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838B1 -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 Google Patents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838B1
KR102389838B1 KR1020210158511A KR20210158511A KR102389838B1 KR 102389838 B1 KR102389838 B1 KR 102389838B1 KR 1020210158511 A KR1020210158511 A KR 1020210158511A KR 20210158511 A KR20210158511 A KR 20210158511A KR 102389838 B1 KR102389838 B1 KR 10238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racelet
pin
locking
lock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210158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19Hooks
    • A44C5/2033Hooks provided with pivoting closure means
    • A44C5/2038Swive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42Fasteners provided with a turnable clamping lever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에 걸이구를 구비한 팔찌본체의, 타단부에, 힌지핀을 통해 연결되고, 걸이구를 물어 팔찌본체의 체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걸이플레이트, 걸이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구에 걸려 지지되는 인너후크를 구비한 제1록킹바디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걸이플레이트에 대향하는 커버플레이트, 커버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커버플레이트를 걸이플레이트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인너후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아우터후크가 포함된 제2록킹바디와; 제1록킹바디 및 제2록킹바디의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력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는,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스프링이 내장되므로 한손으로도 쉽게 잠그거나 풀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Bidirectional locking bracelet fastener}
본 발명은 팔에 착용하는 장신구인 팔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팔찌를 양면으로 뒤집어 착용 할 수 있게 하는,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표현한다거나 아름답고 차별화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패션 아이템으로서, 귀고리, 목걸이, 반지, 팔찌 등의 액세서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세서리의 용도와 기능은 오랜 시간 동안 이어져 오고 있으며, 이와 함께 소재의 개발과 디자인의 다양화도 계속되고 있다.
보통, 고가의 액세서리는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으로 제작되며, 종류에 따라 외측에 보석류를 박아 고정한 것도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는 매우 고가이므로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도치 않게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설계가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팔찌는, 손목에 두르는 팔찌본체와, 팔찌본체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팔찌본체를 잠그는 체결구로 구성된다. 팔찌본체에는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되어 있으며, 가령 쇠사슬모양이나 체인모양을 갖는다. 또한, 체결구는 고리 형상이나 암수 결합 형태로 이루어지며, 팔찌본체를 손목에 착용하기 위해 결속되고, 팔찌본체를 풀기 위해 분리된다.
그런데 팔찌는, 그 구조 상, 착용 시 한쪽 손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므로, 체결구를 조작하는 것이 그리 쉽지 않다는 불편이 있다. 체결구 자체의 구조가 단순하지 않으면 한 손으로 팔찌를 착용하는 것이 번거로운 것이다.
기존 팔찌가 갖는 또 하나의 아쉬운 점은, 한쪽 방향으로만 착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즉, 팔찌의 내측면(피부를 향하는 면)은 항상 내측방향을, 외측면은 항상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착용하는 것이다. 한쪽 방향으로 착용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체결구의 구조에 따른 것이다. 체결구를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서 잠그거나 풀 수 있다면, 팔찌를 뒤집어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81602호에는, 양면으로 체결할 수 있는 팔찌 체결구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팔찌 체결구는, 팔찌의 한쪽 끝부분에 고정 연결되는 팔찌 고정 연결부, 팔찌 고정 연결부의 일측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제1체결부의 타측에 제1체결부와 마주보며 회동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체결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팔찌 체결구는, 중앙의 팔찌고정연결부에 대해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각각 체결해야 하므로, 체결을 위해 2번의 공수가 들어가, 사용이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81602호 (양면으로 체결할 수 있는 팔찌 체결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128436호 (팔찌체결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스프링이 내장되므로 한손으로도 쉽게 잠그거나 풀 수 있는,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는,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에 걸이구를 구비한 팔찌본체의, 타단부에, 힌지핀을 통해 연결되고, 걸이구를 물어 팔찌본체의 체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걸이플레이트, 걸이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구에 걸려 지지되는 인너후크를 구비한 제1록킹바디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걸이플레이트에 대향하는 커버플레이트, 커버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커버플레이트를 걸이플레이트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인너후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아우터후크가 포함된 제2록킹바디와; 제1록킹바디 및 제2록킹바디의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력지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걸이구는, 팔찌본체의 일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막대형 걸이핀으로 이루어지고, 팔찌본체의 타단부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구가 고정되며, 상기 힌지핀은 양단부가 지지구에 장착된 상태로 제1,2록킹바디를 지지하고, 제1록킹바디 및 제2록킹바디에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힌지핀을 공유하는 제1힌지 및 제2힌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너후크는, 제1힌지와의 사이에 걸이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힌지로부터 이격되며, 제1힌지를 향하는 전면에 걸이핀과 접하는 지지곡면부를 가지고, 아우터후크는, 탄성변형 가능하며 인너후크의 후면에 밀착 결합하여 제1,2록킹바디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착커버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인너후크는, 다수 개로 분할되어 사이 공간을 제공하고, 아우터후크에는, 걸이핀을 밀착커버로부터 이격시켜, 인너후크가 밀착커버와 걸이핀의 사이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인너후크의 사이공간에 수용 가능한 스페이서가 더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탄력지지부는, 제1록킹바디와 제2록킹바디를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는, 구조가 간단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스프링이 내장되므로 한손으로도 쉽게 잠그거나 풀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하부록킹바디와 상부록킹바디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의 체결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의 체결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팔찌 체결구는, 양방향에서 열거나 잠글 수 있는 구조를 가져, 팔찌를 뒤집어 착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테면, 팔찌의 내측면이 피부를 향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열거나 잠글 수 있음은 당연하고, 이와 반대로, 팔찌의 외측면이 피부를 향하도록 뒤집어 착용한 상태에서도 열거나 잠글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팔찌를 뒤집어, 피부에 밀착하는 내측면이 바깥으로 보이게 하고, 또한 외측면이 내측(피부측)을 향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할 경우, 팔찌의 외측면은 물론 내측면에도 장식을 부가하여, 자신의 취향에 따라 팔찌를 정상적으로 착용하거나 뒤집에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종전 팔찌의 경우, 팔찌를 뒤집어 착용하지 않는 이유는, 팔찌를 뒤집은 상태에서는 팔찌의 체결과 분리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는,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걸이플레이트, 걸이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구에 걸려 지지되는 인너후크를 구비한 제1록킹바디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걸이플레이트에 대향하는 커버플레이트, 커버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커버플레이트를 걸이플레이트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인너후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아우터후크가 포함된 제2록킹바디와; 제1록킹바디 및 제2록킹바디의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력지지부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20)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체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하부록킹바디와 상부록킹바디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구(20)의 설명에 앞서 팔찌(10)의 개략적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찌(10)는, 팔찌본체(11)와 체결구(20)로 이루어진다. 팔찌본체(11)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팔찌본체(11)의 외측면과 내측면(피부를 향하는 면)에 다양한 장식이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팔찌본체(11)의 일단부에는 걸이구(21)가, 타측부에는 지지구(23)가 구비된다. 지지구(23)는 체결구(20)가 결합하는 부분이고, 걸이구(21)는 체결구(20)가 물어 고정하는 부분이다. 체결구(20)가 걸이구(21)에 결합하면 팔찌본체(11)의 착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걸이구(21)로부터 체결구(20)를 분리하면 팔찌본체(11)를 풀 수 있다.
걸이구(21)는, 대략 ㄷ 자의 형상을 취하는 핀고정브라켓(21b)과, 걸이핀(21a)을 갖는다. 핀고정브라켓(21b)은 팔찌본체(11)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내측에 걸이핀(21a)을 고정 지지한다. 걸이핀(21a)은 직선형 부재로서 양단부가 핀고정브라켓(21b)에 고정된다.
지지구(23)는 걸이구(21)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지지구(23)는, 대략 ㄷ 자 구조의 지지브라켓(23b)을 구비하며 힌지핀(24)을 지지한다. 힌지핀(24)은 직선형 부재로서 양단부가 지지브라켓(23b)의 핀구멍(23a)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20)는, 제1록킹바디(30), 제2록킹바디(40), 탄력지지부를 구비한다.
제1록킹바디(30)와 제2록킹바디(40)는 하나의 쌍을 이루며, 걸이핀(21a)을 수용한 상태로 오므라져 체결상태를 유지한다. 제1,2록킹바디(30,40)가 벌어지면 걸이핀(21a)이 분리되어 팔찌(10)를 풀 수 있다.
제1록킹바디(30)는, 걸이플레이트(31), 제1힌지(35), 인너후크(33)를 구비한다. 걸이플레이트(31)는 만곡된 대략 사각판의 형상을 취한다. 걸이플레이트(31)의 외측면에는 다양한 장식이 부가될 수 있다.
제1힌지(35)는 걸이플레이트(31)의 후단부 상면에 고정되는 부속으로서 핀구멍(35a)을 제공한다. 핀구멍(35a)은 힌지핀(24)이 끼워지는 구멍이다. 제1힌지(35)를 지지브라켓(23b)에 삽입한 상태에서 힌지핀(24)을 끼우면 지지구(23)에 대한 제1록킹바디(30)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본 설명에서 '상면','저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용어이다.)
인너후크(33)는, 걸이플레이트(31)의 상면에 두 개가 나란하게 고정되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핀(21a)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인너후크(33)의 제1힌지(35)를 향하는 전면(前面)에는 지지곡면부(33c)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곡면부(33c)는 걸이핀(21a)을 수용 지지할 수 있는 홈이다.
인너후크(33)는, 제1힌지(35)와의 사이에 걸이핀(21a)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힌지(35)로부터 이격된다. 걸이핀(21a)은 (겹쳐진 상태의) 인너후크(33) 및 아우터후크(43)와 힌지핀(34) 사이의 구속공간(20a)에 갇힌 상태가 된다. 걸이핀(21a)이 구속공간(20a)에 갇혀 있는 이상 팔찌본체(11)가 풀어질 염려가 없다.
특히 인너후크(33)는 두 개가 상호 이격 배치되며 그 사이에 사이공간(33a)을 제공한다. 사이공간(33a)은 후술할 아우터후크(43)의 스페이서(43c)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다. 즉,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록킹바디(30)와 제2록킹바디(40)를 완전히 결합했을 때 사이공간(33a)에 끼워지는 것이다. 제1,2록킹바디(30,40)의 완전한 결합이라 함은, 인너후크(33)의 후크단부(33e)가 커버플레이트(41)의 저면에 닿은 상태의 결합이다.
제2록킹바디(40)는, 제1록킹바디(30)와 쌍을 이루는 것으로서, 커버플레이트(41), 제2힌지(45), 아우터후크(43)를 갖는다.
커버플레이트(41)는 만곡된 대략 사각판의 형상을 취한다. 커버플레이트(41)의 외측면에는 다양한 장식이 부가될 수 있다. 제2힌지(45)는 커버플레이트(41)의 후단부 상면에 고정되는 부속으로서 핀구멍(45b)을 갖는다. 핀구멍(45b)은 힌지핀(24)이 끼워지는 구멍이다. 제1힌지(35)의 핀구멍(35a)과 제2힌지(45)의 핀구멍(45b)을, 지지구(23) 내측에서 일직선상에 맞춘 후 힌지핀(24)을 끼우면 지지구(23)에 대한 제1록킹바디(30)와 제2록킹바디(40)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45a는 스프링설치공간이다. 스프링설치공간(45a)은 후술할 스프링(50)이 끼워지는 공간이다. 스프링(50)은 스프링설치공간(45a)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핀(24)을 통과시킨다.
아우터후크(43)는, 커버플레이트(41)의 저면에 일체를 이루는 부재로서, 탄성변형 가능하며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너후크의 후면에 밀착 한 상태로 인너후크(33)를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 지지한다. 아우터후크(43)가 인너후크(33)를 가압 지지함에 의해, 제1록킹바디(30)와 제2록킹바디(40)의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아우터후크(43)는, 밀착커버(43a)와 스페이서(43c)를 갖는다. 밀착커버(43a)는 인너후크(33)의 후면(제1힌지(35)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밀착하며 인너후크(33)를 화살표 f방향으로 탄력 가압한다. 힘을 강해 제1록킹바디(30)와 제2록킹바디(40)를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페이서(43c)는 밀착커버(43a)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로서, 제1,2록킹바디(30,40)가 결합한 상태에서 사이공간(33a)에 삽입된다.
특히 스페이서(43c)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핀(21a)에 면접한 경우, 걸이핀(21a)과 밀착커버(43a)를 이격시켜, 인너후크(33)가 밀착커버(43a)와 걸이핀(21a)의 사이로 화살표 k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말하자면, 걸이핀(21a)을 밀착커버(43a)로부터 띄우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43c)를 적용함으로써, 팔찌(10)의 체결 시, 걸이핀(21a)이 아우터후크(43)에 밀착하고 있더라도, 걸이핀(21a)의 방해를 받지 않고, 인너후크(33)와 아우터후크(34)를 그대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탄력지지부는, 제1록킹바디(30) 및 제2록킹바디(40)의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탄력지지부로서 스프링(50)을 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50)은, 제1록킹바디와 제2록킹바디를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50)을 적용함으로써, 팔찌(10)를 착용할 때, 한 손으로도 용이한 체결이 가능해진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의 체결방식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팔찌(10)의 체결 시, 걸이핀(21a)이 인너후크(33)에 먼저 걸린 경우이다.
팔찌(10)를 체결하기 위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20)를 걸이구(21) 측으로 근접시킨다. 이 때 제1록킹바디(30)와 제2록킹바디(40)는 스프링(50)의 작용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제1,2록킹바디(30,40)를 번번이 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것이다.
이어서, 걸이핀(21a)이 제1,2록킹바디(30,40)의 사이로 진입하였다면, 제1,2록킹바디(30,40)를 오므린다. 이 때, 걸이핀(21a)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곡면부(33c)에 밀착하고 있다 하더라도, 스페이서(43c)는 인너후크(33)의 사이공간(33a)으로 삽입되므로, 스페이서(43c)와 걸이핀(21a)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1,2록킹바디(30,40)를 완전히 오므리면, 도 5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밀착커버(43a)가 인너후크(33)의 후면에 밀착하며, 인너후크(33)를 화살표 f방향으로 탄력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2록킹바디(30,40)의 결합이 완료되고, 걸이핀(21a)은 구속공간(20a)에 구속되어 체결이 마무리된다.
이 상태에서 팔찌(10)를 풀기 위해서는, 힘을 가하여 제1,2록킹바디(30,40)를 벌리면 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의 체결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팔찌(10)의 체결 시, 걸이핀(21a)이 아우터후크(43)의 스페이서(43c)에 먼저 걸린 경우이다.
팔찌(10)를 체결하기 위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20)를 걸이구(21) 측으로 근접시킨다. 이 때,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록킹바디(30)와 제2록킹바디(40)는 스프링(50)의 작용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핀(21a)이 제1,2록킹바디(30,40)의 사이로 진입하였다면, 제1,2록킹바디(30,40)를 오므린다. 이 때, 걸이핀(21a)은 스페이서(43c)에 걸려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스페이서(43c)는 걸이핀(21a)을 밀착커버(43a)로부터 띄우므로, 인너후크(33)가 밀착커버(43a)와 걸이핀(21a)의 사이로 진입할 때, 걸이핀(21a)과의 부딪힘은 없다. 걸이핀(21a)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어서, 제1,2록킹바디(30,40)를 완전히 오므리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커버(43a)가 인너후크(33)의 후면에 밀착하며, 인너후크(33)를 탄력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2록킹바디(30,40)의 결합이 유지됨은 위에 언급한 바와 같다. 이 상태에서 팔찌(10)를 풀기 위해서는, 힘을 가하여 제1,2록킹바디(30,40)를 벌리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팔찌 11:팔찌본체 20:체결구
20a:구속공간 21:걸이구 21a:걸이핀
21b:핀고정브라켓 23:지지구 23a:핀구멍
23b:지지브라켓 24:힌지핀 30:제1록킹바디
31:걸이플레이트 33:인너후크 33a:사이공간
33c:지지곡면부 33e:후크단부 35:제1힌지
35a:핀구멍 40:제2록킹바디 41:커버플레이트
43:아우터후크 43a:밀착커버 43c:스페이서
45:제2힌지 45a:스프링설치공간 45b:핀구멍
50:스프링

Claims (5)

  1.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에 걸이구를 구비한 팔찌본체의, 타단부에, 힌지핀을 통해 연결되고, 걸이구를 물어 팔찌본체의 체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걸이플레이트, 걸이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상기 걸이구에 걸려 지지되는 인너후크를 구비한 제1록킹바디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걸이플레이트에 대향하는 커버플레이트, 커버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커버플레이트를 걸이플레이트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인너후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아우터후크가 포함된 제2록킹바디와;
    제1록킹바디 및 제2록킹바디의 사이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력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이구는, 팔찌본체의 일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에 고정되는 막대형 걸이핀으로 이루어지고,
    팔찌본체의 타단부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구가 고정되며, 상기 힌지핀은 양단부가 지지구에 장착된 상태로 제1,2록킹바디를 지지하고,
    제1록킹바디 및 제2록킹바디에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힌지핀을 공유하는 제1힌지 및 제2힌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인너후크는, 제1힌지와의 사이에 걸이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힌지로부터 이격되며, 제1힌지를 향하는 전면에 걸이핀과 접하는 지지곡면부를 가지고,
    아우터후크는, 탄성변형 가능하며 인너후크의 후면에 밀착 결합하여 제1,2록킹바디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밀착커버를 갖고,
    상기 인너후크는, 다수 개로 분할되어 사이 공간을 제공하고,
    아우터후크에는, 걸이핀을 밀착커버로부터 이격시켜, 인너후크가 밀착커버와 걸이핀의 사이로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인너후크의 사이공간에 수용 가능한 스페이서가 더 구비된,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부는,
    제1록킹바디와 제2록킹바디를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인,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KR1020210158511A 2021-11-17 2021-11-17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KR102389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11A KR102389838B1 (ko) 2021-11-17 2021-11-17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511A KR102389838B1 (ko) 2021-11-17 2021-11-17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838B1 true KR102389838B1 (ko) 2022-04-21

Family

ID=8143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511A KR102389838B1 (ko) 2021-11-17 2021-11-17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490B1 (ko) * 2022-04-30 2023-02-06 장준수 장신구 연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00B1 (ko) * 2007-11-08 2008-02-11 이창수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102040249B1 (ko) * 2019-04-08 2019-11-27 사염찬 복수의 잠금장치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 분실 방지용 팔찌 체결구
KR102128436B1 (ko) 2015-01-20 2020-06-30 로만 크라우스 플랜트레이아웃 및 탈 잉크 방법
KR20210081602A (ko) 2019-12-24 2021-07-02 이창호 양면으로 체결할 수 있는 팔찌 체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00B1 (ko) * 2007-11-08 2008-02-11 이창수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102128436B1 (ko) 2015-01-20 2020-06-30 로만 크라우스 플랜트레이아웃 및 탈 잉크 방법
KR102040249B1 (ko) * 2019-04-08 2019-11-27 사염찬 복수의 잠금장치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 분실 방지용 팔찌 체결구
KR20210081602A (ko) 2019-12-24 2021-07-02 이창호 양면으로 체결할 수 있는 팔찌 체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490B1 (ko) * 2022-04-30 2023-02-06 장준수 장신구 연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20060174649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item
US5410784A (en) Interchangeable clasp
US9392850B1 (en) Hinged ring with threaded post between arms
US8756773B2 (en) Decorative system with fasteners and interchangeable connectors
KR101426023B1 (ko) 장신구의 탄성식 연결기구
US5440900A (en) Add-on jewelry item for flexible jewelry chains
US20110179823A1 (en) Interchangeable setting ring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102389838B1 (ko)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US20100257898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Interchangeable Pendant System
KR100761985B1 (ko) 착탈식장신구
US9770077B2 (en) Jewelry clasp
US7093332B1 (en) Locking toggle assembly for jewelry
US4974429A (en) Combined bracelet and pendant
US6604381B2 (en) Jewelry attachment means
JP2007275398A (ja) 紐状装身具用留め具
US20050247079A1 (en) Jewelry ornament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USD521895S1 (en) Jewelry clasp member for bracelets, necklaces, waist jewelry, watchbands and ankle bracelets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JP2010214084A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CN213664032U (zh) 一种具有环状卡扣及链环的链式首饰
KR20090039288A (ko) 체결용 보조텐션을 갖는 귀걸이
CN212590711U (zh) 一种手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