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755B1 - 귀걸이 고정구 - Google Patents

귀걸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755B1
KR101828755B1 KR1020170165891A KR20170165891A KR101828755B1 KR 101828755 B1 KR101828755 B1 KR 101828755B1 KR 1020170165891 A KR1020170165891 A KR 1020170165891A KR 20170165891 A KR20170165891 A KR 20170165891A KR 101828755 B1 KR101828755 B1 KR 10182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fixing part
earr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림
Original Assignee
김종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림 filed Critical 김종림
Priority to KR1020170165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55B1/ko
Priority to PCT/KR2018/014444 priority patent/WO20191122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고정부가 이격되고, 뒷면의 고정구가 분리되어 있어,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탄성력에 의해 귀걸이 핀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는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고 제2 관통공이 상기 제1 관통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분리홈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어,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귀걸이 핀을 가압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너비는 상기 제1 고정부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 고정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암;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귀걸이 고정구{EARRING FASTNER}
본 발명은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걸이 핀의 보다 쉽게 끼우면서도 결합력을 강하게 할 수 있는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클립온형과 버튼형으로 나뉘고 있으며, 클립온형은 귀볼을 귀걸이사이에 두고 스프링이나 볼트 등으로 귓볼을 고정지지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버튼형은 귓볼에 붙어 있는 형태로서 장식부의 반대편에 핀으로 형성되어 핀을 고정하는 뒷장식부재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보통 핀형 귀걸이라 통칭된다.
핀형 귀걸이는 핀이 귓볼을 관통하기 때문에 핀을 고정하는 고정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고정구는 핀을 단순히 고정지지해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미감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된다.
귀걸이 고정구에서 미감을 제공하는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귀걸이 고정구 본연의 기능은 귀걸이를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귀걸이 고정구는, 착용은 쉬우면서도 잘빠지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 1은 종래의 귀걸이를 나타낸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진주 또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장신구가 결속된 장식부(10)와 상기 장식부(10)에 구비된 장식핀(20)을 결속하는 고정구(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30)는 양쪽에서 맞물려 장식핀(30)을 고정시켜 주는데 사용함에 따라 고정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구는 크기가 작은데다 미끄러워서 체결시 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부분을 손으로 잡게 되어 손에 통증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귀걸이 핀을 강하게 결속할 수 있는 귀걸이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귀걸이 고정구의 가장자리에 홈을 형성하여 잘 미끄러지 않는 귀걸이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는,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고 제2 관통공이 상기 제1 관통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분리홈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어,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귀걸이 핀을 가압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너비는 상기 제2 고정부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 고정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외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고정부는 2개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암은 2개의 제2 고정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2개의 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상기 제2 고정부는 4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암은 4개의 제2 고정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4개의 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 2고정부는 3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암은 3개의 제2 고정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3개의 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암은 상기 제2 관통공의 출구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있다.
실시예에서,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는 제1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의 가장자리에는 제2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의 측벽에는 제3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그루브와 제3 그루브는 평형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3 그루브는 제2 그루브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암은 상기 제2고정부의 출구측에 형성된 상부암과 상기 상부암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암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암과 하부암은 일직선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고정부의 지름은 상기 제2 관통공 지름의 2.6 배 내지 2.7 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제1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는 십자 모양의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암의 상부에는 보석을 부착될 수 있는 장식홈이 더 형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귀걸이 핀을 단단하게 고정하여 귀걸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귀걸이 착용시 고정구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이하게 귀걸이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지 않아 손가락이 아프지 않아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에 보석이나 다이아몬드 등을 세팅할 수 있어 장식용으로의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10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1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가 귀걸이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3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4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5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6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7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8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900)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측면도를 나탄낸 것이고, 도 4는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뒷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4의 (b)는 앞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귀걸이 고정구(100)는 제1 고정부(110), 제2 고정부(120), 및 연결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귀걸이 핀은 상기 제1 고정부(110) 방향에서 삽입되므로 제1 고정부(110) 방향을 앞면이라고 하고, 제2 고정부(120) 방향을 뒷면이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부(110)는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0)의 모양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관통공이 원형이므로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고정부(110)는 앞면이 볼록하고 뒷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뒷면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 관통공(121)에 귀걸이 핀이 삽입되면서 제2 관통공(121)이 벌어질 때 반발력을 제공하여 제2 고정부(120)가 귀걸이 핀을 더 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 고정부(110)에서, 제1 관통공(111)을 중심으로 소정 영역의 중앙 부분(113)은 제2 고정부(1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중앙 부분의 두께가 가장자리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부분을 두껍게 함으로써 귀걸이 핀을 보다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110)에는 상기 제1 관통공(111)을 중심으로 하는 십자(+) 모양의 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14)은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탄성홈(114)이라 명명한다. 상기 탄성홈(144)을 추가함으로써 제1 관통공(111)에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벌어지면서 귀걸이 핀을 더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0)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다수의 제1 그루브(112, groove)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귀걸이 착용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20)는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2 관통공(121)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공(121)은 상기 제1 관통공(111)과 일직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부(11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모양은 제한이 없다. 다만, 제1 관통공(111)은 귀걸이 핀이 관통해야 하므로 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귀걸이 핀이 원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2 고정부(120)는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고정부(120)가 4개로 분리되어 있다. 분리된 고정부 각각은 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부가 모여 제1 관통공(121)을 형성한다. 분리된 고정부 사이 간격을 분리홈(122)이라고 하면, 분리홈(122)은 십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균형을 유지하고 귀걸이 핀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고정부(120)는 귀걸이 핀을 단단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2 고정부(120)는 제2 관통공에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벌어지면서 탄성력에 의해 귀걸이 핀을 가압하여 귀걸이 핀을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제2 고정부(120)가 용이하게 벌어져야 하므로 제2 고정부(120)의 지름은 지나치게 커서는 안된다. 대략 제2 고정부(120)의 전체 지름은 제2 관통공(121)의 지름 대비 대략 2.7 배 내지 2.8 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관통공의 지름(A)과 제2 고정부 전체의 지름(B)의 비는 1: 2.7 내지 2.8일 수 있다. 제2 고정부(120)의 지름이 이보다 작으면 쉽게 벌어질 수는 있느나 귀걸이 핀을 고정하는 가압력이 떨어질 수 있고, 지름이 이보다 크게 되면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잘 벌어지지 않아 귀걸이 착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제1 고정부(110)는 제2 고정부(120)를 지지하는 기능을 겸비하므로 제2 고정부(120)에 비해 지름이 커야 한다. 제1 고정부(110)의 지름(C)은 관통공의 지름(A) 대비 대략 8배 내지 9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부(110)의 지름이 작으면 손에 잘 잡히지 않아 착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지나치게 크면 부피가 커지고 착용시에 무겁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0)는 상기 제2 고정부(120)에 탄성을 제공하기 용이하도록 내부가 오목한 플레이트 형상이다. 제1 고정부(110)가 오목한 형상이므로 외력에 의해 제1 고정부(110)가 밀려지더라도 복원력에 의해 제2 고정부(12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제2 고정부(120)는 복원력에 의해 귀걸이 핀을 가압하게 된다.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는 연결부(130)에 의해서 가장자리를 통해 연결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가운데 영역은 비어 있다. 따라서 귀걸이 핀이 제2 관통공(121)로 삽입될 때, 보다 용이하게 벌어지면서 동시에 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는 연결부(130)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일측면은 제1 고정부(110)에서 연장 형성되고, 다른 일측면은 제2 고정부(120)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2 고정부(120)는 제1 고정부(110)에 비해 지름이 작으므로 제2 고정부(110)의 측면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고정부(110)는 가장자리에서 뒷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즉, 연결부(130)는 상기 제1 고정부(1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뒷면)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131)와 상기 제2 고정부(120)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암(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31)의 바깥쪽 측면에는 제2 그루브(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그루브(132)는 제1 그루브(112)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133)은 제2 관통공의 출구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암(133)의 가장자리는 시작부 보다 더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암(133)의 가장자리는 제1 고정부(110)에 더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133)은 아치형으로 위로 볼록한 형상이므로, 미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2 고정부(120)에 더 강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암(133)은 몸체부(134)와 외곽부(135)로 구성되어 있다. 외곽부(135)는 몸체부(134)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다수의 제3 그루브(136)가 형성되어 있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곽부(133)는 제2 고정부(12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그루브(133)는 제1 그루브(112)의 형성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곽부(135)는 상기 몸체부(133)가 가장자리까지 일정한 폭으로 연장된 후, 가장자리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급격히 커지거나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1) 및 암(133)의 개수는 제2 고정부(120)의 분리된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제2 고정부(120)가 4개로 분리된 경우에는 암과 지지부도 4개로 형성되고, 제2 고정부(120)가 2개로 분리된 경우에는 암과 지지부도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암 및 지지부의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귀걸이 고정구에서 위, 아래는 별도로 구분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도면에 기재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즉, 상부는 뒷면 방향이고 하부는 앞면 방향이다.
상기 귀걸이 고정구(100)는 장식 기능도 겸비하므로 금, 은 등의 귀금속이 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귀걸이 핀이 삽입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귀걸이 핀(20)이 제1 관통공(111)과 제2 관통공(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때 2개의 관통공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귀걸이 핀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제2 관통공이 절개홈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잘 벌어질 수 있다. 제2 고정부(120)가 벌어질때 제1 고정부(110)와 연결부(130)가 제2 고정부(120)에 반발력을 제공하여 귀걸이 핀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홈이 십자(+) 모양인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귀걸이 고정구(200)는 분리홈(222)이 십자(+)모양으로 형성되어있으나, 지지부(231) 및 암(233)으로 구성된 연결부가 2개 형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홈(222)이 십자 모양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연결부가 2개로 구성된 경우 분리홈(222)을 일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300)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의 실시예에서 암의 아래부분에 하부암을 추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암(333)의 아래에 하부암(3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암을 하부에 더 추가하는 경우 탄성력이 강화되어 귀걸이 핀을 더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암의 형태를 변형시킨 것이다.
도 7에서는 암이 기둥 형태로 되어 있으나, 도 8에서는 암이 납작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암의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8의 실시예에서도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암(433)와 하부암(443)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로, 연결부가 3개로 구성된 귀걸이 고정구(5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연결부가 5개로 구성된 귀걸이 고정구(600)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귀걸이 고정구(700)의 앞면, 즉 제1 고정부(710)의 모양을 변형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고정부(710)의 모양이 원형이 아니라 연결부(730)가 형성된 부분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은 귀금속으로도 앞서 살펴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강도로 귀걸이 핀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4개의 암 가장자리에 보석을 장식할 수 있는 장식홈(8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는 귀걸이 고정구가 단순히 귀걸이를 고정하는 역할만 했으나, 발 발명에서는 암을 형성함으로써, 암에 장식홈(84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실시예에 하부암을 추가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4개의 상부암(933) 하부에 4개의 하부암(9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암을 추가함으로써, 귀걸이 핀이 삽입되면서 관통공이 벌어질때 탄성력이 강해져 귀걸이 핀을 더욱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제1 고정부 111 : 제1 관통공
112 : 제1 그루브 113 : 중앙 부분
114 : 탄성홈 120 : 제2 고정부
121 : 제2 관통공 122 : 분리홈
130 : 연결부 131 : 지지부
132 : 제3 그루브 133 : 암
134 : 몸체부 135 : 외곽부
136 : 제3 그루브

Claims (11)

  1.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고 제2 관통공이 상기 제1 관통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분리홈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어,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귀걸이 핀을 가압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너비는 상기 제2 고정부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 고정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는 제1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의 가장자리에는 제2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의 측벽에는 제3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그루브와 제3 그루브는 평형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3 그루브는 제2 그루브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귀걸이 고정구.
  2.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고 제2 관통공이 상기 제1 관통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분리홈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어,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귀걸이 핀을 가압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너비는 상기 제2 고정부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 고정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은 상기 제2고정부의 출구측에 형성된 상부암과 상기 상부암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암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암과 하부암은 일직선에 형성되어 있는 귀걸이 고정구.
  3.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고 제2 관통공이 상기 제1 관통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분리홈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어,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귀걸이 핀을 가압하며,
    상기 제1 고정부의 너비는 상기 제2 고정부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 고정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의 상부에는 보석이 부착될 수 있는 장식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귀걸이 고정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외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귀걸이 고정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2개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암은 2개의 제2 고정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2개의 암으로 구성되는 귀걸이 고정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제2 관통공의 출구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귀걸이 고정구.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의 지름은 상기 제2 관통공 지름의 2.6 배 내지 2.7 배인 귀걸이 고정구.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제1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는 십자 모양의 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귀걸이 고정구.

  11. 삭제
KR1020170165891A 2017-12-05 2017-12-05 귀걸이 고정구 KR10182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91A KR101828755B1 (ko) 2017-12-05 2017-12-05 귀걸이 고정구
PCT/KR2018/014444 WO2019112212A1 (ko) 2017-12-05 2018-11-22 귀걸이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91A KR101828755B1 (ko) 2017-12-05 2017-12-05 귀걸이 고정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916A Division KR101887487B1 (ko) 2018-02-05 2018-02-05 귀걸이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755B1 true KR101828755B1 (ko) 2018-02-13

Family

ID=6123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891A KR101828755B1 (ko) 2017-12-05 2017-12-05 귀걸이 고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8755B1 (ko)
WO (1) WO20191122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5618A (ja) * 2002-02-15 2003-08-26 Kosaikogei Co Ltd ピアス用パー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653Y1 (ko) * 2003-05-02 2003-08-09 주식회사 혼쥬얼리 귀걸이 고정구
KR20110003010U (ko) * 2009-09-18 2011-03-24 심명종 귀걸이 고정구
KR200462475Y1 (ko) * 2010-07-28 2012-09-13 이두영 액세서리 고정구
KR20160144168A (ko) * 2015-06-08 2016-12-16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5618A (ja) * 2002-02-15 2003-08-26 Kosaikogei Co Ltd ピアス用パー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212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095B1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US20140150496A1 (en) Multi-Use Jewelry Device
US20150282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ccessories to jewelry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US20210244141A1 (en) Jewelry ornament with clasp mechanism
CN102379495A (zh) 具有连接链环的多琢面宝石
KR100761985B1 (ko) 착탈식장신구
TW201509337A (zh) 珠寶/首飾鏈環及以此鏈環製成之珠寶/首飾
CA2381373A1 (en) Jewelry piece set
KR101828755B1 (ko) 귀걸이 고정구
KR101887487B1 (ko) 귀걸이 고정구
US9854881B1 (en) Apparatus to facilitate interchangeable jewelry head having two feet and a coil spring retention mechanism with pushbutton release member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150098550A (ko) 장신구
CN210329623U (zh) 任意拆配式戒指
US20040083758A1 (en) Jewel setting
WO2009153286A1 (en) Jewelry setting for detachable ornament and jewelry comprising such setting
JPH068730Y2 (ja) 装身具用ファセットカット宝石の取り付け構造
KR101604653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100700202B1 (ko) 클립형 체결장치
JPH0657216U (ja) 留め具
JP3137955U (ja) 宝石の取付構造
KR101965641B1 (ko) 스마트 주얼리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