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715B1 -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715B1
KR100690715B1 KR1020040050702A KR20040050702A KR100690715B1 KR 100690715 B1 KR100690715 B1 KR 100690715B1 KR 1020040050702 A KR1020040050702 A KR 1020040050702A KR 20040050702 A KR20040050702 A KR 20040050702A KR 100690715 B1 KR100690715 B1 KR 10069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ver
hinge shaft
assembl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563A (ko
Inventor
강동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715B1/ko
Priority to CNB2004100970606A priority patent/CN100441060C/zh
Publication of KR20060001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측 끝단부에 조립되는 힌지조립체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커버가 구비되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조립체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커버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조립되어 형성되고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중 어느 한곳에 상기 힌지조립체가 삽입되는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되고, 다른 한곳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힌지조립체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되어 지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본체에 조립되는 제1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과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상대 운동하는 제2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이 내부에 삽입되고 그 일측면에 상기 제2힌지축이 외부로 돌출 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힌지하우징이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조립 및 분해 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힌지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커버가 본체에 힌지결합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커버가 본체에 힌지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0 : 커버
121 : 상부 커버 122 : 하부 커버
123 : 삽입부 123a : 삽입홀
124 : 스토퍼 124 a: 지지홀
130 : 힌지조립체 131 : 힌지하우징
131a : 관통공 132 : 제1힌지축
133 : 제2힌지축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및 커버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 시 조립이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록힌지는 심플하고 고장이 적으면서도 각도조절이 용이하여 휴대폰, 노트북 등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의 개폐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 및 모양을 달리하여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휴대폰의 힌지구조는 크게 클릭 힌지(CLICK HINGE) 타입과 프리스탑 힌지(FREE-STOP HINGE)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클릭힌지 타입은 고정캠 및 회전캠의 대응구조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커버를 소정의 각도(대부분 30도)까지 열어주면 150도 지점까지 한 번에 열려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에 반해, 프리스탑 힌지 타입은 상기에서 언급한 클릭힌지 타입과 그 구조가 거의 유사하나, 캠선도가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의 커버 개방각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가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일측 끝단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고정홈(11a)이 구비된 고정부(11)가 형성되고 그 고정부(11)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커버(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20)는 상부 커버(21) 및 하부커버(22)가 조립되어 구성되고, 하부커버(22)의 일측 끝단부에는 삽입홀(23a)이 형성된 원통형 형상의 힌지부(23)가 장착되며, 힌지조립체(30)가 상기 고정홈(11a) 및 삽입홀(23a)에 각각 삽입되고 지지되어 구성된다.
상기 힌지조립체(30)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힌지 하우징(31)의 내부에 제1힌지축(32) 및 제2힌지축(33)이 각각 양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고 강도의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제1힌지축(32) 및 제2힌지축(33)이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힌지 하우징(31)의 일측면은 상기 제1힌지축(32)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제1힌지축(32)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2힌지축(33)이 회전되며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관통공(31a)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 하우징(31)이 상기 삽입홀(23a)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 하우징(31)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1힌지축(32)이 상기 고정홈(11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조립체(30)의 장착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힌지 하우징(31)을 커버(20)에 형성된 힌지부(23)의 삽입홀(23a)에 삽입시킨 후에 작업자가 손이나 핀셋을 이용하여 스프링에 지지되어 힌지 하우징(31)의 외부로 돌출된 제1힌지축(32)을 힌지 하우징(31)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본체(10)의 고정부(11) 사이에 힌지부(23)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제1힌지축(32)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제1힌지축(32)이 스프링력에 의해 돌출 되면서 고정홈(11a)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는 힌지조립체(30)를 장착할 때, 상기 힌지 하우징(31)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제1힌지축(32)에 가하여 고정홈(11a)에 안착시켜야 하므로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고, 또한 분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힌지축(32)을 고정홈(11a)에서 분해하기 위해서 제1힌지축(32)이 고정홈(11a)을 벗어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하여 분해해야 하므로 고정부(11) 및 힌지부(23)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힌지조립체(30)가 클릭 힌지타입이 아닌 프리스탑 힌지를 사용하는 경우 힌지조립체(30)의 힌지 하우징(31) 내부에 장착되어 제1힌지축(32)과 제2힌지축(33)을 지지하는 스프링의 강도가 클릭 힌지타입의 스프링 보다 강하므로 그 조립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조립체 장착시 장착 구조를 개선하여 힌지조립체의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의 일측 끝단부에 조립되는 힌지조립체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커버가 구비되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조립체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커버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조립되어 형성되고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중 어느 한곳에 상기 힌지조립체가 삽입되는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되고, 다른 한곳에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힌지조립체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 되어 지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본체에 조립되는 제1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과 스프링으로 지지되어 상대 운동하는 제2힌지축과, 상기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이 내부에 삽입되고 그 일측면에 상기 제2힌지축이 외부로 돌출 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힌지하우징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는 그 일측 끝단에 조립시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반원 단면형상을 갖는 각각의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힌지부에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부 커버의 힌지부에서 상기 삽입부의 내측 끝단부에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 커버의 힌지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으며 그 중심부에는 상기 제1힌지축이 본체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힌지축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관통된 지지홀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힌지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커버가 본체에 힌지 결합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커버가 본체에 힌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10)의 일측 끝단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서 각각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고정홈(11a)이 구비된 고정부(11)가 형성되고 그 고정부(11)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커버(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120)는 상부 커버(121) 및 하부커버(122)가 조립되어 구성되고, 상부 커버(121)와 하부 커버(122)의 일측 끝단에는 조립시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반원 단면형상을 갖으며 폭 방향으로 연장된 각각의 힌지부(121a, 122a)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122)의 힌지부(122a)에 관통된 삽입홀(123a)이 형성된 원통형상을 삽입부(1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커버(121)의 힌지부(121a)에는 상기 삽입부(123)의 내측 끝단부에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 커버(122)의 힌지부(122a)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으며 그 중심부에 관통된 지지홀(124a)이 형성된 스토퍼(124)가 형성되며, 힌지조립체(130)가 상기 고정홈(11a) 및 삽입홀(123a)에 각각 삽입되고 지지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 커버(122) 및 상부 커버(121)에 각각 형성된 상기 삽입부(123)와 스토퍼(124)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관하다.
상기 힌지조립체(130)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힌지하우징(131)의 내부에 제1힌지축(132) 및 제2힌지축(133)이 각각 양측면 방향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고 강도의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제1힌지축(132) 및 제2힌지축(133)이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힌지하우징(131)의 일측면은 상기 제1힌지축(132)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제1힌지축(132)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2힌지축(133)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제2힌지축(13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된 관통공(131a)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하우징(131)이 상기 삽입홀(123a)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 하우징(131)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1힌지축(132)이 상기 고정홈(111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힌지축(132)과 제2힌지축(133)은 힌지하우징(131)의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제1힌지축(132)을 밀어주면 제2힌지축(133)이 힌지하우징(131)의 바깥쪽으로 밀려나고 제2힌지축(133)을 밀어주면 제1힌지축(132)의 힌지하우징(131)의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조립체(130)의 장착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조립체(130)의 제2힌지축(133)이 내측을 향하도록 힌지하우징(131)을 하부커버(122)의 삽입부(123)에 관통된 삽입홀(123a)에 밀어 넣은 후에 본체(10)의 고정부(11) 사이에 형성된 힌지부(122a)를 밀어 넣어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힌지하우징(131)의 제2힌지축(133)을 입입되는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제1힌지축(132)이 돌출 되면서 고정홈(11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커버(122)에 상부 커버(121)를 조립하면 상부 커버(121)의 힌지부(121a)가 하부 커버(122)의 힌지부(122a)와 결합되면서 원통형 형상의 힌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스토퍼(124)가 삽입부(123)의 내측 끝단에 접하면서 힌지하우징(131)이 내측방향으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제2힌지축(133)의 끝단부 일부가 스토퍼(124)의 지지홀(124a)에 삽입되어 내측방향으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지지된다.
여기에서, 힌지조립체(130)의 조립공정을 다시 설명하면, 힌지하우징(131)을 하부커버(22)에 형성되는 삽입부(123)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힌지하우징의 제1힌지축(132)은 힌지하우징(13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되어 힌지 하우징의 측면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조립체(130)가 삽입된 하부커버(22)의 힌지부(122a)를 본체(10)의 고정부(11)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힌지축(132)이 힌지하우징(131) 내부로 인입된 상태이므로 고정부(11)에 걸림되지 않아 보다 쉽게 힌지부(122a)를 고정부(11)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힌지축(133)을 축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제1힌지축(132)이 힌지하우징(131)의 측면에서 돌출되면서 고정홈(11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커버(121)를 하부커버(122)에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상부 커버에 형성된 스토퍼(124)가 힌지하우징(131)의 측면에 접촉되어 제1힌지축(132)과 제2힌지축(133)이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1힌지축(132)이 고정홈(11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조립체(130)를 분해하는 경우에는 하부커버(122)에서 상부커버(121)를 분해하여 스토퍼(134)를 제거한 후에 제2힌지축(133)을 잡아당겨 인출시킴으로써 제1힌지축(132)이 고정홀(11a)을 벗어나도록 한 후에 하부 커버(122)를 본체(10)의 고정부(11) 사이에 분해한 후 힌지조립체(130)를 삽입홀(123a)에서 분해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는 힌지하우징(131)의 타측면에 상기 제2힌지축(133)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제2힌지축(13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된 관통공(131a)을 형성하고, 조립시에 제1힌지축(132)을 힌지하우징(131) 내부로 밀어 넣어 제2힌지축(133)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부(11)의 사이에 힌지부(112a)를 삽입 한 후에 제2힌지축(133)을 힌지하우징(131) 내부로 밀어 넣어 제1힌지축(132)이 돌출 되어 고정홈(11a)에 안착되도록 하며, 그 상태에서 상부커버(121)를 조립하여 스토퍼(124)가 제2힌지축(133)을 지지하여 외부로 돌출 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는 본체와 커버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조립체를 조립 및 분해 시에 별도의 외력을 투입하지 않고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되어 작업성 향상에 따란 제조경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및 분해시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중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재료비를 절감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의 일측 끝단부에 조립되는 힌지조립체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커버가 구비되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조립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 중 어느 한 커버에는 상기 힌지조립체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다른 한 커버에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힌지조립체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되어 지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힌지 하우징과, 상기 힌지 하우징의 양쪽 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힌지축 및 제2힌지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힌지축은 상기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제2힌지축은 커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는 그 일측 끝단에 조립시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반원 단면형상을 갖는 각각의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힌지부에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상부 커버의 힌지부에서 상기 삽입부의 내측 끝단부에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 커버의 힌지부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으며 그 중심부에는 상기 제1힌지축이 본체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힌지축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관통된 지지홀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050702A 2004-06-30 2004-06-30 휴대용 단말기 KR100690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702A KR100690715B1 (ko) 2004-06-30 2004-06-30 휴대용 단말기
CNB2004100970606A CN100441060C (zh) 2004-06-30 2004-12-21 便携终端的合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702A KR100690715B1 (ko) 2004-06-30 2004-06-30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563A KR20060001563A (ko) 2006-01-06
KR100690715B1 true KR100690715B1 (ko) 2007-03-09

Family

ID=3582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702A KR100690715B1 (ko) 2004-06-30 2004-06-30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0715B1 (ko)
CN (1) CN10044106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8417B (zh) 2010-06-22 2014-10-21 Pegatron Corp 支撐結構模組及其應用之電子裝置
CN102298427B (zh) * 2010-06-22 2014-05-07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用于该电子装置的支撑结构模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310A (ko) * 2002-12-10 2004-06-16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힌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123Y1 (ko) * 2001-04-25 2001-10-12 원종림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CN1199542C (zh) * 2002-03-27 2005-04-27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枢轴装置
JP2004044743A (ja) * 2002-07-15 2004-02-12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機器用ヒンジ
KR20040061122A (ko) * 2002-12-30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장착한 전기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310A (ko) * 2002-12-10 2004-06-16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힌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503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17129A (zh) 2006-01-04
CN100441060C (zh) 2008-12-03
KR20060001563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074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device
US7299523B2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109995A1 (en) Opening-closing device
US20060112516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00162526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215981B2 (en) Folder type mobile phone
US20100050384A1 (en) Automatically opening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60123596A1 (en) Hinge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690715B1 (ko) 휴대용 단말기
JP2010510444A (ja) バネ力が加えられたヒンジ機構
KR20080067458A (ko) 평행한 두 회전축을 갖는 힌지장치
KR100418050B1 (ko)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US7543357B2 (en) Fold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KR101009933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US8186016B2 (en) Hinge device for mobile device of folding type
KR20060095310A (ko)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428621Y1 (ko) 스윙 폰의 반자동스윙힌지장치
KR200394685Y1 (ko) 스윙힌지 모듈
KR100678627B1 (ko) 휴대 전화기용 180도 회전 힌지장치
US20100064478A1 (en)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08106793A (ja) 携帯通信機
US8161602B2 (en)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018326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496967B1 (ko) 휴대폰 폴더의 힌지장치
KR100714512B1 (ko)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