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514Y1 -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514Y1
KR200436514Y1 KR2020070004539U KR20070004539U KR200436514Y1 KR 200436514 Y1 KR200436514 Y1 KR 200436514Y1 KR 2020070004539 U KR2020070004539 U KR 2020070004539U KR 20070004539 U KR20070004539 U KR 20070004539U KR 200436514 Y1 KR200436514 Y1 KR 200436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earrings
insertion hole
hole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권
Original Assignee
김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권 filed Critical 김희권
Priority to KR2020070004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5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걸이구의 상부 일면에 삽입장착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장착공의 타측으로 상기 귀걸이구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일측은 상기 삽입장착공에 삽입되는 삽입장착부를 형성한 귀걸이 장신구를 형성하여, 상기 귀걸이 장신구의 삽입장착부를 손쉽게 삽입장착부에 삽입 및 장착하여 고정하는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귀걸이구, 삽입장착공, 삽입장착부, 귀걸이장신구

Description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A linking ring joining structure of the earring.}
도 1은 종래의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장신구의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장신구의 삽입장착부와 삽입장착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귀걸이구 51: 귀걸이 장신구
52: 삽입장착공 53: 삽입공
54: 장착공 55: 삽입장착공
본 고안은 귀걸이구의 상부 일면에 삽입장착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장착공의 타측으로 상기 귀걸이구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일측은 상기 삽입장착공에 삽입되는 삽입장착부를 형성한 귀걸이 장신구를 형성하여, 상기 귀걸이 장신구의 삽입 장착부를 손쉽게 삽입장착부에 삽입 및 장착하여 고정하는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구는 귀볼에 천공된 구멍에 귀걸이구의 삽입구를 삽입하고 결합부로 고정하여 착용하여왔다.
상기한 귀걸이구(100)의 귀걸이 장신구(101)는 도 1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구(100)의 일면에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귀걸이구(100)의 타측에 형성한 통공(102)에 타측을 삽입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귀걸이 장신구(101)에 장식결합구(103)와 연결되어 장식물(104)이 연결되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귀걸이구(100)의 상기 귀걸이 장신구(101)의 타측은 상기 통공(102)에 단순적으로 삽입하게 되어서 상기 장식물(104)과 연결된 상기 장식결합구(103)와 연결되므로 상기 장식물(104)의 무게가 많이 나갈경우, 상기 귀걸이 장신구(101)의 타측은 늘어지므로 상기 통공(102)에서 이탈되므로 상기 귀걸이 장신구(101)의 연결된 상기 장식결합구(103)와 상기 장식물(104)을 분실하며, 상기 장식물(104)이 고가일 경우 착용자에게 많은 경제적인 손실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귀걸이 장신구(101)는 오랜사용으로 자연히 상기 통공(102)에삽입되었던 상기 귀걸이 장신구(101)의 타측이 이탈되어 그 장신구에 연결되었던 상기 장식결합구(103)와 상기 장식물(104)을 분실하거나 상기 귀걸이 장신구(101)의 형상이 변형이 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고안은 귀걸이구의 상부 일면에 삽입장착공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장착공의 타측으로 상기 귀걸이구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일측은 상기 삽입장착공에 삽입되는 삽입장착부를 형성한 귀걸이 장신구를 형성하여, 상기 귀걸이 장신구의 삽입장착부를 손쉽게 삽입장착부에 삽입 및 장착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귀걸이 장신구와 연결되는 장식결합구와 장식물을 분실을 예방하도록 한 새로운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귀걸이구(50)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구(50)의 상부 일면에 삽입과 장착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삽입장착공(55)과; 상기 삽입장착공(55)의 타측으로 상기 귀걸이구(50)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삽입장착공(55)에 삽입 및 장착되도록 삽입장착부(52)를 형성한 귀걸이 장신구(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략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장신구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장신구의 삽입장착부와 삽입장착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를 도 1 및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귀걸이구(50)는 상면에 귀걸이 장신구(51)를 형성하고 일측에 회동되는 결합구(56)가 상기 귀걸이구(50)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구(57)에 탈부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귀걸이구(50)의 상부 일면에 삽입과 장착을 할 수 있도록 삽입장착공(55)이 형성한다.
상기 삽입장착공(55)은 삽입할 수 있는 삽입공(53)과 장착할 수 있는 장착공(54)으로 구성한다.
상기 삽입공(53)은 원형으로 형성하며, 그 원형과 연결되는 직사각형의 장착공(54)이 연결되어 형성한다.
상기 삽입장착공(55)의 타측으로 상기 귀걸이구(50)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삽입장착공(55)에 삽입 및 장착되도록 삽입장착부(52)를 형성한 귀걸이 장신구(51)를 형성한다.
상기 귀걸이 장신구(51)의 상기 삽입장착부(52)는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삽입장착부(52)가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은 상기 삽입공(53)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잘 삽입되어 상기 장착공(54)으로 밀려갔을때, 상기 귀걸이 장신구(51)의 상기 삽입장착부(52)가 상기 삽입장착공(55)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귀걸이 장신구(51)의 상기 삽입장착부(52)를 상기 삽입장착공(55)의 상기 삽입공(53)에 삽입한 다음 상기 삽입장착부(52)를 상기 귀걸이 장신구(51)의 일측의 고정부방향으로 밀어주게되면, 상기 장착공(54)내로 상기 삽입장착부(52)는 밀려가 고정되어진다.
상기한 방법은 손쉽게 상기 귀걸이 걸이구(51)의 상기 삽입장착부(52)를 상기 삽입장착공(55)에 삽입 및 장착할 수 있어. 상기 귀걸이구(50)의 상기 귀걸이 장신구(51)의 조립을 쉽고 빠르게 할수있으며 상기 삽입장착부(52)가 상기 삽입장착공(55)내에 안정적으로 밀착고정되어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귀걸이구에 형성된 삽입장착공의 타측으로 상기 귀걸이구의 일단부가 고정되고, 일측은 상기 삽입장착공에 삽입되는 삽입장착부를 형성한 귀걸이 장신구를 형성하여, 상기 귀걸이 장신구의 삽입장착부를 손쉽게 삽입장착부에 삽입 및 장착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귀걸이 장신구와 연결되는 장식결합구와 장식물을 분실을 예방하도록 하며,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의 조립을 쉽고 편리하게 하여 생산자의 생산량의 확대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귀걸이구(50)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구(50)의 상부 일면에 삽입과 장착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삽입장착공(55)과;
    상기 삽입장착공(55)의 타측으로 상기 귀걸이구(50)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일측은 상기 삽입장착공(55)에 삽입 및 장착되도록 삽입장착부(52)를 형성한 귀걸이 장신구(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KR2020070004539U 2007-03-20 2007-03-20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KR200436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539U KR200436514Y1 (ko) 2007-03-20 2007-03-20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539U KR200436514Y1 (ko) 2007-03-20 2007-03-20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514Y1 true KR200436514Y1 (ko) 2007-08-31

Family

ID=4163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539U KR200436514Y1 (ko) 2007-03-20 2007-03-20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5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734A (ko) 2017-09-29 2019-04-08 이소희 탈부착귀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734A (ko) 2017-09-29 2019-04-08 이소희 탈부착귀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87159S1 (en) Diamond setting
USD543128S1 (en) Flower jewelry ring
USD584184S1 (en) Diamond setting
KR200436514Y1 (ko)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CN205180581U (zh) 一种可更换宝玉石的首饰装置
KR101440097B1 (ko) 장신구 탈착구조
KR200415686Y1 (ko) 고리장식구의 구조
CN205568079U (zh) 一种镶嵌饰品
KR20110007460U (ko) 귀걸이 뒷장식부재
KR20110100994A (ko) 귀걸이 뒷장식부재
KR200450534Y1 (ko)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KR200445768Y1 (ko) 보석장식블록
CN219047623U (zh) 一种镶嵌型挂坠及首饰
KR102419854B1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KR100670811B1 (ko) 귀걸이의 보석집 결합구조
CN213370377U (zh) 一种通过不脱螺丝连接件连接的组合戒指
JP3130157U (ja) 襟章用装身具
KR200438201Y1 (ko) 귀걸이용 걸이구
JP3222303U (ja) 眼鏡用ピアス吊下具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KR200382120Y1 (ko) 귀걸이
KR200440565Y1 (ko)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KR200437818Y1 (ko) 귀걸이
KR100774833B1 (ko) 피어싱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