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22229A1 - 장신구 연결 구조체 - Google Patents

장신구 연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22229A1
WO2016122229A1 PCT/KR2016/000942 KR2016000942W WO2016122229A1 WO 2016122229 A1 WO2016122229 A1 WO 2016122229A1 KR 2016000942 W KR2016000942 W KR 2016000942W WO 2016122229 A1 WO2016122229 A1 WO 201612222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le
lever
vertical
elastic member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09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민이식
임건호
Original Assignee
오선인터내셔날(주)
민이식
임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5001391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1132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0555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43744B1/ko
Application filed by 오선인터내셔날(주), 민이식, 임건호 filed Critical 오선인터내셔날(주)
Publication of WO201612222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222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2Hook or eye fasteners with spring closure of hook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ewelry connec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jewelry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oupled or detached from the pendant, such as necklaces, bracelets, anklets.
  • women wear various jewelry such as necklaces, bracelets, and anklets made of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to enhance their appearance.
  •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tring 1, and the string 1 can be worn by combining the string 1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in a ring shape.
  • Fasteners 3 for joining or separating both ends of 1) are fixed, and the strings 1 have pendants 5 having various shapes through the connecting rings 7 to double the effect of decoration. Are combined.
  • the jewelry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the high value made of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it is fixed by welding so as not to open the seams of both ends of the string 1 and the fastener 3, and the pendant 5 Since the connecting ring 5a to be connected is produced in a structure that forms a small fitting hole so as not to be separated through the fastener 3, the string 1 itself may be replaced or separated from the string 1.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only.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in view of the existing problems, and to provide a jewelry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removed and replaced without fear of losing or replacing the pendant from the string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fastener It is.
  • the jewelry connection structure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irst through-hole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formed cross-pierc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 a body having second and third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d fixed to the pendant having various shapes
  • a lever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while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ing via a hinge pin
  • a first elastic member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vertical rod 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configured to elastically move the connecting ring portion to the lower side; and an inner upper end of the third through hole and a middle of the length end of the l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elastic member to be elastically so as to lie fla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 the step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through-hol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verlapp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ar in the shape of concave and convex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pin, so that the middle of the length end is caught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 the engaging hole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formed to rotate by pushing the lever on the other end.
  • the first elastic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ompression type coil spring, the upper end is caught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first through-hole with the upper end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vertical bar, the lower end is the outer peripheral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a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 side step.
  • the second elastic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ension type coil spring, the upper end is caught to the upper end of the third through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be caught in the middle of the length end of the lever.
  • the jewel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pendant having a variety of shapes on the outer back, and the first to fifth through-holes are distributed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the inner working space portion A body to which the passage is connected; A vertical portion is formed to be inserted through the operating space portion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is connected to a string while closing the passage or being spaced apart to contac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open the passage.
  •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semicircle formed thereon;
  • a fitting hole is formed at one end to be fitted to an outer diameter of the middle height step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and when the vertical hole is vertically moved along the front through third through hole of the body, the connecting ring portion is raised or lowered or along the left through fourth through hole.
  • a lever having a handle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such that the connecting portion rotates in the locked or released direction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occurs;
  • a first elastic member fitted to an upper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part and being elastically adhered between an inner upper end of the working space part and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end of the lever to elastically move the lever downward;
  • a pedestal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through the lower second through hole of the body and whose one end is raised or lowered by the guide of the fifth through hole;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middle hook hole of the lever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one end of the pedestal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lower end diameter of the vertical part and the elastic member is applied to the lever to rotate in the locked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wo bullet members.
  • the first through-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ng hole shape dispo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is not rotated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connecting ring is inserted or lowered.
  •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working spac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pedestal is inserted and seated, and the third through hole has a front surface of the body such that the lever is raised or lowered.
  • the third through hole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center height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fourth through hole at a lower end thereof, and the fourth through hole has the third through hole with respect to the left side of the body such that the lever is lowered and moved horizontally. I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le at a right angle, the fifth through-hole is rotate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arburetor member fixed to one end of the pedestal As so formed to extend vertically in the right side of the middle height of the body to the bottom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such that its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s.
  • the stepped surface is formed so that it does not move to the ellipse shape when the fitting hole of the lever is fitted in the circular outer diameter contacting the elliptic shape at the middle height, the lower outer diameter i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surface is formed to reduce the outer diameter so as not to move up and down when the pedestal is fitted and press-fit fixed.
  • the first elastic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shape
  •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rsion coil spring shape.
  • the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shaped portion formed with a fitting hole to be fitted to the concave surface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on one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ring-shaped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t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entation coupling portion facing each other so as to press-fit to the concave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is simultaneously retracted when the pressure is inwardly applied to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ing-shaped portion of the hook hole is fixed to the lower end .
  • the first vertical bar is always lower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so that the passage between the second vertical bar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body is closed, thereby maintaining the first locked state.
  • the lev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to maintain a secondary lock state by pulling by the contract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vertical rod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lock, or vertically supported in the working space of the body After the vertical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always lower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the lever is moved horizontally by the torsional elasticity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reby closing the passage of the semi-circular portion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rna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S. 2 to 4 are diagram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ck state connecting the pendant and string to the ornament connecting structure
  •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ornament connecting structure
  •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ose state of the jewelry connection structure
  • 5 to 8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tate connecting the pendant and string to the ornament connecting structure
  • Figure 7 (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cked state of the jewelry connection structure
  • 8 (a) and 8 (b) are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loose state of the jewelry connection structure.
  • hinge pin 40 the first bullet member
  • step surface 124 concave surface
  • first bullet member 150 pedestal
  • fitting hole 152 ring shape
  • press-fit coupler 160 second bullet member
  • the first and second holes 12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and third holes are alternately drill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 Through holes 14 and 16 are formed and the body 10 fixed to the pendant (P) having a variety of shapes; The long first vertical rod 22 bent in a different oil length U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 and the short second vertical rod 2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4.
  • a lever 3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while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ing 20 via a hinge pin 32;
  • a first elastic member 40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vertical rod 22 in the first through hole 12 and applying elasticity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0 moves downward;
  • the third It is connect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through-hole 16 and the middle of the length end of the lever 30 is made of a second bullet member 42 elastically applied so that the lever 30 is laid fla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a flat surface 10a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body 10 so that the pendant P is easily attached by welding.
  • the stepped portion 22a accommodated in the first through hole 12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40 integrally. It is.
  • One end of the lever 30 is overlapped with a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bar 22 in a concave-convex shape to b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pin 32,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42 is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length end thereof.
  • the engaging hole 30a is formed to be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and a ball-shaped handle 30b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sh and rotate the lever 30.
  • the first elastic member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the upper end is caught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first through-hole 12 while the upper end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vertical rod 22, the lower end is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caught by the outer periphery lower end side step 22a of 1 vertical rod 22. As shown in FIG.
  • the second elastic member 4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ension coil spring, the upper end of which is caught by the upper end of the third through hole 16 and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locking hole (30a) of the lever 30 have.
  • the stepped protrusion 22a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rod 22 is the first shot. While compressing the member 40, the first vertical bar 22 is raised, and the first vertical bar 22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upper end thereof and simultaneously lifts the short second vertical bar 24 facing each other. 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rod 24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14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 4,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The passage is opened to allow S) to pass.
  • lever 3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rod 22 and the hinge pin 32 has a second bullet member 42 connected to the middle of its length end and the inner upper end of the third through hole 16. Pulled by the contraction force of the) is lying down horizontally to its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ure 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 the passage between the second vertical rod 24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4 of the body 10 is closed.
  • the first vertical rod 22 is always lower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bullet member 40 to maintain the first locked state, and the lever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 to maintain the first vertical position.
  • the second vertical rod 24 is pulled by the contract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42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rod 22 to maintain the secondary locking state even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is pulled with a strong force.
  • the second through hole 14 does not generate a gap and at the same time does not open, so that the pendant P may be separated from the string S and may be prevented in advance.
  • the jewelry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pendant (P) having a variety of shapes on the outer back and the first to fifth through holes 111, 112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lower surface front left side right side. 113, 114 and 115 are distributed and the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working space 116 and the passage; A vertical portion 121 is formed to be inserted through the operating space 116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1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12 and abuts agains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 a connecting ring portion 120 having a semi-circular portion 12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12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tring S while closing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fitting hole 13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21 so as to fit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middle height step surface 123, and moves vertically along the front side third through hole 113 of the body 110.
  • the lever 132 is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connecting ring 120 is rotated in the locking or unlocking direction when the connecting ring 120 is raised or lowered or moved horizontally along the left side fourth through hole 114.
  • Pedestal 15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21 through the lower second through hole 112 of the body 110 and at one end thereof is raised or lowered under the guidance of the fifth through hole 115.
  •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middle side hook hole 133 of the lever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pedestal 150 while being fitted in the lower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part 121 and received in the working space 116. It is fixed to one side end is composed of a second elastic member 160 for applying elasticity so that the lever 130 is rotated in the locking direction.
  • the body 110 is made of a cylinder, the upper and lower pairs of upper and lower pairs of flat surface projections 117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back so that the pendant (P) is easily attached with directivity by welding or the like.
  • the ring seating portion 118 is integrally mounted so that the end of the semicircular portion 122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seated vertically at an inclined surface 118a with the upper end bent inwardly. It is formed, the front is extended than the right end of the body 110, when the fro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chest flat body 119 is formed integrally so that the body 110 does not rotate while having a directional. .
  • the first through-hole 111 i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121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120 is not inserted and rotated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121 is inserted or lowered.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arranged long.
  • the second through hole 112 is formed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rating space 116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so that the pedestal 150 is inserted and seated.
  • the third through hole 113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ront center height of the body 110 so that the lever 130 is raised or lowered, and a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fourth through hole 114 at right angles. Formed.
  • the fourth through hole 114 is formed to be connected at a right angle with the lower end of the third through hole 113 with respect to the left side of the body 110 so that the lever 130 is lowered and moved horizontally.
  • the fifth through hole 115 is formed vertically long from the middle height of the right side of the body 110 to the lower en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fixed to one side end of the pedestal 150 does not rotate.
  • the lower end is open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112.
  • the working space 116 is formed to have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at of the second through hole 11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10.
  • the connecting ring portion 1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question mark (?) Without a dot at the bottom when viewed from the side to take the line (S) at the top.
  • the vertical portion 121 is formed to have an ellipse shap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from its middle height to the upper end so as not to be rotated when fit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hrough hole 111 of the body 110 to be raised or lowered.
  • the length from the middle height to the bottom is circular in cross section.
  • the vertical portion 121, the stepped surface 123 is formed so that it does not move in an ellipse shape when the fitting hole 131 of the lever 130 is fitted in a circular outer diameter contacting the ellipse shape at the middle height thereof.
  • a concave surface 124 is formed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so that the pedestal 150 is fitted to the lower outer diameter so as not to be moved up and down when the pedestal 150 is fitted and fixed.
  • the lever 130 has an operating space 116 of the body 110 such that one end of a ring shape having a fitting hole 131 is fitted to an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portion 121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120.
  • the other end of the rod-shaped is formed in the handle 132 is guided by the third through-hole 113 of the body 110 to move up or down the entire lever 130 or fourth through It is protruded out of the body 110 to rotate the entire lever 130 while being guided by the hole 114.
  • the first elastic member 140 is made of a compression coil spring shape
  •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is made of a torsion coil spring shape.
  • the pedestal 150 has a ring-shaped portion 152 having a fitting hole 151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be fitted to the concave surface 124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21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120 side,
  • the protrusion 154 having a hook hole 15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portion 152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is fixed, and the inner side of the ring-shaped portion 152 has a pressure inwardly. Consists of a plurality of indentation coupling portion 155 facing each other so as to press-fit fixed to the concave surface 124 of the vertical portion 121 while simultaneously pressing.
  •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the vertical portion 121
  •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While being spac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nclined surface (118a) of the ring seating portion 118 is located in the passage to open the passage (S) therebetween.
  • the lever 130 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132 of the lever 130 and pulls it to move horizontally along the fourth through hole 114 of the body 110, the lever 130 has one side thereof as shown in FIG. 8 (b).
  • the front end of the body 110, the third through hole 113 of the other end handle 132 is rotated toward the front side around the vertical portion 121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inserted into the end fitting hole 131.
  • the torsional elasticity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is compressed while horizontally moving to be positioned toward the side.
  • this lever 130 is as shown in Figure 8 (a) By the engagement action between the fitting hole 131 and the stepped surface 123 of the vertical portion 121, the connecting ring portion 120 is raised and the coil spring elasticity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40 is compressed. .
  • the pedestal 150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working space 116 of the body 110 and fixed to the bottom concave surface 124 of the vertical portion 121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a protrusion 154 Is configured to fit in the fifth through-hole 115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110, so that when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raised or lowered, it is not rotated while being vertically moved together with the lever 130, and The pedestal 150 hold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so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having the upper end fixed to the lever 130 is compressed or expanded in the torsionally elastic direction.
  • the lever 130 when the handle 132 of the lever 130 held by the string (S) to the semi-circular portion 122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the lever 130 is the first bullet member 140 )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is vertically lowered by the expansion force and then horizontally moved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ring 120 is not raised even when the upper portion is pulled with a strong force.
  • the vertical portion 121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120 vertically supported by the operating space portion 116 of the body 110 is the first carbon member 140.
  • the lever 130 After being always lowered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lever 130 is moved horizontally by the torsional elasticity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60 to close the passage of the semi-circular part 122 to maintain the locked state. Since the vertical portion 121 of the connecting ring portion 120 is raised by pulling the lever 130 horizontally and pushing it up, the passage of the semi-circular portion 122 is opened to maintain the unlocked state.
  •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endant (P) having a variety of shapes and fixed ornaments can be easily replaced from the string (S) of necklaces, bracelets, anklets, etc. by a simple operation, expensive made of precious metals such as gold and silver It is possible to produce fashion by replacing pendants of various heights with different styles (P) according to fashion changes such as age, occupation, attire, season, meeting place or travel purpose.
  •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몸체의 작동공간부에 수직으로 지지된 연결고리부의 수직부가 제1 탄발부재의 팽창력에 의해 항상 하강된 후 제2 탄발부재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레버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멈추는 동작에 의해 반원부의 통로를 폐쇄하여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레버를 수평으로 잡아당긴 후 밀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연결고리부의 수직부가 상승되면서 반원부의 통로를 개방하여 풀림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고리부의 상부를 강한 힘으로 당기더라도 연결고리부의 반원부와 몸체의 고리안착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개방되지 않게 되므로 펜던트가 줄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신구 연결 구조체
본 발명은 장신구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걸이나 팔찌, 발찌 등의 줄로부터 펜던트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각종 장신구를 몸에 착용하게 된다.
종래의 장신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 은 등의 귀금속이 줄(1)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줄(1)을 신체의 소정 부위에 링형상으로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줄(1)의 양단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체결구(3)가 고정되며, 그 줄(1)에는 장식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펜던트(5)가 연결고리(7)를 매개로 걸리도록 결합되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장신구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고가(高價)일 경우 줄(1)의 양단과 체결구(3)의 이음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펜던트(5)를 연결하는 연결고리(5a)가 상기 체결구(3)를 통해 분리되지 않도록 끼움홀을 작게 형성하는 구조로 생산되기 때문에 줄(1)로부터 펜던트(5)를 교체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줄(1) 자체로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체결구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줄로부터 펜던트를 용이하게 분리 및 교체하거나 분실 우려없이 안전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상부면과 하부면 일측에 서로 대응되게 뚫린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면서 상부면과 하부면 타측면에 엇갈리게 뚫린 제2 및 제3 관통홀이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와 고정되는 몸체와; 길이가 다르게 역유(U)자로 구부러진 긴 쪽 제1 수직봉이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 관통되고 짧은 쪽 제2 수직봉이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분리되면서 줄과 연결되는 연결고리부와; 상기 연결고리부의 긴 쪽 하단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제1 관통홀의 내부에서 제1 수직봉의 외주에 설치되어 연결고리부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탄발부재와: 및 상기 제3 관통홀의 내부 상단과 상기 레버의 길이단 중간에 연결되어 레버가 몸체의 하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밀착되도록 탄성으로 가하는 제2 탄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수직봉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하단이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관통홀의 내부에 수용되는 단턱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레버는, 그 일측단이 상기 제1 수직봉의 하단과 요철 모양으로 겹쳐져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그 길이단 중간이 상기 제2 탄발부재의 하단과 걸리도록 걸림홀이 형성되며, 그 타측단에 레버를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탄발부재는 압축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1 수직봉의 외주에 끼워진 채로 제1 관통홀의 내부 상단에 걸리고 그 하단이 제1 수직봉의 외주 하단측 단턱에 걸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탄발부재는 인장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3 관통홀의 상단에 걸리고 하단이 레버의 길이단 중간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외부 후면에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와 고정되며 상부면 하부면 정면 좌측면 우측면 일측에 제1 내지 제5 관통홀이 분산 형성되면서 내부 작동공간부와 통로가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제1 관통홀을 통해 작동공간부를 거쳐 제2 관통홀에 삽입 관통되도록 수직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맞닿아 통로를 폐쇄하거나 이격되어 통로를 개방하면서 줄과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반원부가 형성된 연결고리부와; 상기 수직부의 중간 높이 단차면 외경에 끼워지도록 일측단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정면측 제3 관통홀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시 상기 연결고리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거나 좌측면측 제4 관통홀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 연결고리부가 잠김 또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타측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레버와; 상기 수직부의 상부 외경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작동공간부의 내부 상단과 상기 레버의 일측단 상면 사이에 밀착되어 레버가 하강 이동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탄발부재와; 상기 몸체의 하단 제2 관통홀을 통해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일측단이 제5 관통홀의 안내를 받아 상승 또는 하강되는 받침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 외경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작동공간부에 수용된 채로 상단이 상기 레버의 중간측 걸이홀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받침대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레버가 잠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2 탄발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관통홀은 상기 연결고리부측 수직부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승 또는 하강될 때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면 중앙에 대하여 정면과 후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장홀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받침대가 삽입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면에 대하여 상기 작동공간부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통홀은 상기 레버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상기 몸체의 정면 중앙 높이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제4 관통홀과 직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4 관통홀은 상기 레버가 하강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의 좌측면에 대하여 상기 제3 관통홀의 하단과 직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5 관통홀은 상기 받침대의 일측단과 고정된 제2 탄발부재의 하단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우측면 중간 높이에서 하단까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제2 관통홀과 연결되도록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수직부에는, 그 중간 높이에서 타원 모양과 접하는 원형 모양 외경에 상기 레버의 끼움홀이 끼워질 때 타원 모양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단차면이 형성되고, 그 하부 외경에 상기 받침대가 끼워맞춤되어 압입 고정될 때 상하 이동되지 않도록 외경이 작아지는 오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탄발부재는 압축형 코일스프링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탄발부재는 비틀림형 코일스프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받침대는, 그 일측에 상기 연결고리부측 수직부의 하단을 통해 오목면에 끼워맞춤되도록 끼움홀이 형성된 링형상부와, 상기 링형상부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제2 탄발부재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걸이홀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링형상부의 하면 둘레 일측에 안쪽으로 압력을 가할 때 동시 오므라지면서 상기 수직부의 오목면에 압입 고정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압입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연결고리부의 제2 수직봉과 몸체의 제2 관통홀과의 통로가 폐쇄되도록 제1 탄발부재의 팽창력에 의해 제1 수직봉이 항상 하강되어 1차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레버가 몸체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1 수직봉과 직각을 이루도록 제2 탄발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져 2차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거나, 또는 몸체의 작동공간부에 수직으로 지지된 연결고리부의 수직부가 제1 탄발부재의 팽창력에 의해 항상 하강된 후 제2 탄발부재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레버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멈추는 동작에 의해 반원부의 통로를 폐쇄하여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레버를 수평으로 잡아당긴 후 밀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연결고리부의 수직부가 상승되면서 반원부의 통로를 개방하여 풀림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고리부의 상부를 강한 힘으로 당기더라도 연결고리부의 반원부와 몸체의 고리안착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개방되지 않게 되므로 펜던트가 줄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와 고정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목걸이나 팔찌, 발찌 등의 줄로부터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고가(高價)의 장신구를 나이, 직업, 옷차림, 계절, 모임 장소나 여행 목적 등 패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펜던트로 교체하여 가면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장신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에 펜던트와 줄을 연결한 후면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장신구 연결 구조체의 잠김상태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의 풀림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장신구 연결 구조체에 펜던트와 줄을 연결한 후면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7(a)(b)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의 잠김 상태 도시한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8(a)(b)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몸체 10a : 평탄면
12 : 제1 관통홀 14 : 제2 관통홀
16 : 제3 관통홀 20 : 연결고리부
22 : 제1 수직봉 22a : 단턱
24 : 제2 수직봉 30 : 레버
30a : 걸림홀 30b : 손잡이
32 : 힌지핀 40 : 제1 탄발부재
42 : 제2 탄발부재
110 : 몸체 111 : 제1 관통홀
112 : 제2 관통홀 113 : 제3 관통홀
114 : 제4 관통홀 115 : 제5 관통홀
116 : 작동공간부 117 : 평탄면돌기부
118 : 고리안착부 118a : 경사면
119 : 밀착부 120 : 연결고리부
121 : 수직부 122 : 반원부
123 : 단차면 124 : 오목면
130 : 레버 131 : 끼움홀
132 : 손잡이 133 : 걸이홀
140 : 제1 탄발부재 150 : 받침대
151 : 끼움홀 152 : 링형상부
153 : 걸이홀 154 : 돌출부
155 : 압입결합부 160 : 제2 탄발부재
P : 펜던트 S : 줄
[제 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상부면과 하부면 일측에 서로 대응되게 뚫린 제1 관통홀(12)이 형성되면서 상부면과 하부면 타측면에 엇갈리게 뚫린 제2 및 제3 관통홀(14)(16)이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P)와 고정되는 몸체(10)와; 길이가 다르게 역유(U)자로 구부러진 긴 쪽 제1 수직봉(22)이 상기 제1 관통홀(12)에 삽입 관통되고 짧은 쪽 제2 수직봉(24)이 상기 제2 관통홀(14)에 삽입 또는 분리되면서 줄(S)과 연결되는 연결고리부(20)와; 상기 연결고리부(20)의 긴 쪽 하단에 힌지핀(32)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버(30)와; 상기 제1 관통홀(12)의 내부에서 제1 수직봉(22)의 외주에 설치되어 연결고리부(20)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탄발부재(40)와: 및 상기 제3 관통홀(16)의 내부 상단과 상기 레버(30)의 길이단 중간에 연결되어 레버(30)가 몸체(10)의 하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밀착되도록 탄성으로 가하는 제2 탄발부재(42)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몸체(10)의 둘레측 일면에는 상기 펜던트(P)가 용접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평탄면(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수직봉(2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외주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40)의 하단이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관통홀(12)의 내부에 수용되는 단턱(22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30)는, 그 일측단이 상기 제1 수직봉(22)의 하단과 요철 모양으로 겹쳐져 힌지핀(32)에 의해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그 길이단 중간에 상기 제2 탄발부재(42)의 하단과 걸리도록 걸림홀(30a)이 형성되며, 그 타측단에 사용자가 레버(30)를 용이하게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볼 모양의 손잡이(3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탄발부재(40)는 압축형 코일스프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1 수직봉(22)의 외주에 끼워진 채로 제1 관통홀(12)의 내부 상단에 걸리고 그 하단이 제1 수직봉(22)의 외주 하단측 단턱(22a)에 걸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탄발부재(42)는 인장형 코일스프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3 관통홀(16)의 상단에 걸리고 하단이 레버(30)의 걸림홀(30a)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를 이용하여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줄(S)에 걸어서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몸체(10)를 잡고서 다른 손으로 몸체(10)의 하부측 레버(30)의 손잡이(30b)를 하부로 잡아 당기면, 이 레버(30)는 연결고리부(20)측 제1 수직봉(22)의 하부와 연결된 힌지핀(32)을 회전 중심으로 수직되게 세워지면서 제1 수직봉(22)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잡고 있는 레버(30)를 몸체(10)의 하부측 제1 관통홀(12) 속으로 밀어 올리면, 제1 수직봉(22)의 하단에 돌설된 단턱(22a)이 제1 탄발부재(40)의 압축시키면서 제1 수직봉(22)을 상승시키게 되고, 제1 수직봉(22)은 그 상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나란히 마주보고 있는 짧은 쪽 제2 수직봉(24)을 동시 상승시킴으로써 제2 수직봉(24)의 하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제2 관통홀(14)로부터 분리되어 몸체(10)의 상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그 사이로 줄(S)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0)의 상부면 돌출된 제1 수직봉(22)과 제2 수직봉(24)의 사이에 줄(S)이 끼워진 후 잡고 있던 레버(30)를 놓으면, 제1 탄발부재(40)의 팽창력에 의해 제1 수직봉(22)의 단턱(22a)을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수직봉(22)은 원래 위치로 하강되면서 그 상부와 일체로 연결된 제2 수직봉(24)을 동시 하강시키게 됨으로써 제2 수직봉(24)의 하부는 다시 제2 관통홀(14)속으로 삽입되면서 통로를 폐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수직봉(22)과 제2 수직봉(24)의 사이에 끼워진 줄(S)이 연결고리부(20)에 연결된다.
또, 제1 수직봉(22)의 하부와 힌지핀(32)을 매개로 결합된 레버(30)는 그 길이단 중간과 제3 관통홀(16)의 내부 상단에 연결된 제2 탄발부재(42)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 위치로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몸체(1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진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연결고리부(20)의 제2 수직봉(24)과 몸체(10)의 제2 관통홀(14)과의 통로가 폐쇄되도록 제1 탄발부재(40)의 팽창력에 의해 제1 수직봉(22)이 항상 하강되어 1차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레버(30)가 몸체(1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1 수직봉(22)과 직각을 이루도록 제2 탄발부재(42)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져 2차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고리부(20)의 상부를 강한 힘으로 당기더라도 제2 수직봉(24)과 제2 관통홀(14)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개방되지 않게 되므로 펜던트(P)가 줄(S)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외부 후면에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P)와 고정되며 상부면 하부면 정면 좌측면 우측면 일측에 제1 내지 제5 관통홀(111)(112)(113)(114)(115)이 분산 형성되면서 내부 작동공간부(116)와 통로가 연결되는 몸체(110)와; 상기 제1 관통홀(111)을 통해 작동공간부(116)를 거쳐 제2 관통홀(112)에 삽입 관통되도록 수직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 일측에 맞닿아 통로를 폐쇄하거나 이격되어 통로를 개방하면서 줄(S)과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부(121)의 상부에 반원부(122)가 형성된 연결고리부(120)와; 상기 수직부(121)의 중간 높이 단차면(123) 외경에 끼워지도록 일측단에 끼움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정면측 제3 관통홀(113)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시 상기 연결고리부(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거나 좌측면측 제4 관통홀(114)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 연결고리부(120)가 잠김 또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타측단에 손잡이(132)가 형성된 레버(130)와; 상기 수직부(121)의 상부 외경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작동공간부(116)의 내부 상단과 상기 레버(130)의 일측단 상면 사이에 밀착되어 레버(130)가 하강 이동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탄발부재(140)와; 상기 몸체(110)의 하단 제2 관통홀(112)을 통해 상기 수직부(121)의 하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일측단이 제5 관통홀(115)의 안내를 받아 상승 또는 하강되는 받침대(150)와; 상기 수직부(121)의 하단 외경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작동공간부(116)에 수용된 채로 상단이 상기 레버(130)의 중간측 걸이홀(133)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받침대(150)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레버(130)가 잠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2 탄발부재(16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110)는 원통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외부 후면 상부 및 하부단에는 상기 펜던트(P)가 용접 등에 의해 방향성을 가지고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상하 한 쌍의 평탄면돌기부(117)가 형성되고, 그 상부면 정면측에는 일정한 높이로 수직되게 세워지면서 상단이 안쪽으로 꺽인 경사면(118a)에 상기 연결고리부(120)의 반원부(122)의 끝단이 안착되도록 고리안착부(118)가 일체로 형성되며, 그 정면에는 상기 몸체(110)의 우측단 보다 연장되어 정면이 사용자의 가슴에 밀착될 때 몸체(110)가 방향성을 가지면서 회전하지 않도록 평탄한 밀착부(1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관통홀(111)은 상기 연결고리부(120)측 수직부(121)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승 또는 하강될 때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 중앙에 대하여 정면과 후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장홀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관통홀(112)은 상기 받침대(150)가 삽입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하부면에 대하여 상기 작동공간부(116)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관통홀(113)은 상기 레버(130)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정면 중앙 높이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제4 관통홀(114)과 직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 관통홀(114)은 상기 레버(130)가 하강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좌측면에 대하여 상기 제3 관통홀(113)의 하단과 직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5 관통홀(115)은 상기 받침대(150)의 일측단과 고정된 제2 탄발부재(160)의 하단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10)의 우측면 중간 높이에서 하단까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제2 관통홀(112)과 연결되도록 개구되어 있다.
상기 작동공간부(116)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관통홀(112)의 내경 크기와 같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고리부(120)는 상부에 줄(S)이 걸리도록 측면에서 볼 때 하부에 점이 없는 물음표(?)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직부(121)에는, 상기 몸체(110)의 제1 관통홀(111)에 대응되게 끼워맞춤되어 상승 또는 하강될 때 회전되지 않도록 그 중간 높이에서 상단까지 횡단면으로 볼 때 타원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 높이에서 하단까지 길이가 횡단면으로 볼 때 원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직부(121)에는, 그 중간 높이에서 타원 모양과 접하는 원형 모양 외경에 상기 레버(130)의 끼움홀(131)이 끼워질 때 타원 모양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단차면(123)이 형성되고, 그 하부 외경에 상기 받침대(150)가 끼워맞춤되어 압입 고정될 때 상하 이동되지 않도록 외경이 작아지는 오목면(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130)는, 끼움홀(131)이 형성된 링형상의 일측단이 상기 연결고리부(120)측 수직부(121) 외경에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작동공간부(116)에 위치되고, 손잡이(132)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타측단이 상기 몸체(110)의 제3 관통홀(113)의 안내를 받아 이동면서 레버(130)의 전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거나 제4 관통홀(114)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면서 레버(130) 전체를 회전시키도록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 탄발부재(140)는 압축형 코일스프링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탄발부재(160)는 비틀림형 코일스프링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받침대(150)는, 그 일측에 상기 연결고리부(120)측 수직부(121)의 하단을 통해 오목면(124)에 끼워맞춤되도록 끼움홀(151)이 형성된 링형상부(152)와, 상기 링형상부(152)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제2 탄발부재(160)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걸이홀(153)이 형성된 돌출부(154)와, 상기 링형상부(152)의 하면 둘레 일측에 안쪽으로 압력을 가할 때 동시 오므라지면서 상기 수직부(121)의 오목면(124)에 압입 고정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압입결합부(155)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를 이용하여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줄(S)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몸체(110)를 잡고서 다른 손으로 몸체(110)의 중간 높이에 위치한 레버(130)의 손잡이(132)를 정면을 향해 수평 이동되도록 잡아 당김과 동시에 손잡이(132)를 잡고서 상부로 밀어 올리면, 연결고리부(120)는 그 수직부(121)의 중간 높이측 단차면(123)에 걸려있는 레버(130)의 상부 수직 이동에 의해 도 8과 같이 상승됨으로써 연결고리부(120)의 상부측 반원부(122)가 몸체(110)의 상면에 위치한 고리안착부(118)의 경사면(118a)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면서 그 사이로 줄(S)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레버(130)의 손잡이(132)를 잡고서 몸체(110)의 제4 관통홀(114)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당기면, 이 레버(130)는 도 8(b)와 같이 그 일측단 끼움홀(131)에 삽입된 연결고리부(120)의 수직부(121)를 중심으로 정면측으로 회전되면서 그 타측단 손잡이(132)를 몸체(110)의 정면측 제3 관통홀(113)쪽으로 위치하도록 수평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2 탄발부재(160)의 비틀림 탄성을 압축하게 된다.
또한, 수평으로 위치 이동된 레버(130)를 잡고서 몸체(110)의 정면측 제3 관통홀(113)을 따라 상부로 수직 이동되도록 밀어 올리면, 이 레버(130)는 도 8(a)와 같이 그 끼움홀(131)과 수직부(121)의 단차면(123)과의 걸림작용에 의해 연결고리부(120)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1 탄발부재(140)의 코일스프링 탄성을 압축하게 된다.
이때, 몸체(110)의 작동공간부(116)의 하단에 삽입되어 연결고리부(120)의 수직부(121) 하단 오목면(124)에 압입 고정된 받침대(150)는 그 돌출부(154)가 몸체(110)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5 관통홀(115)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고리부(120)가 상승 또는 하강될 때 레버(130)와 함께 수직 이동되면서도 회전되지 않게 되고, 또 받침대(150)는 레버(130)에 상단이 고정된 제2 탄발부재(160)가 비틀림 탄성 방향으로 압축되거나 팽창되도록 제2 탄발부재(160)의 하단을 잡아주게 된다.
한편, 잡고 있던 레버(130)를 놓으면, 도 7(a)와 같이 제1 탄발부재(140)의 팽창력에 의해 레버(130)가 하부로 수직 이동됨과 동시에 연결고리부(120)의 전체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어서 하강된 레버(130)는 도 7(b)와 같이 제2 탄발부재(160)의 팽창력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그 손잡이(132)가 몸체(110)의 제4 관통홀(114)을 따라 몸체(110)의 정면에서 좌측면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연결고리부(120)의 반원부(122) 끝단과 몸체(110)의 상면측 고리안착부(118)의 경사면(118a)과의 사이 통로가 폐쇄된다.
즉, 연결고리부(120)의 반원부(122)에 줄(S)을 걸어준 후 잡고 있던 레버(130)의 손잡이(132)를 놓게 되면, 이 레버(130)는 제1 탄발부재(140)와 제2 탄발부재(160)의 팽창력에 의해 수직으로 하강되었다가 바로 수평 이동되어 잠김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연결고리부(120)의 상부를 강한 힘으로 당기더라도 상승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몸체(110)의 작동공간부(116)에 수직으로 지지된 연결고리부(120)의 수직부(121)가 제1 탄발부재(140)의 팽창력에 의해 항상 하강된 후 제2 탄발부재(160)의 비틀림 탄성에 의해 레버(130)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멈추는 동작에 의해 반원부(122)의 통로를 폐쇄하여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레버(130)를 수평으로 잡아당긴 후 밀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연결고리부(120)의 수직부(121)가 상승되면서 반원부(122)의 통로를 개방하여 풀림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고리부(120)의 상부를 강한 힘으로 당기더라도 수직부(121)와 몸체(110)의 고리안착부(118)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개방되지 않게 되므로 펜던트(P)가 줄(S)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P)와 고정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목걸이나 팔찌, 발찌 등의 줄(S)로부터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고가(高價)의 장신구를 나이, 직업, 옷차림, 계절, 모임 장소나 여행 목적 등 패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펜던트(P)로 교체하여 가면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0)

  1. 상부면과 하부면 일측에 서로 대응되게 뚫린 제1 관통홀(12)이 형성되면서 상부면과 하부면 타측면에 엇갈리게 뚫린 제2 및 제3 관통홀(14)(16)이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P)와 고정되는 몸체(10)와; 길이가 다르게 역유(U)자로 구부러진 긴 쪽 제1 수직봉(22)이 상기 제1 관통홀(12)에 삽입 관통되고 짧은 쪽 제2 수직봉(24)이 상기 제2 관통홀(14)에 삽입 또는 분리되면서 줄(S)과 연결되는 연결고리부(20)와; 상기 연결고리부(20)의 긴 쪽 하단에 힌지핀(32)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버(30)와; 상기 제1 관통홀(12)의 내부에서 제1 수직봉(22)의 외주에 설치되어 연결고리부(20)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탄발부재(40)와: 및 상기 제3 관통홀(16)의 내부 상단과 상기 레버(30)의 길이단 중간에 연결되어 레버(30)가 몸체(10)의 하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밀착되도록 탄성으로 가하는 제2 탄발부재(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봉(2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40)의 하단이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관통홀(12)의 내부에 수용되는 단턱(22a)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30)는, 그 일측단이 상기 제1 수직봉(22)의 하단과 요철 모양으로 겹쳐져 힌지핀(32)에 의해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그 길이단 중간이 상기 제2 탄발부재(42)의 하단과 걸리도록 걸림홀(30a)이 형성되며, 그 타측단에 레버(30)를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손잡이(3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탄발부재(40)는 압축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1 수직봉(22)의 외주에 끼워진 채로 제1 관통홀(12)의 내부 상단에 걸리고 그 하단이 제1 수직봉(22)의 외주 하단측 단턱(22a)에 걸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탄발부재(42)는 인장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3 관통홀(16)의 상단에 걸리고 하단이 레버(30)의 길이단 중간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6. 외부 후면에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P)와 고정되며 상부면 하부면 정면 좌측면 우측면 일측에 제1 내지 제5 관통홀(111)(112)(113)(114)(115)이 분산 형성되면서 내부 작동공간부(116)와 통로가 연결되는 몸체(110)와;
    상기 제1 관통홀(111)을 통해 작동공간부(116)를 거쳐 제2 관통홀(112)에 삽입 관통되도록 수직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 일측에 맞닿아 통로를 폐쇄하거나 이격되어 통로를 개방하면서 줄(S)과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부(121)의 상부에 반원부(122)가 형성된 연결고리부(120)와;
    상기 수직부(121)의 중간 높이 단차면(123) 외경에 끼워지도록 일측단에 끼움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정면측 제3 관통홀(113)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시 상기 연결고리부(1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거나 좌측면측 제4 관통홀(114)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시 연결고리부(120)가 잠김 또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타측단에 손잡이(132)가 형성된 레버(130)와;
    상기 수직부(121)의 상부 외경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작동공간부(116)의 내부 상단과 상기 레버(130)의 일측단 상면 사이에 밀착되어 레버(130)가 하강 이동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탄발부재(140)와;
    상기 몸체(110)의 하단 제2 관통홀(112)을 통해 상기 수직부(121)의 하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일측단이 제5 관통홀(115)의 안내를 받아 상승 또는 하강되는 받침대(150)와;
    상기 수직부(121)의 하단 외경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작동공간부(116)에 수용된 채로 상단이 상기 레버(130)의 중간측 걸이홀(133)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받침대(150)의 일측단에 고정되어 레버(130)가 잠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2 탄발부재(1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관통홀(111)은 상기 연결고리부(120)측 수직부(121)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승 또는 하강될 때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10)의 상부면 중앙에 대하여 정면과 후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장홀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112)은 상기 받침대(150)가 삽입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하부면에 대하여 상기 작동공간부(116)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관통홀(113)은 상기 레버(130)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정면 중앙 높이에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제4 관통홀(114)과 직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4 관통홀(114)은 상기 레버(130)가 하강되어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110)의 좌측면에 대하여 상기 제3 관통홀(113)의 하단과 직각으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5 관통홀(115)은 상기 받침대(150)의 일측단과 고정된 제2 탄발부재(142)의 하단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10)의 우측면 중간 높이에서 하단까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그 하단이 상기 제2 관통홀(112)과 연결되도록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121)에는,
    그 중간 높이에서 타원 모양과 접하는 원형 모양 외경에 상기 레버(130)의 끼움홀(131)이 끼워질 때 타원 모양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단차면(123)이 형성되고,
    그 하부 외경에 상기 받침대(150)가 끼워맞춤되어 압입 고정될 때 상하 이동되지 않도록 외경이 작아지는 오목면(1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탄발부재(140)는 압축형 코일스프링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 탄발부재(160)는 비틀림형 코일스프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50)는,
    그 일측에 상기 연결고리부(120)측 수직부(121)의 하단을 통해 오목면(124)에 끼워맞춤되도록 끼움홀(151)이 형성된 링형상부(152)와,
    상기 링형상부(152)의 외주면 일측에 상기 제2 탄발부재(160)의 하단이 고정되도록 걸이홀(153)이 형성된 돌출부(154)와,
    상기 링형상부(152)의 하면 둘레 일측에 안쪽으로 압력을 가할 때 동시 오므라지면서 상기 수직부(121)의 오목면(124)에 압입 고정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압입결합부(1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PCT/KR2016/000942 2015-01-29 2016-01-28 장신구 연결 구조체 WO201612222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917 2015-01-29
KR20150013917A KR101511329B1 (ko) 2015-01-29 2015-01-29 장신구 연결 구조체
KR1020160005550A KR101743744B1 (ko) 2016-01-15 2016-01-15 장신구 연결 구조체
KR10-2016-0005550 2016-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2229A1 true WO2016122229A1 (ko) 2016-08-04

Family

ID=5654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0942 WO2016122229A1 (ko) 2015-01-29 2016-01-28 장신구 연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1222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5794A (zh) * 2021-07-08 2021-10-01 Apm(摩纳哥)有限责任公司 一种首饰挂件及首饰挂件的装配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390U (ko) * 1993-12-20 1995-07-20 배홍기 열쇠 고리
KR200274974Y1 (ko) * 2002-02-09 2002-05-09 이원우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구
US20080083100A1 (en) * 2005-09-22 2008-04-10 Rick Beed Retractable hook system and method
KR20090022782A (ko) * 2007-08-31 2009-03-04 박수현 장식 연결구
KR101305966B1 (ko) * 2013-03-29 2013-09-12 이성환 가방 장식용 자물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390U (ko) * 1993-12-20 1995-07-20 배홍기 열쇠 고리
KR200274974Y1 (ko) * 2002-02-09 2002-05-09 이원우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구
US20080083100A1 (en) * 2005-09-22 2008-04-10 Rick Beed Retractable hook system and method
KR20090022782A (ko) * 2007-08-31 2009-03-04 박수현 장식 연결구
KR101305966B1 (ko) * 2013-03-29 2013-09-12 이성환 가방 장식용 자물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5794A (zh) * 2021-07-08 2021-10-01 Apm(摩纳哥)有限责任公司 一种首饰挂件及首饰挂件的装配方法
CN113455794B (zh) * 2021-07-08 2023-07-14 Apm(摩纳哥)有限责任公司 一种首饰挂件及首饰挂件的装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6200A (en) Combination ring pendent
US5099659A (en) Magnetic jewelry clasp
WO2017034095A1 (ko) 360도 회전 가능한 장신구
US7322214B2 (en) Convertible eyeglass retainer/jewelry article
US6883211B2 (en) Clasp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1771949A (en) Hose fitting
US4815180A (en) Transferrable jewelry clasp with neck chain or neck band
US6789395B2 (en) Convertible pendant jewelry
WO2016122229A1 (ko) 장신구 연결 구조체
WO2016027920A1 (ko) 장신구 조립체
US3058183A (en) Connecting device
WO2012041194A1 (zh) 卡动式滑座
KR102389838B1 (ko)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WO2017014379A1 (ko) 실석쇠 및 실석쇠의 조립방법
US3899802A (en) Fastener means for an article of jewelry
CN210873824U (zh) 双钩安全绳
KR102197754B1 (ko) 2단 잠금 구조를 갖는 팔찌용 체결구
KR101511329B1 (ko) 장신구 연결 구조체
WO2017039114A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WO2018221999A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WO2024029948A1 (ko) 투-타입 연출이 가능한 링 귀걸이
KR200450580Y1 (ko) 장신구
WO2019132096A1 (ko) 장신구용 회전 체결장치
KR102419854B1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JP3083478U (ja) ネックレス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437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PC Withdrawal of priority claims after completion of the technical preparations for international pub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2015-0013917

Country of ref document: KR

Date of ref document: 20170508

Free format text: WITHDRAWN AFTER TECHNICAL PREPARATION FINISHED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19.11.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4370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