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811A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811A
KR20050004811A KR10-2004-7014468A KR20047014468A KR20050004811A KR 20050004811 A KR20050004811 A KR 20050004811A KR 20047014468 A KR20047014468 A KR 20047014468A KR 20050004811 A KR20050004811 A KR 20050004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jewelry
pieces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코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도시히코 기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히코 기무라 filed Critical 도시히코 기무라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2/002528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77699A1/ja
Publication of KR2005000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75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in an oscillating wa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5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otatably or pivotably arranged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신구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소정간격 이간되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과, 이 한 쌍의 지지편의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축구멍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 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위치되는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와, 이 보석지지 금구의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축구멍과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해당 축구멍의 개구끝단부 근처의 하부 위치에 지지되는 하부가 경사면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을 작은 지지부재의 움직임이라도,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의 중심의 위치가 변화하여 자동적으로 흔들려 움직여, 그 빛남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장신구 {ORNAMENT}
본 발명은 반지, 목걸이, 팬던트, 귀걸이, 팔찌, 브로치, 넥타이핀, 커프스버튼 등의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장신구는 링이나 체인 등의 아래로 매다는 도구에 부착되는 지지부재에, 다이아몬드등의 보석을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지지부재에 다이아몬드등의 보석을 고정적으로 부착하는 반지, 목걸이, 팬던트, 귀걸이, 팔찌, 브로치, 넥타이핀, 커프스버튼 등의 장신구는, 다이아몬드등의 보석에 닿는 빛의 반사정도에 따라서 아름다움을 가늠하거나, 눈에 띄는 정도를 가늠하고 있지만, 지지부재에 다이아몬드등의 보석이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는 다이아몬드등의 보석의 움직임이 적고, 반짝반짝 빛나지 않는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결점에 감안하여, 다이아몬드등의 보석을 작은 지지부재의 움직임에라도, 다이아몬드등의 보석의 중심의 위치가 변화하여 자동적으로 흔들려 움직여서, 그 반짝거림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가 있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신규인 특징은 다음의 설명을 첨부도면에 비추어 읽으면, 보다 완전히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도면은 오로지 해설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4의 5-5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6-6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요동상태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지지편부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12-12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13-13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15-15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16-16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18-18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지지편부의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21-21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지지편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24-24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지지편부의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27은 도 26의 27-27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28-28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의 일부 파단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45는 도 44의 25-25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도 46은 도 45의 26-26선에 따르는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소정간격 이간되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과, 이 한 쌍의 지지편의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축구멍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다이아몬드등의 보석이 부착된 보석지지금구와, 이 보석지지금구의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축구멍과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그 축구멍의 개구끝단부 근처의 하부위치에 지지되는 하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으로 장신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1은 반지로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장신구이고, 이 장신구(1)는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귀금속재료이며 링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2)와, 이 지지부재(2)의 바깥둘레부에 소정간격 이간되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일체형성 혹은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상태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3, 3)과, 이 한 쌍의 지지편(3, 3)의 대향하는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나사구멍(4, 4)과, 이 나사구멍(4, 4)에 각각 나사맞춤되는 부착용의 볼트(5, 5)와, 이 볼트(5, 5)의 대향하는 선단부에 둥근 구멍(6) 및 이 둥근 구멍(6)과 연이어 통하는 개구끝단부측이 점차로 확대개방되는 접시형상의 접시구멍(7)으로 이루어지는 축구멍(8, 8)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3, 3)사이에 요동가능하게 위치되는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9)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10)와, 이 보석지지 금구(10)의 상기 한 쌍의 지지편(3, 3)의 축구멍(8, 8)과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고정한, 해당 축구멍(8, 8)의 둥근 구멍(6, 6)의 하부위치에 지지되는 하부가 경사면(11, 11)에 형성된 삼각추 또는 혹은 삼각추 사다리꼴형상의 한 쌍의 지지축(12, 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반지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1)는, 한 쌍의 지지편(3, 3)의 부착용의 볼트(5, 5)사이가 넓어지도록 위치시킨 후,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9)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10)의 한 쌍의 지지축(12, 12)을 축구멍(8, 8)내에 위치시키고, 그 한 쌍의 지지축(12, 12)의 선단부가 둥근 구멍(6, 6)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단단히 조이고, 접착제를 볼트(5, 5)와 나사구멍(4, 4)과의 사이에 충전하여 이탈방지를 꾀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반지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1)는, 지지부재(2)의 이동에 의해 다이아몬드등의 보석(9)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10)의 중심위치가 변화하고, 한 쌍의 지지축(12, 1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요동한다.
또한, 한쌍의 지지축(12, 12)의 하부가 경사면(11, 11)의 삼각추 혹은 삼각추 사다리꼴 형상이기 때문에, 해당 한 쌍의 지지축(12, 12)의 축심방향으로도 이동하지만, 흔들려 움직이면서 자동적으로 중심으로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기타 실시예]
다음에, 도 8 내지 도 4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들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본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볼트(5A, 5A)의 선단부에 둥근 구멍만의 축구멍(8A, 8A)을 형성한 것을 사용한 점이고, 이와 같이 형성한 축구멍(8A, 8A)을 사용하여 구성한 장신구(1A)에 대해서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원추 혹은 원추사다리꼴 형상의 한 쌍의 지지축(12A, 12A)을 보석지지 금구(10)에 고정한 점이며, 이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12A, 12A)을 사용하여 구성된 장신구(1B)로 하여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반원추 혹은 반원추 사다리꼴형상의 한 쌍의 지지축(12B, 12B)을 보석지지 금구(10)에 고정한 점이며, 이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12B, 12B)을 사용하여 구성된 장신구(1C)로 하더라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한 쌍의 지지편(3, 3)에 상부로 개구하는 삽입구(13, 13) 및 축구멍(8B, 8B)을 형성하고, 보석지지 금구(10)의 한쌍의 지지축(12, 12)을 삽입홈(13, 13)으로부터 축구멍(8B, 8B)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삽입홈(13, 13)을 덮는 삽입홈 커버(14, 14)를 해당 삽입홈(13, 13)에 끼워맞추어 고정한 점이며, 이와 같이 구성한 장신구(1D)로 하더라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삽입홈(13, 13)을 지지편(3, 3)의 측면부위에 형성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원기둥형상의 한 쌍의 지지축(12C, 12C)을 보석지지 금구(10)에 고정함과 함께, 한 쌍의 지지편(3, 3)에 하부가 개구끝단부측이 넓어지도록 한 경사면(15, 15)으로 형성한 축구멍(8C, 8C)을 형성한 점이며, 이와 같이 구성한 장신구(1E)로 하더라도, 상기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한 쌍의 지지편(3, 3)에 축구멍(8D, 8D)을 직접 형성함과 함께, 이 한 쌍의 지지편(3, 3)을 지지부재(2)에 형성한 끼워맞춤 오목부(16, 16)에 끼워맞춤 고정한 점이며, 이와 같이 구성한 장신구(1F)로 하더라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지지편(3, 3)을 지지부재(2)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거나, 비스를 사용하여 고정하더라도 좋다.
도 26 내지 도 2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링형상의 지지부재본체(17)와, 이 지지부재본체(17)의 상부에 회전가능 혹은 소정량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한 쌍의 지지편(3, 3)이 형성된 회전운동부재(18)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2A)를 사용한 점이며,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부재(2A)를 사용하여 구성한 장신구(1G)로 하더라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회전운동부재(18)를 회전운동하여, 보다 원활하게 다이아몬드등의 보석(9)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10)가 요동하도록 사용할 수가 있다.
도 29 내지 도 3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목걸이로서 사용할 수가 있도록 임의의 형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하트형의 지지부재(2B)에 체인(19)을 지지하는 체인지지링(20)을 형성하는 동시에,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9)이 정면에 위치하도록 균형추(10a)가 형성된 보석지지 금구(10)를 사용한 점이며, 이와 같이 구성한 장신구(1H)로 하더라도 목걸이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팔에 끼워지도록 C자형상의 링에 형성된 지지부재(2C)를 사용한 점이며, 이와 같이 구성한 장신구(1I)로 하더라도 팔찌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의 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7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브로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임의의 형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잎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2D)의 배면에 안전핀(21)을 부착한 점이며, 이와 같이 구성된 장신구(1J)로 하더라도 브로치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안전핀(21)대신에, 클립이나 핀의 선단부를 착탈가능하게 걸어멈춤하는 걸어멈춤구를 구비하는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도 38 내지 도 40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넥타이핀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임의의 형상의 클립형상의 지지부재(2E)를 사용한 점이며,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부재(2E)를 사용하여 구성한 장신구(1K)는, 넥타이핀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1 내지 도 4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발명의 제 9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커프스버튼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임의의 형상의 커프스버튼형상의 지지부재(2F)를 사용한 점이며,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부재(2F)를 사용하여 구성한 장신구(1L)는, 커프스버튼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4 내지 도 4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주로 다른 점은, 한 쌍의 지지편(3, 3)의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된 상부가 경사면(22)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23, 23)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3, 3)사이에 요동가능하게 위치되는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9)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10A)의 상기 한 쌍의 지지편(3, 3)의 지지축(23, 23)과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된 해당 지지축(23, 23)의 선단부로부터의 부위가 삽입되어 윗면에서 지지되는 한 쌍의 축구멍(24, 24)을 사용한 점이며, 이와 같이 구성한 장신구(1M)로 하더라도,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제 9, 제 10, 제 11, 제 12, 제 13, 제 14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의 형태의 구성을 사용한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2∼제 8 실시형태의 구성을, 상기 제 9∼제 14 실시형태에 사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보석지지 금구에 다이아몬드등의 보석을 부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 대신에 거울면마무리 혹은 거울에 모양이나 문자 등을 기재하거나, 혹은 이들 모양이나 문자 등에 덧붙여 작은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을 고정한반사체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보석지지 금구와 반사체를 일체 혹은 별개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소정간격 이간되어 위쪽으로 돌출하 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과, 이 한 쌍의 지지편의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축구멍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사이에 요동가능하게 위치되는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와, 이 보석지지 금구의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축구멍과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그 축 구멍의 개구끝단부 근처의 하부위치에 지지되는 하부가 경사면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의 움직임으로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의 중심위치가 변화하여, 보석지지 금구를 자동적으로 요동시킬수 있다.
따라서, 보석지지 금구에 부착된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의 빛남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② 상기 ①에 의해서, 한 쌍의 지지편의 축구멍의 개구끝단부 근처의 하부에, 하부가 경사면에 형성된 지지축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보석지지 금구를 원활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③ 상기 ②에 의해서, 한 쌍의 지지축의 선단부 사이의 치수보다도 크게 한 쌍의 지지편의 축구멍사이의 치수에 형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한 쌍의 축구멍 사이에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를 부착할 수 있다.
④ 상기 ②에 의해서, 한 쌍의 지지축의 축심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한 쌍의 지지축의 하부가 경사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석지지 금구의 흔들려 움직이는 것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중앙부에 이동시킬 수 있다.
⑤ 청구항 2, 3, 4, 5, 6, 7, 8, 9도 상기 ①∼④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소정간격 이간되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과, 이 한 쌍의 지지편의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축구멍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사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와, 이 보석지지 금구의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축구멍과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해당 축구멍의 개구끝단 근처의 하부위치에 지지되는 하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체인에 매달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팔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의복에 안전핀이나 클립에 의해서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지지편에 형성된 축구멍의 적어도 한쪽은 지지편에 나사맞춤 고정되는 볼트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7.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소정간격 이간되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과, 이 한 쌍의 지지편의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하부가, 개구끝단부쪽이 넓어지도록 된 경사면으로 형성된 축구멍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 사이에서 요동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와, 이 보석지지 금구의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축구멍과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해당 축구멍의 거의 중앙부의 하부경사면에 선단부가 위치하는 한 쌍의 원기둥형상의 지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8. 지지부재본체 및 이 지지부재본체에 회전가능 혹은 소정량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회전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의 회전운동부재에 소정간격 이간되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과, 이 한 쌍의 지지편의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축구멍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위치되는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와, 이 보석지지 금구의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축구멍과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해당 축구멍의 개구끝단부 근처의 하부위치에 지지되는 하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9.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소정간격 이간되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과, 이 한 쌍의 지지편의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 상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사이에서 요동가능하게 위치되는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부착된 보석지지 금구와, 이 보석지지 금구의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지지축과 각각 대향하는 부위에, 해당 지지축의 선단부 근처의 부위가 삽입되어 윗면에서 지지되는 한 쌍의 축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10-2004-7014468A 2002-03-15 2002-03-15 장신구 KR20050004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2528 WO2003077699A1 (en) 2002-03-15 2002-03-15 Orna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811A true KR20050004811A (ko) 2005-01-12

Family

ID=3319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468A KR20050004811A (ko) 2002-03-15 2002-03-15 장신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20442B2 (ko)
JP (1) JP4199129B2 (ko)
KR (1) KR20050004811A (ko)
EA (1) EA0072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404A1 (en) * 2008-11-17 2010-05-20 Claude Bisserier Concentric rotatable rings having ornament support structure
WO2019156270A1 (ko) * 2018-02-12 2019-08-15 (주) 뉴실크로드 유동형 난집조립체 및 이 유동형 난집조립체의 스프링타입 유동체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9126A1 (en) * 2002-05-06 2004-04-29 Howard Ullman Spinner key ring with locking interchangeable parts
WO2005055755A2 (en) * 2003-12-02 2005-06-23 Eugene Douglas Temporary ornam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DE502004004359D1 (de) * 2004-04-27 2007-08-30 Milus Internat S A Schmuckelement sowie eine aus mehreren solchen Schmuckelementen gebildete Kette
US7454924B2 (en) * 2005-08-26 2008-11-25 Frank Grad Configurable jewelry and jewelry configuration system
DE102006002671A1 (de) * 2006-01-19 2007-08-02 Anwer Achmedschanow Verfahren zur Befestigung von Gegenständen in Schmuckstücken
IL193305A (en) * 2008-08-07 2012-06-28 Livni Design Ltd Dynamic item of jewelry
US20120151963A1 (en) * 2010-12-20 2012-06-21 Hidetaka Dobashi Personal ornament
BR112013011218A2 (pt) * 2010-12-20 2016-11-01 Crossfor Co Ltd ornamento
ITVR20120037A1 (it) * 2012-03-06 2013-09-07 Dibi Spa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un manufatto e manufatto così ottenuto
US20130239613A1 (en) * 2012-03-15 2013-09-19 The Jewlery Co. Jewelry article with a brilliance enhancing diamond setting
GB2516615B (en) * 2013-05-31 2017-10-04 Marie Severin Roux-Fouillet David Items of jewellery and a method of producing such items
WO2016169549A1 (de) * 2015-04-24 2016-10-27 Gebrüder Schaffrath Gmbh Schmuckstück
JP6285595B1 (ja) * 2017-05-19 2018-02-28 株式会社クロスフォー 身飾品
CN107006966B (zh) * 2017-05-24 2019-05-21 深圳市缘与美实业有限公司 一种翻转式可晃动首饰装置及其实现方法
CN106983248A (zh) * 2017-05-24 2017-07-28 深圳市缘与美实业有限公司 一种自动摆动首饰装置及其镶嵌方法
CN106983249A (zh) * 2017-05-24 2017-07-28 深圳市缘与美实业有限公司 一种部件式自摆首饰装置、配件及其实现方法
USD897233S1 (en) * 2019-02-26 2020-09-29 Cursed Jewels, LLC Dual ring jewelry setting
US11229265B2 (en) 2019-11-27 2022-01-25 Jon E. Arendsen Kit assembly for adapting a gemstone between multiple wearable use configurations
USD1003752S1 (en) 2020-04-09 2023-11-07 Jon E. Arendsen Kit assembly for adapting a gemstone between ring and pendant
US20230292890A1 (en) * 2022-03-18 2023-09-21 Weixiong Huang Wearable Jewelry with Rotatabl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678A (en) * 1908-03-27 1909-03-16 Leon Kantor Scarf-pin, brooch, and similar article.
US922212A (en) * 1909-03-11 1909-05-18 Harry Tropin Jewelry.
US2585183A (en) * 1949-08-31 1952-02-12 Raymond J Stern Jewelry
US4220017A (en) * 1978-08-07 1980-09-02 Harold Freeman Jewelry Mfg. Co., Inc. Convertible finger ring
US4187697A (en) * 1978-10-16 1980-02-12 Angel Castelo Jewel mounting structure
US4726200A (en) * 1986-07-10 1988-02-23 Carter Nick P Combination ring pendent
US4977757A (en) * 1989-08-28 1990-12-18 Prestige Collection, Inc. Jewlery with rotatable ornamentation
US4970878A (en) * 1989-11-20 1990-11-20 Lee Steven D Jewelry mounting structure employing rotatable display members
US5787731A (en) * 1996-11-19 1998-08-04 Ebara; Isao Personal ornament
US5950456A (en) * 1997-09-22 1999-09-14 Kirsch, Jr.; James Robert Article of jewelry with pivotal gem
US6612132B2 (en) * 2001-12-17 2003-09-02 Tosihiko Kimura Gravity balancing 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6404A1 (en) * 2008-11-17 2010-05-20 Claude Bisserier Concentric rotatable rings having ornament support structure
WO2019156270A1 (ko) * 2018-02-12 2019-08-15 (주) 뉴실크로드 유동형 난집조립체 및 이 유동형 난집조립체의 스프링타입 유동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77699A1 (ja) 2005-07-14
JP4199129B2 (ja) 2008-12-17
US20030172673A1 (en) 2003-09-18
EA200401213A1 (ru) 2005-04-28
EA007216B1 (ru) 2006-08-25
US6820442B2 (en) 2004-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4811A (ko) 장신구
US5353608A (en) Multi-use jewelry piece
JP3738279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WO2003077699A1 (en) Ornament
CA2381373A1 (en) Jewelry piece set
US20050166638A1 (en) Variable jewel
US7340922B2 (en) Orbit8 earring
JP3033119U (ja) 宝石を回転可能に取り付けてなる装身具
JP3390168B1 (ja) 装身具
JPWO2002065868A1 (ja) 装身具
JP3116604U (ja) 装身具用下げ飾り
JP2005058371A (ja) 揺動式装身具
JPH068730Y2 (ja) 装身具用ファセットカット宝石の取り付け構造
JP3774815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US20110120187A1 (en) Jewelry Kit, Articles of Jewelry,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Thereof
EP1051927A1 (en) A jewelry article
KR200382120Y1 (ko) 귀걸이
US20020148253A1 (en) Pendant having multiple gemstones on a rotatable carousel
JP3061592U (ja) 風車式身飾品
KR101828755B1 (ko) 귀걸이 고정구
JP3227460B2 (ja) ペンダントヘッド係止装身具及びペンダントヘッド係止金具
JP3056360U (ja) ファセットカット宝石の宝石固定金具
JP3078864U (ja) 装身具用部材およびその装身具用部材を用いた装身具
KR200391064Y1 (ko) 흔들장신구
KR200348877Y1 (ko)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