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608B1 - 래치 장치 - Google Patents

래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608B1
KR920006608B1 KR1019890018054A KR890018054A KR920006608B1 KR 920006608 B1 KR920006608 B1 KR 920006608B1 KR 1019890018054 A KR1019890018054 A KR 1019890018054A KR 890018054 A KR890018054 A KR 890018054A KR 920006608 B1 KR920006608 B1 KR 920006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pening hole
sliding
adsorbent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579A (ko
Inventor
사가에 아라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그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그,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그
Publication of KR90001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5/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and only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05C19/165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래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배면을 평면으로 하여 본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5도는 평상시에 있어서의 횡단 평면도.
제6도는 폐쇄조작에 따라 압출편과 흡착제를 케이스 내부에 밀어 넣는 상태의 횡단 평면도.
제7도는 폐쇄상태에서의 횡단 평면도.
제8도는 케이스의 횡단 평면도.
제9도는 스톱퍼 부재의 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측면도.
제11도는 폐쇄직전 상태에서의 종단 측면도.
제12도는 폐쇄시에 있어서의 종단 측면도.
제13도는 (a) 내지 (f)도는 폐쇄 조작에 따른 작동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흡착제
3 : 열림구멍부 4 : 미끄럼 동작체
5 : 탄발스프링 7 : 돌기
8 : 가는 홈 9 : 압출편
14 : 스톱퍼 부재 14a : 암
14b : 압압편 15 : 미끄럼 돌기
16 : 순환통로 A : 뚜껑체
B : 철편
본 발명은 각종 캐비넷, 서랍류, 자동차의 조작반등의 열림구멍부를 가진 기체에대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경첩이 부착된 뚜껑, 문등의 뚜껑체를 닫았을때에는 닫힌 상태로 구속하고, 개방시에는 뚜껑체를 일단 안쪽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구속이 풀려서 자유로히 개방조작을 할 수 있는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림구멍부를 닫을 문짝이나 뚜껑체를 닫을때에 구속하는 래치장치에 관해서는 많은 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누름형의 래치장치중, 특히 영구자석에 의한 흡착력을 이용하여 문짝등의 뚜껑체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도록 된 래치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누름형의 래치장치에는 본 출원인이 제안한 일본국 실개소 51-176373호 고안이 있으며, 이 제안의 래치장치는 문짝에 구비한 걸어맞춤제의 1차 압입으로 케이스에 넣어진 걸림부재(왕복운동체)를 케이스안쪽으로 밀어 넣어, 이것과 동시에 이 걸림부재의 선단에 구비한 걸림돌기를 케이스의 열림구멍부에 맞추고 그 사이에 상기 걸림맞춤체를 끼워서 걸림부재의 상면에 설치한 하트형의 순환 통로의 걸림부재에 케이스에 구비한 스톱퍼부재를 걸어 맞추어서 밀어넣은 상태로 구속하고, 상기 걸어맞춤제의 빠짐을 지지하여 문짝의 개방을 못하게 하는 것이고, 이의 개방시에는 문짝을 재차 눌러 하트형 순환통로의 걸림부에 걸어질 미끄럼 돌기를 벗겨 걸림부재의 미끄럼동작을 자유로히 하고, 이에 따라 걸림돌기에 의한 끼움을 해방하여 문짝의 개방을 자유로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래치는 문짝의 눌러줌을 반복하는 것으로 잠그며, 또 이것을 해제함으로써 문짝의 손잡이를 필요로 하지않고, 표면을 평평하게 하는 이점이 있으나, 걸림부를 미끄럼 동작시켜 걸림돌기를 개폐 작동시켜서 걸어맞춤체를 끼워두게 함으로써 닫힌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문짝의 배면에 돌출하도록 걸어맞춤체로 설치할 필요가 있게 되고, 구조상 이 걸어맞춤체를 없게 할 수 가 없다.
이 누름형 래치장치는 미끄럼 동작체의 밀어냄에 따라서 개방시에는 문짝을 전방으로 떠오르게 함으로써 떠올림 래치라고도 불리우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걸어맞춤체의 돌출로 인하여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영구자석을 흡착체로 하여 문짝을 닫는 래치장치는 상기 걸어맞춤체를 끼워 넣은 것으로 부터 문짝에 구비한 철편을 흡착하여 닫힘 유지를 하는것으로,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0-120184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그 일예로 들 수 있다.
이 흡착력을 이용한 래치장치는 누름형이 래치장치와 같은 기구를 가지며, 문짝을 눌러 붙임으로서 흡착함과 동시에, 자석을 구비한 작동체를 케이스 내부에 밀어넣어 문짝을 닫히게 하고, 다음의 눌홈으로써 작동체의 눌러넣음 상태를 풀어서 문짝을 떠올려, 영구자석으로 부터 떨어짐을 용이하게 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흡착형의 래치장치는 문짝에 철편을 구비하는 것만으로, 걸어맞춤제와 같은 돌출부재가 없게 됨으로, 문짝의 표면은 물론 배면에도 평평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사용처에 따라서는 걸어맞춤체가 달린 래치장치에 비교하여 현격하게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게 되나, 이 흡착형의 래치장치는 작동체가 케이스에서 떠올라도 실질적으로는 문짝의 철편과 흡착제인 영구자석이 직접 접촉하고 있어서, 문짝의 개방시에는 무리하여 철편을 떠내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흡착형 래치장치에 있어서 개방시에 영구자석에서 문짝에 설치한 철편을 떠어내야 하는 것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할 목적으로 연구개발 한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영구자석의 흡착력을 이용함으로써 문짝, 뚜껑체측에서 걸어맞춤체와 같이 돌기물을 제거하는 한편, 개방시에는 종래의 누름형 래치장치와 같이 래치 유지력을 완전히 해제하여 완전히 자유로운 해방을 허용하고, 흡착제에서의 당김 조작을 필요로 하지않은 개량된 래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장점으로는 캐비넷등의 기체의 열림구멍부에 장치되고, 개폐가 자유로운 경첩이 부착된 뚜껑체에 설치한 철편을 흡착하여 닫힌 상태로 구속하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기체의 열림구멍부에 부착하는 케이스의 열림 구멍부에 영구자석으로 된 흡착체를 구비하는 한편, 이 케이스이 내부에 미끄럼 동작체를 넣어서 이의 선단부에서 설치한 압출편을 상기 흡착체를 피하여 케이스의 열림구멍부에서 출입이 가능하게 하고, 평상시는 케이스와 미끄럼 동작체간에 줄여서 설치한 탄발 스프링으로 미끄럼 동작체를 케이스의 열림구멍부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압출편을 밖으로 돌출시켜 놓고, 뚜껑체를 닫을 때에는 여기에 구비된 철편을 상기 압출편에 부착하여 탄발스프링에 저항하여 미끄럼동작체를 밀면서 압출편을 케이스 내부로 후퇴시켜 철편을 흡착체에 접근흡착시킴과 동시에,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스톱퍼 부재의 미끄럼돌기를 미끄럼 동작체의 일면에 형성한 하트형 순환통로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어서 이 미끄럼 동작체의 이동을 구속하고, 뚜껑체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개방시에는 재차 뚜껑체를 눌러서 미끄럼 동작체의 순환통로의 걸림부에 걸려진 스톱퍼 부재의 미끄럼 돌기를 벗기고, 이 미끄럼동작체의 열림 구멍부 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여 압출편을 열림구멍부에서 돌출시켜 흡착체에 흡착한 철편을 떼어서 뚜껑체의 닫힘을 해제하도록 된 래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종래의 흡착형 래치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제의 흡착체를 케이스내에 구비한 미끄럼 동작체에 직접 부착하여 뚜껑체를 닫을때에는 그 뚜껑체에 구비된 철편을 상기 흡착체에 흡착시키는 것과 같이 이 흡착체에 미끄럼 동작체를 케이스 내부에 밀어넣어 뚜껑체를 기체에 열림구멍부에 밀착시켜서 맞추고, 또 개방시에는 뚜껑체의 누름으로 미끄럼동작체의 구속을 풀어 흡착체에 철편을 흡착시킨 그대로 떠오르게하여 뚜껑체의 가장자리에 손가락을 걸친 것에 대하여 본 발명은 흡착제을 케이스의 열림 구멍부에 구비하여 미끄럼 동작체와는 독립시켜 뚜껑체의 닫힘조작에 따라 눌러 흡착체로 부터 앞 방향으로 돌출한 압출편을 출입조작하고, 이에 의하여 뚜껑체에 구비한 철편을 상기 흡착체에 접근시켜-혹은 당겨서-뚜껑체의 개폐를 제어 하도록 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장치를 상술하면, 일단을 트이게 한 케이스와 : 케이스의 열림구멍부에 구비된 영구자석의 흡착체와 케이스의 내부에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 넣어지고 선단부에 구비한 압출편을 상기 흡착체를 피하여 열림구멍부에서 출입하는 미끄럼동작체와 케이스와 미끄럼동작체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발스프링과; 케이스내에 있으며, 미끄럼돌기를 미끄럼 동작체의 일면에 형성한 하트형 순환통로에 맞추어 미끄럼동작체를 구속하는 스톱퍼 부재로 되며 통상시는 상기 탄발 스프링에 의하여 미끄럼동작체의 압출편을 케이스열림구멍부의 밖으로 돌출하고, 상기 뚜껑체를 닫을 때에는 철편에 의하여 상기 압출편을 케이스 내부에 밀어넣어 이 철편을 직접 흡착체에 접근흡착시킴과 동시에 스톱퍼편의 미끄럼돌기를 순환통로 중간에 설치할 걸림부에 걸어서 누름상태로 구속지지 시키기고 도 개방시에는 뚜껑에의 누름으로 상기 압출편을 통하여 미끄럼동작체를 일단 내부로 밀어넣어 상기 스톱퍼 부재의 미끄럼돌기를 걸림부에서 풀은 다음, 탄발스프링에 의하여 미끄럼동작체의 밀어내기편을 열림구멍부에서 돌출시켜 상기 철편을 흡착체에서 떼어서 뚜껑체의 개방을 자유로히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상기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열림구멍부에 접할 벽면에 안쪽 방향을 향하여 일정 길이를 가지는 가는 홈을 형성하고, 하편 이 열림구멍부에 구비되는 흡착체에 상기 가는 홈에 미끄러 지게 만나는 돌기를 형성하여 이 흡착체를 출입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이 가능하게 구비해서 된 래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상기 장치에 있어서, 스톱퍼 부재는 암과 압압편을 가지는 대체로 L자형으로 형성하여 암의 선단부 하면에 미끄럼 돌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암의 기단부 상면에 돌설한 걸림돌부를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할 오목부에 미끄럼식으로 만나게 하여 이 오목부를 기점으로 암의 선단부를 상하로 운동자유롭게로 하는 한편, 압압편에 케이스와 미끄럼 동작체사이에 설치한 탄발스프링의 일단을 걸어맞추어 상기암의 선단부를하면측으로 탄발케한 래치장치를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래치장치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구성부품을 분해한 상면측 사시도, 제3도는 같은 하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로서, 1은 캐비넷들의 기체(C)의 열림구멍부에 부착한 케이스이고, 2는 이 케이스의 열림구멍부(3)에 부착된 영구자석재의 흡착체, 4는 케이스 내부에 출입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이 임의롭게 넣어진 미끄럼 동작체이고, 5는 이 미끄럼동작체와 케이스와의 사이에 설치하여 통상시 미그럼동작체를 열림구멍부 방향으로 압압하는 탄발 스프링이다.
케이스(1)는 대체로 통형태로 형성하여 일단에 열림구멍부(3)를 형성하고, 타단을 벽(6)에 막는 열림구멍부측에서 넣어진 미끄럼 동작체(4)가 빠지지 않도륵 되어 있으며, 흡착체(2)는 블럭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의 열림구멍부에 전방에 끼워 넣으며, 상하 양면에 돌설한 돌기(7)를 케이스의 상하 양면에 안쪽방향을 따라서 세로길이로 형성한 가는 홈(8)에 미끄러져서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흡착체는 상기 돌기(7)의 미끄럼 만남에 따라 좌우로 공간을 두고 열림구멍부(3)의 중앙부에 넣어지는 홈(8)의 길이 분출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미끄럼동작체(4)는 선단부에 2개의 압출편(9)(9)을 나란히 연장설치하고 이 압출편을 상기 흡작체(2)의 양측면을 따라서 열림구멍부(3)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되며, 여기서는 각 압출편의 내면에 돌설한 돌조(10)를 흡착체의 측면부에 형성한 홈(11)에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미끄럼동작체(4)는 후방으로 열린 구멍인 중공부(12)를 가지며, 케이스의 후방벽(6)에서 연장설치한 안내봉(13)을 받아들어 이 안내봉에 감아진 코일상의 탄발스프링(5)을 넣어지도록 하여져 있다.
한편, 미끄럼동작체(4)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스톱퍼부재(14)의 미끄럼돌기(15)를 받아서 상기 탄발스프링에 의하여 전방으로 밀어지는 미끄럼동작체의 미끄럼 동작을 규제하는 하트형을 이룬 순환통로(l6)가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부재(14)는 암(14a)과 압압편(14b)을 대체로 L자형으로 조합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암(14a)의 선단 하면에 상기 미끄럼돌기(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톱퍼 부재는 케이스(1)의 후부에 설치한 창(17)으로 부터 끼워 넣고, 암의 기단부 상면에 돌설할 걸림돌부(18)를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할 오목부(19)에 미끄러지게 만나도록 수납되어 있고, 이 넣어진 상태에서 압압편(14b)의 전면을 상기 탄발 스프링(5)의 후단에 맞닿게 하여 (제11,12도 참조) 암(14a)의 선단을 미끄럼동작체의 상면에 밀어내어 미끄럼돌기(15)를 순환통로(16)에 미끄럼 합치게 한다.
본 발명의 래치장치는, 상기 구성부재로 되며, 먼저 케이스(1)에 대하여 탄발 스프링(5)을 열림구멍부(3)를 통하여 끼워놓고, 상기 안내봉(13)에 끼우고, 다음에 미끄럼동작체(4)를 상기 탄발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끼워 놓은 다음 밀어내기편(9)(9)사이에 끼워지게 하여 흡착체(2)를 가진 그대로 이 흡착체를 열림구멍(3)에 흡착체(2)를 밀어넣으면, 그 상하 양면에 설치된 돌기(7)가 열림구멍부(3)의 상하면을 일단 밀어벌어지게 되고, 그대로 밀어 넣으면, 그 돌기(7)가 홈(8)에 미끄럼 만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흡착체(2)를 부착하면, 탄발스프링(5)으로 미끄럼 동작체(4)는 열림구멍부측에 압압하여 선단의 압출편(9)(9)을 이 흡착체의 측방을 통과하여 열림구멍부의 밖으로 튀어나오게 된 다음 케이스 후부의 창(17)에서 스톱퍼부재(14)를 끼워 놓고 그 걸림돌기(18)를 오목부(19)에 미끄러지며 마주침과 동시에 압압편(46)을 탄발스프링(5)의 후단에 맞닿게 하면 암(14a)의 미끄럼돌기(15)는 탄력적으로 순환통로(16)에서 만나게 된다.
제4도 내지 제7도는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4도는 장치의 정면도, 제5 내지 7도는 캐비넷등의 기체(C)에 부착하고 이에 경첩식 부착된 뚜껑체(A)의 개폐조작에 따라서 작동하는 관계를 표시한 일부 단면으로 한 확대평면도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장치는, 통상시의 경우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출편(9)(9)를 열림구멍부(3) 밖으로 돌출한 상태에 있고, 이때 스톱퍼부재(14)의 미끄럼 돌기(15)는 하트형 순환통로(16)의 후부에 위치한다. 또 여기서 상기 순환통로(16)에 대해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이 순환통로는 대체로 하트형으로 한 일방통로로서 시발단의 위치(a)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따라 저면에서 위로 경사되게 형성하고, 그 선단부에 떨어지는 단차(b)를 형성, 다음의 안쪽 벽(c)에서 방향을 바꾸어 다시 위로 경사한 다음 제2의 단차(d)를 형성하여 걸림부(e)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에 다시 위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제3의 단차(f)에 유도함과 동시에 단차에서 안쪽의 벽(g)을 거쳐 상기 시발단의 위치(a)에 도달하는 완만한 상방 경사로 형성하여 최종의 단차(b)에 통상상태에 있는 래치장치는, 압출편(9)을 전방으로 돌출하고 스톱퍼부재의 미끄럼편(15)을 순환통로의 위치(a)에 미끄럼 합치게 되고 (제5도)이 상태에서 뚜껑체(A)의 다음에 따라서 이 뚜껑체 이면에 구비된 철편(B)을 장치의 전면으로 밀어내면 압출편(9)은 스프링(5)을 압축시켜서 케이스 내부로 후퇴하고, 철편(B)을 열림구멍부(3)에 구비한 흡착체(2)의 위치까지 접근하게 된다.(제6도)
이 접근에 칠편(B)는 흡착체(2)에 직접 접근하고 흡착됨과 동시에 밀어진 미끄럼 동작체는 통로(16)에 미끄럼 맞추어진 미끄럼 돌기(15)를 단차(B)를 넘은 안쪽벽(C)에 맞닿고, 미는 것에 따른 후퇴를 이 위에서 멈추게 된다. 여기서 뚜껑체(A)의 미는것을 푸는 탄발스프링의 작용으로 미끄럼동작체(4)는 전진하고 통로에 맞날 미끄럼돌기(15)를 걸림부(e)에 이동시켜 여기에 걸어 맞추어져서 미끄럼 동작체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이 미끄럼동작체(4)의 복원은 매우 짧은 거리이고, 이 복원에 따라서 홈(8)을 안내로하여 일단 케이스내에 밀어넣어진 흡착체(2)에는 철편(B)에 흡착한 그대로 홈(8)의 길이 한도로 끌어내고, 계속하여 철편(B)을 흡착체는 홈을 안내로 하여 출입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뚜껑체의 폐쇄조작에 따라 철편이 밀어진 후, 상기 순환통로의 걸림부(e)에, 스톱퍼 부재의 미끄럼돌기(15)가 걸어붙여 질때까지의 사이, 이 철편을 흡착하는 것이고, 이 이동에 따라서 폐쇄조작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확실한 구속상태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뚜껑체로 흡착하고 폐쇄한 래치장치는, 이어서 두껑체를 압압하여 철편(B)으로 미끄럼동작체의 압출편(9)을 케이스내로 밀어넣어면, 순환통로(16)에 미끄러짐으로 만나는 스톱퍼부재(14)의 미끄럼돌기(15)가 상향경사를 따라서 안쪽벽(8)으로 이동하고 이에 충돌한다.
이 충돌로 미끄럼동작체의 이동이 멈춘곳에서 뚜껑체(A)에서 손을 때면, 탄발 스프링(5)의 밀어내기로 미끄럼동작체(4)는 열림구멍부(3)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미끄럼돌기(15)는 사면을 미끄러져 미끄럼 동작체의 이동을 허용하고 스스로는 단차(h)를 넘어서 시발단의 위치(a)에 되돌아가며 재차 밀어내기편(9)을 열림구멍부(3)에서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착체(2)에 맞닿아서하여 흡착된 철편(B)은 이 밀어냄으로 강제적으로 떼어냄으로써 뚜껑체는 래치장치에서 해방되어 자유로히 개방하게 된다.
제13도의 (A) 내지 (F)도는 상기한 뚜껑체의 개폐조작, 특히 개폐조작에 따른 뚜껑체의 철편(B)과 압출편(9)의 관계 및 흡착체(2)와의 관계를 표시한것으로, (A)도는 통상시에 압출편(9)이 상측으로 돌출한 자세를, (B)도는 뚜껑체를 눌러 압출편이가 흡착체(2)와 같이 케이스의 열림구멍부내로 물러난 자세를, (C)도는 누름을 해제함으로써 흡착체(2)가 홈(8)을 따라 끌어 나와서 철편(B)을 흡착하며 뚜껑체를 막은 상태로 구속하는 자세를 (D)도는 뚜껑체를 개방하기 위해 재차 눌려진 상태를 (E)도 및 (F)도는 이와같이 압압한 다음 뚜껑체에 대한 압압을 해제함으로써 압출편(3)의 밀어낸 작용으로 철편(B)이 흡착체(2)에서 멀어지는 자세를 도시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에는 측벽부에 한쌍의 탄성을 준 걸림편(20)을 설치하여 기체(C)의 열림구멍부에 부착할때 이 열림구멍부의 가장자리판에 설치할 관통구멍(21)에 밀어넣는 것으로, 상기 걸림편(20)을 겉붙여 부착이 가능하도록 된것이다. 이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장치에 의하면, 뚜껑체의 누름조작의 반복으로 폐쇄상태와 해방상태로 서로 바꿀 수 있음과 동시에, 폐쇄시에는 뚜껑체에 형성한 철편을 직접 흡착체에 흡착시켜서 개방을 구속하는 한편, 개방시에는 압출편의 흡착체에서 철편을 강제적으로 떼어내고 자석의 흡착력으로 해방됨으로 전혀 저항없이 개방할 수 있고, 따라서 종래의 기존 영구자석을 이용한 래치장치와 같은 개방시의 뚜껑체의 벗김이 불필요하여 극히 유리하다.
특히, 상술한 압출편에 의해 밀어냄으로 흡착체의 떨어지는 효과는 뚜껑체를 자중에 의하여 혹은 약한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여는 방향으로 탄발시켜놓으면, 개방을 위해 압압조작하면 이에 따라서 자공적으로 개방하게 됨으로 사용하는 곳에 따라서는 극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물론 뚜껑체에는 그 이면에 평편한 철편을 설치 하는 것만으로 뚜껑체를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은 말할것도 없다.

Claims (3)

  1. 캐비넷등의 기체의 열림구멍에 장치되어 개폐가 자유롭고 경첩이 부착된 뚜껑체에 설치한 철편을 흡착하여 폐쇄상태로 구속토록 일단을 트이게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열림구멍부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의 흡착체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미끄럼 동작하여 자유로히 열림구멍부에서 출입하고, 그 일측 상부면에 하트형의 순환통로가 형성되는 미끄럼동작체와: 상기 케이스와 미끄럼동작체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림구멍부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을 보유한 탄발스프링과; 상기 케이스내에서 미끄럼돌기를 상기 순환통로에 결합되어 미끄럼동작체를 구속하는 스톱퍼부재가 구비되는 래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동작체의 양측으로 압출편을 상기 열림구멍부측으로 연장시켜, 그 사이로 위치된 흡착체가 상기 스톱퍼부재의 걸림해제 위치로 전환시 미끄럼동작체의 압출편을 열림구멍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철편을 흡착제에서 떨어지게 하여 뚜껑체의 개방이 자유롭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열림구멍부에 맞닿는 벽면에는 안쪽방향을 향하여 작동길이를 가진홈을 형성하고, 상기 열림구멍부내에 위치되는 흡착체는 상기 홈의 위치로 미끄럼 돌기를 돌출시켜 상기 흡착체가 출입방향으로 미끄럼동작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스톱퍼 부재는 암과 압압편을 가진 대체로 L자형으로 형성하여, 암의 선단부 하면에 미끄럼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암의 기단부상면에 돌설한 걸림 돌부를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한 오목부에 끼워지게 하여 이 오목부를 기점으로 암의 선단부를 상하로 요동 자유롭게 하고, 상기 압압편에 케이스와 미끄럼동작체 사이에 설치한 탄발 스프링의 일단을 걸어 맞추어 상기 암의 선단부를 하면측에 탄발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장치.
KR1019890018054A 1989-04-13 1989-12-06 래치 장치 KR920006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91746A JP3002829B2 (ja) 1989-04-13 1989-04-13 ラッチ装置
JP89-91746 1989-04-13
JP91746 1989-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579A KR900016579A (ko) 1990-11-13
KR920006608B1 true KR920006608B1 (ko) 1992-08-10

Family

ID=1403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054A KR920006608B1 (ko) 1989-04-13 1989-12-06 래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002829B2 (ko)
KR (1) KR920006608B1 (ko)
DE (1) DE4011722A1 (ko)
FR (1) FR26488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99U (ko) * 2015-02-23 2016-08-31 오세진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
KR20170002393U (ko) * 2015-12-24 2017-07-04 오세진 도어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7527A1 (de) * 2003-12-08 2005-07-14 Karl Simon Gmbh & Co. Kg Druckmagnetschnäpper
ITMI20041020A1 (it) * 2004-05-21 2004-08-21 Agostino Ferrari Spa Dispositivo di chiusura per mobili
DE202005006516U1 (de) * 2005-04-23 2006-08-24 MEPLA-WERKE LAUTENSCHLäGER GMBH & CO. KG Zuhaltevorrichtung
AT503949B1 (de) 2006-03-08 2008-02-15 Blum Gmbh Julius Schliess- und öffnungsvorrichtung für ein an einem möbel bewegbar gelagertes möbelteil
JP5003880B2 (ja) * 2007-03-30 2012-08-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ッシュラッチ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5003881B2 (ja) * 2007-03-30 2012-08-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扉体の開閉装置、記録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2009057741A (ja) * 2007-08-31 2009-03-19 Seiko Epson Corp プッシュラッチ装置、蓋体開閉装置、記録装置
GB2467920A (en) * 2009-02-19 2010-08-25 Jonathan Stephen Prestwich Push button magnetic hold and release fastener
TWM397194U (en) * 2010-07-02 2011-02-01 Sun Chain Metal Industry Co Ltd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of drawer
RU2523709C1 (ru) * 2013-02-12 2014-07-20 Доор Энд Виндоу Хардвэ Ко. Магнитное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4544A (en) * 1978-03-20 1979-09-27 Kato Electric Opening and shutting holding device of cover body
JPH0217106Y2 (ko) * 1979-02-28 1990-05-11
US4702506A (en) * 1984-06-29 1987-10-27 Kyosuke Iimura Magnet catcher for doors
FR2591648A1 (fr) * 1985-06-28 1987-06-19 Nifco Inc Verrou magnetique
JPH0768812B2 (ja) * 1987-06-30 1995-07-26 株式会社ニフコ 浮き出しラッチ
JPH0735073Y2 (ja) * 1989-01-20 1995-08-09 三洋電機株式会社 蓋体のロツ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99U (ko) * 2015-02-23 2016-08-31 오세진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
KR20170002393U (ko) * 2015-12-24 2017-07-04 오세진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579A (ko) 1990-11-13
FR2648856A1 (fr) 1990-12-28
JPH02272184A (ja) 1990-11-06
DE4011722A1 (de) 1990-10-18
JP3002829B2 (ja) 2000-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608B1 (ko) 래치 장치
US4709949A (en) Latch device
US7802856B2 (en) Drawer slide with push-latch device
US8282175B2 (en) Opening device for furniture parts which are moveable relative to one another
KR101143569B1 (ko) 닫힘조절장치
US10208510B1 (en) Integral positive unlock device for drawer and cabinet safety locks
KR970074318A (ko) 뚜껑 개폐 장치
GB2281503A (en) Damper and anti-rattle assembly
WO2005012678A1 (en) Opening and closing latch device for furniture
US20070056229A1 (en) Fastening means of return air grille
JP3925887B2 (ja) 抽斗の閉止装置
KR101056874B1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WO2003018943A1 (en) Locking mechanism
CN216446693U (zh) 按压式自锁门挡
KR102410129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2416155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CN220442495U (zh) 一种配置有自动关门装置的烹饪器
KR102354266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KR102385709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댐핑장치
JPH084445A (ja) ドアの気密保持装置
JP7395093B2 (ja) 建具
CN219109029U (zh) 储物器
CN215889686U (zh) 一种微通风装置的滑槽锁定机构及其微通风装置
JPH0752299Y2 (ja) 横引式建具の取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