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972A -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972A
KR20140141972A KR20130063408A KR20130063408A KR20140141972A KR 20140141972 A KR20140141972 A KR 20140141972A KR 20130063408 A KR20130063408 A KR 20130063408A KR 20130063408 A KR20130063408 A KR 20130063408A KR 20140141972 A KR20140141972 A KR 2014014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ver
moving
open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647B1 (ko
Inventor
손영욱
정승수
최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647B1/ko
Priority to US14/294,685 priority patent/US9190640B2/en
Publication of KR2014014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는 배터리를 삽입 또는 인출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수용부를 가지는 바디와,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바디에 수용되며, 이동할 수 있는 무빙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와 맞닿는 턱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커버와 상기 무빙 힌지 사이의 힌지 연결부는 상기 바디 밖으로 이동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COVER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ELECTRONIC APPLIANCES}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배터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전자 부품을 탈착하는데 사용되는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셀룰러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전기 면도기 등의 전자 기기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는 구동 전원용 배터리를 탑재한다. 일부 전자 기기에서 배터리 교환을 위해서는 케이스 자체를 분리하여야 하나, 대다수의 많은 전자 기기들은 케이스에 배터리 교환에 사용되는 배터리 커버를 가진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커버의 개방 각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커버의 개방 각도를 높여 배터리 탈착시 커버로 인한 방해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커버의 개방 각도를 높여 커버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커버의 개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삽입 또는 인출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를 가지는 바디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바디에 수용되며, 이동할 수 있는 무빙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와 맞닿는 턱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커버와 상기 무빙 힌지 사이의 힌지 연결부는 상기 바디 밖으로 이동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배터리 커버 개폐 장치는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배터리 수용부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 옆에 배치되고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힌지 수용부를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개구에 잠금 가능한 배터리 커버와, 상기 힌지 수용부의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수용부의 개구와의 결합을 통해 출입구를 형성하는 힌지 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와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 수용부의 둥근 바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이동 방향으로 원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인 무빙 힌지와,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무빙 힌지를 힌지 연결하는 제 1 샤프트와, 상기 무빙 힌지를 관통하고, 상기 무빙 힌지의 양측부로 양단이 돌출되며, 상기 제 1 샤프트와 평행 배치되는 제 2 샤프트 및 일단은 상기 힌지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연결 훅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무빙 힌지에 형성된 일측으로 개방된 스프링 연결 홈을 관통하는 상기 제 2 샤프트에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 수용부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양측부에 상기 무빙 힌지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홀을 가지며, 상기 제 2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개구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홀의 안내를 받아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바디에 형성된 턱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무빙 힌지 사이의 힌지 연결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이동되며, 상기 힌지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무빙 힌지는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인장을 받으면서 이동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버 개폐 장치는 커버의 회전축의 이동을 통해 커버의 회전 각도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는 케이스 프레임의 반대편에 저지되어 더 이상 회전시킬 수 없을 정도로 커버를 완전히 회전(예: 180도 각도 회전)시킬 수 있어 개방감을 개선할 수 있다. 커버가 임계 각도(예: 90 도)를 초과 회전되는 경우 커버의 회전축은 특정 기점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를 저지하지 않도록 케이스 프레임 밖으로 이동하므로, 회전축 또는 그 주변에서의 파단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개폐 장치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개폐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 및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다른 커버에 설치되는 로킹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샤프트를 보여주는 도면; 및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개폐 장치를 적용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케이스 프레임 및 커버의 개폐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개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개폐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개폐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커버 개폐 장치(1)는 바디(10), 무빙 힌지(20), 힌지 커버(30), 커버(40), 제 1 샤프트(50), 제 2 샤프트(60) 및 인장 스프링(7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는 내부 전자 부품들(예: Print Circuit Board (PCB), 렌즈 등)을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디(1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예: 배터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을 수용할 수 있고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용부(11)를 가질 수 있다. 제 1 수용부(11)의 개구부(12)에는 커버(40)와의 후크 체결을 위한 걸림홈들(121, 122)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는 무빙 힌지(30)를 수용할 수 있고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태의 제 2 수용부(13)(이하, 힌지 수용부라 칭함)를 가질 수 있다. 힌지 수용부(13)의 바닥(131)(활주면)은 둥근 형상일 수 있다. 힌지 수용부(13)의 바닥(131)에는 무빙 힌지(20)의 활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소정 너비의 가이드 홈(1311)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수용부(13)의 바닥(131)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양측부(132, 133)에는 무빙 힌지(20)의 활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소정 너비의 개구홀들(1321, 1331)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수용부(13)의 일측에는 스프링 연결 훅(14)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수용부(13)의 개구부에는 후크 걸림홈들(1322, 1332)이 형성될 수 있다.
무빙 힌지(20)는 바디(10)의 힌지 수용부(13)에 수용되고, 이동될 수 있다. 무빙 힌지(20)는 이동 방향을 따라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무빙 힌지(20)의 바닥은 바디(10)의 힌지 수용부(13)의 바닥(131)과 접촉되는 둥근 형상이고, 힌지 수용부(13)의 바닥(131)에서 미끄럼 이동(활주)될 수 있다. 무빙 힌지(20)는 중심부(21)와, 중심부(21)의 양측부으로부터 무빙 힌지(20)의 양쪽 활주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한 쌍의 힌지암(22) 및 한 쌍의 샤프트암(23)을 가질 수 있다. 무빙 힌지(20)의 중심부(21)의 바닥(21)에는 가이드 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11)는 바디(10)의 가이드 홈(1311)으로 삽입되고, 바디(10)의 가이드 홈(1311)의 안내를 받아 이동될 수 있다. 무빙 힌지(20)는 한 쌍의 힌지암(22)을 관통하는 제 1 샤프트 홀(221)을 가질 수 있다. 무빙 힌지(20)는 한 쌍의 샤프트암(23)을 관통하는 제 2 샤프트 홀(231)을 가질 수 있다. 무빙 힌지(20)의 중심부(21)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스프링 연결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 홀(231)은 스프링 연결 홈(212)과 연통할 수 있다.
힌지 커버(30)는 바디(10)의 힌지 수용부(13)의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커버(30)는 힌지 수용부(13)의 개구부를 완전히 덮지 않는 크기이고, 힌지 커버(30)와 바디(10)의 힌지 수용부(13)가 결합되면, 무빙 힌지(20)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301)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커버(30)의 출입구(301) 근처의 하면(32)은 둥근 형상이고, 이에 따라 무빙 힌지(20)는 힌지 수용부(13)의 바닥(131)과 힌지 커버(30)의 하면(32) 사이에서 유격 없이 매끄럽게 활주 가능하게 되고, 무빙 힌지(20)의 이동에 대한 기계적 견고성이 확보될 수 있다. 힌지 커버(30)는 바디(10)의 힌지 수용부(13)의 개구부에 마련된 후크 걸림홈들(1322, 1332)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후크들(33)을 가질 수 있다.
커버(40)는 제 1 수용부(11)의 개구부(12)에 끼워 맞춰지는 형상으로, 제 1 수용부(11)의 개구부(12)를 막을 수 있다. 커버(40)의 일측에는 무빙 힌지(20)의 한 쌍의 힌지암(22)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암(4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40)의 힌지암(41)은 무빙 힌지(20)의 한 쌍의 힌지암(22) 사이에 배치되고, 무빙 힌지(20)의 한 쌍의 힌지암(22)에 형성된 제 1 샤프트 홀(221)과 연통할 수 있는 샤프트 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40)는 측부에 관통홀들(42)을 가질 수 있다.커버(40)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개구홀(43)을 가질 수 있다.
제 1 샤프트(50)는 무빙 힌지(20)의 한 쌍의 힌지암(22) 및 커버(40)의 힌지암(41)을 관통하고, 무빙 힌지(20)와 커버(40)는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커버(40)와 무빙 힌지(20) 사이의 힌지 연결부에는 토션 스프링(미도시됨)이 설치될 수 있다. 커버(40)가 제 1 수용부(11)의 개구부(12)로부터 잠금 해제되는 경우, 커버(40)는 토션 스프링의 탄성 지지에 의해 자동으로 열릴 수 있다.
제 2 샤프트(60)는 무빙 힌지(20)의 한 쌍의 샤프트암(23) 및 중심부(21)를 관통하고, 무빙 힌지(20)의 한 쌍의 샤프트암(23)의 양측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60)는 제 1 샤프트(50)와 평행 배치되고, 무빙 힌지(20)의 중심부(21)의 스프링 연결 홈(212)을 관통할 수 있다. 한 쌍의 샤프트암(23)의 양측부로 돌출된 제 2 샤프트(60)의 양단은 바디(10)의 개구홀(1321, 1331)에 각각 배치되고, 개구홀(1321, 1331)의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인장 스프링(70)은 바디(10)의 힌지 수용부(13)에 수용될 수 있다. 인장 스프링(70)의 일단(71)은 무빙 힌지(20)의 중심부(21)의 스프링 연결 홈(212)에 배치되고, 제 2 샤프트(60)에 고정될 수 있다. 인장 스프링(70)의 타단(72)은 바디(10)의 힌지 수용부(13)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연결 훅(14)에 고정될 수 있다. 무빙 힌지(20)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인장 스프링(70)의 인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커버(40)의 개구홀(43)을 통해 노출된 조작부(82)를 이동시키고 손을 떼는 경우, 커버(40)는 무빙 힌지(20)와 힌지 연결된 제 1 샤프트(50)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예: 90도)만큼 자동으로 열릴 수 있다. 커버(40)와 무빙 힌지(20) 사이의 힌지 연결부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은 커버(40)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90도 각도로 세워진 커버(40)(도 3 참조)에 힘을 가해 커버(40)를 더 회전시키는 경우, 커버(40)는 바디(10)와 맞닿는 턱(601)을 회전축(도 3의 601)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커버(40)와 무빙 힌지(20) 사이의 힌지 연결부는 회전축(601)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축(6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출입구(301)를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힌지 연결부에 연결된 무빙 힌지(20)는 인장 스프링(70)의 인장을 받으면서 이동될 수 있다. 커버(40)는 180도 각도로 회전될 수 있고, 180도 각도로 회전된 커버(40)는 바디(10)의 외면과 맞닿게 되고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다.
180도 각도로 회전시킨 커버(40)(도 4 참조)에서 손가락을 떼는 경우, 도 3의 모습으로 복귀될 수 있다. 커버(40)는 커버(40)와 무빙 힌지(20) 사이의 힌지 연결부에 마련된 토션 스프링에 의해 90도 각도로 자동으로 세워지고, 무빙 힌지(20)는 인장 스프링(70)으로 의해 힌지 수용부(13) 안쪽으로 이동되며, 커버(40)와 무빙 힌지(20) 사이의 힌지 연결부는 바디(10) 안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 3의 상태에서 커버(40)를 바디(10)의 개구부(12) 쪽으로 더 회전시키는 경우, 커버(40)는 바디(10)의 개구부(12)에 후크 체결되고, 배터리 수용부(11)를 막을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에 설치되는 로킹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커버(40)의 하면(402)에는 캠 운동하는 가동 캠(80) 및 종동 캠(90)이 설치될 수 있다. 가동 캠(80)이 직선 이동하는 경우, 종동 캠(90)은 가동 캠(90)의 이동 방향과 서로 교차하는 방향(예: 직교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캠(80)은 일측에 매끄러운 요철 윤곽(81)을 가질 수 있다. 종동 캠(90)은 가동 캠(80)의 요철 윤곽(81)과 미끄럼 접촉할 수 있는 돌기(91)를 가질 수 있다. 종동 캠(90)은 돌기(91) 양쪽으로 연장되는 둥근 형상의 탄성대들(92)을 가질 수 있다. 탄성대들(92)은 종동 캠(90)을 커버(40)의 안쪽으로 복귀시키려는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가동 캠(80)이 커버(40)의 측부 바깥쪽으로 직선 이동되는 경우, 종동 캠(90)의 돌기(91)는 가동 캠(80)의 요철 윤곽(81)의 볼록 부분(811)과 맞닿고, 종동 캠(90)은 커버(40)의 측부 바깥쪽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캠(80)이 커버(40)의 측부 안쪽으로 직선 이동되는 경우, 종동 캠(90)의 돌기(91)는 가동 캠(80)의 요철 윤곽(81)의 오목 부분(812)과 맞닿고, 종동 캠(90)은 탄성대들(92)로부터의 탄성에 의하여 커버(40)의 측부 안쪽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캠(80)은 커버(40)의 개구홀(43)을 관통하도록 수직 연장된 소정 높이의 조작부(82)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40)의 개구홀(43)을 통해 노출된 가동 캠(80)의 조작부(82)에 힘을 가하여 커버(40)의 개구홀(43)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가동 캠(80)은 이동될 수 있다. 가동 캠(80)은 일측에 탄성 끼움부(83)를 가질 수 있다. 탄성 끼움부(83)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탄성편들(84)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끼움부(83)는 가동 캠(80)의 직선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한 쌍의 탄성편들(84)에 사이에 배치되는 홀(85)을 가질 수 있다. 탄성 끼움부(83)의 홀(85)은 가운데 부분이 상대적으로 좁을 수 있다. 커버(40)는 후면(42)으로부터 수직 연장되고 가동 캠(80)의 탄성 끼움부(83)의 홀(83)을 관통하는 돌기(44)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82)에 힘을 가하여 가동 캠(80)을 이동시키는 경우, 커버(43)의 돌기(44)는 탄성 끼움부(83)의 홀(85)의 좁은 부분을 지나가게 되고, 가동 캠(80)의 한 쌍의 탄성편들(84)은 탄성 휨변형될 수 있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가동 캠(80)은 커버(40)의 돌기(44)와 가동 캠(80)의 탄성 끼움부(83)로 인하여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가동 캠(80) 및 종동 캠(90)은 각 일측에 후크들(86, 96)을 가질 수 있다. 가동 캠(80)과 종동 캠(90)이 커버(40)의 측부 바깥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후크들(86, 96)은 커버(40)의 측부 바깥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커버(40)가 바디(10)의 제 1 수용부(11)의 개구부(12)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가동 캠(80)이 커버(40)의 측부 바깥쪽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동 캠(80)과 종동 캠(90)의 후크들(86, 96)은 수용부(11)의 개구부(12)에 형성된 걸림홈들(121, 122)에 후크 체결될 수 있고, 커버(40)는 잠금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샤프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샤프트(160)는 무빙 힌지(20)의 한 쌍의 샤프트암(23) 및 중심부(21)를 관통하고, 무빙 힌지(20)의 한 쌍의 샤프트암(23)의 양측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 샤프트(160)는 무빙 힌지(20)의 중심부(21)의 스프링 연결 홈(212)을 관통할 수 있다. 한 쌍의 샤프트암(23)의 양측부로 돌출된 제 2 샤프트(160)의 양단은 바디(10)의 개구홀(1321, 1331)에 각각 배치되고, 개구홀(1321, 1331)의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제 2 샤프트(160)의 양단은 개구홀(1321, 1331)의 경로를 일부 따르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샤프트(160)는 개구홀(1321, 1331)의 경로를 일부 따르는 단면을 가지는 기둥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샤프트(160)는 무빙 힌지(20)와 힌지 수용부(13)의 개구홀(1321, 1331) 사이의 유격을 줄일 수 있고, 기계적 견고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버 개폐 장치를 적용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케이스 프레임 및 커버의 개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커버 개폐 장치는 배터리 및/또는 메모리 카드 탈착에 적용될 수 있다. 케이스 프레임(90)은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개폐 장치(1)의 바디(10)는 케이스 프레임(90)에 결합되는 별도의 부재이거나, 케이스 프레임(90)의 일부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버(40)는 디지털 카메라의 케이스 프레임(80)으로부터 180도 각도까지 회전될 수 있고, 배터리 및/또는 메모리 카드를 탈착하기 위한 수용부(11)가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삽입 또는 인출하기 위하여 일측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수용부를 가지는 바디;
    상기 수용부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바디에 수용되며, 이동할 수 있는 무빙 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커버와 상기 무빙 힌지 사이의 힌지 연결부는 상기 바디 밖으로 이동되는 커버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에 형성된 턱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커버와 상기 무빙 힌지 사이의 힌지 연결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바디 밖으로 이동되는 커버 개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힌지는,
    상기 바디에 마련된 힌지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힌지 수용부의 둥근 형태의 바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커버 개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힌지는,
    이동 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이고, 양측부로부터 상기 활주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한 쌍의 힌지암을 포함하는 커버 개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무빙 힌지의 한 쌍의 힌지암들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힌지암을 가지는 커버 개폐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용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는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와 힌지 커버의 결합으로, 상기 힌지 연결부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커버 개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근처 상기 힌지 커버의 하면은,
    상기 무빙 힌지와 맞닿고 둥근 형상인 커버 개폐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용부의 바닥에는 상기 무빙 힌지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무빙 힌지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의 안내를 받아 이동 가능한 가이드 돌기를 가지는 커버 개폐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용부에 수용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힌지 수용부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양측부에 상기 무빙 힌지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홀을 가지고,
    상기 무빙 힌지는 양측부를 관통하는 샤프트 홀을 가지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 홀을 관통하고, 상기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무빙 힌지의 양측부로 돌출되며, 상기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개구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홀의 안내를 받아 이동 가능한 커버 개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힌지 수용부의 개구홀의 경로를 일부 따르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커버 개폐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수용부에 수용되는 인장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무빙 힌지는 상기 샤프트 홀과 연통하고, 일측으로 개방된 스프링 연결 홈을 가지고,
    상기 힌지 수용부는 일측에 스프링 연결 훅을 가지며,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 연결 홈에서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인장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스프링 연결 훅에 고정되는 커버 개페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에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무빙 힌지로부터 회전 가능한 커버 개폐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면에 설치되고, 캠 운동으로 상기 커버의 서로 다른 측부를 향해 직선 이동할 수 있는 가동 캠 및 종동 캠을 포함하되,
    상기 가동 캠은 상기 커버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개구홀을 통해 수직 연장되고 상기 개구홀 상에서 이동 가능한 소정 높이의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종동 캠은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탄성대들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가동 캠과 상기 종동 캠은 상기 캠 운동으로 상기 커버상에서 이동되는 후크들을 가지고,
    상기 수용부의 개구에는 상기 후크들과 결합 가능한 걸림홈들이 적소에 형성되는 커버 개폐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각도는,
    90도인 커버 개폐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180도 각도까지 회전 가능한 커버 개폐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180도 각도로 회전된 경우,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의 외면과 맞닿아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는 커버 개폐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은,
    상기 배터리 및/또는 메모리 카드인 커버 개폐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힌지 연결부 쪽으로 좁아지는 형상인 배터리 개폐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인 배터리 개폐 장치.
  20. 전자 기기의 배터리 커버 개폐 장치에 있어서,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배터리 수용부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 옆에 배치되고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상의 힌지 수용부를 가지는 바디;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개구에 잠금 가능한 배터리 커버;
    상기 힌지 수용부의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수용부의 개구와의 결합을 통해 출입구를 형성하는 힌지 커버;
    상기 배터리 커버와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 수용부의 둥근 바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며, 이동 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구부러진 형상인 무빙 힌지;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무빙 힌지를 힌지 연결하는 제 1 샤프트;
    상기 무빙 힌지를 관통하고, 상기 무빙 힌지의 양측부로 양단이 돌출되며, 상기 제 1 샤프트와 평행 배치되는 제 2 샤프트; 및
    일단은 상기 힌지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 연결 훅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무빙 힌지에 형성된 일측으로 개방된 스프링 연결 홈을 관통하는 상기 제 2 샤프트에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 수용부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양측부에 상기 무빙 힌지의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홀을 가지며, 상기 제 2 샤프트의 양단은 상기 개구홀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홀의 안내를 받아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가 임계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바디에 형성된 턱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무빙 힌지 사이의 힌지 연결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출입구를 통해 외부로 이동되며, 상기 힌지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무빙 힌지는 상기 인장 스프링의 인장을 받으면서 이동되는 배터리 커버 개폐 장치.
KR1020130063408A 2013-06-03 2013-06-03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KR10205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408A KR102052647B1 (ko) 2013-06-03 2013-06-03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US14/294,685 US9190640B2 (en) 2013-06-03 2014-06-03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electronic appli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408A KR102052647B1 (ko) 2013-06-03 2013-06-03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972A true KR20140141972A (ko) 2014-12-11
KR102052647B1 KR102052647B1 (ko) 2019-12-05

Family

ID=5198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408A KR102052647B1 (ko) 2013-06-03 2013-06-03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90640B2 (ko)
KR (1) KR102052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422741T3 (da) * 2014-04-07 2020-08-03 Oticon As Høreapparatanordning der har en batteriskuffe
JP6173401B2 (ja) * 2015-09-28 2017-08-0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7468073B (zh) * 2016-06-08 2023-08-0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面盖部件及含有其的电热烹饪器具
US10798836B2 (en) 2016-08-10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ed hinge mechanisms
US11451700B2 (en) 2019-03-06 2022-09-20 Aob Products Company Game camera having camera control module
US11688906B2 (en) * 2020-05-21 2023-06-27 Shenzhen Eigate Technology Co., Ltd. Battery box
CN114171839B (zh) * 2021-10-28 2024-05-14 歌尔科技有限公司 电池固定结构及游戏手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4252B2 (ja) * 1994-10-26 1999-02-03 三洋電機株式会社 着脱式開閉カバー
EP1083725A1 (en) * 1999-09-07 2001-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Release mechanism for a locking hinge for a foldable phone handset
KR100547726B1 (ko) * 2003-04-25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KR100941953B1 (ko) * 2007-12-05 2010-02-12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폴더형 원터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폴더형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656B1 (ko) 1997-12-27 2000-08-01 고성욱 디지탈 카메라의 메모리 카드 투입구의 덮개 흰지부
KR100499796B1 (ko) 2002-06-05 2005-07-08 주식회사 엠투시스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의 힌지장치
JP3993042B2 (ja) 2002-08-02 2007-10-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携帯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4252B2 (ja) * 1994-10-26 1999-02-03 三洋電機株式会社 着脱式開閉カバー
EP1083725A1 (en) * 1999-09-07 2001-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Release mechanism for a locking hinge for a foldable phone handset
KR100547726B1 (ko) * 2003-04-25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KR100941953B1 (ko) * 2007-12-05 2010-02-12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폴더형 원터치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 폴더형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2647B1 (ko) 2019-12-05
US20140354879A1 (en) 2014-12-04
US9190640B2 (en)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1972A (ko)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US8936475B2 (en) Electrical device with a clamshell electrical connector
TWI462025B (zh) 具有可動式插卡結構之卡讀取器及電子裝置
US5678206A (en) Keypad cover hinge
KR101966254B1 (ko) 도킹 장치
US7488554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414197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shutter
EP3403524B1 (en) Card holder and electronic device
US20180123281A1 (en) Protective cap for an attachment housing
KR101408132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90052918A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66092B1 (ko) 저삽입력 커넥터
CN114542583A (zh) 锁止结构和折叠式电子设备
KR101255214B1 (ko)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0448813Y1 (ko) 레버형 커넥터
KR20060095310A (ko)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N109373685B (zh) 冰箱
KR20020043065A (ko) 휴대폰 힌지장치
KR102531545B1 (ko) 커넥터
KR200222454Y1 (ko) 휴대폰 힌지장치
JP2006252915A (ja) モジュラジャック
CN109373686B (zh) 冰箱
KR100690715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404171Y1 (ko) 힌지장치
KR100647542B1 (ko) 도어클로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