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222Y1 -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222Y1
KR200399222Y1 KR20-2005-0023094U KR20050023094U KR200399222Y1 KR 200399222 Y1 KR200399222 Y1 KR 200399222Y1 KR 20050023094 U KR20050023094 U KR 20050023094U KR 200399222 Y1 KR200399222 Y1 KR 200399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earphone
earphone jack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길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3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2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거치되는 목걸이부와, 상기 목걸이부에서 연장 인출되는 이어 스피커와, 상기 이어 스피커에 연결되고 이동통신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형성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잭은 상기 목걸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 잭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구에 거치되어 상기 이어폰 잭을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체결시키는 후크돌기가 마련되며, 이동통신기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 없이 이동통신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 잭을 연결하는 것만으로 이동통신기기와 이어폰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어폰 잭 자체가 이동통신기기의 연결수단 역할을 함으로써, 이동통신기기의 유동에 따른 이어폰의 꼬임현상을 현격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Ear-Phon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고안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 없이 이어폰의 연결만으로 이동통신기기와 이어폰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각종 음향기기 등에 연결되어 음성 및 음향정보를 청취할 수 있는 도구로서, 외부 스피커를 통하지 않고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음성 및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이어폰은 각종 휴대용 카세트, 휴대용 CD플레이어, 이동통신기기 등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의 이동통신기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 되면서 그 기능에 부합하는 이어폰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이동통신기기의 핸즈프리 통화 및 이동통신기기에 부가적으로 마련되는 MP3플레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이어폰(또는 이어마이크로폰)이 필요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20)은,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거치되고 이동통신기기(10)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재(24)가 마련되는 목걸이부(22)와, 목걸이부(22)의 양측에서 연장 인출되는 한쌍의 이어 스피커(26)와, 목걸이부(22)에 마련된 연결부재(24)의 일측에서 연장 인출되어 이동통신기기(10)에 마련되는 이어폰 단자(미도시)에 연결되는 이어폰 잭(28)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2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목걸이부(22)의 연결부재(24)를 이동통신기기(10)에 마련된 걸림홈(미도시)에 권취하거나 별도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동통신기기(10)와 이어폰(20)을 체결하고, 목걸이부(22)에서 연장 인출되는 이어폰 잭(28)을 이동통신기기(10)의 이어폰 단자에 연결함으로써 이어폰(20)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폰(20)은 이동통신기기(10)에 별도의 연결부재(24) 또는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이동통신기기(10)의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 잭(28)을 각각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기기(10)에 이어폰(20)을 연결하여 사용하면서 이동통신기기(10)에 요동이 발생할 경우 이동통신기기(10)와 이어폰(2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4) 또는 체결부재가 목걸이부(22)에서 연장되는 이어폰 잭(28)과 꼬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24) 또는 체결부재가 목걸이부(22)에서 연장되는 이어폰 잭(28)과 꼬임이 발생할 경우 이어폰(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꼬임이 발생된 부위를 풀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기기와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 잭을 연결하는 것만으로 이어폰과 이동통신기기의 체결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은,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거치되는 목걸이부와, 상기 목걸이부에서 연장 인출되는 이어 스피커와, 상기 이어 스피커에 연결되고 이동통신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형성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잭은 상기 목걸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어폰 잭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구에 거치되어 상기 이어폰 잭을 상기 이동통신기기에 체결시키는 후크돌기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이어폰 잭의 외주면 일측에서 돌출되어 하향 연장되며, 상기 후크돌기의 외측에 상기 후크돌기의 내측으로 함인되어 상기 삽입구의 내주면에 거치되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의 하단부에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삽입구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상기 이어폰 잭의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의 외측면에 상기 후크돌기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이어폰 잭의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 대칭되는 형상의 한쌍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을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의 이어폰 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과 이동통신기기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200)은,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거치되는 목걸이부(210)와, 목걸이부(210)에서 연장 인출되는 한쌍의 이어 스피커(220)와, 목걸이부(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통신기기(100)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이어폰 잭(230)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통신기기(100)의 일측에는 이어폰 잭(230)이 삽입되는 삽입구(110)가 형성되고, 삽입구(110)의 내측에는 이어폰 잭(230)의 삽입단자(231)가 삽입되고 삽입단자(231)에 접촉하는 다수의 접촉단자(122)가 마련되는 단자부(120)가 형성된다.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어폰 잭(230)은 이어폰(200)의 이어 스피커(220)와, 이동통신기기(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목걸이부(210)의 일측과, 목걸이부(2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이어 스피커(220)에서 연장되는 신호라인(미도시)과, 신호라인과 연결되고 이동통신기기(100)의 단자부(120)에 삽입되어 이동통신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삽입단자(231)가 인서트 사출되어 마련된다.
또한, 이어폰 잭(230)의 외주면 양측에는 이어폰 잭(230)이 삽입되는 이동통신기기(100)의 삽입구(110)에 거치되어 이어폰 잭(2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쌍의 후크돌기(232)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후크돌기(232)는, 이어폰 잭(230)의 외주면에서 연장 돌출되어 이어폰 잭(230)에 마련되는 삽입단자(231) 측으로 하향 절곡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삽입단자(231) 측으로 하향 절곡된 후크돌기(232)는 이어폰 잭(230)의 외주면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되어 후크돌기(232)가 유동 가능한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후크돌기(232)는 이어폰 잭(230)의 외측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가압될 때 이어폰 잭(230)과 후크돌기(232) 사이에 마련된 공간부 측으로 휘어지도록 마련된다.
또한, 후크돌기(232)의 외측 하부에는 이어폰 잭(230)이 이동통신기기(100)의 삽입구(110)에 삽입될 때 삽입구(110)의 내주면에 거치되는 걸림홈(233)이 형성된다. 후크돌기(232)의 하측 단부에는 이어폰 잭(230)이 삽입구(110)에 삽입될 때 삽입되는 후크돌기(232)의 단부가 원활히 삽입되도록 후크돌기(232)의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234)이 형성된다. 후크돌기(232)의 외측면에는 후크돌기(232)의 가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어폰 잭(23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는 가압돌기(23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의 사용 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기기(100)와 이어폰(200)을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이동통신기기(100)에 마련되는 삽입구(110)에 이어폰(200)의 이어폰 잭(230)을 삽입함으로써 이어폰(200)과 이동통신기기(100)가 체결됨과 동시에 이어폰 잭(230)의 삽입단자(231)와 이동통신기기(100)의 단자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삽입되는 이어폰 잭(230)의 후크돌기(232)는 후크돌기(232)의 하면에 형성된 경사면이 이동통신기기(100)의 삽입구(11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고, 삽입구(11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된 후크돌기(232)는 경사면(234)에 의해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삽입구(1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후, 이동통신기기(100)의 삽입구(110)에 이어폰 잭(230)이 완전히 삽입되면 삽입구(110)의 내주면이 후크돌기(232)의 걸림홈(233)에 삽입되면서 이어폰 잭(230)이 이동통신기기(100)에 체결되며, 이어폰 잭(230)의 삽입단자(231)와 이동통신기기(100)의 단자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동통신기기(100)에서 이어폰(200)을 분리할 경우에는 이동통신기기(100)와 체결된 이어폰 잭(230)의 후크돌기(232)에 형성된 가압돌기(235)를 가압하여 이어폰 잭(230)을 이동통신기기(100)에서 분리한다.
이때 가압되는 후크돌기(232)는 후크돌기(232)와 이어폰 잭(23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측으로 휘어지면서 후크돌기(232)의 걸림홈(233)이 삽입구의 내주면에서 이탈되어 이어폰 잭(230)이 이동통신기기(100)와 분리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에 따르면, 이동통신기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부재가 필요 없이 이동통신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이어폰 잭을 연결하는 것만으로 이동통신기기와 이어폰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어폰 잭 자체가 이동통신기기의 연결수단 역할을 함으로써, 이동통신기기의 유동에 따른 이어폰의 꼬임현상을 현격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의 이어폰 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과 이동통신기기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기기 200 : 이어폰
210 : 목걸이부 220 : 이어 스피커
230 : 이어폰 잭 231 : 삽입단자
232 : 후크돌기 233 : 걸림홈
234 : 경사면

Claims (5)

  1. 사용자의 목 부위에 거치되는 목걸이부와, 목걸이부에서 연장 인출되는 이어 스피커와, 이어 스피커에 연결되고 이동통신기기의 이어폰 단자를 형성하는 삽입구에 삽입되는 이어폰 잭을 구비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잭은 목걸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어폰 잭의 외주면에 삽입구에 거치되어 이어폰 잭을 이동통신기기에 체결시키는 후크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는
    이어폰 잭의 외주면 일측에서 돌출되어 하향 연장되며,
    상기 후크돌기의 외측에 후크돌기의 내측으로 함인되어 삽입구의 내주면에 거치되는 걸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의 하단부에 후크돌기가 삽입구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이어폰 잭의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의 외측면에 후크돌기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5. 제 1항에 있어서, 후크돌기는
    상기 이어폰 잭의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 대칭되는 형상의 한쌍으로 마련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KR20-2005-0023094U 2005-08-10 2005-08-10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KR200399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94U KR200399222Y1 (ko) 2005-08-10 2005-08-10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94U KR200399222Y1 (ko) 2005-08-10 2005-08-10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222Y1 true KR200399222Y1 (ko) 2005-10-19

Family

ID=4370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094U KR200399222Y1 (ko) 2005-08-10 2005-08-10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2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79Y1 (ko) 2012-12-12 2014-10-22 박모아나 장식 결합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79Y1 (ko) 2012-12-12 2014-10-22 박모아나 장식 결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5324B2 (en) Stereo headset with integrated earpiece mount
US20160037248A1 (en) Wireless headset having ear hook
WO2004002188A1 (en) Headset
KR200399222Y1 (ko)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KR100850988B1 (ko)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CN210007871U (zh) 一种磁吸式蓝牙耳机
KR200415723Y1 (ko) 귀걸림부를 갖는 핸즈프리 셋
US20020080985A1 (en) Earphone and microphone for a mobile phone
KR200359031Y1 (ko) 핸드폰용 이어폰 연결구
KR20010098100A (ko) 삽입형 이어-마이크로폰
KR200277453Y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거치구조
KR200350585Y1 (ko) 핸즈프리
KR100528736B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이어폰 고정클립
AU2020104089A4 (en) Headphone
KR200200176Y1 (ko) 헤어 핀 이어폰
KR200200252Y1 (ko) 이어폰 일체형 목걸이
KR200363213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KR200442815Y1 (ko) 목걸이형 젠더가 구비된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통신 헤드셋
KR200384757Y1 (ko) 다목적 이어폰
KR200233069Y1 (ko) 차량용 핸즈프리세트 및 이 핸즈프리세트에 사용되는휴대폰
KR200245063Y1 (ko) 휴대폰줄 일체형 이어폰
KR200262903Y1 (ko) 무선 이어폰
KR100444584B1 (ko) 리시버를 고정시키기 위한 그립부재 및 이를 구비한이어마이크폰
KR200302706Y1 (ko) 이어폰 내장형 선그라스
KR100456804B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거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