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779Y1 - 장식 결합 구조체 - Google Patents

장식 결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779Y1
KR200474779Y1 KR2020120011746U KR20120011746U KR200474779Y1 KR 200474779 Y1 KR200474779 Y1 KR 200474779Y1 KR 2020120011746 U KR2020120011746 U KR 2020120011746U KR 20120011746 U KR20120011746 U KR 20120011746U KR 200474779 Y1 KR200474779 Y1 KR 200474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part
semicircle
coupling
inser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833U (ko
Inventor
박모아나
Original Assignee
박모아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모아나 filed Critical 박모아나
Priority to KR2020120011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77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8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7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기둥과, 상기 접합부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기둥과 대향되게 연장형성되어 이어폰 접속구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를 관통하여 줄을 꿸 수 있게 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휴대기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장신구를 결합시키며 줄을 이용하여 다양한 장신구로 활용가능한 장식 결합 구조를 가지는 장식 결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 결합 구조체 {Decoration combined structure}
본 고안은 장식 결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기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장신구를 결합시키며, 줄을 이용하여 다양한 장신구로 활용가능한 장식 결합 구조를 가지는 장식 결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바 사용자들은 이를 위해 휴대기기의 이어폰 삽입구 내에 이어폰 잭을 삽입해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주로 이어폰 삽입구로부터 이어폰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이어폰 삽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이어폰 삽입구를 밀폐해주는 다양한 형태의 이어캡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지 이어폰 잭 홀더를 밀폐하거나 휴대전화를 미적으로 장식하는 기능에 머무르고 있어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지 않아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고안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785호 "액정 클리너가 구비된 이어캡"과 같은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의 이어캡은 휴대폰을 장식하고 액정을 청결히 유지할 수 있게 하지만 사용자의 몸에 착용하는 장신구 용도 및 복수의 장신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기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장신구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조를 가지는 장식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다양한 용도의 고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줄을 꿸 수 있는 구조를 메인장신구와 보조장신구의 결합에 적용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가지는 장식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식 결합 구조체는, 내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기둥과, 상기 접합부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기둥과 대향되게 연장형성되어 이어폰 접속구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를 관통하여 줄을 꿸 수 있게 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접속부의 외면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내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기둥과, 상기 접합부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기둥과 대향되게 연장형성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를 관통하여 줄을 꿸 수 있게 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부 및, 상기 접속부가 삽입체결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도록 양측면에서 상기 삽입구를 향해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관이 형성된 메인장신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접속부의 외면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접합부의 외면에는 맞춤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관통부는 일측의 반원주와 타측의 반원주를 연결시키는 장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일측의 반원주 직경이 타측의 반원주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상기 결합기둥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보조 장신구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접속부는 상기 관통부와 연결관이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구에 삽입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휴대기기의 이어폰 접속구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기기를 꾸미는 액세서리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메인장신구와 보조장신구가 결합되는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다양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다용도로 활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줄을 꿰어 신체에 착용되는 장신구 또는 장식 고리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 결합 구조체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 결합 구조체는 크게 접합부(100), 결합기둥(200), 접속부(300) 및 관통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합부(100)는 내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면의 직경이 타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원추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접합부(100)의 타단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보조장신구(60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접합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보조장신구(600)는 상기 접합부(100)의 타단면과 접합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액세서리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기둥(200)은 접합부(10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합부(100)의 오목한 타단면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보조장신구(600)에 형성되는 결합공(도면부호 미도시)에 삽입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300)는 접합부(100)의 일단에서 결합기둥(200)과 대향되게 연장형성되어 이어폰 접속구에 접속되는 것으로, 상기 접속부(300)의 일단면에서 결합기둥(200)과 대향되게 단부가 볼록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형성하여 휴대기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접속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속부(300)의 외면 일측에는 걸림홈(310)을 형성하여 이어폰 접속구의 접속단자와 걸림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관통부(400)는 접속부(300)를 관통하여 줄을 꿸 수 있게 하는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측의 반원주(410)와 타측의 반원주(430)를 연결시키는 장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일측의 반원주(410) 직경이 타측의 반원주(430)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300)를 관통하여 금속 및 섬유재질의 다양한 줄을 꿸 수 있는 관통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기둥(200)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보조장신구(600)를 상기 접합부(100)의 오목한 타단면에 접합시킨 후, 상기 접속부(300)를 휴대기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접속시킴으로써, 휴대기기의 이어폰 접속구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휴대기기를 꾸밀 수 있는 액세서리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300)를 휴대기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접속하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액세서리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400)의 형상을 이용하여 줄을 꿰게 되면 이로울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관통부(400) 일측의 반원주(41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섬유재질의 줄을 구비하여 상기 일측의 반원주(410)에 꿰어 사용자의 목에 걸게 되면 상기 보조장신구(600)와 접합부(100)의 무게에 의해 섬유재질의 줄이 상기 관통부(400) 타측의 반원주(430)로 이동하면서 쪼여져 고정되는 이로운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알아보았고,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 결합 구조체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300)와 삽입구(510) 및 연결관(530, 53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 결합 구조체는 크게 접합부(100), 결합기둥(200), 접속부(300), 관통부(400) 및 메인장신구(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 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장신구(500)는 접속부(300)가 삽입체결되는 삽입구(5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510)와 연통되도록 양측면에서 삽입구(510)를 향해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관(530, 53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형상의 액세서리로 형성되는 상기 메인장신구(500)의 일측에는 접속부(300)가 삽입체결되는 삽입구(5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구(510)에 삽입체결 가능하도록 접속부(300)의 외면 타측에는 나사부(330)가 형성되며 삽입구(510)에는 상기 나사부(330)과 대응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체결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장신구(500)의 외주면 양측에는 메인장신구(500) 외부와 삽입구(510)를 연통시키는 한 쌍의 연결관(530, 530')이 형성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510)를 중심축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300)는 관통부(400)와 연결관(530, 530')이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구(510)에 삽입시켜 나사체결되게 하여, 금속 또는 섬유재질의 줄을 상기 일측의 연결관(530)에 넣어 삽입구(510)에 삽입되는 접속부(300)의 관통부(400)를 통과시켜 상기 타측의 연결관(530')으로 빼어낼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접합부(100)의 외면에는 맞춤돌기(110)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510)는 맞춤돌기(110)와 맞물리는 맞춤홈(미도시)가 형성되게 한다. 이것은, 상기 접속부(300)의 나사부(330)와 삽입구(510)는 나사체결됨에 있어 회전이 불가피 함으로 인한 상기 삽입구(510)에서 관통부(400)와 연결관(530, 530')이 연통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연결관(530, 530')의 중심과 관통부(400)의 중심이 일치하게 되는 위치를 상기 맞춤돌기(110)와 맞춤홈이 맞물리는 위치에 대응되게 하여 연통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결합기둥(200)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보조장신구(600)를 상기 접합부(100)의 오목한 타단면에 접합시킨 후, 상기 접속부(300)를 관통부(400)와 연결관(530, 530')이 연통되게 상기 삽입구(510)에 삽입하여 나사체결한다. 그 다음, 금속 또는 섬유재질의 줄을 상기 일측의 연결관(530)에 넣어 타측의 연결관(530')으로 빼내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열쇠고리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휴대기기의 이어폰 접속구에 장신구를 결합시키는 장식 결합 구조 및,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다양한 용도의 고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줄을 꿸 수 있는 구조를 메인장신구와 보조장신구의 결합에 적용할 수 있는 장식 결합 구조를 가지는 장식 결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당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접합부 110: 맞춤돌기
200: 결합기둥 300: 접속부
310: 걸림홈 330: 나사부
400: 관통부 410: 일측의 반원주
430: 타측의 반원주 500: 메인장신구
510: 삽입구 530, 530': 연결관
600: 보조장신구

Claims (8)

  1. 내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접합부(100);와,
    상기 접합부(10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기둥(200);과,
    상기 접합부(100)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기둥(200)과 대향되게 연장형성되어 이어폰 접속구에 접속되는 접속부(300); 및,
    상기 접속부(300)를 관통하여 줄을 꿸 수 있게 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부(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결합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300)의 외면 일측에는 걸림홈(310)이 형성되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결합 구조체.
  3. 내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접합부(100);와,
    상기 접합부(10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기둥(200);과,
    상기 접합부(100)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기둥(200)과 대향되게 연장형성되는 접속부(300);와,
    상기 접속부(300)를 관통하여 줄을 꿸 수 있게 하는 장공 형태의 관통부(400); 및,
    상기 접속부(300)가 삽입체결되는 삽입구(5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510)와 연통되도록 양측면에서 상기 삽입구(510)를 향해 대칭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관(530, 530')이 형성된 메인장신구(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결합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300)의 외면 일측에는 걸림홈(31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나사부(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결합 구조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100)의 외면에는 맞춤돌기(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결합 구조체.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400)는 일측의 반원주(410)와 타측의 반원주(430)를 연결시키는 장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일측의 반원주(410) 직경이 타측의 반원주(430)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접속부(300)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결합 구조체.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100)는 상기 결합기둥(200)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보조 장신구(600)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결합 구조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300)는 상기 관통부(400)와 연결관(530, 530')이 연통되도록 상기 삽입구(510)에 삽입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결합 구조체.
KR2020120011746U 2012-12-12 2012-12-12 장식 결합 구조체 KR200474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746U KR200474779Y1 (ko) 2012-12-12 2012-12-12 장식 결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746U KR200474779Y1 (ko) 2012-12-12 2012-12-12 장식 결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33U KR20140003833U (ko) 2014-06-20
KR200474779Y1 true KR200474779Y1 (ko) 2014-10-22

Family

ID=52000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746U KR200474779Y1 (ko) 2012-12-12 2012-12-12 장식 결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77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812U (ko) * 1999-03-29 2000-10-25 한기천 안테나와 마이크를 내장한 이어폰
KR200399222Y1 (ko) 2005-08-10 2005-10-1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KR20120003085U (ko) * 2012-02-13 2012-05-04 김태정 이어폰 접속구의 마개
KR101172903B1 (ko) 2011-07-19 2012-08-10 (주)중앙티앤씨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812U (ko) * 1999-03-29 2000-10-25 한기천 안테나와 마이크를 내장한 이어폰
KR200399222Y1 (ko) 2005-08-10 2005-10-1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용 이어폰
KR101172903B1 (ko) 2011-07-19 2012-08-10 (주)중앙티앤씨 휴대 단말기용 악세서리
KR20120003085U (ko) * 2012-02-13 2012-05-04 김태정 이어폰 접속구의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33U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37697S1 (en) Stepped crimp ring
USD634354S1 (en) Eyeglass retainer with ear plugs
USD626169S1 (en) Sunglasses lanyard
WO2006020112A3 (en) Two-axis swivel joint
US7290295B2 (en) Captive drain plug assembly
KR200474779Y1 (ko) 장식 결합 구조체
CN205104957U (zh) 一种移动电源及其本体
JP3182294U (ja) イヤホンジャックの防塵プラグ構造
CN201290167Y (zh) 一种蓝牙耳机
CN205143725U (zh) 一种带usb卡扣的手环
CN104754432A (zh) 无线耳环式耳机
CN202818546U (zh) 防尘耳塞
CN205179144U (zh) 一种多功能手机保护壳
CN218635489U (zh) 一种多功能发夹
CN204410326U (zh) 具有人造革装饰面的塑胶图框
CN212590733U (zh) 一种具有灵动效果的吊坠
KR101414047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장식 케이스
JP3145994U (ja) 組合せ変更可能な掛合具
CN210203617U (zh) 一种便于更换内饰体的配饰
KR200436514Y1 (ko)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CN202353984U (zh) 一种装饰圈的固定结构
CN205611948U (zh) 一种戒指
KR20150103412A (ko) 피어싱 결합부를 갖는 이어캡
USD591631S1 (en) Watch dial
CN203416877U (zh) 首饰结合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