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616Y1 -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616Y1
KR200246616Y1 KR2020010016710U KR20010016710U KR200246616Y1 KR 200246616 Y1 KR200246616 Y1 KR 200246616Y1 KR 2020010016710 U KR2020010016710 U KR 2020010016710U KR 20010016710 U KR20010016710 U KR 20010016710U KR 200246616 Y1 KR200246616 Y1 KR 200246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predetermined
vehicle
ball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영
김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테크솔루션
김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테크솔루션, 김근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테크솔루션
Priority to KR2020010016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616Y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즈프리 거치대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시 그 거치대의 굴절 및 회전반경을 최대한도록 크게 함으로써, 상기 핸즈프리장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손쉽게 회동 및 굴절시킬수 있도록 한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그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는 소정 무선신호에 따라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과 무선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핸즈프리장치를 차량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내의 소정 패널상에 부착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 일정 위치에 돌출형성되며 탄성스프링(114)이 내재고정될수 있도록 일정 깊이 및 직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은 나사선이 구비되는 요입홈(112)을 가지는 받침부재(110)와, 상기 요입홈(112)상에 하부면 일정부위가 삽입되며 상부면은 소정 볼(118)이 안착되도록 반구형상의 오목홈을 가지는 안착부재(116)와, 상기 요입홈(116)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그 결합시 상기 안착부재(116) 상부에 안착된 볼이 돌출되도록 상단면에 관통홀(122)을 가지는 커버부재(120)와, 상기 관통홀(122)을 통해 돌출된 볼(118)과 나사결합되며 그 볼(118)의 회동에 따라 소정 각도 이상 굴절 및 회동되는 거치부재(13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HANDS-FREE HOLDER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즈프리 거치대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의 굴절 및 회전반경이 크게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 및 핸즈프리 사용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소정 대역의 무선호출신호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그러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차량에서 일정 시간 이상 사용 가능하도록 충전기능이 가미된 핸즈프리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핸즈프리장치는 통상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일정 위치에 부착되는 소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패널상에 나사결합하든지, 또는 접착물질을 매개하여 접착되는 거치대와 결합/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어야 하며, 그러한 핸즈프리장치는 안전사고 등의 증가추세에 따라 차량 운전중에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자체를 금지화시키는 법적제재에 따라 이용하고자 하는 운전자가 꾸준하게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 이동통신단말기 및 핸즈프리장치를 거치하는 대부분의 거치대는 사용시에 그 굴절반경 및 회전이 용이하지 않아, 이동통신단말기가 운전자가 직시할수 없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이를 사용에 편리한 방향으로 조작시 그 조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일정 거치대가 어느 일정방향(예컨대, 상하방향)으로만 방향변경이 되든지 또는 상하좌우방향으로 방향조절이 된다고 하더라도 그 회전반경이나 굴절반경이 소정 각도 이내로만 조작되기 때문에, 그 거치대가 패널상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각도 및 방향조절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각도로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상에 장착된 거치대의 상하좌우방향이 소정 볼을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이상 굴절 및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운전중에도 핸즈프리장치 및 이동통신단말기가 지향하는 방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는, 소정 무선신호에 따라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과 무선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핸즈프리장치를 차량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내의 소정 패널상에 부착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 일정 위치에 돌출형성되며 탄성스프링이 내재고정될수 있도록 일정 깊이 및 직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은 나사선이 구비되는 요입홈을 가지는 받침부재와, 상기 요입홈상에 하부면 일정부위가 삽입되며 상부면은 소정 볼이 안착되도록 반구형상의 오목홈을 가지는 안착부재와, 상기 요입홈과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그 결합시 상기 안착부재 상부에 안착된 볼이 돌출되도록 상단면에 관통홀을 가지는 커버부재와, 상기 관통홀을 통해 돌출된 볼과 결합되며 그 볼의 회동에 따라 소정 각도 이상 굴절 및 회동되는 거치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패널상의 굴곡면과 완전하게 밀착고정될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 하단부의 중앙부위는 반구형으로 돌출형성되며 그 일단에 형성된 나사홈을 매개하여 상기 볼과 나사결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를 보이고 있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와 핸즈프리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용 핸즈프리거치대가 차량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보이고 있는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거치대, 110 : 받침부재,
112 : 요입홈, 114 : 탄성스프링,
116 : 안착부재, 118 : 볼,
120 : 커버부재, 122 : 관통홀,
130 : 거치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를 보이고 있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100)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패널상(150; 도 4)에 밀착고정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탄성스프링(114)이 개재될 수 있도록 요입홈(112)이 돌출형성되는 받침부재 (110)와, 상기 탄성스프링(114)에 하부 일정부위가 끼워지고 상부면은 중심축에 홀이 형성된 볼(118)이 안착되도록 반구형의 오목홈을 가지는 안착부재 (116)와, 상기 오목홈에 안착되며 상기 돌출형성된 요입홈(112)과 결합시 상기 볼(118)이 돌출되도록 상단부위에 관통홀(122)이 형성된 커버부재(120)와, 상기 돌출된 볼(118)과 중심축을 매개하여 나사결합되는 반구형의 돌출부가 하부면에 형성되고 핸즈프리장치의 후면에 요입개재되도록 소정 형상을 가지는 거치부재 (1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재(110)는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150)의 굴곡면과 밀착접착될수 있도록 유연성이 가미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하부면에는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볼(118)과 상기 거치부재(130)의 하단부에 돌출형성된 반구형 상호간은 소정 곡률로 절곡되어 일정 거리 이상 이격(d)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 거치부재(130)의 일면(예컨대 핸즈프리장치와 밀착되는 부위)에는 핸즈프리장치의 끼움홈(2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돌기(132)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립 완료된 핸즈프리 거치대(100)를 부착하고자 하는 소정 위치, 예컨대 인스트루먼트패널(150)의 일정 부위에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그런 상태로부터 거치부재(130)에 핸즈프리장치의 후면에 형성된 끼움홈 (210)에 삽입시켜 거치부재(130)에 핸즈프리장치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거치부재(130)의 일면, 즉 핸즈프리장치의 후면과 대응되는 면의 소정 위치에는 돌기 (132)가 형성되며, 그러한 돌기는 끼움홈(210)에 형성된 돌기홈(도면 미도시)에 정확하게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거치부재(130)와 끼움홈(2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되거나 진동이 발생되어도 쉽게 이격되지 않게 된다.
그와같이, 인스트루먼트패널상(150)에 거치대(100)가 결합되면, 상기 오목홈이 형성된 안착부재(116)가 탄성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올라가게 되고, 따라서 상기 안착부재(116)와 볼(118)이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볼(118)의 외주면은 상기 관통홀(12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어느 한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유지한채 고정되게 된다. 즉, 운전자나 제 3자의 인위적인 조작이 없이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차량 운전자가 상기 거치대(100)에 장착된 핸즈프리장치9200)를 원하는 방향으로 굴절 및 회전시킬 경우, 운전자는 핸즈프리장치의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약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스프링(114)이 하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볼(118)이 관통홀(122)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그 관통홀(122) 내주면과 볼 (118) 외주면 사이에는 약간의 여유공간이 생기게 되고, 따라서 운전자는 손쉽게 핸즈프리장치의 방향을 바꿀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핸즈프리장치를 굴절 및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볼(118) 및 이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반구형의 돌출부 상호간은 그 결합부위가 소정 곡률로 절곡되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거치부재(130)의 회전반경을 최대한으로 크게 할 수가 있음으로써, 운전자는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운전자가 핸즈프리장치의 방향을 바꾼후에는 핸즈프리장치를 놓음으로써, 상기 탄성스프링(114)의 탄성복원력에 따라 볼(118)과 관통홀(122)이 밀착되어 끼워지게 됨으로써 방향변경 설정 이후에 상기 핸즈프리장치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핸즈프리 거치대(100)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볼 등이 자유롭게 회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거치대(100)를 분리하여 수리작업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10)는 인스트루먼트패널(150)상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 받침부재(110) 상부에 결합된 커버부재(120)를 나사분리함으로써 안착부재(116) 및 거치부재(130)등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20)는 그 외주면이 요철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운전자는 간단하게 받침부재로부터 이를 분리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에 따르면 회동되는 부위에 볼 및 그 볼이 내재되어 회동될수 있는 관통홀이 제공되는 한편, 상기 볼과 핸즈프리장치와 결합되는 거치부재 상호간이 일정 간격이상 이격되어 결합되고, 그 결합부위가 소정 곡률로 절곡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상기 핸즈프리장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손쉽게 회동 및 굴절시킬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 무선신호에 따라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과 무선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핸즈프리장치를 차량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내의 소정 패널상에 부착되는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는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 일정 위치에 돌출형성되며 탄성스프링(114)이 내재고정될수 있도록 일정 깊이 및 직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은 나사선이 구비되는 요입홈(112)을 가지는 받침부재(110)와,
    상기 요입홈(112)상에 하부면 일정부위가 삽입되며 상부면은 소정 볼 (118)이 안착되도록 반구형상의 오목홈을 가지는 안착부재(116)와,
    상기 요입홈(116)과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그 결합시 상기 안착부재(116) 상부에 안착된 볼이 돌출되도록 상단면에 관통홀(122)을 가지는 커버부재(120)와,
    상기 관통홀(122)을 통해 돌출된 볼(118)과 결합되며 그 볼(118)의 회동에 따라 소정 각도 이상 굴절 및 회동되는 거치부재(13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10)는 상기 패널(150)상의 굴곡면과 완전하게 밀착고정될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130) 하단부의 중앙부위는 반구형으로 돌출형성되며 그 일단에 형성된 나사홈을 매개하여 상기 볼(118)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118)과 반구형 상호간은 소정 곡률로 절곡되어 일정 거리 이상 이격(d)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2020010016710U 2001-06-05 2001-06-05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200246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710U KR200246616Y1 (ko) 2001-06-05 2001-06-05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710U KR200246616Y1 (ko) 2001-06-05 2001-06-05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616Y1 true KR200246616Y1 (ko) 2001-10-22

Family

ID=7310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710U KR200246616Y1 (ko) 2001-06-05 2001-06-05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61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9041A2 (ko) * 2011-07-08 2013-01-17 (주)에스문 볼힌지 구조
KR101314849B1 (ko) * 2010-12-14 2013-10-04 (주)알테크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
KR101693148B1 (ko) * 2016-06-09 2017-01-04 한성산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KR200484345Y1 (ko) 2017-02-09 2017-09-05 이용석 차량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190031962A (ko) * 2017-09-19 2019-03-27 전연배 차량의 송풍구 설치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KR20210028983A (ko) * 2019-09-05 2021-03-15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 룸미러 모니터의 거치대
KR102227511B1 (ko)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 서연이화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49B1 (ko) * 2010-12-14 2013-10-04 (주)알테크 내구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휴대기기 거치대
WO2013009041A2 (ko) * 2011-07-08 2013-01-17 (주)에스문 볼힌지 구조
KR101252066B1 (ko) * 2011-07-08 2013-04-12 (주) 에스문 볼힌지 구조
WO2013009041A3 (ko) * 2011-07-08 2013-06-13 (주)에스문 볼힌지 구조
KR101693148B1 (ko) * 2016-06-09 2017-01-04 한성산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WO2017213301A1 (ko) * 2016-06-09 2017-12-14 한성산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KR200484345Y1 (ko) 2017-02-09 2017-09-05 이용석 차량용 스마트기기 거치대
KR20190031962A (ko) * 2017-09-19 2019-03-27 전연배 차량의 송풍구 설치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KR101996591B1 (ko) * 2017-09-19 2019-07-04 전연배 차량의 송풍구 설치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KR20210028983A (ko) * 2019-09-05 2021-03-15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 룸미러 모니터의 거치대
KR102227511B1 (ko) * 2019-09-05 2021-03-15 주식회사 서연이화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KR102283755B1 (ko) * 2019-09-05 2021-08-02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 룸미러 모니터의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4287B2 (en) Headset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from a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ear loop and earplug capable of removable engagement with same
US5539584A (en) Power pack for an automotive exterior mirror assembly
KR100824188B1 (ko) 헤드셋
ES2326931T3 (es) Equipo de manos libres.
US5629810A (en) Mirror assembly for the exterior of an automotive vehicle having a hand set mechanism
KR20060084375A (ko) 귓바퀴용 지지부재 및 귓바퀴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이어폰
KR200246616Y1 (ko)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200411603Y1 (ko) 휴대기기의 거치대
KR20080010631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30040102A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AU639763B2 (en) Holder for a portable telephone
US7333837B2 (en) Universal hands-free unit for mobile telephones
KR101338886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0468477Y1 (ko) 흡착 유니트
KR200231076Y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의 방향전환 장치
KR200235732Y1 (ko) 핸즈 프리 거치대
KR20190001257U (ko) 차량용 휴대형 기기 거치대
EP1393980A2 (en) Holder for mobile telephone
KR200235701Y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KR200210278Y1 (ko) 자동차용 휴대폰 접속 지지장치
KR200218325Y1 (ko) 핸들에 부착되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JP2542472Y2 (ja) 車載用マイクロホンの取付構造
CN117445818A (zh) 车载手机支架
KR200254510Y1 (ko) 핸즈프리 기능을 위한 핸드폰 홀딩장치
KR10050768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차량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