]에 고정하고 문(32)과 뒷면에 네모진 문을 닫게 하는 왕복운동체(4)를 고정통(2)내에 압입하는 뭉치부(3)를 돌설한다.
그리고 뭉치부(3)에 의한 왕복운동체(4)의 전후 운동에 의하여 트레이서(7)의 핀부(27)가 캠홈(6)을 일순회 하지만 트레이서(7)가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핀부(27)가 캠홈(6)을 부드럽게 유도한다.
또 핀부(27)가 캠홈(6)을 천천히 지나는 때에는 트레이서(7)는 고정통(2)의 축구멍(15)내에 끼워 넣어져 있는 축부(28)를 지지점으로 하여 좌우로 진동하면서 고정통(2)의 홈부(14)의 하면과의 간격사이에서 상하로 움직이지만 그때의 아암부(26)의 움직임이 홈부(14)의 범위내로 규제되어 있으므로 캠홈(6)으로 부터의 트레이서(7)의 핀부(27)의 이탈을 저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도내지 제 22 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1)은 래치를 나타내고, 이 래치(1)는 전면부가 트여진 고정통(2)과, 이 고정통(2)내에 미끄러지게 수납되어 뭉치부(3)와 걸리게 되거나 벗어나게 되는 왕복운동체(4)와, 이 왕복운동체(4)와 고정통(2)의 사이에서 탄발압축되는 스프링(5)과, 왕복 운동체(4)의 표면에 새겨진 하트모양의 캠홈(6)과, 고정통(2)내에 축받이되고 캠홈(6)에 한쪽끝을 삽입시키고 왕복운동체(4)의 이동으로 캠홈(6)을 일순회하는 트레이서(7)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5)을 제외하고 고정통(2), 왕복운동체(4) 및 트레이서(7)를 플라스틱으로 성형하여 만들었다.
먼저 고정통(2)에서 부터 설명하면 이 고정통(2)은 제 4 도 내지 제 8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여진 사각형을 이루며 그 트여진 끝부분에는 좌우로 튀어나온 한쌍의 턱부(8)(8)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턱부(8)의 후방에는 좌우측벽(9)(9)을 "ㄷ"자형으로 잘라내고 이 잘라낸부분을 둘러싼 부분의 자유단을 턱부(8)의 후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좌우 한쌍의 걸림편(10)(10)으로 형성하였다.
또 고정통(2)의 후벽(11)에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트레이서(7)의 삽입용 좌우로 폭이 긴 장방형의 부착구멍(12)을 뚫어 설치하고 이 부착구멍(12)의 위쪽 가장자리로 부터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벽(13)의 두꺼운 부분을 더 깎아 고정통(2)의 길이방향의 중간부분까지 연장시킨 홈부(14)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홈부(14)에는 예를들면 그 후단에 상하로 관통한 전후방향으로 긴 타원형사의 축구멍(15)을 뚫었다.
또 홈부(14)는 앞쪽 테두리에 밑쪽으로 수직 형성된 짧은 돌기턱(14')을 가지며 이 돌기턱(14')을 끼운 구멍부(16)까지의 상하의 열림폭은 왕복운동체(4)의 상하 두께보다 다소 높게 한다.
그리고 제 5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5)의 한쪽을 끼워 넣는 구멍부(16)을 향하여 길이방향의 중간까지 이어진 보스(17)를 돌설한다.
상기 고정통(2)의 저벽(18)에는 제 5 도 및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왕복운동체(4)의 전후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이어진 가이드구멍(19)을 뚫는다.
상기 왕복운동체(4)는 제 9 도내지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통(2)속을 미끄럼 운동하는 고정통(2)보다 한단계 작은 속이 빈 사각통형의 본체부(20)와 이 본체부(20)의 전면 좌우 양단에 한지부(21')로 연결되고 좌우로 열리며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뭉치부(3)에 걸어맞추는 한쌍의 걸림편(21)(21)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본체부(20) 상면에는 하트형의 캠홈(6)을 새겼다.
상기 캠홈(6)은 제 13 도 및 제 1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22)의 하단부(22a)로 부터 후방으로 길게 이어지고 그 후단이 개방된 비교적 깊은 도입부(a)와 도입부(a)에 연속하여 서서히 얕아지면서 볼록부(22)의 비교적 완만하게 경사진 일측을 따라 앞쪽으로 이어진 유도로(b)와 이 유도로(b)로 부터 일단 낮아지며 볼록부(22)를 지나 계속 이어지고 진행이 끝나는 종단부(c)와, 이 종단부(c)에 인접하여 볼록부(22)의 상단부 (22b)의 약 반정도의 영역에 걸쳐서 종단부(c)보다 더욱 깊게 된 정지부(d)와, 이 정지부(d)로 부터 앞쪽으로 경사지게 이어지고 서서히 얕아지는 안내부(e)와, 이 안내부(e)로 부터 더욱 깊어지며 볼록부(22)를 지나 상기 종단부(c)와 같이 진행이 정지되는 탈출부(f)와, 이 탈출부(f)로 부터 서서히 앝아지면서 볼록부(22)의 타측을 따라 뒤쪽으로 이어지고 도입부(a)로 빠져 들어가는 귀로(g)로 이루어졌다.
상기 왕복운동체(4)의 본체부(20)의 후면에는 제 1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5)의 다른쪽 끝을 끼워넣는 원형의 관통구멍(23)을 뚫었다.
또 본체부(20)의 저면에는 제 10 도 내지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통(2)의 가이드구멍(19)에 끼워넣는 돌기부(24)를 돌설하고 이 돌기부(24)의 후면에는 뒤쪽으로 경사진 테이퍼면(24')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트레이서(7)는 제 15 도내지 제 1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통(2)의 부착구멍(12)의 상하의 대향면 내로 위치하는 기부(25)와 상기 고정통(2)의 홈부(14) 하면으로 부터 밑으로 조금 떨어져 있고, 기부(25)에서 횡방향으로 어어진 아암부(26)와 이 아암부(26)의 선단 하면으로 부터 하향되어 이어진 캠홈(6)을 유도하는 핀부(27)와 고정통(2)의 축구멍(15)에 끼워 넣어진 아암부(26)의 상면에서 위쪽을 향하여 이어진 축부(28)를 일체로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서(7)의 아암부(26)는 핀부(27)를 향하여 점점 가늘어지고 부채형의 평판형상을 이루고 폭이 넓은 기단부에서 핀부(27)와 같은 방향으로 기부(25)를 수직으로 설치한다.
그리고 기부(25)까지의 길이를 부착구멍(12)와 상하 폭 보다 조금 짧으며, 기부(25)가 부착구멍(12)내에서 약간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축부(28)의 앞끝부분에는 전방으로 경사진 테이퍼면(28')을 형성함과 아울러 축부(28)로 부터 핀부(27)까지의 거리를 고정통(2)의 축구멍(15)으로 부터 홈부(14)의 돌기턱(14')까지의 거리 보다 조금 짧게 설정하여 축부(28)가 고정통(2)의 축구멍(15)내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아암부(26)가 고정통(2)의 홈부(14)내에서 약간 전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핀부(27)가 돌기턱(14')에 닿는 위치로 트레이서(7)의 최 전진위치를 정하고 축부(28)가 축구멍(15)의 뒤쪽 테두리에 맞닿는 위치로 트레이서(7)의 최후 위치를 각각 규제한다.
또한 상기 고정통(2)내에는 트레이서(7)의 핀부(27)를 캠홈(6)의 밑쪽으로 향하여 탄력지지하는 탄발력 유지수단을 갖춘다.
이 탄력유지수단은 제1실시예에서는 스프링(5)의 후단에서 트레이서(7)의 기부(25) 최하단을 압압시켜 그 축부(28)를 지지점으로 하는 회전모멘트를 아암부(26)에 작용하게 하여 핀부(27) 선단이 캠홈(6)면을 압입시킨다.
즉,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고정통(2)의 보스(17)의 후단에 제 5 도와 같이 얕게 잘라낸 절개부(29)를 갖추고 이 절개부(29)의 상면에 트레이서(7)의 기부(25)가 얹혀 있는 모양으로 된다.
이어서 래치의 조립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고정통(2)의 구멍부(16)으로 부터 스프링(5)과 왕복운동체(4)를 각각 장착시킨다.
상기 스프링(5)의 한쪽끝을 고정통(2)의 구멍부(16)로 부터 보스(17)에 억지로 끼우고 스프링(5)의 다른쪽 끝을 관통구멍(23)에 끼워 넣으면서 왕복운동체(4)의 본체부(20)를 고정통(2)의 구멍부(16)에서 뒤쪽방향으로 삽입한다.
상기 본체부(20)를 삽입하면 왕복운동체(4)의 돌기부(24)의 테이퍼면(24')이 고정통(2)의 구멍부(16)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지고 여기서 강하게 밀어넣으면 구멍부(16)를 상하방향으로 확장하면서 본체부(20)가 고정통(2) 가운데로 진입한다.
그리하여 돌기부(24)가 가이드구멍(19)에 빠져 들어가면 구멍부(16)가 원래의 열림폭으로 복원하고 본체부(20)는 그 돌기부(24)가 끼워넣어지는 가이드구멍(19)의 범위내에서 고정통(2)에서 전후로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된다(제 19 도).
더구나 본체부(20)의 내측후면과 고정통(2)의 보스(17)가 돌출하는 후벽(121)의 전면과의 사이에서 스프링(5)을 압축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부(20)는 스프링(5)의 복원력으로 고정통(2)의 구멍부(16)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항상 작용한다.
이어서 고정통(2)의 부착구멍(12)에 의하여 트레이서(7)를 장착한다.
즉, 핀부(27)을 앞으로 하여 트레이서(7)를 삽입하면 축부(28)의 테이퍼면(28')이 부착구멍(12)의 위쪽 가장자리에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여기에서 트레이서(7)를 강하게 눌러 밀어넣으면 부착구멍(12)을 상하방향으로 확장하면서 고정통(2) 가운데로 진입하고 축부(28)가 축구멍(15)내로 끼워넣어지면 부착구멍(12)이 처음 상태의 열림폭으로 복원되고 트레이서(7)가 고정통(2)내에서 뒤쪽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걸려지는 상태로 끼워 넣어지며, 그 핀부(27)는 왕복운동체(4)의 캠홈(6)의 도입부(a)에 위치하게 된다(제 2 도, 제 19 도).
한편 트레이서(7)의 기부(25)를 부착구멍(12) 가운데로 끼워 넣을때에 보스(17)의 절단부(29)위로 드러나는 스프링(5)의 후단을 눌러 되돌리고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하여 트레이서(7)의 기부(25)가 뒤쪽으로 압압된다.
이 압압력은 트레이서 (7)의 축부(28)와 고정통(2)의 축구멍(15)의 뒤쪽 가장자리와의 접촉점에서 걸려지므로 이 접촉점을 지지점으로 하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되어 이 지지점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핀부(27) 선단이 캠홈(6)의 면을 향하여 눌려져 부착된다(제 19 도).
이렇게 조립된 래치(1)는 예를들면 캐비넷트 기판부(30)에 래치(1)의 본체부(20)가 통하는 구멍(31)을 뚫고 이 구멍(31)에 본체부(20)를 뒤쪽에서 삽입한다.
본체부(20)를 삽입하면 그 걸림편(10)이 구멍(31)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지고 내측으로 변형된 구멍(31)을 통과하며, 통과한 후에는 복원되어 턱부(8)의 후면에서 기판부(30)를 전후에서 끼우게 된다.
또 뭉치부(3)는 그 앞쪽 끝부분에 각각 무딘화살 형상의 뭉치(3')를 구비하여 문(32)의 표면보다 뒤쪽으로 돌출시켜 설치한다.
열려져 있는 문(32)을 닫으면 제 3 도에서 표현한 바와 같이 뭉치부(3)의 뭉치(3')끝이 왕복운동체(4)의 본체부(20) 전면에 충돌하여 본체부(20)를 스프링(5)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고정통(2)내로 눌러넣는다.
이 작용에 의하여 본체부(20)는 고정통(2)내를 후퇴하고 이때에 열림폭으로 부터 좌우로 열려져 있는 걸림편(21)이 뭉치부(3)의 뭉치(3')를 받아들이자마자 닫혀지는 고정통(2)내로 일부가 끌려들어가고 본체부(20) 내측후면과 고정통(2)의 후벽(11) 전면 사이에서 스프링(5)을 압축하여 그 탄성력을 축척한다.
왕복운동체(4)의 후퇴에 따라 캠홈(6)의 도입부(a)의 열림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던 핀부(27)가 도입부(a)를 따라서 천천히 유도로(b)에 진입하고 유도로 (b)로 부터 종단부(c)에 빠져들어가서 종단부(c)안에서 행정이 멈춰진다(제 20 도).
이 위치는 문(32)이 닫히는 위치를 약간 더 지나는 위치로 설정하여 핀부(27)가 종단부(c)로 들어가 정지함으로써 문(32)을 누를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문(32)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5)의 복원력으로 왕복운동체(4)가 조금 되돌려 눌러지고 핀부(27)가 종단부(c)안에서 후퇴한다.
이렇게 뒤로 후퇴할 때에 핀부(27)는 휴도로(b)가 종단부(c)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뒤로 후퇴할 때에 더 이상 유도로(b)에 후퇴하지 않고 종단부(c)와 인접하여 있는 정지부(d)에 진입하여 볼록부(22)의 상단부(22b)에 충돌하면서 걸리게 되고 이 정지위치에서 스프링(5)의 복원력을 받는다(제 21 도).
따라서 문(32)이 닫혀지는 위치 보다는 약간 더 넘게 눌러넣고 찰칵하는 소리와 감촉을 통하여 더 이상 문(32)을 밀어넣을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그 누름력을 해제하는 것만으로써 본체부(20)는 고정통(2)의 깊숙한 곳까지 들어가는 위치로 걸리게 되면 걸림편(21)이 뭉치부(3)의 뭉치(3')를 억지로 받아들여 닫혀지는 상태가 되며 문(32)이 열려지는 것을 저지한다.
이어서 닫혀져 있는 문(32)을 열때에는 문(32)을 다시 한번 눌러주면 된다.
즉, 문(32)을 누르면 뭉치부(3)에 눌려진 왕복운동체(4)가 다시 한번 후퇴하고 이 왕복운동체(4)의 후퇴에 따라 캠홈(6)의 위치가 이동되며, 핀부(27)는 종단부(c)가 정지부(d)보다 더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단부(c)에 되돌아가지 않고 안내부(e)에서 탈출부(f)에 이르러서야 그 탈출부(f)내로 들어가 정지한다(제 22 도).
이 위치는 문(32)이 닫혀지는 위치를 약간 더 지나치도록 설정하여 핀부(27)가 탈출부(f)에 들어가 정지함으로써 문(32)을 눌러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문(32)의 누름력을 해제하면 압축하고 있던 스프링(5)의 복원력으로 왕복운동체(4)가 되돌려지고 핀부(27)가 탈출부(f)내에서 후퇴한다.
이때 핀부(27)는 안내부(e)가 탈출부(f)보다 한단계 높기 때문에 안내부(e)로 돌아가지 않고 귀로(g)에서 도입부(a)에 도달한다.
따라서 문(32)을 닫는 위치를 약간 상회할 때까지 눌러주고 찰칵하는 소리와 감촉으로서 문(32)이 이미 밀고 들어갈 수 없게 되면 그 누르고 있던 힘을 해제하는 것만으로써 트레이서(7)의 핀부(27)에 의한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왕복운동체(4)의 본체부(20)는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눌려진다.
이 본체부(20)의 후퇴에 수반하여 돌기부(24)가 고정통(2)의 가이드구멍(19)를 따라서 진입하고 그 앞쪽 가장자리에 돌기부(24)를 충돌한 위치에서 본체부(20)는 가장 앞쪽으로 전진한 위치에서 정지한다(제 19 도).
또 본체부(20)의 전진에 수반하여 걸림편(21)이 구멍부(16)에서 서서히 눌려져 나오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좌우로 열리어 뭉치부(3)를 내어 놓는 한편 본체부(20)의 전면에서 뭉치부(3)를 눌러 되돌리고 문(32)을 적극적으로 약간 눌러서 연다(제 2 도).
그리고 밀어서 열려진 문(32)을 이용하여 자유로이 열 수가 있는 것이다.
본체부(20)의 가장 앞쪽의 위치에서는 핀부(27)는 도입부(a)의 트여진 부분의 가장자리에 이르러 정지한다.
한편 트레이서(7)의 핀부(27)의 일련의 움직임을 고정통(2)과의 관계에서 보면 트레이서(7)는 고정통(2)의 축구멍(15)내에 끼워져 있는 축부(28)를 지지점으로 하여 좌우로 진동하면서 축구멍(15)의 긴쪽을 따라서 약간씩 전후로 운동을 하는 한편 고정통(2)의 홈부(14)의 하면과의 간격 사이에서 상하운동을 한다.
핀부(27)의 상하운동은 아암부(26)의 상면이 홈부(14)의 하면에 닿음으로써 필요 이상을 규제하고 핀부(27)가 캠홈(6)에서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저지한다.
핀부(27)은 캠홈(6)의 정지부(d)에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 왕복운동체(4)를 잡아당기는 힘, 예를들면 잠겨진 문(32)을 무리하게 열고자 하면 핀부(27)가 볼록부(22)의 상단부(22b)에 눌려서 아암부(26)와의 부착부분에서 횡방향으로 회전운동하여 캠홈(6)에서 옆으로 벗어나려고 하지만 벗어나기 전에 왕복운동체(4)가 극히 미세하게 전진함으로써 홈부(14)의 돌기턱(14')이 핀부(27)에 옆에서 맞닿고 핀부(27)의 변형을 규제하여 캠홈(6)에서 옆쪽으로 빠지는 것을 저지한다.
제 23 도 내지 제 27 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통(2)의 홈부(14) 하면과 트레이서(7)의 아암부(26)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판스프링(33)으로 탄발력유지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판스프링(33)은 제 2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V자형으로 구부린 금속제의 판스프링으로 되어 있고, 그 상편 끝부분에는 고정통(2)의 홈부(14) 하면에 맞닿는 반구형으로 팽팽하게 구부린 탄발부(33')를 설치한다.
또 트레이서(7)의 아암부(26) 상면에는 판스프링(33)의 하면이 오목하게 들어지도록 오목부(34)를 형성한다.
한편 판스프링(33)을 장착할 때에는 판스프링(33)의 하편을 트레이서(7)의 오목부(34)내에 끼워넣은 다음 판스프링(33)의 상편을 부착구멍(12)을 통과하는 위치까지 밑으로 누른 상태에서 트레이서(7)와 함께 깊숙이 집어넣으면 된다.
판스프링(33)의 장착상태에서는 판스프링(33)의 탄발부(33')의 고정통(2)의 홈부(14) 하면에 맞닿고 판스프링(33)이 고정통(2)의 홈부(14) 하면과 아암부(26)의 오목부(34)의 저면에서 상하로 압축되고 판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하여 핀부(27)를 캠홈(6)의 밑으로 눌러붙인다.
또 트레이서(7)가 좌우로 진동할 때에는 판스프링(33)이 오목부(34)내에 유지되고 트레이서(7)와 함께 이동한다.
제 28 도내지 제 30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실시예에서는 고정통(2)의 상벽(13)에 탄성을 갖는 스프링편(35)으로 탄발력유지수단을 구성하고 잇다.
이 스프링편(35)은 제 2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통(2)의 상벽을 "ㄷ"자형으로 잘라내고 이 절단작업으로써 전방을 경사지며 하향하는 자유단을 돌출시켜 형성한다.
따라서 트레이서(7)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맞닿음부(36)가 스프링편(35)의 밑에서 맞닿고 스프링편(35)을 약간 위쪽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스프링편(35)의 복원력에 의하여 핀부(27)가 캠(6)의 밑으로 눌려진다.
또 왕복운동체(4)의 걸림편(21) 및 이 걸림편(21)에 걸려지거나 벗겨지는 뭉치부(3)의 형상은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고 도면에 도시한 본실시예의 형상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두개의 걸림편(21)을 왕복운동체(4)의 본체부(20) 전면에서 상하로 돌출시켜도 좋고, 고정통(2)의 열림폭과 거의 같은 간격으로 좌우로 평행하게 돌출시켜도 좋다.
뭉치부(3)의 형상도 이것에 대응시킨 형상으로 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레이서의 핀부에 의한 캠홈의 유도가 부드럽게 진행되며 더구나 핀부가 캠홈으로 부터 쉽게 빠지지 않고 비교적 저렴한 단가로 제조할 수 있는 유동식 래치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전면에 트여진 고정통(2)과, 이 고정통(2)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어 뭉치부(3)와 로킹 및 해제되는 왕복운동체(4)와, 이 왕복운동체와 고정통의 사이에서 압축 및 탄발되는 스프링(5)과, 왕복운동체의 표면에 형성된 하트형의 캠홈(6)과, 고정통내에 축지되며 상기 캠홈에 일단을 삽입하여 왕복운동체의 이동으로 캠홈을 일순하는 트레이서(7)로 이루어지는 유동식 래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그 후벽에 트레이서를 삽입하기 위한 조립공(12)을 개설하며, 이 조립공에 연속하여 상벽에 트레이서의 이동을 허용하는 홈부(14)를 형성하며, 내이 홈부에 축구멍(15)을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서는, 고정통의 조립공의 상하의 대향면내에 위치하는 기부(25)와, 고정통의 홈부 하면 보다 하부로 이격되고 상기 기부로 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아암부(26)와, 이 아암부의 선단에서 하향 연장된 상기 캠홈을 따라 이동하는 핀부(27)와, 고정통의 상기 축구멍내에 헐겁게 끼워지는 아암부로 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축부(28)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고정 통내에는 트레이서의 핀부를 캠홈의 바닥에 향하여 탄발력을 부여하는 탄발력유지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식 래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유지수단은, 스프링(5)의 후단에서 트레이서의 기부 최하단을 누르며, 그 축부를 지점으로 하는 회전모멘트를 아암부에 작용하여 핀부의 선단이 캠홈의 바닥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식 래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력 유지수단은, 고정통의 홈부 하면과 트레이서의 아암부 상면과의 사이에서 탄발 및 압축되는 판스프링(3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식 래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연장된 아암부(26)와 핀부(27) 표면에 맞닿음부(36)를 볼록하게 돌출시켜 탄발력 유지수단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식 래치.
KR2019910017451U 1987-06-30 1991-10-18 유동식 래치 KR920005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7451U KR920005376Y1 (ko) 1987-06-30 1991-10-18 유동식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61066A JPH0768812B2 (ja) 1987-06-30 1987-06-30 浮き出しラッチ
JP87-161066 1987-06-30
KR870012004A KR890000750A (ko) 1987-06-30 1987-10-29 유동식 래치(latch)
KR2019910017451U KR920005376Y1 (ko) 1987-06-30 1991-10-18 유동식 래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12004A Division KR890000750A (ko) 1987-06-30 1987-10-29 유동식 래치(la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376Y1 true KR920005376Y1 (ko) 1992-08-08

Family

ID=2732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7451U KR920005376Y1 (ko) 1987-06-30 1991-10-18 유동식 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3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5841B2 (en) 2015-11-23 2019-04-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5841B2 (en) 2015-11-23 2019-04-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6861A (en) Lock device
EP0955844B1 (en) Shock absorbing locking disconnect latch for ball bearing slides
US7029080B2 (en) Slide rail having front release latch
EP1583879B1 (en) Opening and closing latch device for furniture
KR101116985B1 (ko) 래치장치
KR920005376Y1 (ko) 유동식 래치
JP3072911B2 (ja) ロック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ラッチ装置
JPH0768812B2 (ja) 浮き出しラッチ
KR920006608B1 (ko) 래치 장치
JP2912428B2 (ja) ロック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ラッチ装置
JP200601903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3040202U (ja) 引出しのスライドレール
KR100291364B1 (ko) 전자제품용콘트롤부동작장치
JP4473403B2 (ja) ラッチ装置
CN211323899U (zh) 一种触碰自动弹出抽屉的弹出装置
JPH08455Y2 (ja) ロック・解除装置
KR100271719B1 (ko) 부착구조
KR200214424Y1 (ko)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하트캠구속장치
KR100291366B1 (ko) 전자제품용콘트롤부의열림속도가변구조
JPH0740061Y2 (ja) 扉の係止具
KR200208168Y1 (ko)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걸림핀 이탈방지구조
JP3249472B2 (ja) ラッチ装置
KR96000186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카드 자물쇠
KR200214423Y1 (ko) 전자제품용 콘트롤부의 열림장치
KR100420339B1 (ko) 전자레인지의 인터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