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732Y1 - 핸즈 프리 거치대 - Google Patents

핸즈 프리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732Y1
KR200235732Y1 KR2020010009841U KR20010009841U KR200235732Y1 KR 200235732 Y1 KR200235732 Y1 KR 200235732Y1 KR 2020010009841 U KR2020010009841 U KR 2020010009841U KR 20010009841 U KR20010009841 U KR 20010009841U KR 200235732 Y1 KR200235732 Y1 KR 200235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free
posture
elastic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수
Original Assignee
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수 filed Critical 박상수
Priority to KR2020010009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732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무선 전화기와 연결하여 사용되는 핸즈 프리를 거치하여 핸즈 프리의 자세를 사용자가 소망하는 자세로 일정하게 유지 시켜줄 수 있도록한 핸즈 프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일측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모서리 4개소에 체결공이 형성된 핸즈프리 고정판; 차체에 고정되며 일부분이 함몰되어 요입부와 돌출부가 형성된 베이스몸체; 베이스 몸체에 형성된 요입부와 돌출부에 4개소의 체결공이형성되며 모서리 4개소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요입부에 결합되는 결합편; 일측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의 모서리에 결합 보스가 4개소 형성되어 돌출부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캡; 단면이 원형이고 중공부를 이루며 코일상으로 감겨진 제 1 탄성부재와, 단면이 삼각형상이고 제 1 탄성부재의 외부를 감싸아 형성되는 제 2 탄성부재로 형성된 자세유지유닛;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공지의 핸즈프리 거치대에 있어서,
핸즈프리 거치대를 구성하는 고정판과 고정캡의 일측에 열십자형의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고 자세유지유닛의 제 1 탄성부재에 플렉시블한 철심등을 내장하여 양 끝단을 절곡시킨 후, 각각의 결합홈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따라 변형되는 자세유지유닛을 항상 일정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운전 조작중 사용하는 핸즈프리의 무선통신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핸즈 프리 거치대 { A hands - free device }
본 고안은 휴대 전화기와 연결하여 사용되는 핸즈프리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핸즈프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거치된 핸즈프리의 자세가 한번의 조작으로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핸즈프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 통신 기술, 반도체 소자 기술, 다양한 전자 분야의 기술에 힘입어 보다 작으면서 강력한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기의 개발 및 보급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휴대 전화는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지만, 운전 조작중 운전자의 안전을 위하여 운전 조작중중에는 휴대 전화기의 사용이 교통법규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 실내의 전면에 위치한 크래쉬 패드 등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휴대 전화기를 핸즈 프리 본체와 연결하여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대방과 통신이 가능한 핸즈 프리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핸즈 프리 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한 일반적인 핸즈 프리 거치대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제 1도를 참조하여 보면, 차량의 크래쉬 패드(30)에 고정되는 차체 고정부(300); 휴대 전화기(20)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핸즈프리(10); 핸즈프리(10)를 고정시키는 핸즈프리 고정부(100a); 운전자가 소망하는 각도를 유지하는 자세유지유닛(200a);으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자세유지유닛(200a)은 제 2도와 제 3도를 참조하여 보면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 1탄성부재(220a)를 나선상으로 코일형태로 감아 형성하며 그 중앙에 중공부(240a)를 형성하고 제 1탄성부재(220a)의 외부를 나선상으로 제 2탄성부재(230a)를 감아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탄성부재(230a)는 대략 3각형상의 단면을 갖고 띠상으로 제작되어 제 1탄성부재(220a)의 원형 단면 사이로 탄력있게 감겨져 플렉시블한 형태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일측이 돌출되고 돌출된 중앙에 각각의 관통공(120a)(320a)이 형성된 핸즈프리 고정부(100a)와 차체 고정부(300a)를 자세유지유닛(200a)으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지는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핸즈프리 거치대는 사용자가 소망하는 자세로 항상 유지되어야 하는데, 자세를 유지 시켜주는 자세유지유닛은 그 길이에 따라 소망하는 자세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핸즈프리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세유지유닛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 길어질 경우, 모멘트가 크게 작용하여 핸즈프리의 무게에 의하여 처짐 현상이 발생되고, 이와 반대로 자세유지유닛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하로 짧을 경우에는 모멘트가 작게 작용되어 자세유지유닛이 내포한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탄력이 발생되므로 자세유지유닛이 원 상태로 복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운전 조작중 운전자가 여러번 반복하여 자세유지를 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매우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자세유지유닛의 내부에 플렉시블한 철심을 내장하여 자세유지유닛의 길이에 관계없이 한번의 동작으로 소망하는 자세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핸즈 프리를 차량의 몸체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일반적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자세유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3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핸즈 프리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자세유지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핸즈 프리 거치대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핸즈프리 고정판 120 : 결합홈
200 : 자세유지유닛 210 : 플렉시블 철심
220 : 제 1탄성부재 230 : 제 2탄성부재
240 : 중공부 300 : 베이스 몸체 고정캡
330 : 결합홈 400 : 베이스 몸체
500 : 결합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일측이 돌출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핸즈프리 고정부와 차체 고정부가 구성되고, 단면이 원형이고 중공부를 형성하며 코일상으로 감겨진 제 1탄성부재와, 단면이 삼각형상이고 제 1탄성부재의 외부를 탄력적으로 감는 제 2탄성부재로 형성된 자세유지유닛으로 구성하여 연결 되는 핸즈프리 거치대에 있어서;
일측이 돌출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과 연통된 타측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고 십자형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베이스 몸체 고정캡과, 핸즈프리 고정판을 형성하며 단면이 원형이고 중공부를 형성하며 코일상으로 감겨진 제 1탄성부재와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제 1탄성부재의 외부에 탄력적으로 감겨지는 제 2탄성부재로 형성된 자세유지유닛을 형성하여 제 1탄성부재의 중공부에 플렉시블한 철심을 내장하고 양 끝단부를 절곡하여 베이스 몸체 고정캡과 핸즈프리 고정판에 형성된 결합홈에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핸즈프리 거치대를 보다 상세한 구성및 구성에 따른 독특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4을 참조하면, 핸즈프리 거치대(800)는 전체적으로 보아 핸즈프리 고정판(100)과 자세유지유닛(200)과 베이스 몸체 고정 캡(300) 및 베이스 몸체(400)와 결합판(500)으로 구성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600은 체결나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몸체(400)는 소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 부분의 일측면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반대편은 돌출된 높이 만큼 요입된다.
이때, 베이스 몸체(400)중 돌출된 곳에는 복수 개소, 일실시예로 4 개의 모서리 부분에 1 개씩 모두 4 개의 베이스 몸체 체결공(4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베이스 몸체(400)의 돌출된 저면의 요입된 곳에 결합판(500)이 결합된다. 물론 결합판(500)은 요입된 곳에 끼워 맞춤 되기 적합한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결합판(500)중 베이스 몸체 체결공(410)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결합판 체결공(510)이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 몸체(400)중 돌출된 곳에는 베이스 몸체 고정 캡(300)이 설치되어 지는데 ,베이스 몸체 고정 캡(300)은 대략 직육면체의 박스형으로 일측이 원추상으로 돌출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320)이 형성되며 관통공(320)과 연통된 타측면 4개소에 베이스 몸체 체결공(410)과 대향하는 위치에 나사 결합용 보스(boss;310)가 형성되고 관통공(320)과 연통된 타측의 중앙으로 소정의 깊이를갖는 열십자형상의 결합홈(330)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결합판(500), 베이스 몸체(400), 베이스 몸체 고정 캡(300)은 후술될 자세 유지 유닛(200)에 결합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바, 이하, 자세 유지 유닛(200)을 설명한 후, 이들이 자세 유지 유닛(200)과 어떠한 관계를 갖으면서 결합되는가를 설명하기로 한다.
자세 유지 유닛(200)은 도 5 또는 도 6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한 철심(210)과 제 1탄성부재(220)와 제 2탄성부재(23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랙시블한 철심(210)은 소정 직경을 갖으면서 플랙시블한 재질로 제작된다. 이 플랙시블한 철심(210)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탄성부재(220)는 단면이 원형이고 코일 형상으로 제작되며 제 2탄성부재(230)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제 1탄성부재(220)의 원형 단면과 원형 단면 사이에 면접촉 되어 나선 방향으로 감겨 플렉시블한 파이프로 제작된다.
이때, 제 7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제 1탄성부재(220)의 중공부(240)에 플랙시블한 철심(210)을 끼워 내장 시킨후, 플랙시블한 철심(210)의 양쪽 단부를 절곡하여 일측 단부는 베이스 몸체 고정 캡(300)에 형성된 결합홈(330)에 끼워진다.
자세유지유닛(200)을 결합한 베이스 몸체 고정 캡(300)은 베이스 몸체(400)의 돌출된 부분에 결합 되고, 돌출된 반대편의 요입 부분에는 결합편(500)을 결합하여 베이스 몸체 고정 캡(300)에 형성된 결합용 보스(310)와 체결나사(600)로 체결된다.
한편, 제 1탄성부재(220)의 중공부(240)에 내장된 플랙시블한 철심(210)은 핸즈프리 고정판(100)에 결합하여 연결 되어지는데, 핸즈프리 고정판(100)은 전체가 플레이트 형상을 갖으며 일측 중앙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돌출된 중앙부분에 관통공(110)이 형성되며 그 타측으로 관통공(110)과 연통되며 소정의 깊이를 갖는 열십자형의 결합홈(120)이 형성되어져 관통공(110)을 통과한 철심(210)의 끝단을 절곡하여 결합홈(120)에 끼워진다.
이와같이 철심(210)이 관통공(110)을 통과하여 결합홈(120)에 끼워 지면 소정 강도를 갖는 접착제(130)가 주입된 후, 경화되면서 핸즈프리 고정판(1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즈프리 거치대는 플렉시블한 철심(210)을 내장하여 형성된 자세유지 유닛(200)으로 결합 구성 하므로서, 길이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소망하는 방향으로 항상 일정한 자세가 유지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즉, 자세 유지 유닛의 길이가 길은 상태에서는 휴대 전화기와 연결되어 비교적 무거운 핸즈프리가 거치될 경우, 자세유지 유닛의 자체 자세유지력과 내부에 내장된 플랙시블한 철심의 자세유지력으로 핸즈 프리의 처짐을 방지하며, 이와 반대로 자세유지 유닛의 길이가 짧은 상태에서 자세를 취할 경우 자세유지 유닛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려하는 것을 철심의 절곡자세에 의하여 방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로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플랙시블한 파이프의 내부에 자세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연성의 철심등을 위치시켜 사용자의 체형과 위치에 따라 한번의 조작으로 핸즈 프리를 항상 일정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운전자의 안전운행에 큰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2)

  1. 핸즈프리를 고정하는 고정부(100)와, 차량 실내의 차체에 고정하는 고정부(300)를 플렉시블한 자세유지유닛(200)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핸즈프리 거치대(800)에 있어서;
    상기 자세유지유닛(200)의 중공부(240)에 철심(210)이 삽입되고 일측이 돌출되고 그 중앙에 관통공(320),(110)이 형성되며 관통공(320),(110)과 연통된 타측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열십자형의 결합홈(330),(120)이 각각으로 형성된 베이스 몸체 고정캡(300)과 핸즈프리 고정판(100)을 플렉시블한 철심(210)이 삽입된 자세유지유닛(200)으로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핸즈프리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한 철심(210)이 삽입된 자세유지유닛(200)은 핸즈프리 고정판(100)에 형성된 관통공(110)으로 통과시켜 철심(210)의 끝단을 절곡하여 결합홈(120)에 결합한 후, 접착제(130)에 의하여 고정되고 자세유지유닛(200)의 타단은 베이스 몸체 고정캡(300)에 형성된 관통공(320)을 통과시켜 철심(210)의 끝단을 절곡하여 결합홈(330)에 결합한 후, 베이스 몸체(400)와 결합편(500)을 체결 나사(600)로 고정하여 이루어 지는것을 특징으로하는 핸즈프리 거치대.
KR2020010009841U 2001-04-09 2001-04-09 핸즈 프리 거치대 KR200235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841U KR200235732Y1 (ko) 2001-04-09 2001-04-09 핸즈 프리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841U KR200235732Y1 (ko) 2001-04-09 2001-04-09 핸즈 프리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732Y1 true KR200235732Y1 (ko) 2001-10-11

Family

ID=7309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841U KR200235732Y1 (ko) 2001-04-09 2001-04-09 핸즈 프리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7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231A (ko) * 2001-06-04 2002-12-18 (주)알에프텔레콤 핸즈프리장치
KR200459845Y1 (ko) * 2010-06-29 2012-04-19 선거성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231A (ko) * 2001-06-04 2002-12-18 (주)알에프텔레콤 핸즈프리장치
KR200459845Y1 (ko) * 2010-06-29 2012-04-19 선거성 다용도 스마트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9224B2 (en) Vibration device
US5197091A (en) Portable telephone having a pipe member which supports a microphone
KR200411439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거치대의 지지장치.
KR200235732Y1 (ko) 핸즈 프리 거치대
KR100322854B1 (ko) 이어 마이크 폰
KR200265673Y1 (ko) 핸즈프리 의 휴대폰 자동접속 마그네틱 데이터 컨넥터 잭.
KR200259981Y1 (ko) 컵홀더형 차량용 핸즈프리 키트
KR200235701Y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어셈블리
KR100381405B1 (ko) 휴대폰 거치대
KR20010098100A (ko) 삽입형 이어-마이크로폰
KR200181938Y1 (ko) 이오폰 코드의 꼬임 방지장치
KR200253382Y1 (ko) 핸즈프리 장치용 휴대폰
KR200190916Y1 (ko) 부저
KR200157240Y1 (ko) 자동차용 핸즈프리 절곡장치
KR200276561Y1 (ko) 전자음향변환기의 케이스 구조
KR101055370B1 (ko) 외장형 스피커 모듈의 스피커 음 누설 방지 장치
KR200265672Y1 (ko) 핸즈프리 의 휴대폰 자동접속 마그네틱 잭.
KR200280890Y1 (ko) 휴대폰 거치대의 이어폰 걸이장치
KR200272060Y1 (ko) 이어마이크폰
KR100393325B1 (ko) 휴대폰용 어깨받침장치
KR200399222Y1 (ko)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KR200171305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 거치대
JP3081458U (ja) 携帯電話用ストラップ
KR200200129Y1 (ko) 휴대전화용 핸드프리 거치대
KR101055369B1 (ko) 하울링 방지 구조를 갖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