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12212A1 - 귀걸이 고정구 - Google Patents

귀걸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12212A1
WO2019112212A1 PCT/KR2018/014444 KR2018014444W WO2019112212A1 WO 2019112212 A1 WO2019112212 A1 WO 2019112212A1 KR 2018014444 W KR2018014444 W KR 2018014444W WO 2019112212 A1 WO2019112212 A1 WO 20191122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rm
fixing part
fixing
hole
ea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44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종림
Original Assignee
김종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림 filed Critical 김종림
Publication of WO20191122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122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earring faste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earring fastener that can easily fasten a earring pin and increase a coupling force.
  • the earrings are divided into a clip-on type and a button type.
  • the clip-on type is to hold the earlobes between the earrings and to hold the earlobes with a spring or bolts.
  • the button type is attached to the earlobes, And is combined with a rear decorative member for fixing the pin,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pin type earring.
  • the pin-type earrings require a fastener to fix the pins because the pins penetrate the earlobes.
  • These fixtures have a variety of designs to provide aesthetics as well as a role of simply holding the pins in place.
  • Design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a sense of beauty in the earring fastener, bu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earring fastener is to fix the earring.
  • the earring fastener is easy to wear but does not fall off easily and is firmly fix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arring. As shown in FIG. 1, a decorative member 10 to which jewelry ornaments such as pearls or diamonds are bound and a fixture 30 for binding decorative pins 20 provided in the decorative member 10, .
  • the fixture 30 is used to fix the ornamental pin 30 by engaging with the fixture 30 on both sides,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fixing force is weakened.
  • the fixture is small in size and slippery, it is not only inconvenient when fastened, but also has a problem that the sharp portion is caught by the hand, which causes pain in the hand.
  •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earring fastener capable of strongly binding an earring pin using an elastic forc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ring fastener that does not slip smoothly by forming a groove at the edge of the earring fastener.
  • the earring fastener includes: a first fixing part having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an earring pin passes; A second fixing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xing part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an edg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an edg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an arm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toward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are connected only by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a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by the separation groove so that when the earring pin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the elasticity of the supporting part and the arm causes the earring And the pin is pressed.
  • the first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its outer surface is convex.
  •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divided into two regions, and the arm may be composed of two arms extending from each of the two second fixing portions.
  •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and the arm may be composed of three arms extending from each of the three second fixing portions.
  • the arm may be formed in a convex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of the second through hole.
  • a first groov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first fixing portion, a second groov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arm, and a third groove is formed at the side wall of the support portion .
  • the first groove and the third groove may be formed in an equilibrium.
  • the first groove and the third groove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groove.
  • the arm includes an upper arm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a lower arm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arm, and the upper arm and the lower arm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
  • the first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cross-shaped groove centering on the first through-hole.
  • an ornamental groove to which a gem can be attached may further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m.
  • the earring pin can be firmly fixed to prevent the earring from being pulled out.
  • the corner portion is not sharp, the fingers do not hurt and can be easily worn.
  • Figure 1 shows a prior art earring fastener.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ring faste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earring faste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the earring faste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earring fast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n earring.
  • FIG. 6 illustrates an earring faste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shows a earring fasten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shows a earring fastener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hows an earring fixture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shows a earring fixtur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shows an earring fixture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llustrates an earring fixture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shows an earring fixture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to 4 sh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 Fig. 3 is a side view
  • Fig. 4 is a plan view
  • Fig. 4 (a) is a rear view
  • Fig. 4 (b) is a front view.
  • the first fixing part 110, the second fixing part 120, and the connection part 130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earring fastener 100. Since the earring pin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the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referred to as the front face a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referred to as the back face.
  • the first fixing part (110) has a first through hole (111) through which the earring pin passes.
  •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because the through hole is circular.
  • the first fixing part 110 may have a convex shape on the front surface and a concave shape on the back surface.
  • the second through hole 1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21 to provide a repulsive force when the second through hole 121 is opened so that the second anchor 120 can securely fix the earring pin .
  • the center part 113 of the predetermined area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111 protrudes toward the second fixing part 120.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edge. By thickening the center portion, the earring pin can be more firmly fixed.
  • the first fixing part 110 may be formed with a cross-shaped groove 114 having the first through hole 111 as a center.
  • the groove 114 serves to provide elasticity and is therefore referred to as an elastic groove 114.
  •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112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By forming the gro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when wearing the earring.
  •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121 through which the earring pin pass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21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irst through hole 111 do.
  • the second fixing part 1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the embodiment, the cylindrical shape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shape is not limited. However, the first through hole 111 must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because the earring pin must penetrate through it. Usually, the earring pins are round.
  •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 the second fixing portions 120 are separated into four.
  • Each of the separated fixed portions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on the inner side, and these concave portions are gathered to form the first through hole 121.
  • the separation groove 122 is formed in a + shape.
  •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0 are formed apart from each other, balance can be maintained when the earring pin is inserted and the earring pi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 the second fixing part 120 serves to fix the earring pin firmly.
  • the second fixing part 120 presses the earring pin by elastic force while fixing the earring pin when the earring pi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should not be excessively large, since the second fixing part 120 should be easily opened when the earring pin is inser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approximately 2.7 to 2.8 times the diameter of the second through hole 121. [ That is, the ratio of the diameter (A) of the second through hole to the diameter (B) of the entire second fixing part may be 1: 2.7 to 2.8. If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the pressing force for fixing the earring pin may be lowered. If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This can be.
  • the diameter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should b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 the diameter C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preferably about 8 to 9 times the diameter A of the through hole. If the diameter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small, it is not easily hand-held and it is difficult to wear. In addition, if it is too large, the bulky body becomes bulky and heavy when worn.
  •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in the shape of a plate having an inner concave shape to easily provide elasticity to the second fixing part 120. Since the first fixing part 110 has a concave shape, even if the first fixing part 110 is pushed by an external force,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by the restoring force. Therefore, the second fixing part 120 presses the earring pin by the restoring force.
  •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art 130 through the edge, and the central area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empty. Therefore, when the earring pi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21, it can be more easily opened and at the same time, it can provide a strong elastic force.
  •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20 are integr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part 130.
  • connection part 130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130 is extended from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the other side is extended from the second fixing part 120.
  • the second fixing part 120 extends out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110 because the diameter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 the first fixing part 110 extends from the edge to the back side And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connection part 130 includes a support part 131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first fixing part 110 to the upper side (back side) and an arm 133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second fixing part 120 .
  • a second groove 132 is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31.
  • the second grooves 132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grooves 112.
  • the arm 133 is formed in a convex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of the second through hole, that is,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edge of the arm 133 is formed below the starting portion. That is, the edge of the arm 133 is formed closer to the first fixing portion 110. Since the arm 133 has an upwardly convex shape, it can provide not only aesthetics but also a stronger elasticity to the second fixing part 120.
  • the arm 133 is composed of a body portion 134 and an outer frame portion 135.
  • the outer frame 135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body 134 and a plurality of third grooves 136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outer frame 135 to prevent slipping.
  • the outer frame portion 133 may extend to the edg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20.
  • the third groove 136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groove 112.
  • the outer frame 135 may have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n edge thereof after the body portion 133 has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to the edge, and may be rapidly or gradually enlarged.
  • the number of the support portions 131 and the arms 133 vari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second fixing portions 120 separated. That is, when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divided into four, the arm and the supporting part are also formed of four, and when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divided into two, the arm and the supporting part may also be formed of two. That is, the number of arms and support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this will be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arring fastener are not separately distinguish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dividing the upper and the lower portions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s described in the drawings. That is, the upper portion is the back surface direc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the front surface direction.
  • the earring fastener 100 also has a decoration function, noble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can be mainly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FIG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example of an earring pin is inserted.
  • the earring pin 20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21 in order. At this time, since the two through hol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the earring pin can be stably fixed,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separated by the cutout groove, so that it can be easily opened when the earring pin is inserted.
  • the first fixing part 110 and the connection part 130 provide a repulsive force to the second fixing part 120 so that the earring pin can be firmly fixed when the second fixing part 120 is opened.
  • the separating groove has a plus (+) shape, but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 FIG. 6 illustrates an earring faste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arring fastener 200 is formed in a cross shape with the separating groove 222, but two connecting portions composed of the supporting portion 231 and the arm 233 are formed.
  • the separation groove 222 is formed in a cross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groove 222 may be formed in a negative (-) shape when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of two pieces.
  • FIG. 7 illustrates an earring fasten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lower arm is ad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 a lower arm 343 is formed below the upper arm 333.
  • the elastic force is strengthened and the earring pin can be more strongly fixed.
  • Fig. 8 is a mod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arm in the embodiment of Fig. 7;
  • the arm is in the form of a column, but in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arm is flat. That is, the shape of the arm can be variously chang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8, the upper arm 433 and the lower arm 443 may be formed together as shown in FIG.
  • FIG.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hows an earring fastener 500 having three connecting portions
  • FIG. 10 shows a earring fastener 600 having five connecting portions.
  • FIG 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hap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arring fastener 700, that is, the shape of the first fixing part 710, is modified.
  • the first fixing part 710 is not formed in a circular shape but only a part where the connecting part 730 is formed is protruded. In this embodiment, even with a small noble metal, it is possible to fix the earring pin with the same strength in the above embodiment.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arring faste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ecorative grooves 840 for decorating jewels are formed on the four arm edges.
  • the earring fastener merely fixed the earrings.
  • FIG. 1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ower arm is added to the embodiment of FIG.
  • FIG. 13 it can be seen that four lower arms 943 are formed under the four upper arms 933.
  • the elastic force is strengthened when the through hole is opened while the earring pin is inserted, so that the earring pin can be more firmly fix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precious metal industry such as ea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제1 관통공이 형성된 제1 고정부와 제2 관통공이 형성된 제2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 고정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만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고정부는 분리홈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어,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지지부 및 암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귀걸이 핀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걸이 고정구
본 발명은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걸이 핀의 보다 쉽게 끼우면서도 결합력을 강하게 할 수 있는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클립온형과 버튼형으로 나뉘고 있으며, 클립온형은 귀볼을 귀걸이사이에 두고 스프링이나 볼트 등으로 귓볼을 고정지지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버튼형은 귓볼에 붙어 있는 형태로서 장식부의 반대편에 핀으로 형성되어 핀을 고정하는 뒷장식부재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보통 핀형 귀걸이라 통칭된다.
핀형 귀걸이는 핀이 귓볼을 관통하기 때문에 핀을 고정하는 고정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고정구는 핀을 단순히 고정지지해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미감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된다.
귀걸이 고정구에서 미감을 제공하는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귀걸이 고정구 본연의 기능은 귀걸이를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귀걸이 고정구는, 착용은 쉬우면서도 잘빠지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도 1은 종래의 귀걸이를 나타낸 것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진주 또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장신구가 결속된 장식부(10)와 상기 장식부(10)에 구비된 장식핀(20)을 결속하는 고정구(3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30)는 양쪽에서 맞물려 장식핀(30)을 고정시켜 주는데 사용함에 따라 고정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구는 크기가 작은데다 미끄러워서 체결시 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부분을 손으로 잡게 되어 손에 통증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귀걸이 핀을 강하게 결속할 수 있는 귀걸이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귀걸이 고정구의 가장자리에 홈을 형성하여 잘 미끄러지 않는 귀걸이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는,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고 제2 관통공이 상기 제1 관통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고정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 고정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만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고정부는 분리홈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어,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지지부 및 암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귀걸이 핀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외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고정부는 2개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암은 2개의 제2 고정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2개의 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는 3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암은 3개의 제2 고정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3개의 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암은 상기 제2 관통공의 출구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는 제1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의 가장자리에는 제2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의 측벽에는 제3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루브와 제3 그루브는 평형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3 그루브는 제2 그루브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암은 상기 제2고정부의 출구측에 형성된 상부암과 상기 상부암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암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암과 하부암은 일직선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제1 관통홀을 중심으로 하는 십자 모양의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암의 상부에는 보석을 부착될 수 있는 장식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귀걸이 핀을 단단하게 고정하여 귀걸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귀걸이 착용시 고정구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이하게 귀걸이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서리 부분이 날카롭지 않아 손가락이 아프지 않아 쉽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부에 보석이나 다이아몬드 등을 세팅할 수 있어 장식용으로의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10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1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가 귀걸이에 결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3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4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5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6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7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8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900)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측면도를 나탄낸 것이고, 도 4는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뒷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4의 (b)는 앞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귀걸이 고정구(100)는 제1 고정부(110), 제2 고정부(120), 및 연결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귀걸이 핀은 상기 제1 고정부(110) 방향에서 삽입되므로 제1 고정부(110) 방향을 앞면이라고 하고, 제2 고정부(120) 방향을 뒷면이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제1 고정부(110)는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0)의 모양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관통공이 원형이므로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고정부(110)는 앞면이 볼록하고 뒷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뒷면이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제2 관통공(121)에 귀걸이 핀이 삽입되면서 제2 관통공(121)이 벌어질 때 반발력을 제공하여 제2 고정부(120)가 귀걸이 핀을 더 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 고정부(110)에서, 제1 관통공(111)을 중심으로 소정 영역의 중앙 부분(113)은 제2 고정부(1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중앙 부분의 두께가 가장자리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부분을 두껍게 함으로써 귀걸이 핀을 보다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110)에는 상기 제1 관통공(111)을 중심으로 하는 십자(+) 모양의 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114)은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므로 탄성홈(114)이라 명명한다. 상기 탄성홈(144)을 추가함으로써 제1 관통홀(111)에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벌어지면서 귀걸이 핀을 더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0)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다수의 제1 그루브(112, groove)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를 형성함으로써 귀걸이 착용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20)는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2 관통공(121)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관통홀(121)은 상기 제1 관통홀(111)과 일직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부(11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모양은 제한이 없다. 다만, 제1 관통공(111)은 귀걸이 핀이 관통해야 하므로 원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귀걸이 핀이 원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2 고정부(120)는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고정부(120)가 4개로 분리되어 있다. 분리된 고정부 각각은 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부가 모여 제1 관통홀(121)을 형성한다. 분리된 고정부 사이 간격을 분리홈(122)이라고 하면, 분리홈(122)은 십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균형을 유지하고 귀걸이 핀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고정부(120)는 귀걸이 핀을 단단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2 고정부(120)는 제2 관통홀에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벌어지면서 탄성력에 의해 귀걸이 핀을 가압하여 귀걸이 핀을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제2 고정부(120)가 용이하게 벌어져야 하므로 제2 고정부(120)의 지름은 지나치게 커서는 안된다. 대략 제2 고정부(120)의 전체 지름은 제2 관통홀(121)의 지름 대비 대략 2.7 배 내지 2.8 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관통홀의 지름(A)과 제2 고정부 전체의 지름(B)의 비는 1: 2.7 내지 2.8일 수 있다. 제2 고정부(120)의 지름이 이보다 작으면 쉽게 벌어질 수는 있느나 귀걸이 핀을 고정하는 가압력이 떨어질 수 있고, 지름이 이보다 크게 되면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잘 벌어지지 않아 귀걸이 착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제1 고정부(110)는 제2 고정부(120)를 지지하는 기능을 겸비하므로 제2 고정부(120)에 비해 지름이 커야 한다. 제1 고정부(110)의 지름(C)은 관통홀의 지름(A) 대비 대략 8배 내지 9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부(110)의 지름이 작으면 손에 잘 잡히지 않아 착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지나치게 크면 부피가 커지고 착용시에 무겁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0)는 상기 제2 고정부(120)에 탄성을 제공하기 용이하도록 내부가 오목한 플레이트 형상이다. 제1 고정부(110)가 오목한 형상이므로 외력에 의해 제1 고정부(110)가 밀려지더라도 복원력에 의해 제2 고정부(12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제2 고정부(120)는 복원력에 의해 귀걸이 핀을 가압하게 된다.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는 연결부(130)에 의해서 가장자리를 통해 연결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가운데 영역은 비어 있다. 따라서 귀걸이 핀이 제2 관통홀(121)로 삽입될 때, 보다 용이하게 벌어지면서 동시에 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는 연결부(130)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일측면은 제1 고정부(110)에서 연장 형성되고, 다른 일측면은 제2 고정부(120)에서 연장 형성된다.
제2 고정부(120)는 제1 고정부(110)에 비해 지름이 작으므로 제2 고정부(110)의 측면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고정부(110)는 가장자리에서 뒷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즉, 연결부(130)는 상기 제1 고정부(11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뒷면)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131)와 상기 제2 고정부(120)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암(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31)의 바깥쪽 측면에는 제2 그루브(1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그루브(132)는 제1 그루브(112)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133)은 제2 관통공의 출구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암(133)의 가장자리는 시작부 보다 더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암(133)의 가장자리는 제1 고정부(110)에 더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133)은 아치형으로 위로 볼록한 형상이므로, 미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2 고정부(120)에 더 강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암(133)은 몸체부(134)와 외곽부(135)로 구성되어 있다. 외곽부(135)는 몸체부(134)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다수의 제3 그루브(136)가 형성되어 있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곽부(133)는 제2 고정부(12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그루브(136)는 제1 그루브(112)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곽부(135)는 상기 몸체부(133)가 가장자리까지 일정한 폭으로 연장된 후, 가장자리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급격히 커지거나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1) 및 암(133)의 개수는 제2 고정부(120)의 분리된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제2 고정부(120)가 4개로 분리된 경우에는 암과 지지부도 4개로 형성되고, 제2 고정부(120)가 2개로 분리된 경우에는 암과 지지부도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암 및 지지부의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이는 다른 실시예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귀걸이 고정구에서 위, 아래는 별도로 구분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도면에 기재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즉, 상부는 뒷면 방향이고 하부는 앞면 방향이다.
상기 귀걸이 고정구(100)는 장식 기능도 겸비하므로 금, 은 등의 귀금속이 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귀걸이 핀이 삽입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귀걸이 핀(20)이 제1 관통홀(111)과 제2 관통홀(12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때 2개의 관통홀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귀걸이 핀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제2 관통홀이 절개홈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 귀걸이 핀이 삽입될 때 잘 벌어질 수 있다. 제2 고정부(120)가 벌어질때 제1 고정부(110)와 연결부(130)가 제2 고정부(120)에 반발력을 제공하여 귀걸이 핀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홈이 십자(+) 모양인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귀걸이 고정구(200)는 분리홈(222)이 십자(+)모양으로 형성되어있으나, 지지부(231) 및 암(233)으로 구성된 연결부가 2개 형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홈(222)이 십자 모양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으나, 연결부가 2개로 구성된 경우 분리홈(222)을 일자(-)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300)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의 실시예에서 암의 아래부분에 하부암을 추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암(333)의 아래에 하부암(3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암을 하부에 더 추가하는 경우 탄성력이 강화되어 귀걸이 핀을 더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암의 형태를 변형시킨 것이다.
도 7에서는 암이 기둥 형태로 되어 있으나, 도 8에서는 암이 납작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암의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8의 실시예에서도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부암(433)와 하부암(443)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로, 연결부가 3개로 구성된 귀걸이 고정구(5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연결부가 5개로 구성된 귀걸이 고정구(600)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귀걸이 고정구(700)의 앞면, 즉 제1 고정부(710)의 모양을 변형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고정부(710)의 모양이 원형이 아니라 연결부(730)가 형성된 부분만 돌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은 귀금속으로도 앞서 살펴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강도로 귀걸이 핀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4개의 암 가장자리에 보석을 장식할 수 있는 장식홈(8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는 귀걸이 고정구가 단순히 귀걸이를 고정하는 역할만 했으나, 발 발명에서는 암을 형성함으로써, 암에 장식홈(84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실시예에 하부암을 추가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4개의 상부암(933) 하부에 4개의 하부암(9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암을 추가함으로써, 귀걸이 핀이 삽입되면서 관통공이 벌어질때 탄성력이 강해져 귀걸이 핀을 더욱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귀걸이와 같은 귀금속 산업 분야에 적용 될 수 있다.

Claims (10)

  1. 귀걸이 핀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고 제2 관통공이 상기 제1 관통공과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고정부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 고정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만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은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고정부는 분리홈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되어 있어,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제2 관통공을 관통할 때 벌어지면서 상기 지지부 및 암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귀걸이 핀을 가압하는 귀걸이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외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귀걸이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2개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암은 2개의 제2 고정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2개의 암으로 구성되는 귀걸이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3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암은 3개의 제2 고정부 각각에서 연장되는 3개의 암으로 구성되는 귀걸이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제2 관통공의 출구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귀걸이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의 가장자리에는 제1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의 가장자리에는 제2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의 측벽에는 제3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귀걸이 고정구.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와 제3 그루브는 평형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 및 제3 그루브는 제2 그루브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귀걸이 고정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제2고정부의 출구측에 형성된 상부암과 상기 상부암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암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암과 하부암은 일직선에 형성되어 있는 귀걸이 고정구.
  9. 제1항에 있어서,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제1 관통홀을 중심으로 하는 십자 모양의 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귀걸이 고정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상부에는 보석을 부착될 수 있는 장식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귀걸이 고정구.
PCT/KR2018/014444 2017-12-05 2018-11-22 귀걸이 고정구 WO20191122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91A KR101828755B1 (ko) 2017-12-05 2017-12-05 귀걸이 고정구
KR10-2017-0165891 2017-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12212A1 true WO2019112212A1 (ko) 2019-06-13

Family

ID=6123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4444 WO2019112212A1 (ko) 2017-12-05 2018-11-22 귀걸이 고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8755B1 (ko)
WO (1) WO201911221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653Y1 (ko) * 2003-05-02 2003-08-09 주식회사 혼쥬얼리 귀걸이 고정구
JP2003235618A (ja) * 2002-02-15 2003-08-26 Kosaikogei Co Ltd ピアス用パーツ
KR20110003010U (ko) * 2009-09-18 2011-03-24 심명종 귀걸이 고정구
KR200462475Y1 (ko) * 2010-07-28 2012-09-13 이두영 액세서리 고정구
KR20160144168A (ko) * 2015-06-08 2016-12-16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5618A (ja) * 2002-02-15 2003-08-26 Kosaikogei Co Ltd ピアス用パーツ
KR200322653Y1 (ko) * 2003-05-02 2003-08-09 주식회사 혼쥬얼리 귀걸이 고정구
KR20110003010U (ko) * 2009-09-18 2011-03-24 심명종 귀걸이 고정구
KR200462475Y1 (ko) * 2010-07-28 2012-09-13 이두영 액세서리 고정구
KR20160144168A (ko) * 2015-06-08 2016-12-16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귀걸이 뒷장식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귀걸이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755B1 (ko)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9659A (en) Magnetic jewelry clasp
US7980095B1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US7937966B2 (en) Jewelry with interchangeable settings and attachable charms and methods for their use
WO2017034095A1 (ko) 360도 회전 가능한 장신구
JP2550114B2 (ja) 鎖あるいは平板形首飾りに対する装着可能な装飾品留め金
US4086786A (en) Two part piercing earring with an ornament on each part
WO2013081312A1 (ko) 클립형 상의 빠짐 방지장치
WO2014014225A1 (ko) 장신구 고정용 옷핀
WO2019112212A1 (ko) 귀걸이 고정구
WO2014189202A1 (ko) 부분가발용 고정구
WO1998044821A1 (en) Jewelry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rings
WO2013131360A1 (zh) 嵌钻结构及嵌钻方法以及嵌钻眼镜
CA2381373A1 (en) Jewelry piece set
KR20070073692A (ko) 착탈식장신구
KR101887487B1 (ko) 귀걸이 고정구
US6170127B1 (en) Ornament hanger ring of necklace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CA2598174A1 (en) Jewelry with interchangeable settings and attachable charms
WO2017039114A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JPH068730Y2 (ja) 装身具用ファセットカット宝石の取り付け構造
WO2016122229A1 (ko) 장신구 연결 구조체
WO2019132096A1 (ko) 장신구용 회전 체결장치
JP3217061U (ja) ネックレスのズレ防止具およびズレ防止ネックレス
JPH048804Y2 (ko)
JPH0811074Y2 (ja) 指輪兼ネック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866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866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