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120Y1 - 귀걸이 - Google Patents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120Y1
KR200382120Y1 KR20-2005-0002105U KR20050002105U KR200382120Y1 KR 200382120 Y1 KR200382120 Y1 KR 200382120Y1 KR 20050002105 U KR20050002105 U KR 20050002105U KR 200382120 Y1 KR200382120 Y1 KR 200382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ornament
pin
earring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오
Original Assignee
김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오 filed Critical 김종오
Priority to KR20-2005-0002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1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걸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귀걸이는, 착용자의 귓볼을 관통한 핀의 말단부와 결합되고 장식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귀걸이에 있어서, 핀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핀구멍을 갖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자유단에 걸림부를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장식물 홀더부와; 홀더부의 걸림부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홀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식물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핀 뿐만이 아니라 홀더에도 장식물을 설치함으로써 장식적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설치된 장식물이 장식물 홀더부에 슬라이딩하면서 요동운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귀걸이의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Description

귀걸이{EARDROP}
본 고안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적 효과를 최대한 증진시킬 수 있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귀걸이는 귓볼에 착용하는 일종의 악세서리로서, 대부분의 여성들이 장식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귀걸이는 통상적으로 귓볼에 뚫려진 구멍에 핀을 끼운 후, 핀의 말단부에 홀더를 끼워 착용한다. 이때, 보석류, 큐빅 및 장식링 등과 같은 장식물은 핀의 선단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귀걸이를 장식한다.
그런데, 이러한 귀걸이는 핀의 선단에만 장식물이 설치되는 바, 장식적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장식물이 핀의 선단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므로 장식적 효과가 더욱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핀의 선단에 하부로 늘어지면서 요동운동가능한 장식물을 설치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도, 핀에만 장식물이 설치되므로 장식적 효과가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핀 뿐만이 아니라 홀더에도 장식물을 부착시킴으로써 장식적 효과를 최대한 증진시킬 수 있는 귀걸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홀더에 부착된 장식물이 요동운동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귀걸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착용자의 귓볼을 관통한 핀의 말단부와 결합되고 장식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핀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핀구멍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자유단에 걸림부를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장식물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의 걸림부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홀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귀걸이는, 핀(10)을 구비한다. 핀(10)은 그 선단에 보석류, 큐빅 등과 같은 장식물(12)이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핀(10)은 귓볼(E)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져 관통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귀걸이는 홀더(20)를 구비한다. 홀더(20)는 몸체부(22)를 갖는다. 몸체부(22)는 핀(10)이 끼워져 관통되는 핀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부(22)는 핀구멍(22a)을 관통한 핀(10)의 말단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 각각으로부터 내측으로 말려져 있는 한 쌍의 탄성가압편(22b)을 각각 갖추고 있다. 이렇게, 핀(10)의 말단부를 가압하는 상부와 하부의 탄성가압편(22b)들은 핀구멍(22a)으로부터 핀(10)이 이탈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귀걸이는, 몸체부(22)의 하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장식물 홀더부(30)를 갖는다. 장식물 홀더부(30)는 소정의 곡률로 이루어진 "C"자형 와이어로서, 그 말단의 자유단에는 걸림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32)는 용융점을 갖는 금속재질, 예를 들면 땜납 등을 이용하여 장식물 홀더부(30)의 자유단 직경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대시킨 것으로, 후술하는 장식물(40)이 장식물 홀더부(30)로부터 장식물(40)이 이탈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장식물 홀더부(30)의 말단은, 본 고안의 귀걸이를 착용자가 착용했을 경우, 착용자의 전방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장식물 홀더부(30)가 "C"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L"자형 또는 "1"자형 또는 "S"자형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귀걸이는, 장식물 홀더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식물(40)을 구비한다. 장식물(40)은 보석류, 큐빅 및 장식링 등으로 구성되며, 별도의 연결고리(42)에 의해 장식물 홀더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러한 장식물(40)은 장식물 홀더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므로, 착용자가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임에 따라 장식물 홀더부(30)를 따라 슬라이딩운동하면서 요동(搖動)운동하며, 따라서 장식적 효과가 증진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장식물 홀더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식물(40)은, 장식물 홀더부(30)의 자유단에 형성된 걸림부(32) 때문에 장식물 홀더부(3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귀걸이에 의하면, 몸체부(22)의 하측에 "C"자형 장식물 홀더부(30)를 연결하고, 연결된 "C"자형 장식물 홀더부(30)에 장식물(4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장식물(40)이 요동운동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장식적 효과를 증진시킨다. 특히, 핀(10)에 설치된 장식물(12)과 함께 귀걸이를 장식하므로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다음으로,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변형예의 귀걸이는 몸체부(22)와 장식물 홀더부(30)가 중간고리(5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장식물 홀더부(30)는 몸체부(22)에 대해 요동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특히,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장식물 홀더부(30)가 요동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부(22)와 장식물 홀더부(30) 각각에는 중간고리(50)가 끼워지는 연결고리(52)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변형예의 귀걸이는, 장식물 홀더부(30)가 몸체부(22)에 대해 요동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측의 장식물(40)이 더욱 더 요동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장식물(40)의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귀걸이에 의하면, 핀 뿐만이 아니라 홀더에도 장식물을 설치함으로써 장식적 효과를 증대시킨다. 또한, 설치된 장식물이 장식물 홀더부에 슬라이딩하면서 요동운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귀걸이의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핀 12: 장식물
20: 홀더 22: 몸체부
22a: 핀구멍 22b: 탄성가압편
30: 장식물 홀더부 32: 걸림부
40: 장식물 42: 연결고리
50: 중간고리 52: 연결고리

Claims (4)

  1. 착용자의 귓볼을 관통한 핀의 말단부와 결합되고 장식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귀걸이에 있어서,
    상기 핀의 말단부를 수용하는 핀구멍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자유단에 걸림부를 갖는 가늘고 긴 형상의 장식물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의 걸림부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홀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식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 홀더부는 C자형이고, 상기 몸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 홀더부는 C자형이고, 상기 몸체부에 중간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요동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귀걸이를 착용했을 때, 상기 장식물 홀더부는 그 말단이 귀걸이 착용자의 전방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KR20-2005-0002105U 2005-01-24 2005-01-24 귀걸이 KR200382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105U KR200382120Y1 (ko) 2005-01-24 2005-01-24 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105U KR200382120Y1 (ko) 2005-01-24 2005-01-24 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120Y1 true KR200382120Y1 (ko) 2005-04-18

Family

ID=4368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105U KR200382120Y1 (ko) 2005-01-24 2005-01-24 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1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4811A (ko) 장신구
JP2002282020A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KR200382120Y1 (ko) 귀걸이
KR200418686Y1 (ko) 귀고리
KR200391052Y1 (ko) 귀걸이
CN207125414U (zh) 一种可晃动的珠宝首饰饰品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JP2005058371A (ja) 揺動式装身具
JP3774815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100670750B1 (ko) 착탈이 용이한 귀걸이
KR200438201Y1 (ko) 귀걸이용 걸이구
CN215685293U (zh) 一种圈口可伸缩的首饰
CN209883238U (zh) 一种多功能穿戴饰品
KR102484172B1 (ko) 유동 장식이 구비된 댄싱 귀걸이
CN217309363U (zh) 一种灵动吊坠及首饰
CN216255800U (zh) 一种黄金材料制成的手动卡夹式耳部饰品
KR200472032Y1 (ko)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JP3115924U (ja) 装飾部分が連結具機能を兼ね備えたバンド
KR200436514Y1 (ko) 귀걸이구의 귀걸이 장신구 결합구조.
KR20110007460U (ko) 귀걸이 뒷장식부재
KR100760470B1 (ko) 팔찌, 등찌 및 반지가 일체화된 장신구
KR200252247Y1 (ko) 귀고리
KR200363083Y1 (ko) 목걸이용 장식구
KR200345166Y1 (ko) 피어싱효과를 갖는 귀걸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