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886B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886B1
KR101338886B1 KR1020110062733A KR20110062733A KR101338886B1 KR 101338886 B1 KR101338886 B1 KR 101338886B1 KR 1020110062733 A KR1020110062733 A KR 1020110062733A KR 20110062733 A KR20110062733 A KR 20110062733A KR 101338886 B1 KR101338886 B1 KR 101338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angle
extension
electronic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983A (ko
Inventor
신형호
Original Assignee
신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호 filed Critical 신형호
Priority to KR102011006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8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하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 1,2 연장부와, 곡면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제 1,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된 각도 조절 커버와, 상기 제 2 연장부의 말단에 형성된 코어로 구성된 홀더 어셈블리; 고정 대상에 압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압착 플레이트; 상기 각도 조절 커버 일부를 수용하도록 개방된 개방부 및, 상기 제 1,2 연장부와 수직하게 연장되되 상기 코어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홀을 중앙에 구비한 커플링, 상기 압착 플레이트의 승강을 제어하여 상기 압착 플레이트에 압착력을 제공하는 압착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 주변이 상기 각도 조절 커버가 회동되도록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각도 조절 커버의 일부를 누르면서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각도 조절의 편의성과 각도 조절 후 강력한 고정 유지 상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ANGLE-CONTROLLABLE R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전자기기를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특정 각도로 고정한 상태에서 차량의 대시보드 내지 책상 등에 고정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되, 각도 조절의 편의성과 각도 조절 후 강력한 고정 유지 상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달에 의하여,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는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데, 특히 사용자가 직접 휴대용 전자기기를 조작하지 않고 정지 상태로 놓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를 거치할 수 있는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한다.
거치대는 홀더(holder)와 유사한 것으로, 특정 물건을 특정 장소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물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용도가 존재하나 주로 차량에 장착되는 네비게이션 거치대, 휴대폰 거치대를 비롯하여 책상 등에 장착되는 모니터 거치대, 게임기 거치대 등이 상용화되고 있다.
차양용 휴대폰 거치대를 일 례로 들면, 차량의 대시보드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이 되어 운전자의 고정된 상태로 각도 조절이 되어 휴대폰을 거치하는 상태를 제공하는바, 이 때 휴대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타입과 그렇지 않는 타입으로 구분이 되나 운전자의 신체 상황과 시선에 따라 휴대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가 보다 편리하다 할 것이다.
공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을 고정한 홀더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바, 이 경우 휴대폰 거치대는 2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겸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즉, 휴대폰을 거치한 다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손쉽게 휴대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홀더의 각도가 설정이 된 이후에는 가급적 홀더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따른다.
그런데 공지의 거치대는 홀더 자체의 무게 및 특히 이에 휴대폰까지 장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무게에 의해 각도 조절이 된 홀더가 고정 상태를 유지 하지 못하고 쉽사리 유동되는 문제점을 가졌고,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토퍼 힌지와 같이 힌지의 고정 기능을 강화한 구성을 부가 사용할 수 있으나 홀더에서 연결된 샤프트의 길이 자체가 짧아져 사용자의 시선과 휴대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게 느껴져 휴대폰의 시인성을 떨어뜨리는 문제 역시 따랐다.
휴대폰을 비롯한 거치대에 관한 선행기술을 참조하면, 국내 특허 제 891964호와 같이 주로 대시보드와 같은 곳에 효율적으로 거치대를 장착하기 위한 압착판과 같은 기술 사상을 제공하는 경우에 편중이 되어 있고 정작 휴대폰을 홀더에 장착한 이후 각도 조절 및 각도 조절 후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은 상대적으로 크게 발견되지 않는다는 현실이다.
따라서 휴대폰을 홀더에 장착한 이후 편리하고 손쉽게 홀더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이 완료된 홀더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홀더와 이를 지지하는 하우징을 연장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을 하되 연장부를 2개의 분리 구성으로 구분하여 사용 상태에 따라 회동 각도 조절의 편의성과 회동 각도 조절 후 고정 상태에 대한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홀더와 하우징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를 제공하여 상기 목적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착 플레이트의 압착 방식에 의해 거치대를 고정 대상에 장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홀더에 포함된 각도 조절 커버의 표면에 마찰력을 별도로 부가하여 연장부의 길이가 보장되면서 사소한 힘에 의해서도 홀더의 회동이 급격히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하우징의 형상을 구 내지 타원체로 형성하여 거치대 전반의 내구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홀더와의 유기적인 결합 관계를 십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는,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하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 1,2 연장부와, 곡면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제 1,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된 각도 조절 커버와, 상기 제 2 연장부의 말단에 형성된 코어로 구성된 홀더 어셈블리; 고정 대상에 압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압착 플레이트; 상기 각도 조절 커버 일부를 수용하도록 개방된 개방부 및, 상기 제 1,2 연장부와 수직하게 연장되되 상기 코어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홀을 중앙에 구비한 커플링, 상기 압착 플레이트의 승강을 제어하여 상기 압착 플레이트에 압착력을 제공하는 압착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 주변이 상기 각도 조절 커버가 회동되도록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각도 조절 커버의 일부를 누르면서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일정 깊이 함입 구성되어 상기 체결부가 접촉되는 리세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리세스와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각도 조절 커버를 누르는 일 부위 내측 면에, 압박 링;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에 의하면,
1) 홀더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충분한 길이를 가진 제 1,2 연장부에 의하여 쉽고 편리하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를 가지되 전자기기가 거치된 이후로는 제 1, 2 연장부 사이에 장착된 각도 조절 커버에 의하여 제 1,2 연장부에 의한 모멘트를 줄여주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홀더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홀더가 쉽사리 기울거나 유동되지 않고,
2) 제 1,2 연장부의 존재에 의하여 목이 짧은 공지의 홀더에 비하여 홀더의 각도 조절 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 전자기기가 보다 사용자 측으로 다가와 전자기기의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3) 압착 플레이트에 의하여 바닥면 또는 차량의 대시보드 표면에 편리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 중심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간편하며,
4) 체결부가 각도 조절 커버를 덮어 외력에 의한 충격 흡수 역할을 제공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이 완료된 홀더의 고정 상태를 보다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5) 하우징의 전체 형상을 구 또는 타원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외력에 저항하는 중추 기능을 제공하는 홀더 어셈블리의 제 1,2 연장부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거치대의 내구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와 커플링의 결합에 따라 홀더 어셈블리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부의 압박 링에 의해 각도 조절 커버의 회동 상태를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홀더에 전자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전자기기라 함은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나 주로 이동통신단말기, 게임기, 네비게이션과 같이 전면부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자주 사용될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용도 역시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주로 차량용 대시보드 책상 일 측, 바닥 면과 같은 장소에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시야 내지 각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전자기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는 크게 전자기기가 장착되는 홀더 어셈블리(100)와, 홀더 어셈블리(10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우징(200), 바닥면 등에 본 발명의 거치대를 고정할 수 있는 압착 플레이트(25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추가적으로는 홀더 어셈블리(100)와 하우징(20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 어셈블리(100)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가 거치(장착)되는 홀더(110)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충분한 길이를 보장하여 홀더(110)의 각도 조절의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홀더(110)에 전자기기가 특정 각으로 세팅된 이후에는 쉽사리 외력에 의하여 홀더(110)가 유동(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바, 구체적으로 홀더(110), 제 1 연장부(120), 각도 조절 커버(140), 제 2 연장부(130), 코어(150)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110)는 전자기기를 수용 및 장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U 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 사이에 전자기기를 끼움 결합하도록 하고, 충분한 텐션(tension)을 보유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전자기기를 장착할 때에는 측부가 벌어지도록 하다가 전자기기가 장착된 이후에는 다시 복원하여 전자기기를 꽉 물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홀더(110)의 양 측단부는 다른 부위보다 내측으로 더 휘어져 있는 첨단곡률부 (111)를 구비하여 이러한 타 부위와 비교되는 곡도에 의해 전자기기를 물어주도록 하여 쉽사리 전자기기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미끄러져 빠지는 현상을 차단하도록 한다.
홀더(110)의 하단 중앙부에는 하방을 향하여 샤프트의 역할을 하는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데, 이 사이에 각도 조절 커버(140)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도 조절 커버(140)의 상단에 위치한 연장부를 제 1 연장부(120), 그 하단에 위치한 연장부를 제 2 연장부(130)라 명명한다.
이와 같은 제 1,2 연장부(120,130)는 후술하겠지만 모멘트(또는 토오크)를 강화하여 사용자에 의한 홀더 각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면서도 외력에 의해 쉽사리 유동되는 문제를 방지하는바, 각도 조절 커버(140) 및 후술할 하우징(200)에 의하여 제 1 연장부(120)는 외부로 노출이 되어 있고 제 2 연장부(130)는 하우징 내에 장착이 되어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진 연장부가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제 2 연장부(130)는 제 1 연장부(120) 및 각도 조절 커버(140)와 함께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의 상태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제작이 될 수도 있다.
각도 조절 커버(140)는 하우징(200)의 개방부(210)를 통해 하우징(200) 내에 삽입되어 하우징(200)의 개방부(210)를 덮도록 곡면을 포함한 상태에서 마치 돔과 유사하게 형성된 구성으로서, 제 2 연장부(130)의 회동에 따라 하우징(200)의 내측 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동이 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홀더 어셈블리(100)가 회동될 때 함께 회동이 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각도 조절 커버(140)는 단순히 제 2 연장부(130)의 회동에 수동적으로 함께 회동되는 수준을 넘어서 후술하겠지만 홀더 어셈블리(100)의 회동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각도 조절 커버(140)의 외측 표면에는 복수 개의 미세 돌기 또는 다른 부위보다 마찰계수를 크게 형성하여 이루어진 마찰 제공부(141)가 형성되어 이로 인해 다른 부위에 비해 거칠기가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코어(150)는 제 2 연장부(130)의 하단에서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보다 크게 이루어진 단부로서, 후술할 하우징(200)의 커플링(220)에 형성된 홀(221)에 안착되어 홀(221)의 내측 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움직이면서 제 1,2 연장부(120,13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200)은 상기 홀더 어셈블리(100)의 일부 구성을 수용함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본체에 해당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유지 및 보수의 편의성을 위해 종 방향으로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결합부에 의한 결합에 의해 양자의 착탈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00)은 상기 홀더 어셈블리(100)의 각도 조절 커버(140)가 결합 및 회전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개방된 상태를 가진 개방부(210)와, 후술할 체결부(300)와 접촉 결합되는 리세스(230), 상기 제 2 연장부(130)와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코어(150)의 회동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홀(221)을 구비한 커플링(220), 압착 플레이트(250)를 승강 및 제어하여 압착 상태를 제어하는 압착 조절부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200)은 특별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각도 조절 커버(140)의 회동성 보장 및 제 2 연장부(130)의 은닉 보장, 거치대 전반에 대한 내구성과 무게 중심의 역할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구 또는 타원체와 같은 곡면을 가진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개방부(210)는 하우징(200)의 상부 부위를 개방 상태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 때 개방부(210)는 하우징(200)의 위쪽 상단, 즉 하우징(200)이 바닥면(또는 대시보드)에 안착되었을 때 이를 기준으로 90ㅀ영역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하우징(200)의 상부와 측부 중간 지점이 개방된 상태를 제공한다.
이는 본 발명의 거치대를 대시보드 등에 장착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위치하는 사용자의 눈높이와 시야각을 고려한 것으로,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홀더 어셈블리(100)가 회동이 되기는 해도 비스듬한 각도에서 사용자가 거치대를 바라보게 될 사용 상태가 일반적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리세스(230)는 다른 하우징(200) 부위보다 직경이 작게 이루어져 내측으로 함입되어 있는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할 체결부(300)의 내측 면이 접촉하여 양자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한 결합력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일 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직경 차이에 의하여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세스(230)는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을 따라 크랙(231)이 형성되어 후술할 체결부(300)와 결합 시 발생하는 압박력을 크랙(231)을 통해 외부 분산시켜 리세스(230)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커플링(220)은 홀더 어셈블리(100)의 제 2 연장부(130) 하단에 자리한 코어(150)와 접촉하여 코어(150)의 다 방향성 회동 운동을 보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 2 연장부(130)와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 중간 부위에 코어(150)의 회동 공간을 보장하기 위한 홀(2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홀(2210)에 코어(150)가 위치하게 된다.
즉, 이러한 코어(150)와 커플링(220)의 조합 구성은 예를 들어 유니버셜 조인트와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커플링(2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에 접촉된 코어(150)가 회동을 하여 이를 통해 홀더 어셈블리(100)가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회동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압착 조절부는 압착 플레이트(250)의 승강을 조절하여 압착 플레이트(250)의 압착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크게 슬릿(242)을 따라 좌우 이동하는 압착 조절 레버(241) 및 압착 조절 레버(241)의 이동에 의해 압착 플레이트(250)를 승강시키는 압착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압착 플레이트(250)는 하우징(200)의 하단에 형성되어 바닥면 내지 대시보드에 압착 상태로서 고정 결합되는 판상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신축성이 있어 승강이 가능하고 이러한 승강 상태는 상술한 압착 조절부에 의하여 구현이 된다.
즉, 압착 조절 레버(241)를 좌에서 우로 이동시키면 압착 제어부가 위치 변화를 가지면서 상승이 되고 이에 축 및 기타 구성을 매개로 연결된 압착 플레이트(250) 역시 상승이 되면서 바닥면에 압착이 되면서 고정 부착이 되도록 하며, 이러한 압착 방식은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구성으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기능 및 작용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압착 플레이트(250)에서 바닥면에 접촉되는 하측 면에는 점도가 있거나 점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가 추가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여, 이로 인해 압착 플레이트(250)가 바닥면에서 쉽사리 미끄러지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홀더 어셈블리(100)의 제 1 연장부(120)에서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구성되어 각도 조절 커버(140)의 상면 일부를 덮음과 동시에 하우징(200)의 리세스(230)와 결합이 되는 체결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체결부(300)는 하우징(200)이 도면과 같이 구 형태를 가질 경우 중앙이 비어 있는 링(ring)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선택적인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체결부(300)는 하우징(200)과 일체로 결합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하우징(200)에서 탈부착 결합이 가능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고 이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체결부(300)는 내측 면 일 측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리세스(230)와 나사산 결합을 하면서 홀더 어셈블리(100)와 하우징(200) 간의 결합 관계를 보다 강화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각도 조절 커버(140)에 접촉되는 상단 내측 면에는 둘레를 따라 링 형태로 압박 링(3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거치대에 대한 기능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와 커플링의 결합에 따라 홀더 어셈블리가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사용자가 홀더 어셈블리(100)의 홀더(110)에 전자기기를 결합하면 자신에 보기 편한 각도로 홀더 어셈블리(100)를 조절하게 되는데, 홀더(110)를 잡고 사용자가 힘을 주면 홀더(110)가 일정 각도 회동이 되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어셈블리(100)의 코어(150)와 하우징(200)의 커플링(220)의 홀(221) 간의 회동 가능한 결합/접촉 상태에 의해 구현이 되는 것이다.
즉, 코어(150)가 이보다 체적이 크게 이루어진 홀(221)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면서 코어(150)의 상단 부위인 제 2 연장부(130)를 비롯한 홀더 어셈블리(100) 구성이 회동이 되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홀더 어셈블리(100)의 각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각도 조절 커버(140)는 하우징(20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표면의 마찰력에 따라 하우징(200)의 내부 일 측(리세스 내측 면)과 접촉을 한 상태에서 회전이 된다.
이 때, 홀더 어셈블리(100)의 제 1,2 연장부(120,130)의 길이가 충분히 보장이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샤프트를 구비한 공지의 홀더보다 모멘트 또는 토오크 값이 커져 약간의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하여도 홀더 어셈블리(10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반면, 사소한 힘에 의하여 홀더 어셈블리(100)가 급격히 회동되는 상태는 방지하기 위해 각도 조절 커버(140)의 표면에 형성된 마찰력 제공부(141)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홀더 어셈블리(100)가 사소한 힘에 의해 급격히 회전되는 상태를 방지하여 미세 보정 내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이와 같은 각도 조절 커버(140)는 제 1 연장부(120) 측으로 근접하여 형성이 됨으로, 결과적으로 제 2 연장부(130)가 제 1 연장부(120)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바 이는 동일 힘이 작용되었을 때 길이가 긴 물체에 발생되는 모멘트 값이 커지기 때문에 일정 길이를 보장하는 제 1,2 연장부(120,130)에 의한 홀더 어셈블리(100)의 조작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도 추후 홀더 어셈블리(100)의 각도를 세팅한 후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는 체결부(300)가 각도 조절 커버(140)를 눌러주기 때문에 이 부분을 회전의 중심점으로 다시 가정할 경우 오히려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만 상대적으로 제 2 연장부(130)보다 길이가 짧은 제 1 연장부(120)에 의하여 코어(150) 측에 작용되는 토오크를 줄이고자 하는 근거에 기인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 커버(140)는 제 2 연장부(130)를 하우징(200) 내부로 삽입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이 제 2 연장부(130)로 전달됨에 따라 홀더(110)의 각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상대적으로 짧은 제 1연장부(120)만을 외부로 노출한 상태에서 이 부위에 체결부(300)를 결합하도록 하여 고정 결합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모멘트 내지 토오크 값을 작게 함으로 외부 충격에 따라 홀더(110)가 불필요하게 유동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각도 조절 커버(140)는 제 1,2 연장부(120,130)에 의한 충분한 길이에 따른 조작의 편의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정작 홀더(110)의 고정 각도가 세팅된 다음 세팅된 홀더(110)의 각도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때 체결부(300)와 결합이 되어 체결부(300)의 조임에 따라 외부에 드러난 제 1 연장부(12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최소화함으로써 동일한 외력에 의해서도 홀더(110)의 유동 원인이 되는 토오크 또는 모멘트 값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는 홀더 어셈블리(1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존재하는 일 구성인 연장부의 최대한의 길이를 보장하면서도 이 중 최대한의 부분을 하우징(200)에 은닉되도록 함으로 최대한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적게 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 커버(140)에 의하여 연장부의 길이를 차등 조절하고 체결부(300)에 의해 각도 조절 커버(140)를 조이도록 하는 방식에 의하여, 홀더(110)의 각을 세팅할 때에는 회동의 중심점을 코어(150) 측이 되도록 하여 제 1,2 연장부(120,130)의 충분한 길이에 의해 손쉽게 각도 조절이 되도록 하면서 이를 보정하기 위해 각도 조절 커버(140)의 적절한 마찰력을 부여하고, 홀더 각을 세팅한 다음 체결부(300)를 매개로 홀더 어셈블리(100)와 하우징(200)을 조여 결합시킬 때에는 회동의 중심점을 각도 조절 커버(140) 측이 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제 1 연장부(120)에 의해 동일 힘에 작용되는 모멘트 값을 줄여 각도 조절 커버(140)의 회동의 용이성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부의 압박 링에 의해 각도 조절 커버의 회동 상태를 차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각도 조절 커버(140)가 역시 곡면으로 이루어진 리세스(230)의 내측 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무한 회전을 하게 되는 경우 각도 조절 커버(140)의 외주 면이 리세스(230) 둘레를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따를 뿐 아니라, 단지 코어(150)와 커플링(220) 및 각도 조절 커버(140)와 리세스(230)의 내측 면 간 결합 관계로만은 외력에 의해 각도가 이미 조절된 홀더 어셈블리(10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300)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00)의 리세스(230)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을 하여 하우징(200)과 고정 결합을 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 커버(140)의 일부 표면을 덮어 누름으로써 각도 조절 커버(140)가 무리하게 회동되거나 리세스(230) 둘레 외측으로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체결부(300)의 내측에 형성된 압박 링(310)이 각도 조절 커버(140)의 표면을 눌러 별도의 마찰력까지 제공함으로써 각도 조절 커버(140)가 이에 의한 압박력과 마찰력에 의해 쉽사리 회동되지 못하도록 하여 각도 조절이 완료된 홀더(110)가 유동되는 문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 1 연장부(120)의 일부까지도 이러한 체결부(300)에 의해 덮어지게 됨으로써 각도 조절 커버(140)를 중심점으로 기준할 때 동일한 외력이 작용해도 상대적으로 각도 조절 커버(140)를 회동하도록 하는 모멘트를 줄이게 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체결부(300)는 상단 둘레를 따라 상 방향을 향해 제 1 연장부(120)의 일부를 감싸도록 연장 형성된 연장 보호부(320)가 추가로 형성되어 제 1 연장부(120)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의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를 차단하면서 제 1 연장부(120)의 길이를 짧게 하는 특성을 부여함으로 앞서 말한 각도 조절 커버(140)를 중심점으로 할 때 이를 회전하도록 하는 모멘트 값을 줄여 쉽사리 각도 조절 커버(140)가 회동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연장 보호부(32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복수의 주름을 가진 자바라 형태를 가져 사용 상태에 따라 연장 보호부(320)의 연장 길이를 늘이거나 줄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체결부(300)의 내측 면, 즉 각도 조절 커버(140)와 접촉하는 면에는 마찰 밴드(330)가 부착되는 것이 가능한바, 이 마찰 밴드(330)는 스티커와 같이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층(332)과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층(331)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특히, 마찰층(331)은 복수 개의 미세 돌기(331a)를 구비하는바 이러한 미세 돌기는 공기 터널(331b)에 의하여 돌출 형성된다.
즉, 공기 터널(331b)이 형성되도록 마찰층(331)을 구비하여 각도 조절 커버(140)와의 접촉 시 일정한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하면서, 잦은 사용에 의하여 공기 터널(331b)의 형상이 변형되는 경우 접착층(332)에 의한 스티커 부착 방식을 따르는 마찰 밴드(330)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홀더 어셈블리 110: 홀더
111: 첨단 곡률부 120: 제 1 연장부
130: 제 2 연장부 140: 각도 조절 커버
141: 마찰력 제공부 150: 코어
200: 하우징 210: 개방부
220: 커플링 221: 홀
230: 리세스 231: 크랙
241: 압착 조절 레버 242: 슬릿
250: 압착 플레이트 300: 체결부
310: 압박 링 320: 연장 보호부
330: 마찰 밴드 331: 에어 돌기
332: 접착층

Claims (7)

  1.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로서,
    전자기기를 수용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하부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 1,2 연장부와, 곡면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제 1,2 연장부 사이에 형성된 각도 조절 커버와, 상기 제 2 연장부의 말단에 형성된 코어로 구성된 홀더 어셈블리;
    고정 대상에 압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압착 플레이트;
    상기 각도 조절 커버 일부를 수용하도록 개방된 개방부 및, 상기 제 1,2 연장부와 수직하게 연장되되 상기 코어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홀을 중앙에 구비한 커플링, 상기 압착 플레이트의 승강을 제어하여 상기 압착 플레이트에 압착력을 제공하는 압착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방부 주변이 상기 각도 조절 커버가 회동되도록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각도 조절 커버의 일부를 누르면서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연장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장 보호부;
    상기 각도 조절 커버와의 접촉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에어 터널에 의해 돌출 형성된 미세 돌기가 복수 개 형성된 마찰층을 포함하는 마찰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정 깊이 함입 구성되어 상기 체결부가 접촉되는 리세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리세스와 나사산 결합 방식에 의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접촉되는 상기 각도 조절 커버의 외측 표면에는,
    복수 개의 미세 돌기로 이루어진 마찰력 제공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제 2 연장부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각도 조절 커버를 누르는 일 부위 내측 면에,
    압박 링;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6. 삭제
  7. 삭제
KR1020110062733A 2011-06-28 2011-06-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KR10133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733A KR101338886B1 (ko) 2011-06-28 2011-06-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733A KR101338886B1 (ko) 2011-06-28 2011-06-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83A KR20130006983A (ko) 2013-01-18
KR101338886B1 true KR101338886B1 (ko) 2013-12-09

Family

ID=4783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733A KR101338886B1 (ko) 2011-06-28 2011-06-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983B1 (ko) 2016-11-08 2017-12-18 (주) 씨앤피 무게중심 이동을 통한 거치각도 조절 기능을 가진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0131B2 (ja) * 2016-07-13 2020-05-27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カメラ、スタンド、及びそれらを備えるカメラユニット
KR20220002985U (ko) 2021-06-14 2022-12-21 이상현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239Y1 (ko) * 2001-03-13 2001-10-08 박은식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US6397046B1 (en) 1999-03-17 2002-05-28 Motorola, Inc. Hang-up cup assembly
KR100625699B1 (ko) * 2005-07-06 2006-09-20 이호상 핸드폰케이스 회전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7046B1 (en) 1999-03-17 2002-05-28 Motorola, Inc. Hang-up cup assembly
KR200235239Y1 (ko) * 2001-03-13 2001-10-08 박은식 핸즈프리 휴대폰 거치대
KR100625699B1 (ko) * 2005-07-06 2006-09-20 이호상 핸드폰케이스 회전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983B1 (ko) 2016-11-08 2017-12-18 (주) 씨앤피 무게중심 이동을 통한 거치각도 조절 기능을 가진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83A (ko) 201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747B2 (en)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US10278299B2 (en) Stand for electronic device
KR101062570B1 (ko)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US7694922B2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7036787B1 (en) Display strut adjusting structure
US7667957B2 (en) Thin-type display
EP2249074B1 (en) Holder
US20130231220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treadmill
KR200411439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거치대의 지지장치.
US20090127411A1 (en) Structure and mechanism of windshield mount and pedestal for portable electronics device
AU1544199A (en) Hinge construction with a snap-open, snap-shut feel, for a folding mobile phone handset
KR101338886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기기용 거치대
TW201250148A (en) Supporting device
US20080087790A1 (en) Brace stan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using the same
KR101591831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N111929902B (zh) 一种头戴设备
US2003004238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ball-and-socket mounting joint
US20110182063A1 (en) Table Lamp
CN210609291U (zh) 手机支架
CN201856711U (zh) 一种显示器固定装置
KR200246616Y1 (ko)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US20030137850A1 (en) Light device for bicycles
US9169963B1 (en) Stand device
TW200911583A (en) Support seat for electronic device
KR102346301B1 (ko) 차량용 모바일 마운팅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